사립 대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립 대학은 정부의 지원 없이 개인이나 법인이 설립하여 운영하는 고등 교육 기관을 의미한다. 대한민국, 미국, 일본 등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형태와 규모의 사립 대학이 존재하며, 각국의 교육 시스템과 역사적 배경에 따라 운영 방식과 특징이 다르다. 한국에서는 사립 대학이 대학생의 대다수를 차지하며, 종교 단체나 기업이 설립에 기여한 경우가 많다. 일본의 경우, 사립 대학은 전체 대학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며, 입시 방식과 재정 운영에서 국립 대학과 차이를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립 대학 - 마닐라 아테네오 대학교
마닐라 아테네오 대학교는 1859년 예수회가 설립한 필리핀의 사립 대학교로, 케손 시티에 메인 캠퍼스를 두고 다양한 분야의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을 제공하며 사회 참여를 강조한다. - 사립 대학 - 고려대학교
1905년 이용익이 설립한 보성전문학교에서 시작된 고려대학교는 민족 자주성을 바탕으로 국제화를 추구하며 서울과 세종에 캠퍼스를 둔, 민주화 운동의 중심이자 국내외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는 사립 연구중심대학교이다.
사립 대학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유형 | 고등 교육 기관 |
설립 주체 | 정부 외 단체 |
설립 목적 | 학위 수여 |
운영 주체 | 사립 또는 비영리 단체 |
다른 명칭 | 비공립 대학 사학 사립학교 |
교육 | |
학위 | 학사, 석사, 박사 |
교육 과정 | 다양함 |
특징 | |
재정 | 등록금, 기부금, 보조금 |
규모 | 다양함 (소규모부터 대규모까지) |
종교적 관련 | 종교 재단이 설립하는 경우 존재 |
교육 철학 | 다양한 교육 철학 반영 |
장점 | |
유연성 | 교육 과정 및 운영 방식 |
특성화 | 특정 분야에 집중된 교육 제공 |
소규모 수업 | 교수와 학생 간의 상호 작용 용이 |
단점 | |
높은 등록금 | 공립 대학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음 |
재정적 불안정 | 재정 상황에 따라 교육의 질 변동 가능성 |
인가 및 인증 | 일부 사립 대학은 인가 및 인증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음 |
법적 지위 | |
인가 | 국가 또는 지역 교육 당국의 인가를 받아야 함 |
인증 | 교육의 질을 평가하는 기관의 인증을 받아야 함 |
역사 | |
설립 시기 | 중세 대학의 기원과 연관 |
발전 과정 | 사회적 요구와 종교적 배경에 따라 발전 |
국가별 상황 | |
미국 | 높은 수준의 사립 대학 존재 |
영국 | 일부 명문 사립 대학 존재 |
일본 | 대학의 약 80%가 사립 대학 |
한국 | 대학 대부분이 사립 대학 |
한국 | |
사립학교법 | 사립학교법의 적용을 받음 |
재정 | 등록금 및 재단 전입금으로 운영 |
설립 주체 | 학교법인 |
일본 | |
설립 주체 | 학교법인 |
재정 | 등록금 및 정부 보조금으로 운영 |
특징 | 일본 전체 대학의 80%를 차지 |
국제적 관점 | |
세계적 분포 |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사립 대학 존재 |
국제 협력 | 국제적인 교육 협력에 적극적으로 참여 |
참고 자료 | |
참고 문헌 | 사립학교법 일본 문부과학성 사립대학 페이지 |
관련 문서 | 대학교, 고등교육 |
2. 한국의 사립대학
대한민국의 사립대학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아닌 법인 또는 개인이 설립하여 경영하는 대학이다. 사립대학의 설립은 교육부 장관의 인가를 받아야 하며, 국공립대학과 마찬가지로 공공성과 일정 수준 이상의 질을 유지해야 한다.[88] 이를 위해 교수의 채용과 해임은 교육부에서 관리하며, 총장·부총장·학장의 채용은 교육부 장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또한, 예산과 결산은 교육부에 제출해야 한다.[88]
2. 1. 역사
1880년대에 외국의 선교단(宣敎團)에 의하여 세워진 대한민국의 사립 대학은 대한민국 근대 고등교육의 시초가 되었다. 2005년 개정된 사립학교법에 따라 사립 대학들은 평의원회를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특히 교원의 자격 및 복무는 국·공립학교의 교원에 관한 규정에 따른다.하지만 사립 대학의 수가 많아지면서 대학 간 불균형이 더욱 심화될 수밖에 없게 되었는데, 교육계 일각에서는 더 늦기 전에 대학 규모 감축을 위한 구조개혁 정책의 중심축을 '일부 사립 대학 퇴출'이라는 적자생존의 비교육적 방식에서 전체 사립 대학의 정원을 감축하는 방식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주장 등이 대두되는 시대에 접어들고 있다.
2013년 7월 16일 국무회의에서 「사립학교법 시행령」개정안이 통과되어 7월 24일에 시행되었다. 특히 「사립학교법」 개정(2013.1.23)에 따른 「사립학교법 시행령」 개정, 사립대학 재정 · 회계 지표 개발 및 공시, 재정 · 회계 투명성 제고를 위한 제도 개선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88]
2. 2. 운영
한국의 사립대학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아닌 법인 또는 개인이 설립하여 운영한다. 사립대학은 공공성과 일정 수준 이상의 교육의 질을 유지해야 하므로, 교수 채용 및 해임은 교육부에서 관리하며 총장, 부총장, 학장 채용은 교육부 장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또한, 예산과 결산은 교육부에 제출해야 한다.한국의 사립대학은 운영에 있어서 주로 학생 등록금에 의존하며, 국가 보조금은 상대적으로 적은 비중을 차지한다.[55] 이는 수입의 상당 부분을 국가 보조금에 의존하는 국립대학과는 다른 구조이다.[56]
사립대학 법인은 대학 외에도 단기대학, 전문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등의 부속 학교를 운영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사립대학의 재정 상황이 학교법인 전체의 재정 상황과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고바야시 테쓰오는 정원 미달인 사립대학이 바로 폐교되지 않는 이유에 대해 "대학은 그룹 회사의 일부 적자 부문과 같아서, 쉽게 폐교되지 않는다"고 설명한다.[61]
일부 사립대학은 경영난을 겪고 있으며, 특히 학생 수 감소와 재정 악화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대학도 있다. 일본의 경우 2016년 기준으로 2019년 말까지 경영 파탄의 우려가 있는 학교법인이 287개소나 되었다.[57][58]
사립대학의 운영난을 평가할 때는 대학 회계와 기업 회계를 혼동하지 않고, 교육 활동 자금 수지, 외부 부채, 운용 자산, 내구 연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62] 일본사립학교진흥·공제사업단은 정량적인 경영 판단 지표를 활용하여 학교법인 전체의 경영 상태를 구분하고 있다.[63]
일본의 경우, 2021년에 사립대학 전체의 입학 정원 충족률이 99.8%로 처음으로 100%를 밑돌았고, 정원 미달 대학은 전체의 46.4%인 277개교에 달했다.[67] 그러나 정원 미달이 곧바로 사립대학의 운영난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68]
2. 3. 입학 시험
일본의 사립대학 입시는 대학·학부·학과에 따라 입시 과목, 배점, 방식, 일정이 다양하다.[71]'''일반입시'''
대학입학공통시험을 응시할 필요가 없고, 시험 과목도 기본적으로 3과목(이과는 영어·수학·이과, 문과는 영어·국어·지리·역사·사회 또는 수학)으로,[72] 5과목 7영역을 보고 대학별 2차 시험(주로 서술식 시험)을 보는 경우가 많은 국립대학에 비해 실제 시험 과목 수가 매우 적다. 국공립대학 일반입시 2차 시험은 서술식이 중심이지만, 사립대학 일반입시나 대학입학공통시험 이용 입시는 답만 적는 마크센스 방식이 중심이다. 그래서 일찍부터 3과목에만 집중하여 학습하는 사람도 많다.
하지만 시험 과목 수가 적은 만큼, 1과목당 실수가 용납되지 않고, 고득점이 필요하다. 또한, 어려운 사립대학에서는 고등학교 범위를 넘는 어려운 문제가 나오기도 하여, 공통시험의 비중이 높은 국공립대학과는 성격이 다르다. 게다가 수도권의 유명 사립대학은 전국에서 수험생이 모여 입시 경쟁률이 매우 높아지고, 난이도가 올라가는 경향도 있다. 2019년 정원 엄격화에 따라 사립대 문과 학부가 어려워지고,[73] 합격 안전권이라고 여겨졌지만 불합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는 보고도 있다.[74][75] 즉, 대학 입시의 일반적인 방식은 통하지 않고, 대학 고유의 시험 방식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국공립대학 일반입시에서는 응시 가능한 대학·학부 수가 최대 3개 대학 3개 학부(전기·중기·후기)로 제한되지만, 사립대학 일반입시에서는 제한이 없고, 입시 일정만 다르면 얼마든지 병행 지원할 수 있다. 대학 측도 다양한 입시 형태를 통해 응시 기회를 늘리고 있다.[76]
'''공통시험 이용 입시'''
공통시험 이용 입시는 공통시험 성적을 기준(혹은 이용하여)으로 합격 여부가 결정되는 입시 방식이다.[77] 사립대학별 입시 대책을 세우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국공립대학을 제1지망으로 하고 사립대학을 병행 응시하는 사람이 이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77] 단, 공통시험 이용 입시는 모집 인원이 적고, 경쟁률이 높아지는 대학이 많으므로 합격 난이도도 높아진다고 본다.[77]
'''추천입시·종합형 선발'''
추천입학(지정학교추천·공모추천(특기자전형 등))이나 종합형 선발과 같이 학력 시험을 부과하지 않는 입시 제도도 있다.
2. 4. 공립화
일본에서는 최근 경영난 등의 이유로 경영권을 이양하고 사립에서 공립(국립대학법인)으로 전환하는 대학이 나타나고 있다. 마쓰모토 대학 학장 스미요시 히로유키는 "저출산과 보조금 감소 속에서 경영이 어려운 것은 어느 사립대학이나 마찬가지다. 그중에서 우리처럼 필사적으로 경영 노력을 하고 사학으로 버티고 있는 대학이 있는 한편, 노력을 포기하고 공립화하면 학생은 모이고 교부금으로 경영은 안정된다는 것은 노력한 자가 바보가 되는 것과 다름없다"고 말하며 공립화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70]다음은 공설민영 방식으로 설립된 후, 공립대학법인으로 이관된 대학들이다.
대학명 | 위치 | 설립 연도 | 공립화 연도 | 비고 |
---|---|---|---|---|
고치공과대학 | 고치현 고미시 | 1997년 | 2009년 | |
시즈오카 문화예술대학 | 시즈오카현 하마마쓰시 | 1999년 | 2010년 | |
메이오 대학 | 오키나와현 나고시 | 1994년 | 2010년 | |
도토리 환경대학 | 돗토리현 돗토리시 | 2001년 | 2012년 | 공립 돗토리 환경대학으로 변경 |
나가오카 조케이 대학 | 니가타현 나가오카시 | 1994년 | 2014년 | |
야마구치 도쿄이과대학 | 야마구치현 산요오노다시 | 1995년 | 2016년 | 산요오노다 시립 야마구치 도쿄이과대학으로 변경 |
세이미 대학 | 교토부 후쿠치야마시 | 2000년 | 2016년 | 후쿠치야마 공립대학으로 변경 |
세계 여러 나라에서 사립대학은 다양한 형태로 운영되며, 각 나라의 교육 시스템과 역사적 배경에 따라 독특한 모습을 보인다.
3. 세계의 사립대학
'''아프리카'''
'''유럽'''
'''아메리카'''
'''오세아니아'''
3. 1. 아시아
일본의 사립 대학은 학교법인 또는 주식회사에 의해 설립된다.[46] 학교 법인 중에는 방송대학[47], 오키나와 과학기술대학원대학[48]처럼 특별 법률로 설립되거나 자치의과대학[49], 산업의과대학[50] 같이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관여한 공립민영대학도 있지만, 사립 대학으로 분류된다. 구조개혁특별지역에서는 주식회사 설립 대학(주식회사립대학)도 인정되어 사립 대학으로 분류된다.[51]
일본 대학 중 사립 대학은 전체의 4분의 3을 차지하며,[52] 학생 수는 전체 대학생의 80%에 달한다.[54] 구제대학이나 구제전문학교 출신 사립 대학은 적고, 1949년 학제개혁 이후 신설된 대학이 대부분이다. 2021년 현재 시마네현에는 4년제 사립 대학이 없다.
중화인민공화국에서 사립 고등 교육 기관은 국가 기관이 아닌 단체나 개인이 비국가 재정으로 설립하는 교육 기관이다.[86] 중국의 사립 대학은 민영 대학(民弁大学)으로 불리며,[87] 학비와 설립자 투자로 운영된다. 학비 수입은 총수입의 80%를 차지하며, 국립 대학보다 비싸다.[87]
중화인민공화국 최초의 사립 대학은 1980년 설립된 후난 구의직업학원(湖南九疑職業学院)이다.[86] 2013년 기준 사립 대학은 717개교로 전국 일반 고등 교육 기관의 28%를 차지하며, 재학생은 557만 5천 명이다.[86]
대만의 사립 대학은 국립 대학만큼 명성이 높지 않고, 학비는 거의 두 배에 달한다. 이는 전국 입학 시험으로 대학 자격이 결정되는 대만 학교의 시험 방식 때문이다. 가장 유명한 사립 대학은 輔仁大學(Fu Jen Catholic University)이며, 가장 오래된 사립 대학은 東海大學(Tunghai University)이다.
인도의 대학교는 1956년 대학교 지원 위원회 법에 따라 권한을 부여받은 대학교 지원 위원회(UGC)의 인가를 받는다.[6] 인도 사립 대학교는 2003년 UGC 규정에 따라 규제된다.[7] UGC 법률과 규정에 따라 사립 대학교는 인도 주 의회 법률에 의해 설립되고 인도 관보에 등록된다. 인도 대법원 판결에 따라 대학교 운영에는 UGC 인가가 필요하며,[8] 2003년 규정에 따라 UGC는 사립 대학교 조사 위원회를 파견하고 보고서를 발표한다.
방글라데시는 1992년 사립대학법 제정, 2010년 통합 및 재정으로 많은 사립대학이 설립되었다. 모든 사립대학은 운영 허가 전 방글라데시 대학교육위원회(UGC) 승인이 필요하다.
오만에는 소하르 대학교, 니즈와 대학교, 중동대학교, 오만 독일 기술대학교 등 여러 사립 대학교가 있다.
쿠웨이트에는 11곳의 사립 대학교와 대학이 있다.
레바논에는 19개 사립 대학교가 있으며,[12] 베이루트 아메리칸 대학교(American University of Beirut)와 레바논 아메리칸 대학교(Lebanese American University)는 국제적으로 인정받는다.[13]
요르단 마다바 시에는 미국 마다바 대학교 (AUM)가 있다.
3. 2. 아프리카
이집트에는 현재 약 200만 명의 학생이 재학 중인 국립대학교 21개와 6만 명의 학생이 재학 중인 사립대학교 23개가 있다. 카이로 아메리칸 대학교, 카이로 독일 대학교, 이집트 영국 대학교, 아랍 과학기술해양운송 아카데미, 미스르 과학기술대학교, 미스르 국제대학교, 이집트 미래대학교, 현대 과학 예술 대학교를 포함한 많은 사립 대학교가 있다. 국가 지원 이집트의 국립 및 사립 대학교 외에도 신행정수도에 국제 대학교 기관이 설립되어 해외 대학교 분교를 운영하고 있으며, 지식 허브(TKH)와 이집트 유럽 대학교(EUE)가 이러한 기관에 속한다.
에티오피아에서는 에티오피아 정교회 테와헤도 교회 교리가 전통적인 고등 교육 기관을 포용하고 있다. 현대 고등 교육은 하일레 셀라시에 1세 황제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으며, 최초의 대학교인 아디스아바바 대학(University College of Addis Ababa)이 1950년에 설립되었고(현재 아디스아바바 대학교(AAU)라고 부름), 1954년에는 하라마야 대학교가 개교했다. 2022년 현재, 에티오피아에는 사립 대학교 83개, 국립 대학교 42개, 그리고 35개 이상의 고등 교육 기관이 있다.[1]
가나는 21세기 초 이전에는 사립대학교가 몇 곳 없었으나, 그 이후 안정적인 정부와 경제 성장 속도를 반영하듯 사립대학교와 대학이 급증하였다. 이들 대학교의 대부분은 외국 기업이나 정부로부터 후원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 않으며, 가나 정부의 과도한 채권 지급을 피하기 위한 목적이다. 가나 내 모든 외국 기관은 국가 내 사업 운영을 위해 이를 요구받는다. 가나의 거의 모든 사립대학교는 아세시(Ashesi), 리전트(Regent), 밸리 뷰(Valley View), 가나 텔레콤(Ghana Telecom) 등의 대학교에서 제공하는 경영학, 인적자원, 회계, 정보기술 및 관련 분야와 같은 유사한 학문 분야에 중점을 둔다. 또한 최근 상업적 규모의 석유 및 가스 매장량 발견은 사립대학교의 교육과정 내 석유 및 가스 관리 과정 개발에 영향을 미쳤다.[2]
리비아에는 고등교육부의 승인을 받은 여러 사립 교육 기관과 대학이 있다. 이들은 비즈니스 행정, 컴퓨터 과학, 법학, 의학, 인도주의 등의 학문 분야를 전문으로 교육하며 순위가 매겨지고 자격을 갖추고 있다.[3]
나이지리아의 국립대학교위원회는 사립대학의 설립을 승인하고 그 과정을 인가할 책임을 맡고 있다. 이는 교육과정과 교육의 최소 기준을 보장하기 위함이다. 현재 나이지리아에는 60개의 승인된 사립대학이 있으며, 많은 신청 건이 처리 중이다.[4]
남아프리카 공화국에는 공립 대학교와 공식적으로 사립 고등 교육 기관으로 분류되는 기관 간에 많은 차이점이 있다. 인정받는 사립 고등 교육 기관으로는 아카데미아(af), 리젠트 비즈니스 스쿨, 에두보스, 바시티 칼리지, 베가 스쿨, 밀파크 에듀케이션, 미드랜드 대학원, 그리고 리제니시스 비즈니스 스쿨 등이 있다.[5]
3. 3. 유럽
프랑스에서는 1880년 이후 사립 교육기관이 "université"(대학교)라는 명칭을 사용하는 것이 불법이며, 대부분의 대학교는 공립이다.[23]
프랑스의 ''그랑제콜''은 주류 프랑스 공립 대학교 시스템과 병행하는 대안적인 교육 시스템의 일부이다. 그랑제콜은 공립, 준사립 또는 사립일 수 있지만, 가장 명문 그랑제콜은 공립이다. 이러한 기관들은 주로 공학 및 경영학 연구에 중점을 두고 있다. 가장 잘 알려진 준사립 그랑제콜은 일반적으로 경영, 공학 및 인문학 학교이며, 상공회의소가 관리하고 다른 사기업에 자본이 개방되어 있다. 다른 그랑제콜은 완전히 사립이지만, 이는 드물며 때때로 공립 대학교와 파트너십을 맺는다.
대학교와 그랑제콜은 이 두 분야에서 경쟁한다. 그중 일부는 아르 에 메티에 파리텍 및 에콜 센트랄 파리와 같이 고등교육부에, 에콜 폴리테크니크와 같이 일부는 국방부에 소속되어 있다. 여러 사립 그랑제콜은 그랑제콜을 대표하는 로비 단체인 Conférence des Grandes Écoles의 회원이다. 대부분의 그랑제콜은 집중적인 프로그램인 ''그랑제콜 예비과정'' 2년 과정을 이수한 후 입학할 수 있으며, 추가로 2년 후 선발 시험을 치러야 한다. 볼로냐 프로세스에 따라 이 5년제 과정(예비 과정 2년 + 공학 또는 경영대학 3년)은 석사 학위와 동등하다.
그랑제콜의 공학 프로그램은 공학 석사 학위와 유사한 "디플롬 당주니외"를 수여한다. 프랑스에서 기술자 직함을 사용하는 데 필요한 이 기술자 자격증은 엄격하게 보호되며, 공학 인증 위원회를 통해 국가 인증을 받은 그랑제콜에서만 수여될 수 있다.
경영대학인 그랑제콜(HEC 또는 ESCP)은 "프로그램 그랑제콜" 또는 "PGE"(일반적으로 영어로 "경영학 석사" 또는 "MiM"으로 번역됨)를 제공하며, 이는 프랑스 주류 대학교 시스템의 대학교 경영대학(IAE) 또는 학부에서 수여하는 프랑스 경영학 석사 학위보다 훨씬 더 권위 있는 국가 공인 학위이다. 경영학을 전공하는 그랑제콜은 일반적으로 상공회의소의 일부이다. 예를 들어, HEC는 파리 상공회의소의 일부이며 따라서 준사립이다.
일부 오래된 사립 기관은 1875년 자유 고등 교육법 체제하에 1875년에 설립되었다. 이 기관들은 1880년 이후 가톨릭 대학교 또는 공식적으로 "가톨릭 연구소"라고 불린다. 릴, 리옹, 파리, 툴루즈, 서부의 5개가 있다.
이 기관들은 모든 학문 분야(공학, 법학, 의학, 경제학, 예술, 경영학, 사회학)의 강좌를 제공하며, 고등학교 졸업 후 ''licence''(학사), 석사 또는 박사 과정을 이수할 수 있다. 법에 따라 사립 기관은 공립 대학교와 계약을 체결한 후 국가 학위를 수여할 수 있다.
3. 4. 아메리카
미국에는 많은 사립 대학이 있으며, 전체 대학생의 약 20%가 사립 대학에 다닌다.[37] 나머지는 주립 대학에 다닌다. 대학들은 학업 성적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다른 요소들을 바탕으로 학생을 선발한다.[38] 2016-17년 기준으로 미국 내 고등 교육 기관 6,606개 중 4,648개(70%)가 사립학교였으며, 그중 1,823개(39%)는 비영리, 2,825개(61%)는 영리 기관이었다. 학위를 수여하는 4년제 대학 중에는 2,832개 중 2,095개(74%)가 사립학교였으며, 그중 1,581개(75%)는 비영리, 514개(25%)는 영리 기관이었다.[39]
사립 대학교의 수업료는 주립 대학교보다 높은 경향이 있지만, 많은 사립 대학교에서 재정 지원을 제공한다.[40] 예를 들어, 세인트루이스 워싱턴 대학교의 경우 학생의 45%가 대학이나 연방 정부로부터 어떤 형태의 재정 지원을 받고 있으며, 평균 53423USD이다.[41]
미국에서는 사립학교가 고등교육기관으로서 먼저 발전한 후 주립대학이 생겨났지만, 건국 전후에는 사립대학이 큰 역할을 했다.[78] 주 정부의 사립대학 지원은 20세기 초까지 계속되었다.[78]
미국의 사립대학은 하버드 칼리지와 윌리엄앤드메리 칼리지 등이 종교 단체를 기반으로 설립된 이후 1980년대까지 꾸준히 증가했다.[79] 1960년 360만 명, 1970년에는 800만 명으로 학생 수가 두 배 증가했고, 사립대학 진학률은 40%를 넘어섰다.[79] 1980년대에는 1200만 명의 학생이 재학했고, 대학 수는 3200개교까지 증가했다.[79] 1980년대 초반, 경기 불황과 재정 적자로 “대학의 겨울 시대”를 맞이하지만, 큰 폐교는 없었고, 2001년-2002년 시점에서 전체 대학 중 사립대학의 비율은 74.1%, 전체 전문대학 중 사립전문대학의 비율은 39.9%에 달했다.[79]
리버럴 아츠 칼리지는 1960년에 학생 총수의 50%를 차지했지만, 2000년에는 17%로 감소했다.[79] 규모가 작고 무명이며 기본 재산이 적은 신설 전문대학, 리버럴 아츠 칼리지, 종교계 대학에서는 재정난이나 학생 모집 실패로 인해 폐교하는 사례가 나타났다.[79]
사립대학의 수업료는 높아 고소득층 자녀가 아니면 대학 교육을 받기 어렵다.[78] 주립대학에서는 주내 거주자와 주외 거주자의 수업료에 큰 차이가 있지만, 사립대학에서는 이러한 구분이 없다.[78]
미국의 사립대학은 정부 보조금 확보와 기부금 수입 증가, 자산 운용 등을 통해 수업료 수입에 의존하지 않는 재정 구조 강화를 하고 있다.[79] 1970년대 후반 이후로 기업 경영의 개념이 도입되어 중소기업과 같은 존재가 되었다.[79] 미국의 경제 성장과 함께 재정적 기반이 강화되었고, 졸업생이 증가함에 따라 졸업생의 기부가 안정적인 수입이 되었으며, 부유층의 적극적인 기부까지 더해져 사립대학의 재정 기반이 확립되었다.[78]
캐나다는 주 정부로부터 학위 수여 권한을 부여받은 여러 사립 대학교를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캐나다 대학교 시스템과 정부 지원에 대한 역사적 의존성으로 인해, 학위 수여 기관의 대다수는 국립 대학교이다.[36] 캐나다에서 가장 오래된 사립 대학교들은 신학교 또는 종교적으로 관련된 기관으로 운영되었지만, 20세기 후반과 21세기 초에는 수많은 영리 및 비영리 사립 대학교가 캐나다에서 설립되었다.[36]
멕시코에는 사립 및 공립(정부 운영) 대학교가 있다. 공립 대학교는 무료이거나 매우 적은 수업료만 필요하지만, 사립 대학교는 일반적으로 입학금과 월별 수업료를 부과한다.
3. 5. 오세아니아
오스트레일리아에는 세 곳의 사립 대학교가 있다. 본드 대학교(Bond University)는 1987년 오스트레일리아 최초의 사립 대학교로 설립되었다.[42] 퀸즐랜드주 골드코스트에 위치한 본드 대학교는 1년에 세 학기의 학사 일정을 운영하여, 학생들이 6학기 과정의 학위를 2년 만에, 8학기 과정의 학위(예: 법학)를 3년 미만에 마칠 수 있도록 한다.[43] 노틀담 오스트레일리아 대학교(University of Notre Dame Australia)는 1989년에 설립된 사립 가톨릭 대학교로, 프리맨틀(Fremantle)에 위치해 있다. 2014년 애들레이드(Adelaide)에 토렌스 오스트레일리아 대학교(Torrens University Australia)가 설립되면서, 오스트레일리아의 사립 대학교는 세 곳이 되었다.[44]
참조
[1]
웹사이트
Universities in Ethiopia
https://www.allunive[...]
2022-10-02
[2]
웹사이트
Top Private Universities in Ghana 2024
https://www.4icu.org[...]
2024-05-30
[3]
웹사이트
Top Universities in Libya 2024 University Rankings
https://www.4icu.org[...]
2024-05-30
[4]
웹사이트
Top Universities in Nigeria 2024 University Rankings
https://www.4icu.org[...]
2024-05-30
[5]
웹사이트
Top Universities in South Africa 2024 University Rankings
https://www.4icu.org[...]
2024-05-30
[6]
웹사이트
University Grants Commission Act, 1956
http://mhrd.gov.in/s[...]
Union Human Resource Development Ministry
2011-09-03
[7]
웹사이트
UGC (Establishment and Maintenance of Standards in Private Universities) Regulations, 2003
http://www.ugc.ac.in[...]
University Grants Commission
2012-02-22
[8]
웹사이트
Supreme Court Judgment Chhattisgarh
http://www.ugc.ac.in[...]
University Grants Commission
2017-09-01
[9]
웹사이트
Private Universities
http://www.ugc.ac.in[...]
University Grants Commission
2017-09-01
[10]
웹사이트
State -wise List of Private Universities as on 23.08.2022
https://www.ugc.ac.i[...]
University Grants Commission
2022-10-25
[11]
웹사이트
私立学校の振興
http://www.mext.go.j[...]
2013-07-01
[12]
웹사이트
Lebanese Ministry of Higher Education website (in Arabic)
http://www.higher-ed[...]
[13]
웹사이트
Education in Lebanon, CSRD report, Lebanese American University, 2004
http://csrd.lau.edu.[...]
[14]
웹사이트
Other Recognized Degrees
https://www.ugc.ac.l[...]
2021-08-03
[15]
웹사이트
Universities Act, No. 16 of 1978, Sections21-27
https://www.ugc.ac.l[...]
2021-08-03
[16]
웹사이트
www.iit.ac.lk
http://www.iit.ac.lk[...]
2016-02-09
[17]
웹사이트
www.nsbm.ac.lk
http://www.nsbm.ac.l[...]
2019-03-06
[18]
웹사이트
Horizon Campus
http://www.horizonca[...]
2016-04-02
[19]
웹사이트
Home – Sri Lanka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http://www.sliit.lk/
2016-04-02
[20]
웹사이트
-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College in Sri Lanka
http://www.auston.ed[...]
2016-04-02
[21]
웹사이트
Armenian Higher Education in the European Higher Education Area | Inside Higher Ed
https://www.insidehi[...]
2022-10-30
[22]
웹사이트
Official website – Akkreditierungsrat
http://www.akkrediti[...]
2007-02-10
[23]
웹사이트
Code de l'éducation – Article L731-14
https://www.legifran[...]
2018-04-17
[24]
웹사이트
Particuliere Business school
http://www.notenboom[...]
Notenboom
2012-08-14
[25]
웹사이트
Meer dan tachtig jaar; IVA Driebergen
http://www.iva-drieb[...]
Iva-driebergen
2012-08-14
[26]
간행물
Szkoły wyższe i ich finanse w 2012 r.
Główny Urząd Statystyczny
2013-11-13
[27]
웹사이트
Janković i Teodorović: Trebalo bi ukinuti privatne univerzitete u Srbiji
https://rs.n1info.co[...]
N1 (TV channel)
2020-06-11
[28]
법률
Yüksek Öğretim Kanunu/High Education Law
[29]
뉴스
The University Debate: What the Ivy League can teach Britain
https://www.independ[...]
2011-02-16
[30]
뉴스
For-profit college gains full university status
https://www.bbc.co.u[...]
2013-08-08
[31]
뉴스
For-profit RDI granted university status
https://www.timeshig[...]
2015-08-05
[32]
웹사이트
OFFA and £6000–9000 tuition fees
http://oxcheps.new.o[...]
Oxford Centre for Higher Education Policy Studies
2011-02-21
[33]
뉴스
Taxpayer funding of universities 'to drop to 100 year low'
https://www.telegrap[...]
2012-01-05
[34]
웹사이트
Higher Education
https://privycouncil[...]
Privy Council Office
[35]
웹사이트
Regulatory advice 13: How to apply for university college and university title
https://www.officefo[...]
2019-04-11
[36]
뉴스
Why there are only a few private universities in Canada
https://www.theglobe[...]
2018-11-02
[37]
뉴스
Can We Make College Cheaper?
http://www.washingto[...]
2012-04-13
[38]
뉴스
Getting In: the social logic of Ivy League admissions
http://www.newyorker[...]
2005-10-10
[39]
보고서
Number of educational institutions, by level and control of institution: Selected years, 1980–81 through 2016–17
https://nces.ed.gov/[...]
National Center for Educational Statistics
2018
[40]
서적
Introduction to American English
Blackwell Publishing
2001
[41]
웹사이트
Washington University in St Louis Financial Aid
https://www.collegef[...]
2013-02-20
[42]
서적
Serials Management in Australia and New Zealand
Haworth Press
[43]
서적
Guide to Studying Abroad
The Princeton Review
[44]
뉴스
First private uni in 24 years led by Clinton
http://www.theaustra[...]
2011-10-18
[45]
논문
Universidades públicas y privadas: Un enfoque tridimensional
http://www.cepchile.[...]
2010-03-01 # Spring으로 추정
[46]
웹사이트
学校法人ってなに?|日本私立大学協会|日本私立大学協会
http://www.shidaikyo[...]
2022-01-27
[47]
웹사이트
放送大学は、国立・公立・私立のどれにあたるのですか。|放送大学Q&A
https://www.ouj.ac.j[...]
방송대학
2022-01-27
[48]
웹사이트
OISTとは
https://www.oist.jp/[...]
2011-10-27
[49]
웹사이트
【大学受験2022】私大入学定員、立教大や自治医科大等で増加
https://reseed.resem[...]
2022-01-27
[50]
웹사이트
産業医科大学|THE世界大学ランキングにおいて日本国内第7位にランクインしました
https://www.uoeh-u.a[...]
2022-01-27
[51]
웹사이트
学校法人ってなに?|日本私立大学協会|日本私立大学協会
http://www.shidaikyo[...]
2022-01-27
[52]
웹사이트
日本の大学数 2021年度は788大学
https://eic.obunsha.[...]
旺文社
2022-01
[53]
웹사이트
私立大学
https://www.mext.go.[...]
文部科学省
2016-07-06
[54]
웹사이트
私立学校・学校法人の振興:文部科学省
https://www.mext.go.[...]
2022-01-27
[55]
웹사이트
私立大学・短期大学とは|大学ポートレート(私学版)
https://www.shigaku.[...]
2020-02-01
[56]
웹사이트
国立大学の収入構造
https://www.mof.go.j[...]
2020-02-01
[57]
기타
[58]
뉴스
経営難かつ教育の質低い私大、補助金大幅削減へ 文科省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18-01-20
[59]
뉴스
学生の6割が中国人の大学も…私大の4割が定員割れ、「倒産ラッシュ」の代わりに起きる事態
https://biz-journal.[...]
biz-journal.jp
2018-07-19
[60]
간행물
地方大学の振興及び若者雇用等に関する有識者会議(参考資料)
https://www.chisou.g[...]
首相官邸
2017-12-08
[61]
웹사이트
平成30年間で300校増え800超える大学。210校定員割れなのになぜ潰れない
https://www.business[...]
2018-09-27
[62]
웹사이트
週刊東洋経済「危ない私大」記事・ランキングを徹底検証~不快感示す大学、東経記者は否定(石渡嶺司) - Yahoo!ニュース
https://news.yahoo.c[...]
2020-05-31
[63]
웹사이트
定量的な経営判断指標に基づく経営状態の区分(法人全体)
https://www.shigaku.[...]
日本私立学校振興・共済事業団
2020-05-30
[64]
웹사이트
私学の経営分析と経営改善計画
https://www.shigaku.[...]
日本私立学校振興・共済事業団
2020-05-30
[65]
웹사이트
平成 30(2018)年度 私立大学・短期大学等 入学志願動向
https://www.shigaku.[...]
日本私立学校振興・共済事業団
2019-10-22
[66]
기타
[67]
뉴스
私大ほぼ半数が定員割れ、経営難の恐れも…今春「充足率」初めて100%下回る
https://www.yomiuri.[...]
2019-09-28
[68]
웹사이트
平成31年度以降の定員管理に係る私立大学等経常費補助金の取扱について(通知):文部科学省
https://www.mext.go.[...]
2020-02-01
[69]
웹사이트
Fランク大学が都市部で消滅へ~激戦の大学受験事情とは(石渡嶺司) - Yahoo!ニュース
https://news.yahoo.c[...]
2020-04-08
[70]
웹사이트
地方の私大を公立化する「ウルトラC」の成否 AERA dot.
https://toyokeizai.n[...]
2016-12-13
[71]
웹사이트
一般入試(私立大)の仕組み|マナビジョン|Benesseの大学・短期大学・専門学校の受験、進学情報
https://manabi.benes[...]
2020-05-31
[72]
텍스트
[73]
웹사이트
「2ランク下まで受験」で中堅私大に集中 大学入試「定員厳格化」の呪縛 〈週刊朝日〉
https://dot.asahi.co[...]
2019-08-06
[74]
웹사이트
「A判定でも落ちる…」今年も私大入試の難化が止まらなかったワケ(田中 圭太郎) @gendai_biz
https://gendai.media[...]
2020-05-31
[75]
웹사이트
定員厳格化時代の併願校選択基準 講演報告|大学Times
http://times.sanpou-[...]
2020-05-31
[76]
웹사이트
一般選抜 高校生のための進学ガイド
https://shingaku.myn[...]
2020-05-31
[77]
웹사이트
今さら誰にも聞けない!受験のキソ知識|入試&高校生活特集|マナビジョン|Benesseの大学・短期大学・専門学校の受験、進学情報
https://manabi.benes[...]
2020-05-31
[78]
논문
アメリカの州立大学 : その歴史とインディアナ大学の事例
https://nagano.repo.[...]
長野大学
1999-09
[79]
논문
米国の私立大学における経営環境と倒産処理についての特質 - 日本の大学環境と比較検討を通じて -
同志社大学アメリカ研究所
2006-03
[80]
논문
オーストラリアの大学 : 「雇用環境の変化と大学教員」を考える前提作業として
法政大学人間環境学会
2000-03
[81]
웹사이트
中央教育審議会 大学分科会 制度部会(第18回(第3期第3回))議事録・配付資料 [資料5]-文部科学省
https://www.mext.go.[...]
2021-06-21
[82]
웹사이트
韓国の私学高等教育(下)序列化進む私立大学
https://www.shidaiky[...]
日本私立大学協会
2021-05-28
[83]
웹사이트
東大・早慶上智卒級がゴロゴロ…!韓国スターは「脳までセクシー」(FRIDAY)
https://friday.kodan[...]
2021-05-28
[84]
웹사이트
成均館大学・朝鮮大学(大韓民国)との一般協定の締結について
https://www.ryukoku.[...]
龍谷大学
2021-05-28
[85]
웹사이트
韓国の私学高等教育(上)ユニバーサル化への牽引車
https://www.shidaiky[...]
日本私立大学協会
2021-05-28
[86]
논문
中国の私立大学教員の質的水準向上へのアプローチ
http://id.nii.ac.jp/[...]
横浜商科大学学術研究会
2015-09
[87]
논문
中国高等教育システムの改革開放における民弁大学の制度的整備に関する研究 : 日本私立大学からの示唆
http://id.nii.ac.jp/[...]
広島修道大学
2003-03
[88]
뉴스
사립대학 재정 · 회계 투명성 및 책무성 강화를 위한 제도 개선
http://www.korea.kr/[...]
정책브리핑
2013-07-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