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타프로테오박테리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타프로테오박테리아는 1991년 처음 발견된 프로테오박테리아 강으로, 해양 열수 분출구와 같은 다양한 해양 환경에서 철을 산화시키는 미생물이다. 이들은 철 산화 과정에서 독특한 형태를 형성하며, 심해, 연안, 지하 등 다양한 서식지에서 발견된다. 제타프로테오박테리아는 미생물 매트 형성에 기여하고 해양 기반 시설 부식에 영향을 미치는 등 생태학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마리프로푼두스목에 속하며, 'Mariprofundus ferrooxydans' 종을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로테오박테리아 - 네가티비쿠테스강
    네가티비쿠테스강은 혐기성 환경에서 발견되는 세균의 한 강으로, 분자 마커를 통해 다른 세균 그룹과 구별되며, 다양한 목을 포함하고 클로스트리디아강과의 관계에 대한 논쟁이 진행 중이다.
  • 프로테오박테리아 - 철산화 세균
    철 산화 세균은 철을 산화시켜 에너지를 얻는 다양한 미생물로, 여러 환경에서 발견되며, 무산소 광합성, 철(II) 산화, 질산염 의존성 산화 등의 대사 방식을 통해 철을 산화시키고, 지구 초기 생명체 형성에 영향을 미치며, 기후 변화와 수자원 기반 시설에도 영향을 주고 철 이온이나 망가니즈 이온 제거에도 활용된다.
제타프로테오박테리아 - [생물]에 관한 문서
분류
도메인세균
프로테오박테리아문
제타프로테오박테리아강
강 명명자Makita et al. 2017
마리프로푼달레스목
목 명명자Makita et al. 2017
마리프로푼다케아이
과 명명자Hördt et al. 2020
기오르세아
마리프로푼두스
동의어마리프로푼디아

2. 발견

Mariprofundus ferrooxydans PV-1 꼬인 줄기 TEM 이미지. 제타프로테오박테리아가 생성한 Fe 산화물 형태의 한 예시. 이미지 제공: Clara Chan


제타프로테오박테리아는 1991년 크레이그 모이어(Craig Moyer), 프레드 돕스(Fred Dobbs), 데이비드 칼(David Karl)이 하와이 카마에후아카날로아 해산(구 로이히)의 펠레 벤트(Pele's Vents)로 알려진 온대 수열구에서 단일 희귀 클론으로 처음 발견하였다. 이 특정 벤트는 황 산화 캄필로박터가 지배적이었다. 당시에는 가까운 친척이 알려지지 않아 이 클론은 처음에 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로 분류되었다.[15]

이후 ''M. ferrooxydans''의 두 균주인 PV-1과 JV-1이 분리되었고,[3] 세균 군집의 우세한 구성원으로서 계통학적으로 구별되는 Pseudomonadota (제타프로테오박테리아) 그룹이 전 세계적으로 발견될 수 있다는 인식이 높아지면서, 이 새로운 프로테오박테리아 강을 만들자는 제안이 나왔다.

3. 배양

제타프로테오박테리아는 일반적으로 FeS 또는 FeCO3 플러그가 있는 아가로스 안정화 배양 또는 액체 배양을 사용하여 배양한다.[16] 철 산화 세균은 FeCl2를 Fe 공급원으로 사용하여 액체 배양에서 성공적으로 배양되기도 한다.[16]

최근에는 고정 전압에서 흑연 전극을 사용하여 제타프로테오박테리아를 배양하는 방법이 개발되었다.[17] 고생물량 배치 배양 기술을 이용한 배양 기술 개선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18]

4. 형태

제타프로테오박테리아는 철 산화 과정에서 생성되는 광물화된 수산화산화철 생성물의 구조를 통해 형태학적으로 식별 가능하다.[3][19] 가장 일반적인 형태는 무정형 입자 산화물, 꼬이거나 나선형의 자루,[20] 외피,[23] Y자 모양의 불규칙한 필라멘트 등이다.

이러한 형태는 담수 및 해양 철 서식지 모두에서 존재하지만, ''Gallionella'' sp. (꼬인 자루) 및 ''Leptothrix ochracea'' (외피)와 같은 일반적인 담수 철 산화 박테리아는 심해에서 극히 드물게 발견된다. 현재 발표된 형태 중 부분적으로 밝혀진 것은 꼬인 자루로, 이는 일반적으로 ''M. ferrooxydans''에 의해 형성된다. 이 박테리아는 그람 음성 신장 모양의 세포로, 세포의 오목한 쪽에 산화철을 침착시켜 환경을 이동하면서 꼬인 자루를 형성한다.[20][21]

마리프로푼두스 페로옥시단스 PV-1 세포가 꼬인 자루에 부착된 TEM 이미지.
또 다른 흔한 제타프로테오박테리아 형태는 외피 구조로, 아직 분리되지 않았지만 형광 현미경 면역 염색법 (FISH)으로 확인되었다.[23]

5. 생태

제타프로테오박테리아가 발견된 모든 서식지는 공통적으로 산소와 철의 급격한 산화·환원 기울기 경계면을 제공하며, 해양 또는 기수 환경이다.[66][46]

예를 들어, 심해 열수 분출구에서 나오는 환원된 열수 유체는 고농도의 제2철 이온(Fe²⁺)과 다른 환원된 화학 종을 운반한다. 이는 제2철 이온 농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의 기울기를 가진 미생물 매트를 생성한다. 또한, 상층 해수로부터의 산소가 미생물 매트로 확산되어 산소 농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의 기울기를 형성한다. 제타프로테오박테리아는 전자 수용체로 사용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산소가 존재하면서도, 화학적 산화 속도가 증가하는 것과 경쟁할 만큼 과도한 산소가 존재하지 않고, 성장에 필요한 충분한 제2철 이온이 있는 경계면에서 서식하는 것으로 여겨진다.[19][66]

철 산화가 항상 에너지 생성에 유리한 것은 아니며,[41] 수소 또는 황 산화를 통한 에너지 생성이 지배적이라고 생각될 수 있는 서식지에서 철 산화에 유리한 조건이 논의되기도 한다.

철은 이러한 산화·환원 기울기 환경과 관련된 유일한 환원된 화학 종이 아니며, 모든 제타프로테오박테리아가 철 산화제는 아닐 가능성도 있다.

5. 1. 다양성

운영 분류군(OTU) 개념을 통해 제타프로테오박테리아는 28개의 OTU로 정의되었다.[4]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는 OTU 2개와 심부 지하에서 기원한 것으로 보이는 OTU 2개가 계통 발생 나무를 지배하며,[10] 여러 고유종 OTU도 존재한다.

5. 2. 분류

제타프로테오박테리아 OTU는 현재 McAllister 등 (2011)에서 사용된 명명 체계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4] ZetaHunter 프로그램은 새로운 제타프로테오박테리아 OTU를 식별하는 것 외에도, 기존에 확립된 OTU와 밀접하게 관련된 염기 서열을 식별하기 위해 닫힌 참조 비닝을 사용한다. ZetaHunter의 기능은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여기에는 1) 안정적인 OTU 비닝, 2) 샘플 비교, 3) 데이터베이스 및 마스크 관리 옵션, 4) 멀티 스레드 처리, 5) 키메라 검사, 6) 비 데이터베이스 관련 염기 서열 검사, 7) OTU 네트워크 맵이 포함된다.

GTDB 07-RS207에 따른 Mariprofundaceae의 계통 발생은 다음과 같다.[32][33][34]

Mariprofundaceae


5. 3. 서식지

환경세부 위치
열수 분출구와 관련된 곳열점[1][4][35][36][37][38]
배호 확장 중심/골[10][39][40][41]
열도[6][8]
산호초 생태계와 관련된 연안 분출[42]
확장 중심 (축상 및 축외)[5][7][43][44][45][46][47]
동태평양 해령 (확장 중심)을 따라 있는 비활성 황화물[48]
침수된 칼데라[9]
구아이마스 분지[49]
거대한 황화물 퇴적물[50]
변성된 심해 현무암[51]
레반틴 분지 및 대륙 연안[52]
남극 대륙붕 퇴적물[53]
염수/해수 경계면[54]
층상 체서피크만 하구[45]
해변 대수층의 조간대 혼합 구역[13][45]
염습지 퇴적물[11][55]
산소가 풍부한 벌레 화석 또는 생물 교란된 해변 모래[13][56][57]
연안 금속 생물 부식 실험[11][58]
쓰나미의 영향을 받은 토양[59]
맹그로브 토양[60]
심부 지하 CO2가 풍부한 샘[61][62]
Äspö Hard Rock Laboratory의 지하 흐름 반응기[63]
리미카리스 엑소쿨라타 (새우)의 MAR 내 소화관[64][65]


5. 4. 생태학적 지위

제타프로테오박테리아가 발견된 모든 서식지는 두 가지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모두 산소와 철의 급격한 산화 환원 기울기 경계면을 제공한다.[66] 둘째, 해양 또는 기수이다.[46]

예를 들어, 심해 열수 분출구에서 나오는 환원된 열수 유체는 고농도의 제2철 이온과 다른 환원된 화학 종을 함께 운반하여 제2철 이온 농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의 기울기를 가진 미생물 매트를 생성한다. 이와 유사하게, 상층 해수로부터의 산소가 미생물 매트로 확산되어 산소 농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의 기울기를 형성한다. 제타프로테오박테리아는 전자 수용체로 사용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산소가 존재하면서도, 화학적 산화 속도가 증가하는 것과 경쟁할 만큼 과도한 산소가 존재하지 않고, 성장에 필요한 충분한 제2철 이온이 있는 경계면에서 서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19][66]

철 산화가 항상 에너지적으로 유리한 것은 아니다.[41] 수소 또는 황 산화를 통한 에너지 생성 대사가 지배적이라고 생각될 수 있는 서식지에서 철 산화에 유리한 조건이 논의된다.

철은 이러한 산화 환원 기울기 환경과 관련된 유일한 환원된 화학 종이 아니다. 제타프로테오박테리아가 모두 철 산화제는 아닐 가능성이 있다.

6. 대사

산성 호성 환경과 중성 담수 철 산화 서식지(예: 산성 광산 배수, 지하수 철 침출수)와 비교하면 해양 중성 철 산화 환경에서 제타프로테오박테리아의 철 산화 경로는 상대적으로 덜 알려져 있다.[67]

최근 몇 년 동안 연구자들은 주로 비교 유전체학을 통해 제타프로테오박테리아의 철 산화 방법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해 왔다. 비교 유전체학은 담수 Fe 산화성 베타프로테오박테리아와 해양 Fe 산화성 제타프로테오박테리아처럼 유사한 기능을 가진 유기체의 유전체를 비교하여 해당 기능에 필요할 수 있는 유전자를 찾는 기술이다. 제타프로테오박테리아의 철 산화 경로 식별은 최초로 기술된 배양 대표 종인 ''M. ferrooxydans'' 균주 PV-1의 출판과 함께 시작되었다. 이 유전체에서 몰리브도프테린 산화환원효소 단백질 유전자 주변부는 후보 철 산화 경로 유전자를 찾기 위한 시작점으로 확인되었다.[67] 이후 메타유전체 샘플 분석에서 Singer 등(2013)은 이 몰리브도프테린 산화환원효소 유전자 카세트가 Fe 산화에 관여할 가능성이 있다고 결론지었다.[68] 그러나 여러 단일 세포 유전체 비교 분석 결과, 여러 사이토크롬 c 및 사이토크롬 산화효소 유전자가 Fe 산화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존된 대체 유전자 카세트가 제안되었다.[69] Fe 산화 경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헌을 참조하면 된다.

제타프로테오박테리아와 Fe 산화성 담수 베타프로테오박테리아 사이의 계통 발생학적 거리는 Fe 산화와 생성된 생체 광물질이 수렴 진화의 결과임을 시사한다.[23] 비교 유전체학을 통해 두 분류군 간에 공유되는 여러 유전자를 식별할 수 있었지만, Fe 산화 특성이 수평적으로 전이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아마도 바이러스 매개일 가능성이 있다.[71][72]

제타프로테오박테리아와 관련된 Fe 매트는 Fe 산화 외에도 탈질화, 비소 해독, Calvin-Benson-Bassham(CBB) 주기 및 환원성 트리카르복실산(rTCA) 주기에 대한 유전적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환경 샘플에서 이러한 유전자를 감지하기 위해 새로운 프라이머가 설계되었다.[73]

현재까지 제한된 샘플 크기로 제타프로테오박테리아 전체 클래스(최소 28개의 서로 다른 OTU/종)의 대사에 대해 추측하기는 어렵다.

7. 중요성

제타프로테오박테리아는 전 세계 깊은 바다와 해안 근처의 산소/무산소 경계면에 분포한다. 이러한 광범위한 분포로 인해, 제타프로테오박테리아는 과거와 현재의 생지화학적 순환에 상당한 역할을 할 수 있다.[11][58][14] 생태학적으로 제타프로테오박테리아는 광물화된 철 산화물의 제어된 침전을 통해 자체 환경을 조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는 또한 미생물 군집의 다른 구성원의 환경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해안 근처 금속(예: 강철) 쿠폰 생물 부식 실험에서 제타프로테오박테리아의 유병률은 선체 녹, 금속 말뚝 및 파이프라인과 같은 비싼 문제에 대한 이러한 해양 철 산화제의 영향을 강조한다.[11][58][14] 한국 연안에서도 제타프로테오박테리아가 발견되어, 이들이 한국 해양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8. 하위 분류


  • 마리프로푼두스목 (Mariprofundales)
  • * 마리프로푼두스과 (Mariprofundaceae)
  • ** 마리프로푼두스속 (''Mariprofundus'')

마리프로푼두스 페룩시단스 (''Mariprofundus ferrooxydans'')

참조

[1] 논문 A Novel Lineage of Proteobacteria Involved in Formation of Marine Fe-Oxidizing Microbial Mat Communities
[2] 간행물 mariprofundus m/mariprofundus.html
[3] 논문 Neutrophilic Fe-oxidizing bacteria are abundant at the Loihi Seamount hydrothermal vents and play a major role in Fe oxide deposition
[4] 논문 Biodiversity and Emerging Biogeography of the Neutrophilic Iron-Oxidizing Zetaproteobacteria
[5] 논문 Bacterial sulfur cycling shapes microbial communities in surface sediments of an ultramafic hydrothermal vent field https://epic.awi.de/[...]
[6] 논문 Molecular Comparison of Bacterial Communities within Iron-Containing Flocculent Mats Associated with Submarine Volcanoes along the Kermadec Arc
[7] 논문 Bacterial Variability within an Iron-Silica-Manganese-rich Hydrothermal Mound Located Off-axis at the Cleft Segment, Juan de Fuca Ridge
[8] 논문 Bacterial diversity in Fe-rich hydrothermal sediments at two South Tonga Arc submarine volcanoes
[9] 논문 Functional diversity of bacteria in a ferruginous hydrothermal sediment
[10] 논문 Abundance of Zetaproteobacteria within crustal fluids in back-arc hydrothermal fields of the Southern Mariana Trough
[11] 논문 Neutrophilic Iron-Oxidizing "Zetaproteobacteria" and Mild Steel Corrosion in Nearshore Marine Environments
[12] 논문 The transition from freshwater to marine iron-oxidizing bacterial lineages along a salinity gradient on the Sheepscot River, Maine, USA
[13] 논문 Dynamic hydrologic and biogeochemical processes drive microbially enhanced iron and sulfur cycling within the intertidal mixing zone of a beach aquifer
[14] 논문 Iron cycling at corroding carbon steel surfaces
[15] 논문 Phylogenetic diversity of the bacterial community from a microbial mat at an active, hydrothermal vent system, Loihi Seamount, Hawaii
[16] 서적 Environmental Microbiology
[17] 논문 Cultivation of an Obligate Fe(II)-Oxidizing Lithoautotrophic Bacterium Using Electrodes
[18] 논문 Interactions of proteins with biogenic iron oxyhydroxides and a new culturing technique to increase biomass yields of neutrophilic, iron-oxidizing bacteria
[19] 논문 Iron-Oxidizing Bacteria: An Environmental and Genomic Perspective
[20] 논문 Lithotrophic iron-oxidizing bacteria produce organic stalks to control mineral growth: Implications for biosignature formation
[21] 논문 High-resolution 2D and 3D cryo-TEM reveals structural adaptations of two stalk-forming bacteria to an Fe-oxidizing lifestyle
[22] 논문 Near-neutral surface charge and hydrophilicity prevent mineral encrustation of Fe-oxidizing micro-organisms
[23] 논문 Hidden in plain sight: Discovery of sheath-forming, iron-oxidizing ''Zetaproteobacteriaat'' Loihi Seamount, Hawaii, USA
[24] 논문 Filamentous iron-silica deposits from modern and ancient hydrothermal sites
[25] 논문 Subsurface Filamentous Fabrics: An Evaluation of Origins Based on Morphological and Geochemical Criteria, with Implications for Exopaleontology
[26] 논문 Iron-oxidizing microbial ecosystems thrived in late Paleoproterozoic redox-stratified oceans
[27] 논문 Four-Hundred-and-Ninety-Million-Year Record of Bacteriogenic Iron Oxide Precipitation at Sea-Floor Hydrothermal Vents http://eprints.white[...]
[28] 논문 Generation of hydrothermal Fe-Si oxyhydroxide deposit on the Southwest Indian Ridge and its implication for the origin of ancient banded iron formations http://eprints.white[...]
[29] 논문 Morphology of biogenic iron oxides records microbial physiology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Toward interpreting iron microfossils
[30] 논문 Iron oxyhydroxide mineralization on microbial extracellular polysaccharides https://digital.libr[...]
[31] 논문 Carbon adsorption onto Fe oxyhydroxide stalks produced by a lithotrophic iron-oxidizing bacteria
[32] 웹사이트 GTDB release 07-RS207 https://gtdb.ecogeno[...] 2022-06-20
[33] 웹사이트 ar53_r207.sp_label https://data.gtdb.ec[...] 2022-06-20
[34] 웹사이트 Taxon History https://gtdb.ecogeno[...] 2022-06-20
[35] 논문 Zeta-Proteobacteria Dominate the Colonization and Formation of Microbial Mats in Low-Temperature Hydrothermal Vents at Loihi Seamount, Hawaii
[36] 논문 Microbiology of Seamounts: Common Patterns Observed in Community Structure
[37] 논문 Microbial Ecology of Fe (hydr)oxide Mats and Basaltic Rock from Vailulu'u Seamount, American Samoa
[38] 논문 Ultra-diffuse hydrothermal venting supports Fe-oxidizing bacteria and massive umber deposition at 5000 m off Hawaii
[39] 논문 Microbial communities in iron-silica-rich microbial mats at deep-sea hydrothermal fields of the Southern Mariana Trough
[40] 논문 Extreme spatial and temporal variability of hydrothermal microbial mat communities along the Mariana Island Arc and southern Mariana back-arc system https://cedar.wwu.ed[...]
[41] 논문 Iron-Based Microbial Ecosystem on and Below the Seafloor: A Case Study of Hydrothermal Fields of the Southern Mariana Trough
[42] 논문 Microbial diversity and potential for arsenic and iron biogeochemical cycling at an arsenic rich, shallow-sea hydrothermal vent (Tutum Bay, Papua New Guinea)
[43] 논문 Microbial diversity and biomineralization in low-temperature hydrothermal iron-silica-rich precipitates of the Lau Basin hydrothermal field
[44] 논문 Fe–Si-oxyhydroxide deposits at a slow-spreading centre with thickened oceanic crust: The Lilliput hydrothermal field (9°33′S, Mid-Atlantic Ridge)
[45] 논문 Using in situ voltammetry as a tool to identify and characterize habitats of iron-oxidizing bacteria: From fresh water wetlands to hydrothermal vent sites
[46] 논문 Microbial Iron Mats at the Mid-Atlantic Ridge and Evidence that Zetaproteobacteria May Be Restricted to Iron-Oxidizing Marine Systems
[47] 논문 Microbial Sulfur Cycle in Two Hydrothermal Chimneys on the Southwest Indian Ridge
[48] 논문 Life and Death of Deep-Sea Vents: Bacterial Diversity and Ecosystem Succession on Inactive Hydrothermal Sulfides
[49] 논문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sulfate-reducing bacteria in the Guaymas Basin
[50] 논문 Potential for biogeochemical cycling of sulfur, iron and carbon within massive sulfide deposits below the seafloor
[51] 논문 Extracellular Enzyme Activity and Microbial Diversity Measured on Seafloor Exposed Basalts from Loihi Seamount Indicate the Importance of Basalts to Global Biogeochemical Cycling
[52] 논문 First Evidence for the Presence of Iron Oxidizing Zetaproteobacteria at the Levantine Continental Margins
[53] 논문 Biodiversity, community structural shifts, and biogeography of prokaryotes within Antarctic continental shelf sediment
[54] 논문 Microbial Diversity of the Brine-Seawater Interface of the Kebrit Deep, Red Sea, Studied via 16S rRNA Gene Sequences and Cultivation Methods
[55] 논문 Diversity of Dissimilatory Sulfite Reductase Genes (dsrAB) in a Salt Marsh Impacted by Long-Term Acid Mine Drainage
[56] 논문 Impact of Oil on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in Bioturbated Sediments
[57] 논문 Characterization of specificity of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within the burrow environment of the marine polychaete Hediste (Nereis) diversicolor https://hal.archives[...]
[58] 논문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putative biocorroding microbiota with a novel niche detection of Epsilon- and Zetaproteobacteria in Pacific Ocean coastal seawaters
[59] 논문 Seawater Inundation from the 2011 Tohoku Tsunami Continues to Strongly Affect Soil Bacterial Communities 1 Year Later
[60] 논문 A potential source for cellulolytic enzyme discovery and environmental aspects revealed through metagenomics of Brazilian mangroves
[61] 논문 Metagenomic analysis of a high carbon dioxide subsurface microbial community populated by chemolithoautotrophs and bacteria and archaea from candidate phyla
[62] 논문 An analysis of geothermal and carbonic springs in the western United States sustained by deep fluid inputs
[63] 논문 Diversity of Iron Oxidizing and Reducing Bacteria in Flow Reactors in the Äspö Hard Rock Laboratory https://figshare.com[...]
[64] 논문 Occurrence of Deferribacterales and Entomoplasmatales in the deep-sea Alvinocarid shrimp Rimicaris exoculata gut
[65] 논문 The gill chamber epibiosis of deep-sea shrimp ''Rimicarisexoculata'': An in-depth metagenomic investigation and discovery of ''Zetaproteobacteria'' https://zenodo.org/r[...]
[66] 논문 Redox Speciation and Distribution within Diverse Iron-dominated Microbial Habitats at Loihi Seamount
[67] 논문 Mariprofundus ferrooxydans PV-1 the First Genome of a Marine Fe(II) Oxidizing Zetaproteobacterium
[68] 논문 Metagenomic insights into the dominant Fe(II) oxidizing Zetaproteobacteria from an iron mat at Lō´ihi, Hawai´l
[69] 논문 Genomic insights into the uncultivated marine Zetaproteobacteria at Loihi Seamount
[71] 논문 Comparative genomics of freshwater Fe-oxidizing bacteria: Implications for physiology, ecology, and systematics
[72] 논문 Invited commentary: Lubricating the rusty wheel, new insights into iron oxidizing bacteria through comparative genomics
[73] 논문 Quantitative PCR Analysis of Functional Genes in Iron-Rich Microbial Mats at an Active Hydrothermal Vent System (Lō'ihi Seamount, Hawai'i)
[74] 논문 The iron-oxidizing proteobacteria
[75] 논문 Ecophysiology of neutrophilic iron-oxidizing microorganisms and its significance in global biogeochemical cycling
[76] 서적 Subseafloor Biosphere Linked to Hydrothermal Systems
[77] 논문 The interplay of microbially mediated and abiotic reactions in the biogeochemical Fe cycle
[78] 논문 A Novel Lineage of Proteobacteria Involved in Formation of Marine Fe-Oxidizing Microbial Mat Communities
[79] 웹인용 www.ncbi.nlm.nih.gov http://www.ncbi.nlm.[...] 2014-03-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