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그로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맹그로브는 열대 및 아열대 지역의 기수(brackish)역 염습지에 형성되는 숲 또는 숲을 이루는 나무를 의미한다. 맹그로브라는 단어는 스페인어 또는 포르투갈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세계적으로 동남아시아, 남태평양, 호주, 인도, 아프리카, 아메리카 등지에 분포한다. 맹그로브 숲은 조석 환경에 적응하여 낮은 산소 수준, 높은 염분, 잦은 조석 범람에 대한 생리적 적응을 보이며, 다양한 해양 생물에게 서식지를 제공하고 해안 침식, 폭풍 해일, 쓰나미로부터 해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맹그로브는 탄소를 저장하는 블루 카본의 원천이며, 맹그로브의 파괴는 지구 온난화와 해양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맹그로브 숲의 재생과 보존을 위한 노력이 전 세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맹그로브 - 맹그로브숲
- 맹그로브 - 니파야자
니파야자는 습지 진흙에 뿌리를 뻗는 9m 높이의 상록 소교목으로, 남아시아, 동남아시아, 오세아니아에 분포하며 건축, 식량 등 다양한 용도로 쓰였으나 현재는 멸종 위기종이다. - 생물 군계 - 생물지리학
생물지리학은 생물의 지리적 분포와 분포 패턴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탐험과 선구자들의 연구를 거쳐 대륙 이동설, 분자생물학 발전, 섬 생물지리학 이론 등으로 발전했으며, 현재는 다양한 기술을 활용하여 여러 분야에 적용되고 고생물지리학 등 하위 분야를 포함하지만, 지역 구분에 대한 국제 표준화는 미완료 상태이다. - 생물 군계 - 관목지
관목지는 식물학 및 생태학에서 높이가 8m 미만이고 여러 개의 줄기를 가진 목본식물을 의미하며, 잎덮개와 높이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고, 차파랄, 마토랄, 마키 등 다양한 덤불 군집을 이루며 사막, 지중해 등 다양한 환경에서 나타난다. - 식물 향명 - 블루보넷 (식물)
블루보넷은 책, 스포츠 등 다양한 미디어에서 소재로 활용되며, 토미 드파올라의 아동 도서와 텍사스 휴스턴에서 개최된 대학 미식축구 볼 게임의 이름으로 사용되었다. - 식물 향명 - 해초
해초는 얕은 연안에 서식하는 여러해살이 종자식물로 꽃을 피워 번식하지만, 연안 개발, 해양 오염, 기후 변화 등으로 인해 감소 추세에 있어 보존 노력이 필요하다.
| 맹그로브 | |
|---|---|
| 지도 | |
| 일반 정보 | |
| 학명 | Mangrove |
| 형태 | 관목 |
| 서식지 | 기수 |
| 다른 이름 | 홍수림, 해표림 |
| 특징 | |
| 적응 | 염분 내성 맹그로브는 염생 식물로 적응되어 있습니다. |
| 생존 전략 | 높은 염도 환경에 적응 |
| 분포 | |
| 서식 지역 | 동양구, 오스트레일리아구, 에티오피아구, 신열대구 |
| 기후대 | 열대, 아열대 |
| 환경 | 염성 습지 |
| 주요 분포 지역 | 등 |
| 맹그로브 숲 | |
| 면적 | 172,000km² |
| 맹그로브 숲의 식물 | |
| 특징 | 다양한 종이 서식 맹그로브 숲을 구성하는 식물 종은 다양합니다. |
| 맹그로브 숲의 동물 | |
| 특징 | 다양한 동물 종이 서식 맹그로브 숲은 다양한 동물들의 서식지입니다. |
| 위협 | |
| 주요 위협 | 서식지 파괴 |
| 관련 정보 | |
| 세계 맹그로브 숲 보존의 날 | 국제 맹그로브 생태계 보존의 날 (7월 26일) |
| 추가 정보 | |
| 참고 자료 | 표준국어대사전 프로그레시브 영한 사전 디지털 대사전 대사림 브리태니커 국제 대백과사전 소항목사전 일본대백과전서 (닛포니카) 백과사전 마이페디아 정선판 일본국어대사전 세계대백과사전 |
2. 어원
‘맹그로브(mangrove영어)’라는 영어 단어는 스페인어 manglees 또는 포르투갈어 manguept에서 왔는데, 이들 단어는 남미의 과라니(Guarani)족 토착어에서 온 것으로 보인다.[145] 영어권에서 처음에는 망그로(mangrow영어)라고 썼다가 ‘숲’이란 뜻의 grove영어로 변형되어 지금의 단어가 됐다. 영어 단어 "맹그로브"의 어원은 추측에 불과하며 논란의 여지가 있다.[12][16]
이 단어는 포르투갈어 "manguept" 또는 스페인어 "manglees"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16] 더 거슬러 올라가면 남아메리카의 카리브어족과 아라와크어족[13]과 같은 타이노어에서 유래했을 수 있다.[14] 다른 가능성으로는 말레이어 manggi-manggims가 있다.[16][12] 영어에서의 용례는 "mangrow"와 "grove"라는 단어의 민중어원을 통한 변형을 반영할 수 있다.[13][12][15]
"맹그로브"라는 단어는 적어도 세 가지 의미로 사용된다.
- 가장 광범위하게는 서식지와 전체 식물 군집 또는 "맹그로브 숲"을 가리키는 데 사용되며,[16][17] "맹그로브 숲 생물군계" 및 "맹그로브 습지"라는 용어도 사용된다.
- 맹그로브 습지에 있는 모든 나무와 큰 관목을 가리키는 데 사용된다.[16]
- 좁게는 생물학과 붉은해변나무과의 ''Rhizophora'' 속의 맹그로브 나무만을 가리키는 데 사용된다.[18]
맹그로브의 어원은 말레이어로 조간대에 자라는 나무들을 총칭하는 mangi-mangi(망기-망기)와 영어로 작은 숲을 뜻하는 grove의 합성어이다.
맹그로브라는 용어는 "숲 전체"와 숲을 구성하는 나무의 "종"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어 혼란을 야기하기 때문에, 전자를 "맹그로브(숲)", 후자를 "맹그로브 식물"로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전자를 망갈(mangal), 후자를 맹그로브로 구분하기도 한다.[137]
3. 맹그로브 숲
맹그로브 숲은 열대에서 아열대 지역의 하구와 기수역의 염성 습지에 형성되는 삼림이다. 세계적으로 동남아시아, 남태평양, 호주, 인도 근해, 아프리카, 아메리카에 분포하는데, 일본에도 오키나와현과 가고시마현에 자연 분포하고 혼슈 일부 지역에도 인공적으로 옮겨 심은 맹그로브 숲이 존재한다.[6]
맹그로브 숲(mangrove forest), 맹그로브 습지(''mangrove swamps'') 또는 맹갈(''mangals'')은 열대 및 아열대의 조석 지역에서 발견된다. 맹그로브가 서식하는 지역에는 하구와 해안선이 포함된다.[41]
맹그로브 식물은 낮은 환경 산소 수준, 높은 염분, 그리고 빈번한 조석 범람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여러 가지 생리적 적응이 필요하다. 각 종은 이러한 문제에 대한 고유한 해결책을 가지고 있으며, 이것이 어떤 해안선에서 맹그로브 나무 종이 뚜렷한 구역화를 보이는 주된 이유일 수 있다. 맹갈 내의 작은 환경 변화는 환경 대처 방법에 큰 차이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종의 혼합은 조석 범람과 염분과 같은 물리적 조건에 대한 개별 종의 내성에 따라 부분적으로 결정되지만, 게가 식물 묘목을 포식하는 것과 같은 다른 요인의 영향을 받을 수도 있다.[43]
맹그로브 뿌리는 굴의 서식지를 제공하고 수류를 느리게 하여 퇴적물 침착을 강화한다. 맹그로브 아래의 미세한 무산소성 퇴적물은 중금속(미량 금속)의 싱크 역할을 한다. 맹그로브 제거는 이러한 기저 퇴적물을 교란하여 해수와 그 지역 유기체의 미량 금속 오염 문제를 야기한다.[44]
맹그로브 습지는 해안 지역을 침식, 폭풍 해일(특히 열대성 사이클론 중), 쓰나미로부터 보호한다.[45][46][47] 맹그로브는 폭풍 해일이나 쓰나미와 같은 사건 중에 고에너지 파랑 침식을 제한한다.[48] 맹그로브의 거대한 뿌리 시스템은 파랑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소산시키며,[49] 밀물 때 퇴적물이 침전되도록 조석 수류를 늦추고, 썰물 때 미세한 입자를 제외한 모든 것을 남긴다.[50] 이러한 방식으로 맹그로브는 자신의 환경을 조성한다.[45] 맹그로브 생태계의 독특성과 침식 방지 효과 때문에 맹그로브는 종종 국가 생물다양성 행동 계획을 포함한 보존 프로그램의 대상이 된다.[2][46]
맹그로브는 중요한 블루 카본의 원천이다. 2012년 맹그로브는 전 세계적으로 4.19Gt의 탄소를 저장했다. 2000년에서 2012년 사이에 전 세계 맹그로브 탄소의 2%가 손실되어 최대 0.31699625Gt의 지구 대기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에 해당한다.[61] 맹그로브는 열대 폭풍의 영향을 받는 연안 지역 사회에 경제적 보호를 제공한다.[62]
3. 1. 형성과정
열대에서 아열대의, 바닷물에 잠기는 땅에 만들어진다. 파도가 강한 곳에서는 볼 수 없고, 주로 어느 정도 이상으로 큰 강의 하구에 만들어진다. 다만 파도가 없으면 내만과 같은 보통의 해안에 생육하는 장소가 만들어지기도 한다.맹그로브 숲은 일반적으로 열대에서 아열대의 파랑의 영향이 약한, 중조위 부근에서 최고고조위까지의 고위 갯벌에 형성된다.[136] 宮城豊彦(미야기 토요히코)은 맹그로브 숲이 형성되는 입지를 다음 세 가지로 분류하고 있다.[136]
- 델타·에스추어리형: 강 하구역에 존재하며, 하천에 의한 퇴적 작용에 의해 형성된 갯벌 위에 형성되는 유형
- 사주·사구-석호형: 해안 쪽에 형성된 사주나 사구에 의해 만들어진, 고요한 환경에 있는 석호나 습지 내의 갯벌에 형성되는 유형
- 갯벌·산호초형: 연안의 섬과 사이에 형성된 사주나 산호초에 의해 형성된 갯벌 위에 형성되는 유형
파도가 없는, 경사가 완만하고 기수역인 장소이기 때문에 진흙이 쌓이기 쉬우며, 진흙질에서 자라는 나무에는 흔히 볼 수 있는 일이지만, 진흙질 속은 산소가 부족해지기 쉬우므로, 지표에 나오는 뿌리인 호흡뿌리라고 불리는 뿌리를 발달시키는 것이 많다. 맹그로브의 외연(해안 쪽)의 것은 만조 시에는 줄기와 일부 잎까지 해수에 잠기고, 안쪽의 것은 염분을 포함하는 진흙질이지만 직접 해수를 뒤덮는 일은 없고 거기서 육상의 식생으로 이어진다. 자라는 식물의 종은 군락 내 각 지점에서 다르며, 내염성의 차이 등에 의해 띠 모양 대상분포를 나타낸다.[136]
아열대 상부, 예를 들어 일본의 규슈(九州)에서는 많아야 2m 높이이지만, 열대 지방에서는 30m에 달하는 것도 있다. 또한, 독특한 덩굴식물도 있으며, 장소에 따라 약간의 초본도 나타난다.
낙우송속의 낙우송 등, 담수성 나무에서도 맹그로브와 비슷한 것은 많지만 이들은 맹그로브와 구별된다.
3. 2. 생태계의 특징
맹그로브 숲은 간석지의 성질을 가지면서, 동시에 수목이 밀생하는 장소다. 간석지는 하천 상류나 바다에서 흘러들어온 유기물이 모여 분해되는 곳으로, 생산력이 매우 큰 환경에서 다양한 생물들의 활동을 관찰할 수 있는 장소이다. 하지만 그 표면 구조의 단순함이 큰 난관이 되어 왔다. 그에 비해 맹그로브 숲은 동일한 환경이면서, 밀생하는 수목들이 특징적인 호흡뿌리를 발달시킴으로써 표면 구조가 복잡하게 되어 여러 가지 동물들에게 숨을 곳을 제공해 주고, 그 줄기에는 이끼나 지의류가 번식하게 된다.[138]깊숙한 곳은 진흙모래로 이루어져 있어 유기물이 많기 때문에, 표면 이하에서는 그 유기물이 분해되어 산소가 소비된다. 또한 그 산소 소비에 의해 혐기성 환경이 만들어져 황화수소가 발생한다.
맹그로브 숲(mangrove forest), 또는 맹그로브 습지(''mangrove swamps'') 혹은 맹갈(''mangals'')이라고도 불리는 맹그로브 숲은 열대 및 아열대의 조석 지역에서 발견된다. 맹그로브가 서식하는 지역에는 하구와 해안선이 포함된다.[41]
이 나무들이 적응한 조간대 환경은 이들의 서식지에서 번성할 수 있는 종의 수에 대한 주요 제한 요소이다. 만조는 염수를 가져오고, 썰물이 빠지면 토양의 바닷물이 태양에 의해 증발하여 염도가 더욱 높아진다. 밀물은 이러한 토양을 씻어내어 바닷물과 비슷한 염도 수준으로 되돌린다.[7][2]
썰물 때에는 유기체가 온도 상승과 습도 감소에 노출되었다가 밀물에 의해 다시 식고 잠긴다. 따라서 이 환경에서 식물이 생존하려면 염도, 온도 및 습도의 넓은 범위를 견뎌야 하며, 다른 몇 가지 주요 환경 요인도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소수의 종만이 맹그로브 나무 군집을 구성한다.[7][2]
약 110종이 염수 습지에서 자라는 나무라는 의미에서 맹그로브로 간주되지만,[41] 극히 일부만이 맹그로브 식물 속인 ''Rhizophora''에 속한다. 그러나 특정 맹그로브 습지는 일반적으로 소수의 나무 종만을 특징으로 한다. 카리브해의 맹그로브 숲에는 3종 또는 4종의 나무만 있는 경우가 드물지 않다. 비교하자면 열대 우림 생물군계에는 수천 종의 나무가 있지만, 이것은 맹그로브 숲에 다양성이 없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나무 자체는 종이 적지만, 이 나무들이 만드는 생태계는 최대 174종의 해양 대형 동물을 포함한 다양한 다른 종들의 서식지를 제공한다.[42]
맹그로브 식물은 낮은 환경 산소 수준, 높은 염분, 그리고 빈번한 조석 범람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생리적 적응이 필요하다. 각 종은 이러한 문제에 대한 고유한 해결책을 가지고 있으며, 이것이 어떤 해안선에서 맹그로브 나무 종이 뚜렷한 구역화를 보이는 주된 이유일 수 있다. 맹갈 내의 작은 환경 변화는 환경 대처 방법에 큰 차이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종의 혼합은 조석 범람과 염분과 같은 물리적 조건에 대한 개별 종의 내성에 따라 부분적으로 결정되지만, 게가 식물 묘목을 포식하는 것과 같은 다른 요인의 영향을 받을 수도 있다.[43]

일단 자리를 잡으면 맹그로브 뿌리는 굴의 서식지를 제공하고 수류를 느리게 하여 이미 발생하고 있는 지역의 퇴적물 침착을 강화한다. 맹그로브 아래의 미세한 무산소성 퇴적물은 퇴적물의 콜로이드 입자가 물에서 농축한 다양한 중금속(미량 금속)의 싱크 역할을 한다. 맹그로브 제거는 이러한 기저 퇴적물을 교란하여 종종 해수와 그 지역의 유기체의 미량 금속 오염 문제를 야기한다.[44]
맹그로브 습지는 해안 지역을 침식, 폭풍 해일(특히 열대성 사이클론 중), 그리고 쓰나미로부터 보호한다.[45][46][47] 맹그로브는 주로 폭풍 해일이나 쓰나미와 같은 사건 중에 고에너지 파랑 침식을 제한한다.[48] 맹그로브의 거대한 뿌리 시스템은 파랑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소산시킨다.[49] 마찬가지로, 밀물이 들어올 때 퇴적물이 침전되도록 조석 수류를 늦추고, 썰물이 빠질 때 미세한 입자를 제외한 모든 것을 남긴다.[50] 이러한 방식으로 맹그로브는 자신의 환경을 조성한다.[45] 맹그로브 생태계의 독특성과 침식 방지 효과 때문에 맹그로브는 종종 국가 생물다양성 행동 계획을 포함한 보존 프로그램의 대상이 된다.[2][46]
맹그로브 뿌리의 복잡한 그물에서 발견되는 독특한 생태계는 어린 유기체에게 조용한 해양 서식지를 제공한다.[51] 뿌리가 영구적으로 잠긴 지역에서는 조류, 따개비, 굴, 해면, 그리고 이끼벌레가 서식하며, 이들은 모두 여과 섭식을 하는 동안 고정될 단단한 표면이 필요하다. 새우와 갯가재는 진흙 바닥을 서식지로 이용한다.[52] 맹그로브 게는 맹그로브 잎을 먹고 다른 저서 생물을 위한 맹갈 진흙에 영양분을 추가한다.[53] 적어도 일부 경우에는 맹그로브에서 고정된 탄소의 수출이 연안 먹이 그물에서 중요하다.[54]
맹그로브 숲은 복잡하고 다양한 먹이 그물을 조성함으로써 연안 생태계에 크게 기여한다. 맹그로브의 복잡한 뿌리 시스템은 미생물, 갑각류 및 소형 어류의 증식에 유리한 서식지를 조성하여 먹이 사슬의 기본 단계를 형성한다. 이러한 풍부한 유기체는 생태계 내의 조류, 파충류 및 포유류와 같은 더 큰 포식자에게 중요한 먹이원이 된다. 또한 맹그로브 숲은 많은 상업적으로 중요한 어종에게 초기 생장 단계 동안 영양이 풍부한 안전한 환경을 제공하는 필수적인 보육장 역할을 한다. 물 속에서 잎과 유기물이 분해되면 영양분 함량이 더욱 증가하여 전체 생태계 생산성을 지원한다. 요약하자면 맹그로브 숲은 연안 먹이 그물 내의 생물다양성과 생태적 균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하고 객관적인 역할을 한다.[55]
더 큰 해양 유기체는 그들의 자손을 위한 보육장으로서 이 서식지로부터 이익을 얻는다. 레몬 상어는 새끼를 낳기 위해 맹그로브 개울에 의존한다. 이 생태계는 경쟁이 적고 어린 레몬 상어에게 바다의 먹이 그물에 진입하기 전에 사냥을 연습할 수 있는 맹그로브의 은신처를 제공하여 포식 위험을 최소화한다.[56]
베트남, 태국, 필리핀 및 인도의 맹그로브 농장은 여러 상업적으로 중요한 어종과 갑각류를 보유하고 있다.[57]
맹그로브 먹이 사슬은 해양 생태계를 넘어 확장된다. 연안 조류 종은 작은 해양 유기체와 습지 곤충을 먹고 사는 조석 생태계에 서식한다. 전 세계 맹그로브에서 발견되는 일반적인 조류과는 백로, 물총새, 왜가리, 그리고 코뿔새 등 생태적 범위에 따라 다양하다.[58] 조류 포식은 해안선과 맹그로브 생태계 내에서 먹이 종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맹그로브 숲은 균류와 박테리아 과정뿐만 아니라 흰개미의 작용으로 이탄 퇴적물로 분해될 수 있다. 좋은 지구화학적, 퇴적 및 지구조적 조건에서 이탄이 된다.[59] 이러한 퇴적물의 특성은 환경과 관련된 맹그로브의 유형에 따라 달라진다. 푸에르토리코에서는 붉은, 흰, 그리고 검은 맹그로브가 서로 다른 생태적 지위를 차지하고 화학적 조성이 약간 다르기 때문에 탄소 함량은 종 간에, 그리고 식물의 서로 다른 조직(예: 잎 물질 대 뿌리) 사이에서 다르다.[59]
푸에르토리코에서는 붉은 맹그로브가 지배적인 저지대에서 흰 맹그로브의 농도가 더 높은 내륙으로 이 세 종의 명확한 천이가 나타난다.[59] 맹그로브 숲은 열대 연안 생태계에서 탄소 순환과 저장에 중요한 부분이다.[59] 이를 알고 과학자들은 퇴적물 코어를 사용하여 수천 년에 걸친 연안 생태계의 변화를 조사하고 환경을 재구성하려고 한다.[60] 그러나 맹그로브 숲의 조석에 의한 세척으로 인해 퇴적물에 퇴적되는 수입된 해양 유기물이 추가적인 복잡성을 더한다. 흰개미는 맹그로브 물질로부터 이탄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59] 흰개미는 떨어진 낙엽, 맹그로브의 뿌리 시스템과 나무를 이탄으로 가공하여 둥지를 짓고, 맹그로브 지상부 탄소 저장량의 약 2%를 차지하는 이 이탄의 화학적 안정성을 유지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둥지가 매몰되면 이 탄소는 퇴적물에 저장되고 탄소 순환이 계속된다.[59]
맹그로브는 중요한 블루 카본의 원천이다. 전 세계적으로 2012년 맹그로브는 4.19Gt의 탄소를 저장했다. 2000년에서 2012년 사이에 전 세계 맹그로브 탄소의 2%가 손실되어 최대 0.31699625Gt의 지구 대기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에 해당한다.[61]
전 세계적으로 맹그로브는 열대 폭풍의 영향을 받는 연안 지역 사회에 측정 가능한 경제적 보호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62]
어패류를 중심으로 다양한 동물에게 은신처를 제공하고,[138] 나무 줄기 표면에는 이끼류와 지의류가 번식한다. 한편, 그 복잡성 때문에 인간이 맹그로브 숲을 걷는 것은 어렵다.
토양은 모래와 진흙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많은 유기물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표면 아래에서는 유기물 분해에 따른 산소 소비로 혐기성 환경이 되어 황화수소가 발생한다. 하천으로부터의 토사 등 무기물 유입이 적은 맹그로브에서는 죽은 야에야마히루기 등의 식물이 분해되지 않고 축적되어 맹그로브 이탄을 생성한다.[136] 맹그로브 이탄에는 풍부한 탄소 저장 기능이 있으며,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의 흡수원으로서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맹그로브는 육지의 숲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동물들에게 서식 환경을 제공한다. 맹그로브의 바다 쪽은 해수의 영향을 크게 받고, 육지 쪽은 해수의 영향을 적게 받아 조위 등에 따라 경사가 생긴다. 또한, 맹그로브의 뿌리, 줄기, 가지의 뻗어나감은 다양한 공간을 창출한다. 이처럼 서식 환경은 다양하다. 맹그로브에 서식하는 주요 동물은 해산 저서생물(갑각류와 연체류 등) 및 어류이지만, 수리부엉이와 같은 포유류, 조류, 곤충류도 이용하고 있다.
썰물 때는 많은 게류의 갑각류가 나타난다. 갯벌 근처에서는 칠게류와 남방알락게 등이 나타나고, 숲 속에는 참게류와 방게류가 많이 서식하고 있다. 밀물이 되면 땅에 판 구멍 속으로 들어가 시간을 보내는 것이 많지만, 나무에 올라가 시간을 보내는 것도 있다. 밀물이 되면 꽃게나 톱날꽃게 등 대형 게가 모습을 드러낸다. 연체류에는 검은띠무늬달팽이 등의 복족류, 맹그로브조개(''Geloina coaxans'') 등의 이매패류가 있다. 이들 중 대부분은 맹그로브 식물의 낙엽이나 종자를 먹고 있다. 특히 맹그로브의 낙엽을 직접 소비하는 검은띠무늬달팽이와 어떤 종류의 대형 게류는 맹그로브 생태계의 탄소 순환에서 중요한 존재이다.
어류에서는, 갯벌이나 호흡근 위에서 말뚝망둥어 등의 망둑어류가 활동하고, 밀물이 되면 다른 많은 바닷물고기도 들어온다. 나무의 호흡근이 복잡하게 얽혀 있는 맹그로브 지역은 몸을 숨기기에 편리하며, 놀래기류와 망둑어류 등 많은 작은 물고기가 보이고, 더 나아가 그것들을 포식하는 농어류와 뱀장어 등의 대형 어류도 있다.
다이토 제도에 서식하는 다이토큰박쥐는 맹그로브를 낮잠 장소로 이용한다.[141]
이리오모테섬에서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흰눈썹붉은점멧새를 중심으로 한 조류의 혼군이 확인되었고, 특히 흰눈썹붉은점멧새는 빨간해변나무의 꽃의 꿀을 먹이로 하고 있다는 보고도 있다.[142]
맹그로브 식물 자체를 서식지로 하고 있는 동물도 있다. 연체류의 이로타마키비가이와 참게과의 힐기하시리이와가니 등은 맹그로브 식물의 줄기나 지주근에서 생활하고 있다. 고착성 동물인 따개비류의 시로스지따개비가 야에야마버즘나무에 부착하고 있는 사례도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것으로부터 맹그로브는 "생명의 요람"이라고 불리고 있다.
3. 3. 맹그로브 숲의 식물
맹그로브 숲을 구성하는 나무는 다양하며, 해류를 타고 씨를 퍼뜨리는 종도 많다. 맹그로브 숲의 식물종은 대상분포를 나타낸다.3. 3. 1. 주요 종
맹그로브 숲을 구성하는 식물은 전 세계적으로 70~100종 정도 있으며, 주요 수종은 홍수과(붉은수염과(ヒルギ科)), 마편초과(마편초과(クマツヅラ科)), 손네라티아과(마야푸시키과(ハマザクロ科))의 3과에 속한다.일본에서는 맹그로브에만 분포하는 종은 맹그로브(メヒルギ)(붉은수염과(ヒルギ科)), 흰꽃맹그로브(オヒルギ)(붉은수염과(ヒルギ科)), 야에야마맹그로브(ヤエヤマヒルギ)(붉은수염과(ヒルギ科)), 마야푸시키(ハマザクロ)(마야푸시키과(ハマザクロ科), 다른 이름: 마야푸시키), 애기맹그로브(ヒルギダマシ)(마편초과(クマツヅラ科) 또는 꿀풀과(キントラノオ科), 쥐꼬리망초과(キツネノマゴ科)Avicennia영어), 가짜맹그로브(ヒルギモドキ)(갯질경이과(シクンシ科)) 및 니파야자(ニッパヤシ)(야자과(ヤシ科))의 5과 7종이다.
붉은수염과 식물들은 모두 윤기 있는 타원형의 잎을 가지며, 잎은 두껍고 큐티클층으로 덮여 있다. 또한, 호흡근을 가지고 있으며, 그 형태는 종류에 따라 다양하다.

| 종 | 호흡근 형태 | 기타 |
|---|---|---|
| 암홍수(메히루기) | 약간 판근 모양 | |
| 수홍수(오히루기) | 무릎 모양 | 지표면에 나옴 |
| 팔중산홍수(야에야마히루기) | 문어 다리 모양 | 지주근 |
이 식물들은 열매가 가지에 달린 상태로 뿌리가 자라기 시작하여 어느 정도 크기에 이르면, 그 뿌리 끝에 새 싹이 난 상태로 열매에서 떨어진다. 이러한 종자를 태생종자[139]라고 부른다. 어미식물에서 떨어진 종자는 해류를 타고 퍼져나가(해류산포) 진흙 표면에 떨어지면 성장을 시작하지만, 어미식물에서 떨어진 후 아래 진흙에 박혀 그 자리에서 성장하기도 한다.
3. 3. 2. 대상분포
일본의 경우, 가장 바깥쪽(바다 쪽)에는 애기맹그로브(마편초과)가 드문드문 자란다. 이 나무는 키가 작고, 뿌리가 얕은 진흙 속을 기어 다니며, 일정 간격을 두고 죽순같은 모양으로 호흡뿌리를 내민다. 키가 크지 않아 만조 시에는 전체가 바닷물에 잠기는 경우도 있다. 장소에 따라서는 마야푸시키과 식물이 자라기도 한다.[136]좀더 육지 쪽으로 들어가면, 북쪽 지방에서는 암홍수, 남쪽 지방에서는 팔중산홍수가 빽빽한 군락을 이룬다. 그 안쪽에는 수홍수가 생육하는 층이 있다. 한층 더 육지 쪽으로 들어가면, 바닷물을 거의 뒤집어쓰지 않지만 바닷물의 영향을 받는 구역이 나온다. 여기는 오예라던지, 거대한 판근이 있는 Heritiera littoralis 따위가 자라고 있다. 이리오모테섬을 비롯한 남쪽 바다의 섬들에 널리 분포하는 바다독나무도 이 지대에 생육한다. 이 부근까지가 정확한 의미에서의 맹그로브 숲이며, 여기서 더 육지 쪽으로 들어가면 육지의 식생이 점차 나타난다.[136]
3. 3. 3. 반(半)맹그로브
진정한 '''맹그로브'''와 유사한 식생으로 '''반(半)맹그로브'''가 있으며, 넓은 의미의 맹그로브로 간주된다. 맹그로브 식물은 자연 상태에서는 조간대에만 서식하고 육지로 분포를 확장하지 않는 반면, 반맹그로브를 구성하는 식물(반맹그로브 식물)은 육지에서도 생육이 가능한 종을 포함한다. 반맹그로브는 맹그로브와 혼재하거나 주변 육지부에 위치한다.[137]반맹그로브 식물도 맹그로브 식물과 마찬가지로, 바닷물의 염분에 적응한 형태(큐티클층이 발달한 잎 등)나 생리 기능(염분 배출 능력 등)을 가진 종도 있다.
일본에서는 갯바랭이, 해당화, 해변자두, 테리하복 등이 대표적인 반맹그로브 구성 식물이다.
3. 4. 맹그로브 숲의 동물


맹그로브 숲은 육지의 삼림과 같이 다양한 동물들에게 서식 공간을 제공한다. 맹그로브 숲의 바다 쪽은 바닷물의 영향을 크게 받고, 육지 쪽은 바닷물의 영향을 적게 받아 조위(潮位) 등에 기울기가 생긴다. 또 맹그로브 숲이 커지면서 뿌리, 줄기, 가지가 넓어지고 다양한 공간이 만들어진다. 이와 같이 맹그로브 숲의 생식 환경은 다양하다. 맹그로브 숲에는 주로 저서생물(갑각류, 조개류 등)이나 어류가 서식하지만, 포유류나 조류, 곤충류 등도 살고 있다. 양서류 중에서는 바닷물과 같은 짠물에서도 유일하게 살 수 있으며 바다개구리로 불리는 게잡이개구리가 바로 맹그로브에서 서식한다. 또한 홍살귀상어를 포함한 일부 상어들도 맹그로브에서 서식하는 종이 존재한다.
썰물 때는 많은 수의 게 등 갑각류가 나타난다. 간석지 근처에는 꽃발게 무리나 남방알락게 등속이 관찰되고, 맹그로브 숲 속에서는 방게 무리나 바위게 무리가 다수 서식한다. 밀물이 되면 파놓은 굴 속으로 들어가는 놈들도 있지만, 나무 위로 올라가는 것들도 있다. 또한 조수가 가득차면 꽃게나 톱날꽃게 등 대형 게들이 모습을 드러낸다. 조개류에서는 굵은줄갯비틀이고둥 등의 권패류, 홍수바지락 등의 이매패류가 있다. 이 많은 조개들은 맹그로브 숲의 낙엽이나 종자를 먹고 산다. 특히 맹그로브 숲의 낙엽을 직접 소비하는 굵은줄갯비틀이고둥이나 대형 게류는 맹그로브 숲 생태계의 탄소 순환에 있어 매우 중요한 존재이다.

어류로는 간석지나 호흡뿌리 위에서 발견되는 남쪽말뚝망둥어 등의 말뚝망둥어 종류가 활동하다가, 조수가 들어오면 다른 많은 해수어가 물과 함께 밀려온다. 나무의 호흡뿌리가 복잡하게 뒤얽혀 있는 맹그로브 숲 지대는 몸을 숨기기에 매우 좋기 때문에, 독가시치 종류나 망둥이 종류 등의 작은 물고기를 많이 볼 수 있다. 또한 그것들을 먹고 사는 물퉁돔 무리나 무태장어 등의 대형어도 몰려든다.
다이토 제도에 서식하는 류큐큰박쥐는 맹그로브 숲을 낮 동안의 보금자리로 이용한다.[146] 이리오모테섬에서의 조사 결과에 의하면, 동박새를 중심으로 한 조류의 혼군(混群)이 확인되고 있다. 특히 동박새는 수홍수의 꽃의 꿀을 먹이로 삼고 있다는 사실도 보고되고 있다.[147]
맹그로브 숲 식물 그 자체를 서식 장소로 삼는 동물도 있다. 패류의 일종인 색깔총알고둥이나 바위게상과의 홍수바위게 등은 맹그로브 숲 식물의 줄기나 지주뿌리에서 생활한다. 또한 고착성 동물인 따개비과의 일종인 따개비가 팔중산홍수에 붙어 사는 사례도 보고되고 있다.[148] 이렇기에 맹그로브 숲은 ‘생명의 요람’으로 불리고 있다.
4. 맹그로브의 생물학

호가스(Hogarth, 2015)에 따르면, 인정된 맹그로브 종 중에는 "진정한 맹그로브"(맹그로브 서식지에서 거의 독점적으로 서식하는 종)를 구성하는 16개 과의 20개 속에 약 70종이 있다.[17] 이러한 종들 중 많은 수는 다양한 염도, 조수 간만의 차(범람), 혐기성 토양 및 강렬한 햇빛이라는 열대 조건에 대한 유사한 해결책을 제시하며 수렴 진화를 보여준다.[41] 일반적으로 특정 맹그로브의 식물 생물다양성은 낮다. 맹그로브의 가장 큰 생물다양성은 동남아시아, 특히 인도네시아 열도에서 나타난다.[19]
맹그로브는 진흙 속 산소가 부족한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지표면으로 뿌리를 내는 호흡근을 발달시키는 경우가 많다. 맹그로브 토양은 모래와 진흙으로 이루어져 있고 유기물이 풍부한데, 표면 아래에서는 유기물 분해 과정에서 산소가 소비되어 혐기성 환경이 만들어지고 황화수소가 발생한다. 혐기성 세균은 질소 가스, 수용성 철, 무기 인산염, 황화물, 메탄을 방출하여 토양의 영양가를 떨어뜨린다. 맹그로브의 호흡근(공기뿌리)은 대기에서 직접 기체를 흡수하고, 불리한 토양에서 철과 같은 다른 영양분을 흡수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뿌리 속에 기체를 직접 저장하여 만조 때 뿌리가 물에 잠겨 있을 때도 기체를 처리한다.
염분이 많은 조간대 토양에서는 담수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맹그로브는 잎을 통한 수분 손실량을 제한한다. 맹그로브는 기공(잎 표면의 기공으로, 광합성 과정에서 이산화탄소 가스와 수증기를 교환한다)의 개방을 제한할 수 있다.[26] 또한, 잎의 방향을 바꾸어 강렬한 정오의 햇볕을 피하고 잎에서의 증발을 줄인다.
맹그로브는 척박한 환경에서 자손의 생존을 돕기 위한 특별한 메커니즘을 진화시켰다. 맹그로브 종자는 부력이 있어 물에 잘 분산된다. 붉은맹그로브를 비롯한 많은 맹그로브는 태생[36]으로, 종자가 모체 나무에 붙어 있는 동안 발아한다. 일단 발아하면 묘목은 열매 안에서 자라거나(''Aegialitis'', ''Avicennia'', ''Aegiceras'') 열매를 뚫고 자라(''Rhizophora'', ''Ceriops'', ''Bruguiera'', ''니파야자속'') 영양체(propagule)(즉시 성장할 준비가 된 묘목)를 형성하며, 광합성을 통해 스스로 양분을 생산한다. 성숙한 영양체는 물에 떨어져 먼 거리까지 운반될 수 있으며, 건조에 견딜 수 있고 적절한 환경에 도착하기 전까지 1년 이상 휴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영양체가 뿌리를 내릴 준비가 되면 밀도가 변하여 길쭉한 모양이 수직으로 뜨게 되어 진흙에 박혀 뿌리를 내릴 가능성이 커진다.
4. 1. 낮은 산소에 대한 적응
붉은 해변맹그로브(''Rhizophora mangle'')는 물에 잠기는 지역에서 잘 자라며, 지주뿌리를 이용해 수면 위로 몸체를 지탱하고 나무껍질의 피목을 통해 공기를 흡수한다.[20] 검은 해변맹그로브(''Avicennia germinans'')는 더 높은 지대에서 자라며, 흙에서 빨대처럼 솟아올라 호흡하는 호흡근이라는 특수한 뿌리 구조를 많이 가지고 있다.[21][22] 이러한 "호흡관"은 보통 최대 30cm 높이까지 자라며, 어떤 종에서는 3m가 넘기도 한다. 뿌리에는 식물 내부로 공기가 잘 통하도록 하는 넓은 통기조직도 있다.맹그로브는 진흙 속 산소가 부족한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지표면으로 뿌리를 내는 호흡근을 발달시키는 경우가 많다. 맹그로브 토양은 모래와 진흙으로 이루어져 있고 유기물이 풍부한데, 표면 아래에서는 유기물 분해 과정에서 산소가 소비되어 혐기성 환경이 만들어지고 황화수소가 발생한다.
4. 2. 영양분 흡수
토양은 늘 물에 잠겨 있어, 이용 가능한 유리 산소가 거의 없다. 혐기성 세균은 질소 가스, 수용성 철(철), 무기 인산염, 황화물, 그리고 메탄을 방출하여 토양의 영양가를 훨씬 떨어뜨린다. 맹그로브의 호흡근(공기뿌리)은 대기에서 직접 기체를 흡수하고, 불리한 토양에서 철과 같은 다른 영양분을 흡수할 수 있게 한다. 맹그로브는 뿌리 속에 기체를 직접 저장하여, 만조 때 뿌리가 물에 잠겨 있을 때도 기체를 처리한다.4. 3. 염분 섭취 제한
붉은 맹그로브는 뿌리에 수베린(suberin)이 풍부하게 함침되어 있어, 식물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나트륨(sodium) 염을 배제하는 초여과 기전으로 작용하여 염분을 배제한다. 한 연구에 따르면 인도 맹그로브인 ''아비세니아 오피시날리스(Avicennia officinalis)''의 뿌리는 식물이 흡수한 물 속 염분의 90~95%를 배제하고, 배제된 염분을 뿌리의 피질에 축적한다고 한다.[23] 식물이 노출된 물의 염분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수베린 생산량과 시토크롬 P450을 조절하는 유전자의 활동이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다.[23] "희생 잎(sacrificial leaf)"에서는 줄기에 축적된 염분이 오래된 잎에 집중된 후 식물이 잎을 떨어뜨린다는 개념이 자주 인용된다. 그러나 최근 붉은 맹그로브 ''리조포라 망글(Rhizophora mangle)''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노랗게 변한 오래된 잎의 염분 함량이 다른 녹색 잎보다 더 높지 않다는 것을 시사한다.[24]4. 4. 수분 손실 제한
염분이 많은 조간대 토양에서는 담수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맹그로브는 잎을 통한 수분 손실량을 제한한다. 맹그로브는 기공(잎 표면의 기공으로, 광합성 과정에서 이산화탄소 가스와 수증기를 교환한다)의 개방을 제한할 수 있다.[26] 또한, 잎의 방향을 바꾸어 강렬한 정오의 햇볕을 피하고 잎에서의 증발을 줄인다. 사육 중인 붉은 맹그로브는 잎에 일주일에 여러 번 담수를 분무하여 빈번한 열대성 폭우를 모방해야만 자란다.[26]
4. 5. 해수 여과
2016년 김(Kim) 등의 연구는 식물 유체역학적 관점에서 맹그로브 식물인 붉은 맹그로브 뿌리의 바닷물 여과에 대한 생물물리적 특성을 조사했다.[25] 붉은 맹그로브는 염분이 있는 물에서도 자랄 수 있으며, 뿌리의 염분 수준은 여과를 통해 특정 임계값 내에서 조절된다. 뿌리는 표피에 계층적인 3중 다공성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대부분의 Na+ 이온은 가장 바깥층의 첫 번째 하층에서 여과된다. Na+ 이온의 높은 차단은 첫 번째 층의 높은 표면 제타 전위 때문이다. 다공성 구조로 구성된 두 번째 층 또한 Na+ 이온 여과를 촉진한다. 이 연구는 염생식물 뿌리를 통한 물 여과의 메커니즘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며, 생체 모방 담수화 방법 개발의 기초가 될 수 있다.[25]Na+ 이온의 흡수는 염생식물이 삼투압을 형성하고, 물을 흡수하며, 팽압을 유지하는 데 바람직하다. 그러나 과도한 Na+ 이온은 독성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염생식물은 생장과 생존 전략 사이에서 염분을 정교하게 조절하려고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뿌리를 통해 염수와 접촉하는 염생식물로부터 새로운 지속 가능한 담수화 방법을 도출할 수 있다. 염생식물은 뿌리를 통해 염분을 배출하고, 축적된 염분을 지상부를 통해 분비하며, 노화된 잎과/또는 나무껍질에 염분을 저장한다.[27][28][29] 맹그로브는 선택적 염생식물이며, 브루기에라속은 주변 바닷물에서 약 90%의 Na+ 이온을 뿌리를 통해 여과할 수 있는 특수한 한외여과 시스템으로 알려져 있다.[30][31][32] 이 종은 또한 높은 염분 배제율을 나타낸다. 맹그로브 뿌리의 물 여과 과정은 수십 년 동안 상당한 주목을 받아왔다.[33][34] 식물의 형태 구조와 기능은 가혹한 환경 조건에 대처하기 위해 오랜 역사를 통해 진화해 왔다.[35][25]
4. 6. 자손 생존 증가
맹그로브는 척박한 환경에서 자손의 생존을 돕기 위한 특별한 메커니즘을 진화시켰다. 맹그로브 종자는 부력이 있어 물에 잘 분산된다. 대부분의 식물은 토양에서 발아하지만, 붉은맹그로브를 비롯한 많은 맹그로브는 태생[36]으로, 종자가 모체 나무에 붙어 있는 동안 발아한다. 일단 발아하면 묘목은 열매 안에서 자라거나(''Aegialitis'', ''Avicennia'', ''Aegiceras'') 열매를 뚫고 자라(''Rhizophora'', ''Ceriops'', ''Bruguiera'', ''니파야자속'') 영양체(propagule)(즉시 성장할 준비가 된 묘목)를 형성하며, 광합성을 통해 스스로 양분을 생산한다.
성숙한 영양체는 물에 떨어져 먼 거리까지 운반될 수 있다. 영양체는 건조에 견딜 수 있으며, 적절한 환경에 도착하기 전까지 1년 이상 휴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영양체가 뿌리를 내릴 준비가 되면 밀도가 변하여 길쭉한 모양이 수평이 아닌 수직으로 뜨게 된다. 이렇게 되면 진흙에 박혀 뿌리를 내릴 가능성이 더 커진다. 뿌리를 내리지 못하면 밀도를 바꾸어 더 좋은 조건을 찾아 다시 표류할 수 있다.
5. 맹그로브의 분류 및 진화
2016년 톰린슨(Tomlinson)의 연구에 따르면, 동반구의 맹그로브는 신세계 맹그로브보다 6배나 많은 종류의 나무와 관목을 포함한다.[37] 맹그로브 계통이 육상 식물로부터 유전적으로 분화된 양상은 화석 증거와 함께, 맹그로브 다양성이 스트레스가 많은 해양 환경으로의 진화적 적응에 의해 제한되며, 제3기 동안 전 세계적인 멸종 없이 맹그로브 계통 수가 꾸준히 증가했음을 시사한다.[38]
5. 1. 진정한 맹그로브
Tomlinson영어(2016)에 따르면, 35종의 맹그로브가 진정한 맹그로브(주요 구성 요소 또는 엄격한 맹그로브)로 분류되며, 이들은 5과 9속에 포함된다.[37] 주요 맹그로브는 다음과 같다.| 과 | 속 | 맹그로브 종 | 일반적인 이름 | 이미지 |
|---|---|---|---|---|
| 야자나무과 | 니파 | 니파야자 | 맹그로브 야자 | |
| 마편초과 | 아비세니아 | 아비세니아 알바 | ![]() | |
| 아비세니아 마리나 | 회색 맹그로브 | ![]() | ||
| 아비세니아 오피시날리스 | 인도 맹그로브 | ![]() | ||
| 아비세니아 거미난스 | 검은 맹그로브 | ![]() | ||
| 아비세니아 샤우에리아나 | ![]() | |||
| 아비세니아 발라노포라 | ||||
| 아비세니아 비콜로르 | ||||
| 아비세니아 인테그라 | ||||
| 아비세니아 톤두지 | ||||
| 마편나무과 | 라군쿨라리아 | 라군쿨라리아 라케모사 | 흰 맹그로브 | ![]() |
| 룸니체라 | 룸니체라 라케모사 | 흰꽃 검은 맹그로브 | ![]() | |
| 룸니체라 리토레아 | ![]() | |||
| 홍수과 | 브루기에라 | 브루기에라 실린드리카 | ![]() | |
| 브루기에라 엑사리스타타 | 갈비뼈 열매 맹그로브 | ![]() | ||
| 브루기에라 짐노리자 | 동양 맹그로브 | ![]() | ||
| 브루기에라 헤이네시 | ||||
| 브루기에라 파르비플로라 | ![]() | |||
| 브루기에라 섹산굴라 | 상류 오렌지 맹그로브 | ![]() | ||
| 세리옵스 | 세리옵스 아우스트랄리스 | 노란 맹그로브 | ![]() | |
| 세리옵스 타갈 | 자극 맹그로브 | ![]() | ||
| 칸델리아 | 칸델리아 칸델 | ![]() | ||
| 칸델리아 오보바타 | ![]() | |||
| 리조포라 | 리조포라 아피쿨라타 | |||
| 리조포라 해리소니 | ||||
| 리조포라 망글 | 붉은 맹그로브 | |||
| 리조포라 무크로나타 | 아시아 맹그로브 | ![]() | ||
| 리조포라 라케모사 | ||||
| 리조포라 사모엔시스 | 사모아 맹그로브 | |||
| 리조포라 스타일로사 | 얼룩 맹그로브 | |||
| 리조포라 x 라마르키 | ||||
| 부처꽃과 | 손네라티아 | 손네라티아 알바 | ![]() | |
| 손네라티아 아페탈라 | ||||
| 손네라티아 카세올라리스 | ||||
| 손네라티아 오바타 | ||||
| 손네라티아 그리피티 |
5. 2. 기타 맹그로브
Tomlinson(2016)은 10과 11속에 속하는 약 19종을 주요 구성요소 외 맹그로브로 열거한다.[37]| 과 | 속 | 종 | 일반적인 이름 | 이미지 |
|---|---|---|---|---|
| 대극과 | 크로스카리아속 | 크로스카리아 아갈로카 | 밀키 맹그로브, 눈멀게 하는 맹그로브, 강 독나무 | ![]() |
| 부처꽃과 | 펨피스속 | 펨피스 아시둘라 | 반티그 또는 멘티기 | ![]() |
| 아욱과 | ||||
| 캄프토스테몬속 | 캄프토스테몬 슐츠이 | 카폭 맹그로브 | ![]() | |
| 캄프토스테몬 필리피넨세 | ![]() | |||
| 멀구슬나무과 | ||||
| 크실로카르푸스속 | 크실로카르푸스 그라나툼 | ![]() | ||
| 크실로카르푸스 몰루켄시스 | ![]() | |||
| 도금양과 | ||||
| 오스보니아속 | 오스보니아 옥토돈타 | 맹그로브 머틀 | ![]() | |
| 펠리시에라과 | ||||
| 펠리시에라속 | 펠리시에라 리조포라에 | 티 맹그로브 | ![]() | |
| 갯질경이과 | ||||
| 애기알리티스속 | 애기알리티스 안눌라타 | 클럽 맹그로브 | ![]() | |
| 애기알리티스 로툰디폴리아 | ![]() | |||
| 앵초과 | ||||
| 애기세라스속 | 애기세라스 코르니쿨라툼 | 블랙 맹그로브, 강 맹그로브 또는 칼시 | ![]() | |
| 애기세라스 플로리둠 | ||||
| 골고사리과 | ||||
| 아크로스티쿰속 | 아크로스티쿰 아우레움 | 골든 레더 펀, 습지 고사리 또는 맹그로브 고사리 | ![]() | |
| 아크로스티쿰 스페시오숨 | 맹그로브 고사리 | ![]() | ||
| 꼭두서니과 | ||||
| 스키피포라속 | 스키피포라 히드로필라케아 | 닐라드 | ![]() |
6. 맹그로브 미생물군
식물 마이크로바이옴은 맹그로브의 건강과 생산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63] 많은 연구자들이 식물 마이크로바이옴에 대한 지식을 적용하여 작물 보호를 위한 특정 접종원을 성공적으로 생산했다.[64][65] 이러한 접종원은 식물 호르몬을 방출하고 일부 무기 영양소(특히 인과 질소)의 흡수를 향상시켜 식물의 성장을 자극할 수 있다.[65][66][67] 그러나 대부분의 식물 마이크로바이옴 연구는 모델 식물인 ''애기장대''와 벼, 보리, 밀, 옥수수, 대두와 같이 경제적으로 중요한 작물에 집중되어 왔다. 수종의 마이크로바이옴에 대한 정보는 부족하다.[63][65]
식물 마이크로바이옴은 식물 관련 요인(예: 유전형, 기관, 종 및 건강 상태)과 환경 요인(예: 토지 이용, 기후 및 영양소 이용 가능성)에 의해 결정된다.[63][67] 식물 종과 유전형은 근권과 식물 마이크로바이옴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는 수종 유전형과 종이 특정 미생물 군집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66] 또한 서로 다른 식물 기관은 식물 관련 요인(식물 유전형, 이용 가능한 영양소 및 기관 특이적 물리 화학적 조건)과 환경 조건(지상 및 지하 표면 및 교란과 관련됨)에 따라 특정 미생물 군집을 갖는다.[68][69][70][71]
6. 1. 뿌리 미생물군
맹그로브 뿌리는 맹그로브 생태계의 중요한 생태 기능에 기여하는 다양한 미생물 분류군을 포함하고 있다.[72] 일반적인 육상 식물과 마찬가지로 맹그로브는 미생물 군집과의 상호 유익한 상호 작용에 의존한다.[72] 특히, 발달된 뿌리에 서식하는 미생물은 식물이 동화 작용을 하기 전에 영양소를 이용 가능한 형태로 전환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73][74] 이러한 미생물은 또한 맹그로브에 식물 호르몬을 제공하여 식물 병원균을 억제하거나[85] 고온과 염분을 견디도록 돕는다.[72] 반대로, 뿌리와 관련된 미생물은 뿌리 분비물을 통해 식물로부터 탄소 대사산물을 받는다.[75] 따라서 식물과 미생물 사이의 밀접한 연관성이 상호 이익을 위해 확립된다.[76][77]분류학적 강 수준에서 대부분의 프로테오박테리아는 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그 뒤를 델타프로테오박테리아와 알파프로테오박테리아가 따른다. Alteromonadales와 Vibrionales과 같은 목으로 구성된 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의 다양한 기능과 계통 발생적 변이는 해양 및 연안 지역에서 발견되며 맹그로브 퇴적물에서 영양소 재순환자로서 풍부하다. 맹그로브 토양에서 발견되는 델타프로테오박테리아의 구성원은 대부분 황과 관련이 있으며, 데술포박테랄레스, 데술푸로모나달레스, 데술포비브리오날레스, Desulfarculales 등이 있다.[78]

매우 다양한 미생물 군집(주로 세균과 균류)이 맹그로브 뿌리에 서식하고 기능하는 것으로 밝혀졌다.[79][72][80] 예를 들어, 맹그로브 뿌리 근처의 질소 고정 세균은 생물학적 질소 고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맹그로브에 필요한 총 질소의 40~60%를 제공한다.[81][82] 맹그로브 뿌리에 부착된 토양은 산소가 부족하지만 유기물이 풍부하여 황산염 환원 세균과 메탄 생성균에 최적의 미세 환경을 제공한다.[72] 리그닌분해, 셀룰로오스분해, 전분분해 균류는 맹그로브 뿌리 환경에서 흔히 볼 수 있다.[72] 뿌리권 균류는 맹그로브가 물에 잠긴 환경과 영양분이 제한된 환경에서 생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83] 이러한 연구는 맹그로브의 성장과 건강에 뿌리와 관련된 세균과 균류의 중요성을 뒷받침하는 증거를 점점 더 많이 제공하고 있다.[72][73][77]
최근 연구에서는 다른 식물에서 연속적인 미세 규모로 뿌리와 관련된 미생물 군집의 세부 구조를 조사했다.[84] 여기서 미세 서식지는 내생권,[85][87][86] 외생권,[85] 뿌리권,[87][88] 비뿌리권 또는 토양 전체[89][90]의 네 가지 뿌리 구획으로 나뉜다. 또한, 각 구획의 미생물 군집은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85][87] 뿌리 분비물은 적응된 미생물 개체군을 선택적으로 풍부하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분비물은 뿌리권 외부의 토양 전체의 미생물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91][27] 또한, 뿌리권보다는 외생권이 특정 미생물 개체군의 뿌리 유입을 제어하는 데 주로 책임이 있으며,[85] 이로 인해 내생권에서 프로테오박테리아가 선택적으로 풍부해졌다.[85][92] 이러한 발견은 뿌리와 관련된 미생물 군집의 틈새 분화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한다.[85][91][27][92] 그럼에도 불구하고, 앰플리콘 기반 군집 프로파일링은 식물 성장 및 생지화학적 순환에서 뿌리와 관련된 미생물 군집의 기능적 특성을 제공하지 못할 수 있다.[93] 네 가지 뿌리 구획에 걸친 기능적 패턴을 밝히는 것은 맹그로브 생태계 기능 향상을 지원하기 위한 뿌리-미생물 상호 작용을 매개하는 기능적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데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77]
교란된 맹그로브의 세균 다양성은 잘 보존된 맹그로브보다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78] 서로 다른 보존 상태의 맹그로브를 비교한 연구에 따르면, 교란된 맹그로브 퇴적물의 세균 구성이 구조를 변화시켜 기능적 평형 상태를 유도하며, 맹그로브 토양의 화학 물질 역학이 미생물 구조의 재구성으로 이어진다.[94]
6. 2. 맹그로브 바이러스군

맹그로브 숲은 탄소가 풍부한 생물군계 중 하나로, 육상 탄소의 해양 유입량의 11%를 차지한다. 바이러스는 지역 및 전 지구적 생지화학적 순환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2019년까지 맹그로브 생태계에서 바이러스의 군집 구조, 유전적 다양성, 생태적 역할에 대한 정보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95]
바이러스는 지구상에서 가장 풍부한 생물체이며, 사실상 모든 생태계에 존재한다.[96][97] 세포막 파열(용해)을 통해 바이러스는 숙주 개체 수를 조절하고 군집 구조에 영향을 미친다.[98] 또한 수평적 유전자 전달, 내성 선택, 박테리아 대사 조절을 통해 숙주의 다양성과 진화에도 영향을 미친다.[99][100][101] 특히, 해양 바이러스는 숙주로부터 상당량의 유기 탄소와 영양소를 방출하여 지역 및 전 지구적 생지화학적 순환에 영향을 미치고, 보조 대사 유전자(AMGs)를 통해 미생물의 생지화학적 순환을 돕는다.[102][103][104][95]
AMGs는 바이러스 감염 숙주의 대사 작용을 증강하고 새로운 바이러스 생산을 촉진하는 것으로 추정된다.[27][105] 해양 시아노파지에서 광범위하게 연구된 AMGs는 광합성, 탄소 순환, 인산염 흡수, 스트레스 반응 관련 유전자를 포함한다.[106][107][108][109] 배양 의존적이지 않은 바이러스 군집의 메타게놈 분석 결과, 운동성, 중심 탄소 대사, 광계 I, 에너지 대사, 철-황 클러스터, 항산화, 황 및 질소 순환 관련 추가 AMGs가 확인되었다.[103][110][111][112] 최근 태평양 바이롬 데이터 분석에서는 깊이에 따라 분포하는 숙주 적응에 기여하는 특정 니치 AMGs도 확인되었다.[113] 미생물이 전 지구적 생지화학적 순환을 주도하고, 상당수 미생물이 항상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114] 바이러스 암호화 AMGs는 전 지구적 생지화학 및 미생물 대사 진화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95]
맹그로브 숲은 전 세계 아열대 및 열대 해안선의 염수에서 서식하는 유일한 목본 염생식물이다. 맹그로브는 지구상에서 가장 생산적이고 생태적으로 중요한 생태계 중 하나이며, 일차 생산 속도는 열대 습윤 상록수림 및 산호초와 유사하다.[115] 맹그로브는 전 지구적 탄소 순환의 중요한 구성 요소로서, 매년 약 2,400만 톤의 탄소를 격리한다.[27][116] 맹그로브 탄소의 대부분은 토양과 지하의 죽은 뿌리 풀에 저장되어 숲 아래 영양소 보존과 재활용에 기여한다.[117] 맹그로브는 지구 해안 지역의 0.5%만을 차지하지만, 해안 퇴적물 탄소 저장량의 10~15%와 육상 탄소의 해양 유입량의 10~11%를 차지한다.[118] 이러한 맹그로브의 탄소 격리 기여는 온실 가스 배출 상쇄의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다.[95]
맹그로브 생태계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맹그로브 생물다양성에 대한 지식은 제한적이다. 이전 연구는 주로 맹그로브 동물군, 식물군, 박테리아 군집의 생물다양성을 조사했다.[120][121][122] 특히, 맹그로브 토양 생태계에서 바이러스 군집과 그 역할에 대한 정보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123][124] 숙주 군집 구조화 및 규제, 원소 생지화학적 순환 매개에서 바이러스의 중요성을 고려할 때, 맹그로브 생태계의 바이러스 군집 연구는 필수적이다. 또한, 간헐적인 해수 범람과 그에 따른 맹그로브 환경의 급격한 변화는 다른 시스템과 비교하여 맹그로브 토양에서 박테리아 및 바이러스 군집의 유전적, 기능적 다양성에 큰 차이를 유발할 수 있다.[125][95]
7. 종 분포
맹그로브는 열대성 식물의 한 종류이며, 플로리다 남부와 일본 남부, 남아프리카, 뉴질랜드, 오스트레일리아 빅토리아주 등 아열대 지역에도 일부 분포한다. 이러한 아열대 지역 분포는 끊어지지 않은 해안선과 섬 사슬 또는 풍부한 맹그로브 지역에서 따뜻한 해류를 따라 떠다니는 많은 종자(전파체) 덕분이다.[37]


분포의 한계 지역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 빅토리아주 웨스턴포트 베이와 코너 인렛에서처럼, 관목 형태의, 일반적으로 단일종인 Avicennia가 우점하는 식생으로 나타난다. 코너 인렛은 맹그로브가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가장 높은 위도(남위 38° 45')이다. 남위 37°까지 확장되는 뉴질랜드의 맹그로브도 같은 유형이며, 북섬 북부에서는 저지대 숲으로 시작하지만 남쪽으로 갈수록 저지대 관목이 된다. 두 경우 모두, 종은 ''Avicennia marina'' var. ''australis''로 언급되지만, 유전적 비교가 필요하다. 서부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A. marina''가 남위 33° 19'인 번버리까지 확장된다. 북반구에서는 플로리다의 관목형 ''Avicennia germinans''가 동해안의 세인트 어거스틴과 서해안의 시더 포인트까지 북쪽으로 확장된다. 버뮤다에서는 ''A. germinans''와 R. mangle의 기록이 있는데, 아마도 걸프 해류에 의해 공급되었을 것이다. 일본 남부에서는 K. obovata가 북위 약 31°까지 나타난다.[37]
맹그로브 숲은 2016년 기준으로 126개국과 지역에 분포하고 있으며, 분포 총면적은 약 15200000ha로 추정된다.[136] 주로 오세아니아(남태평양 제도부터 오스트레일리아까지),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한 아시아 대륙 남동부, 인도 아대륙, 동아프리카 남부(마다가스카르섬 포함), 서아프리카, 남아메리카 대륙 북부, 중앙아메리카와 서인도 제도, 북아메리카 남부(멕시코와 플로리다 반도)의 연안 지역에 분포한다. 일본에서는 난세이 제도 전역과 규슈 남부(오키나와현 전역과 가고시마현 남부)에 자연 분포하지만, 혼슈에도 인공적으로 이식된 곳이 있다. 반면 이즈·오가사와라·마리아나 제도에는 볼 수 없다.
특히 20세기 후반 이후 세계 각지의 맹그로브 숲의 대부분은 개발에 의한 벌채가 문제가 되고 있다.
8. 일본의 맹그로브
일본에서 맹그로브는 난세이 제도 전역과 규슈 남부(오키나와현 전역과 가고시마현 남부)에 자연적으로 분포하지만, 혼슈에도 인공적으로 이식된 곳이 있다.[136]
| 지역 | 맹그로브 종류 | 특징 | 비고 |
|---|---|---|---|
| 가고시마현 타네가시마 니시노오모테시 미나토가와 강어귀 | 메히루기 | 자연 분포 세계 최북단 | |
| 야쿠시마 쿠리우가와 | 메히루기 | 마을 지정 천연기념물 | |
| 아마미오시마 | 메히루기, 오히루기 | 아마미시 아마미군도 국립공원 특별보호지역(맹그로브 원생림)은 아마미오시마 최대 맹그로브 숲 | |
| 오키나와섬 | 오히루기, 메히루기, 야에야마히루기, 히루기모도키 | 히루기모도키는 섬 북부 오쿠비가와 강어귀에서만 서식, 야에야마히루기와 히루기모도키는 오키나와섬이 북쪽 한계선 | |
| 쿠메지마 | 오히루기, 메히루기, 야에야마히루기 | 섬 동부 기마가와 강어귀에 섬 유일 맹그로브 숲 | |
| 미야코지마 | 오히루기, 메히루기, 야에야마히루기, 히루기다마시 | 히루기다마시는 미야코지마가 북쪽 한계선 | |
| 이시가키섬 | 오히루기, 메히루기, 야에야마히루기, 히루기다마시, 히루기모도키, 마야푸시키 | 마야푸시키는 이시가키섬이 북쪽 한계선, 미야라가와 강어귀 맹그로브는 국가 천연기념물, 섬 서부 나구라 암팔은 국가 지정 조류보호구 및 람사르 협약 등록지 | |
| 이리오모테섬 | 맹그로브 식물 7종 모두 서식 | 나카마가와와 우라우치가와 강어귀에 광대한 맹그로브 숲, 나카마가와 맹그로브는 국가 천연기념물 | |
| 시즈오카현 이즈반도, 미나미이즈정 | 메히루기 | 1950년대 인공 이식, 세계 최북단 메히루기 군락 | |
| 가고시마시키이리나미미초 | 메히루기 | 에도 시대 이식 추정, 특별천연기념물 | 자연 분포 북쪽 한계선 아님 |
9. 맹그로브의 파괴와 재생, 신생
최근 세계 각지에서 맹그로브 숲의 파괴가 문제시되고 있다. 동남아시아에서는 숯의 원료로 쓰기 위한 벌채, 해안가 습지를 블랙타이거 등의 새우 양식장으로 개발하는 것이 주된 원인으로 꼽힌다. 가축 사료로 쓰기 위한 벌채도 이루어져 맹그로브 숲이 사라지고 있다.
열대우림의 파괴가 지구온난화와 관련된 문제가 되는 것처럼, 맹그로브 숲의 파괴도 동일한 맥락에서 주목받게 되었다. 또한 맹그로브 숲이 바다의 수질 정화에 기여하는 몫이 큰 것이 알려져, 세계적인 습지 가치의 재발견과 함께 그 의미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2004년의 수마트라 대지진 이후 맹그로브 숲에 의한 해일 피해 경감 효과가 알려졌다. 맹그로브 숲이 자연 방파제 역할을 하여 해일시 인명피해를 유발하는 표류 물체를 막아준다. 수마트라 대지진으로 큰 피해를 본 동남아시아의 나라들에서는 맹그로브 숲의 재생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여러 곳에서 맹그로브 숲의 재생을 목표로 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홍해에서는 사막 연안에 맹그로브 숲을 형성시키려는 시도가 있었다. 사구에서는 맹그로브 숲의 식물을 생육시키기 힘들지만 건목 등을 사용하여 울타리를 쳐 수류(水流)가 만들어지게 하면 생육이 시작되고, 군락이 조금 형성되면 그것이 방파제가 되어 조금씩 면적이 넓어진다고 한다.
쓰나미 발생 시 이외에도 맹그로브 숲에는 해안선의 침식을 막는 효과가 있다.[138] 이러한 재해 예방 및 생물다양성에서의 역할을 평가하여 세계 각지에서 맹그로브 숲의 재생과 조림에 의한 새로운 숲 조성이 시도되고 있다. 이집트에는 35곳의 맹그로브 숲이 있으며, 이 중 홍해에 면한 남부 하마타와 시나이반도 남부의 샤름엘셰이크 등 비교적 규모가 큰 4곳에서 이집트 정부가 2010년대 후반부터 연간 50000 그루의 페이스로 조림을 진행하고 있다.[138] 비닐하우스에서 씨앗에서부터 60cm 정도의 묘목으로 키운 후 이식한다.[138] 홍해 건너편의 사우디아라비아도 1억 그루의 조림 계획을 발표했다.[138]
일본에서도 맹그로브 숲의 정화 작용을 이용하려는 목적으로 맹그로브 숲 조성을 목표로 하는 사업이 각지에서 행해지고 있다. 오키나와현나하시의 만코에는 맹그로브 숲이 조림되어 분포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상류로부터의 토사 유입이나 생활 배수 유입, 쓰레기가 원인일 가능성도 있지만, 갯벌의 육지화나 악취 등의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
또한 이즈반도의 아오노가와 등 혼슈 태평양 연안에서도 맹그로브 숲을 기르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들 지역은 원래의 분포역이 아니므로 그대로는 생육시키기 어렵다. 그래서 비닐 시트 등을 덮어 보온하는 방법도 취해지고 있지만, 자연 식생의 교란이라는 의견도 있다.
맹그로브 생태계 보호를 위해 유네스코 총회에서는 매년 7월 26일을 '국제 맹그로브 생태계 보존의 날'로 지정했다.[149]
참조
[1]
논문
Plant salt tolerance: adaptations in halophytes
[2]
웹사이트
Many mangrove restorations fail. Is there a better way?
https://knowablemaga[...]
2021-08-11
[3]
웹사이트
Morphological and Physiological Adaptations: Florida mangrove website
http://www.nhmi.org/[...]
Nhmi.org
2012-02-08
[4]
서적
Manual on community-based mangrove rehabilitation
https://www.zsl.org/[...]
The Zoological Society of London ZSL
2021-08-15
[5]
논문
The Global Mangrove Watch—A New 2010 Global Baseline of Mangrove Extent
2018
[6]
논문
Status and distribution of mangrove forests of the world using earth observation satellite data: Status and distributions of global mangroves
2011
[7]
논문
The State of the World's Mangrove Forests: Past, Present, and Future
2019
[8]
논문
High-resolution mapping of losses and gains of Earth's tidal wetlands
https://www.reposito[...]
2022
[9]
웹사이트
New Satellite-Based maps of Mangrove heights
https://earthobserva[...]
2019-05-15
[10]
논문
Mangrove canopy height globally related to precipitation, temperature and cyclone frequency
[11]
웹사이트
International Day for the Conservation of the Mangrove Ecosystem
https://www.unesco.o[...]
2023-06-09
[12]
서적
Mangrove ecology, silviculture, and conservation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3
[13]
서적
English Words Abroad
https://books.google[...]
John Benjamins Publishing
2021-08-13
[14]
서적
The American Nations
https://books.google[...]
C. S. Rafinesque
[15]
서적
An Etymological Dictionary of Modern English
https://books.google[...]
Dover
2021-08-13
[16]
논문
A General Account of the Fauna and Flora of Mangrove Swamps and Forests in the Indo-West-Pacific Region
https://books.google[...]
2021-08-13
[17]
서적
The biology of mangroves and seagrasses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18]
서적
Florida Ethnobotany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04
[19]
웹사이트
Distribution of coral, mangrove and seagrass diversity
http://maps.grida.no[...]
Maps.grida.no
2012-02-08
[20]
웹사이트
Red mangrove
https://www.daf.qld.[...]
2021-08-13
[21]
웹사이트
Black Mangrove (''Avicennia germinans'')
https://environment.[...]
2021-08-13
[22]
웹사이트
Morphological and Physiological Adaptations
https://www.nhmi.org[...]
2021-08-13
[23]
논문
Role of root hydrophobic barriers in salt exclusion of a mangrove plant ''Avicennia officinalis''
2014-07
[24]
웹사이트
Sacrificial leaf hypothesis of mangroves
http://www.glomis.co[...]
GLOMIS
2012-01-21
[25]
논문
Novel water filtration of saline water in the outermost layer of mangrove roots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LLC
2016-02-05
[26]
웹사이트
Mangroves for the Marine Aquarium
http://www.reefkeepi[...]
Reef Central
2012-02-08
[27]
서적
The botany of mangrov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6
[28]
논문
Dynamics of element contents during the development of hypocotyles and leaves of certain mangrove species
[29]
논문
Salt tolerance mechanisms in mangroves: A review
[30]
논문
Role of root hydrophobic barriers in salt exclusion of a mangrove plant ''Avicennia'' officinalis
[31]
논문
How Mangroves Desalinate Seawater
[32]
논문
Sap Concentrations in Halophytes and Some Other Plants
[33]
논문
Physiology of Salt Excretion in the Mangrove Avicennia Marina (Forsk.) Vierh
[34]
논문
Effect of high external Na ''Cl'' concentration on the osmolality of xylem sap, leaf tissue and leaf glands secretion of the mangrove Avicennia germinans (L.) L
[35]
논문
Crosstalk between abiotic and biotic stress responses: A current view from the points of convergence in the stress signaling networks
[36]
논문
Mangrove Ecosystems☆
https://www.scienced[...]
Elsevier
2024-03-01
[37]
서적
The botany of mangrov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38]
논문
Rate of lineage origin explains the diversity anomaly in the world's mangrove vegetation
http://blue.utb.edu/[...]
2006
[39]
논문
The Loss of Species: Mangrove Extinction Risk and Geographic Areas of Global Concern
[40]
웹사이트
Mapping Mangroves by Satellite
https://earthobserva[...]
2010-11-30
[41]
웹사이트
Mangal (Mangrove). ''World Vegetation''
http://www.botgard.u[...]
Botgard.ucla.edu
2012-02-08
[42]
논문
The Role of Vegetated Coastal Wetlands for Marine Megafauna Conservation
2019
[43]
논문
Interference competition as a key determinant for spatial distribution of mangrove crabs
2018
[44]
논문
Heavy metals in mangroves: methodology, monitoring and management
2004
[45]
논문
Tidal-Scale Hydrodynamics within Mangrove Swamps
[46]
논문
The Asian Tsunami: A Protective Role for Coastal Vegetation
[47]
논문
Mangrove forest against dyke-break-induced tsunami on rapidly subsiding coasts
2016
[48]
논문
How effective were mangroves as a defence against the recent tsunami?
http://agritrop.cira[...]
[49]
논문
Surface wave propagation in mangrove forests
[50]
논문
Drag force due to vegetation in mangrove swamps
[51]
논문
Ontogenetic habitat shift, population growth, and burrowing behavior of the Indo-Pacific beach star, ''Archaster typicus'' (Echinodermata; Asteroidea)
[52]
백과사전
Seashore
Encarta Encyclopedia
[53]
논문
Paradoxical selective feeding on a low-nutrient diet: Why do mangrove crabs eat leaves?
[54]
논문
Importance of Mangrove Carbon for Aquatic Food Webs in Wet–Dry Tropical Estuaries
2015
[55]
논문
Primary Sources and Food Web Structure of a Tropical Wetland with High Density of Mangrove Forest
2020-11-05
[56]
논문
Diet and prey preference of juvenile lemon sharks Negaprion brevirostris
http://www.int-res.c[...]
2010-01-05
[57]
서적
Soil Salinity Management in Agriculture: Technological Advances and Applications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17
[58]
논문
Effects of anthropogenic disturbance on the species assemblages of birds in the back mangrove forests
https://link.springe[...]
2020-06
[59]
논문
Degradation of mangrove tissues by arboreal termites (''Nasutitermes acajutlae'') and their role in the mangrove C cycle (Puerto Rico): Chemical characterization and organic matter provenance using bulk δ13C, C/N, alkaline CuO oxidation-GC/MS, and solid-state
[60]
논문
Taraxerol and Rhizophora pollen as proxies for tracking past mangrove ecosystems
[61]
논문
Global carbon stocks and potential emissions due to mangrove deforestation from 2000 to 2012
2018
[62]
논문
Mangroves shelter coastal economic activity from cyclones
2019
[63]
논문
Plant Microbiome and Its Link to Plant Health: Host Species, Organs and Pseudomonas syringae pv. Actinidiae Infection Shaping Bacterial Phyllosphere Communities of Kiwifruit Plants
[64]
논문
Rhizobium and phosphate solubilizing bacteria improve the yield and phosphorus uptake in wheat (''Triticum aestivum'')
https://www.research[...]
2008
[65]
논문
Research priorities for harnessing plant microbiomes in sustainable agriculture
[66]
논문
The rhizosphere microbiome and plant health
[67]
논문
Pivotal roles of phyllosphere microorganisms at the interface between plant functioning and atmospheric trace gas dynamics
[68]
논문
Plant compartment and biogeography affect microbiome composition in cultivated and native Agave species
[69]
논문
The Populus holobiont: Dissecting the effects of plant niches and genotype on the microbiome
[70]
논문
Disentangling the factors shaping microbiota composition across the plant holobiont
[71]
논문
First Insights into the Microbiome of a Mangrove Tree Reveal Significant Differences in Taxonomic and Functional Composition among Plant and Soil Compartments
[72]
논문
Biodiversity and biotechnological potential of microorganisms from mangrove ecosystems: A review
[73]
논문
Revealing structure and assembly for rhizophyte-endophyte diazotrophic community in mangrove ecosystem after introduced Sonneratia apetala and Laguncularia racemosa
[74]
논문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global citrus rhizosphere microbiome
[75]
논문
Feed Your Friends: Do Plant Exudates Shape the Root Microbiome?
https://www.zora.uzh[...]
Elsevier BV
[76]
논문
The Role of Root Exudates in Rhizosphere Interactions with Plants and Other Organisms
[77]
논문
Diversity, function and assembly of mangrove root-associated microbial communities at a continuous fine-scale
[78]
논문
A Systematic Review of the Physicochemical and Microbial Diversity of Well-Preserved, Restored, and Disturbed Mangrove Forests: What Is Known and What Is the Way Forward?
2022-12-16
[79]
논문
Mangrove root: Adaptations and ecological importance
[80]
논문
Soil Physicochemical Patterns and Mangrove Species Distribution--Reciprocal Effects?
[81]
논문
The role of sediment microorganisms in the productivity, conservation, and rehabilitation of mangrove ecosystems: An overview
[82]
논문
Nutrition of mangroves
[83]
논문
Effects of arbuscular mycorrhizal inoculation and phosphorus supply on the growth and nutrient uptake of Kandelia obovata (Sheue, Liu & Yong) seedlings in autoclaved soil
[84]
논문
Structure, variation, and assembly of the root-associated microbiomes of rice
2015-01-20
[85]
논문
Microbial Interkingdom Interactions in Roots Promote Arabidopsis Survival
[86]
논문
Interactions between plants and soil shaping the root microbiome under abiotic stress
[87]
논문
Structure, variation, and assembly of the root-associated microbiomes of rice
[88]
논문
Roots Shaping Their Microbiome: Global Hotspots for Microbial Activity
[89]
논문
Initial utilization of rhizodeposits with rice growth in paddy soils: Rhizosphere and N fertilization effects
[90]
논문
Microbial interactions in the mycorrhizosphere and their significance for sustainable agriculture
[91]
논문
Feed Your Friends: Do Plant Exudates Shape the Root Microbiome?
https://www.zora.uzh[...]
[92]
논문
Niche and host-associated functional signatures of the root surface microbiome
[93]
논문
A practical guide to amplicon and metagenomic analysis of microbiome data
[94]
논문
Exploring bacterial functionality in mangrove sediments and its capability to overcome anthropogenic activity
https://research.rug[...]
2019
[95]
논문
Diversities and potential biogeochemical impacts of mangrove soil viruses
[96]
논문
Viruses in the sea
[97]
논문
Twelve previously unknown phage genera are ubiquitous in global oceans
[98]
논문
Environmental bacteriophages: Viruses of microbes in aquatic ecosystems
[99]
논문
Marine Viruses: Truth or Dare
[100]
논문
Deep-Sea Hydrothermal Vent Viruses Compensate for Microbial Metabolism in Virus-Host Interactions
[101]
논문
Modeling ecological drivers in marine viral communities using comparative metagenomics and network analyses
[102]
논문
Sulfur Oxidation Genes in Diverse Deep-Sea Viruses
[103]
논문
Algal virus boosts nitrogen uptake in the ocean
[104]
논문
Ecogenomics and potential biogeochemical impacts of globally abundant ocean viruses
[105]
논문
Viruses manipulate the marine environment
[106]
논문
Prevalence and Evolution of Core Photosystem II Genes in Marine Cyanobacterial Viruses and Their Hosts
[107]
논문
Phage auxiliary metabolic genes and the redirection of cyanobacterial host carbon metabolism
[108]
논문
Marine Viruses Exploit Their Host's Two-Component Regulatory System in Response to Resource Limitation
[109]
논문
Structure and function of a cyanophage-encoded peptide deformylase
[110]
논문
The Sorcerer II Global Ocean Sampling Expedition: Expanding the Universe of Protein Families
[111]
논문
Functional metagenomic profiling of nine biomes
[112]
논문
Virocell Metabolism: Metabolic Innovations During Host–Virus Interactions in the Ocean
[113]
논문
Depth-stratified functional and taxonomic niche specialization in the 'core' and 'flexible' Pacific Ocean Virome
[114]
논문
Virioplankton: Viruses in Aquatic Ecosystems
[115]
논문
Carbon sequestration in mangrove forests
[116]
논문
Relevance of mangroves for the production and deposition of organic matter along tropical continental margins
[117]
논문
Nutrient partitioning and storage in arid-zone forests of the mangroves Rhizophora stylosa and Avicennia marina
[118]
논문
Carbon Cycling and Storage in Mangrove Forests
[119]
논문
A reference-grade genome identifies salt-tolerance genes from the salt-secreting mangrove species Avicennia marina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LLC
2021-07-08
[120]
논문
Exploring the diversity of bacterial communities in sediments of urban mangrove forests
[121]
논문
The Microbiome of Brazilian Mangrove Sediments as Revealed by Metagenomics
[122]
서적
Species Diversity in Ecological Communities: Historical and Geographical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23]
논문
The 'Neglected' Soil Virome – Potential Role and Impact
[124]
논문
Viruses in Soil Ecosystems: An Unknown Quantity within an Unexplored Territory
[125]
논문
Recovery of novel bacterial diversity from mangrove sediment
[126]
논문
The origin, diversification and adaptation of a major mangrove clade (Rhizophoreae) revealed by whole-genome sequencing
Oxford University Press (OUP)
2017-06-05
[127]
웹사이트
mangrove
https://kotobank.jp/[...]
코토뱅크
2019-11-14
[128]
웹사이트
マングローブ
https://kotobank.jp/[...]
코토뱅크
2019-11-15
[129]
웹사이트
マングローブ
https://kotobank.jp/[...]
코토뱅크
2019-11-15
[130]
웹사이트
マングローブ
https://kotobank.jp/[...]
코토뱅크
2019-11-15
[131]
웹사이트
マングローブ
https://kotobank.jp/[...]
코토뱅크
2019-11-15
[132]
웹사이트
マングローブ
https://kotobank.jp/[...]
코토뱅크
2019-11-15
[133]
웹사이트
マングローブ
https://kotobank.jp/[...]
코토뱅크
2019-11-15
[134]
웹사이트
マングローブ林
https://kotobank.jp/[...]
코토뱅크
2019-11-15
[135]
웹사이트
紅樹林
https://kotobank.jp/[...]
코토뱅크
2019-11-15
[136]
서적
微地形学 人と自然をつなぐ鍵
古今書院
[137]
논문
[138]
뉴스
紅海に緑の防波堤を/ エジプト 温暖化対策 マングローブ植樹/政府主導 年5万本「次世代の宝に」
https://www.tokyo-np[...]
東京新聞
2022-09-01
[139]
웹사이트
胎生種子
https://kotobank.jp/[...]
코토뱅크
2019-11-15
[140]
기타
[141]
논문
2019-11-15
[142]
논문
2019-11-15
[143]
웹인용
맹그로브
https://stdict.korea[...]
국립국어원
2017-09-27
[144]
웹인용
맹그로브 숲
https://stdict.korea[...]
국립국어원
2017-09-27
[145]
웹사이트
mangrove
http://www.merriam-w[...]
[146]
간행물
ダイトウオオコウモリによるねぐらとしてのマングローブ利用に関する研究
http://subtropics.sa[...]
財団法人亜熱帯総合研究所
[147]
간행물
亜熱帯マングローブでのメジロを核にした混群形成
http://subtropics.sa[...]
財団法人亜熱帯総合研究所
[148]
서적
南の島の自然観察
東海大学出版会
[149]
웹인용
International Day for the Conservation of the Mangrove Ecosystem 2016
http://www.unesco.or[...]
2018-07-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