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민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민선은 대한민국의 유도 선수로,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여자 유도 66kg급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1988년 아시아 유도 선수권 대회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두각을 나타냈고, 1993년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세계적인 선수로 발돋움했다. 1995년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에서 2연패를 달성했으며,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서 동메달을 획득한 후 은퇴했으며, 현재 한국체육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2018년 국제 유도 연맹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0년 아시안 게임 유도 참가 선수 - 오가와 나오야
오가와 나오야는 유도, 프로레슬링, 종합격투기 선수로 활동하며,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 최연소 우승, 올림픽 은메달 획득, 전일본 유도 선수권 7회 우승 등의 뛰어난 경력을 가진 일본의 스포츠 선수이다. - 1990년 아시안 게임 유도 참가 선수 - 정훈 (유도 선수)
대한민국의 유도 선수 출신인 정훈은 아시안 게임과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한 후 은퇴하여 한국 및 중국 국가대표팀 감독을 맡아 올림픽 메달 획득에 기여했으며 현재는 대학에서 지도하고 있다. - 1994년 아시안 게임 유도 참가 선수 - 에모토 유코
에모토 유코는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여자 유도 66kg급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일본 선수로, 여자 유도가 올림픽 정식 종목이 된 후 일본 최초의 금메달리스트이며 은퇴 후에는 스포츠 해설가와 만화 원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 1994년 아시안 게임 유도 참가 선수 - 정훈 (유도 선수)
대한민국의 유도 선수 출신인 정훈은 아시안 게임과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한 후 은퇴하여 한국 및 중국 국가대표팀 감독을 맡아 올림픽 메달 획득에 기여했으며 현재는 대학에서 지도하고 있다. 
| 조민선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출생지 | 영암군, 전라남도, 대한민국 | 
| 국적 | 대한민국 | 
| 이름 | |
| 한글 | 조민선 | 
| 한자 | 曺敏仙 | 
| 로마자 표기 | Jo Min-seon | 
| 선수 정보 | |
| 종목 | 유도 | 
| 체급 | -48 kg ~ -70 kg | 
| 소속팀 | 쌍용 유도단 두산 유도단  | 
| 코치 | 최관용 이경근 장인권  | 
| 주요 대회 성적 | |
| 올림픽 | 금메달 (1996 애틀랜타, -66 kg) 동메달 (1988 서울, -48 kg) 동메달 (2000 시드니, -70 kg)  | 
|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 | 금메달 (1993 해밀턴, -66 kg) 금메달 (1995 지바, -66 kg) 동메달 (1989 베오그라드, -52 kg) 동메달 (1997 파리, -66 kg)  | 
| 아시안 게임 | 은메달 (1994 히로시마, -66 kg) 동메달 (1990 베이징, -56 kg)  | 
| 아시아 유도 선수권 대회 | 금메달 (1993 마카오, -66 kg) 동메달 (1988 다마스쿠스, -48 kg) 동메달 (1995 뉴델리, -66 kg) 동메달 (2000 오사카, -70 kg)  | 
| 동아시아 경기 대회 | 금메달 (1993 상하이, -66 kg) 금메달 (1997 부산, -66 kg)  | 
| 유니버시아드 | 금메달 (1995 후쿠오카, -66 kg) 금메달 (1995 후쿠오카, 단체전)  | 
| 세계 주니어 유도 선수권 대회 | 금메달 (1990 디종, -56 kg) | 
2. 선수 경력
1972년에 전라남도 영암에서 태어났으나 서울로 이사를 하면서 생활을 했다. 서울체육중학교로 입학을 하면서 유도를 배우기 시작했고 서울체육고등학교 입학과 동시에 국가대표로 발탁되었다. 1988년에 시리아 다마스쿠스에서 열린 아시아 유도 선수권 대회에서 최연소로 동메달을 획득하였고 52kg급으로 체급을 올려 1989년에 10월에는 유고슬라비아에서 열린 베오그라드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에서도 동메달을 획득했다. 1990년 2월에는 프랑스 파리 오픈 대회에서도 금메달을 획득을 시작으로 4월 파리 세계 청소년 유도 선수권 대회에서도 금메달 획득했나. 베이징 아시안 게임에서는 동메달에 그쳤으나 1991년 전국대회에서는 5체급을 달성해 주목받기 시작했으나 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선발전에서는 박지영에게 패해 올림픽을 진출에는 실패를 하고 만다.
그러나 1993년에 66kg급으로 체급을 올리면서 독일 오픈 대회에서 다시 금메달 획득을 시작으로 10월 캐나다 해밀턴에서 열린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에서 처음으로 금메달을 획득하고 11월 마카오에서 열린 아시아 유도 선수권 대회에서도 금메달을 차지했으나 히로시마 아시안 게임 결승전에서는 일본의 오이시 아이코에 패해 은메달에 머물렀으나. 1995년에 프랑스 파리 오픈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해 3연패를 달성하고 10월에는 일본 지바에서 열린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에서 다시 금메달을 차지해 2연패를 달성하게 되며 8월에 열린 1995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대회에서 처음으로 금메달을 획득하고 11월 인도 뉴델리에서 열린 아시아 유도 선수권 대회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면서 여자 유도계의 대표 선수로 부상하게 된다.
1996년 2월에 열린 오스트리아 오픈 대회에서 4연패를 달성하고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에서는 1회전부터 브라질의 캄포스를 한판승으로 이기고 2회전 역시 중국의 왕시아보를 한판승으로 다시 누르고 3회전 역시 도미니카의 피나를 누르고 준결승전에서는 네덜란드의 클라우디아 즈비어스를 한판으로 이기고 결승전에서는 폴란드의 슈체판스카를 누르고 이기고 여자 유도 선수 두번째로 금메달을 획득하게 된다. 1997년 2월 독일 오픈에서 우승해 5연패를 달성하고 10월에 열린 프랑스 파리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에서 동메달을 획득을 끝으로 1998년에 은퇴를 하였으나 1999년에 다시 국가대표로 복귀했고 70kg급으로 체급을 올려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 출천했으나 동메달을 획득하고 다시 은퇴를 선택했다.
1988년 서울 올림픽의 공개 종목유도에서는 48kg급에 출전하여 준결승에서 에자키 후미코에게 소내기로 유효를 빼앗겨 패했으나 3위를 차지했다. 1989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52kg급에서 출전하여 3위를 차지했다. 1990년에는 세계 주니어에 56kg급으로 출전하여 우승을 차지했다. 그 후 66kg급으로 체급을 올렸지만,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는 국내 예선에서 박지영에게 패하여 출전하지 못했다. 1993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결승에서 미국의 릴리코 오가사와라를 대내전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1994년 아시안 게임 결승에서는 오이시 아이코와 대결하여 유리하게 경기를 이끌었지만, 종료 1초 전에 허리후리기로 유효를 빼앗겨 패했다. 그 후의 세계 학생에서는 우승을 차지했다. 1995년에는 유니버시아드에서 우승했고,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도 결승에서 쿠바의 오다리스 레베를 안다리로 꺾고 2연패를 달성했다.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에서는 결승에서 폴란드의 아네타 슈체판스카를 합기술로 꺾는 등, 모두 한판승으로 우승을 차지했다. 이듬해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준결승에서 영국의 케이트 호웨이에게 쌍수걸이로 패하여 3위에 머물렀다. 그 후 잠시 은퇴했지만, 후배가 생각만큼 활약을 하지 못해 복귀하여 미키하우스에 소속하게 되었다. 2000년 아시아 선수권에서는 우에노 마사에에게 세로 네다리 굳히기로 패하여 3위였다.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서는 준결승에서 쿠바의 시벨리스 벨라네스에게 유효로 패했지만, 3위 결정전에서 벨기에의 율라 벨브룩을 유효로 꺾고 3위를 차지했다.
장신을 이용하여 안다리와 대내전이 주특기였다.
2018년, 19명의 IJF 명예의 전당 입성자 중 한 명이 되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계순희와 함께 단상에 올라 수상했다. 포토 세션에서는 투샷을 찍었다.
IJF 심판원 랭킹은 6.7 레이팅 포인트로 41위(2015년 7월 현재)이다.
2. 1. 초기 (48kg급, 52kg급, 56kg급)
1972년에 전라남도 영암에서 태어났으나 서울로 이사를 하면서 생활을 했다. 서울체육중학교로 입학을 하면서 유도를 배우기 시작했고 서울체육고등학교 입학과 동시에 국가대표로 발탁되었다. 1988년에 시리아 다마스쿠스에서 열린 아시아 유도 선수권 대회에서 최연소로 동메달을 획득하였고 52kg급으로 체급을 올려 1989년에 10월에는 유고슬라비아에서 열린 베오그라드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에서도 동메달을 획득했다. 1990년 2월에는 프랑스 파리 오픈 대회에서도 금메달을 획득을 시작으로 4월 파리 세계 청소년 유도 선수권 대회에서도 금메달 획득했나. 베이징 아시안 게임에서는 동메달에 그쳤으나 1991년 전국대회에서는 5체급을 달성해 주목받기 시작했으나 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선발전에서는 박지영에게 패해 올림픽을 진출에는 실패를 하고 만다.2. 2. 전성기 (66kg급)
조민선은 1993년에 66kg급으로 체급을 올린 후 세계 선수권 대회와 아시아 선수권 대회에서 연달아 금메달을 획득하며 국제 무대에서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1994년 히로시마 아시안 게임에서는 결승전에서 일본의 오이시 아이코에게 패하며 은메달에 머물렀다.1995년에는 세계 선수권 대회 2연패를 달성하고, 1995년 하계 유니버시아드에서도 금메달을 획득하며 여자 유도계의 대표 선수로 자리매김했다. 아시아 선수권 대회에서는 동메달을 획득했다.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한국 여자 유도 선수로는 두 번째로 올림픽 금메달리스트가 되었다. 결승전에서는 폴란드의 슈체판스카를 꺾었다. 1997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동메달을 획득했다.
2. 3. 후기 (70kg급) 및 은퇴
조민선은 1996년 오스트리아 오픈 대회에서 4연패를 달성하고,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에서 여자 유도 선수로는 두번째로 금메달을 획득했다. 1회전부터 결승전까지 모두 한판승으로 이기는 압도적인 경기력을 보여주었다. 결승전에서는 폴란드의 슈체판스카를 꺾고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1997년 2월 독일 오픈에서 우승하며 5연패를 달성했고, 10월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에서 동메달을 획득한 후 1998년에 은퇴했다.1999년 국가대표로 복귀, 70kg급으로 체급을 올려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 출전하여 동메달을 획득한 후 다시 은퇴했다.
3. 은퇴 후
시드니 올림픽 은퇴 후 한국체육대학교 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4. 수상
- 1988년 - 아시아 선수권 3위
 - 1988년 - 서울 올림픽 3위
 - 1989년 - 세계 선수권 3위(52 kg급)
 - 1990년 - 프랑스 국제 우승
 - 1990년 - 세계 주니어 우승
 - 1990년 - 아시안 게임 3위
 - 1992년 - 프랑스 국제 우승
 - 1992년 - 독일 국제 2위
 - 1993년 - 프랑스 국제 3위
 - 1993년 - 독일 국제 우승
 - 1993년 - 세계 선수권 우승
 - 1993년 - 아시아 선수권 우승
 - 1993년 - 후쿠오카 국제 우승
 - 1994년 - 독일 국제 우승
 - 1994년 - 아시안 게임 2위
 - 1994년 - 세계 학생 우승
 - 1995년 - 프랑스 국제 우승
 - 1995년 - 오스트리아 국제 3위
 - 1995년 - 독일 국제 우승
 - 1995년 - 유니버시아드 우승
 - 1995년 - 세계 선수권 우승
 - 1995년 - 아시아 선수권 3위
 - 1996년 - 프랑스 국제 3위
 - 1996년 - 오스트리아 국제 우승
 - 1996년 - 독일 국제 우승
 - 1996년 - 애틀랜타 올림픽 우승
 - 1996년 - 후쿠오카 국제 우승
 - 1997년 - 월드컵 단체전 2위
 - 1996년 - 오스트리아 국제 3위(72 kg급)
 - 1997년 - 독일 국제 우승
 - 1997년 - 동아시아 대회 우승
 - 1997년 - 세계 선수권 3위
 - 2000년 - 프랑스 국제 2위
 - 2000년 - 아시아 선수권 3위
 - 2000년 - 시드니 올림픽 3위
 - 2001년 - 그랑프리 세비야 5위
 
4. 1. 국제 대회
조민선은 다양한 국제 대회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 3위를 기록했다. 1989년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에서는 52kg급에서 3위를 차지했다.1990년에는 56kg급으로 프랑스 국제에서 우승하고, 세계 주니어 선수권에서 우승을 차지했으며, 아시안 게임에서는 3위를 기록했다.
1993년에는 66kg급으로 세계 선수권, 아시아 선수권, 후쿠오카 국제에서 모두 우승을 차지하는 쾌거를 이뤘다. 1994년 아시안 게임에서는 2위를 기록했지만, 세계 학생 선수권에서 우승했다.
1995년에는 유니버시아드와 세계 선수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에서는 금메달을 획득했다.
1997년 세계 선수권에서는 3위를 기록했다.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서는 70kg급으로 출전하여 동메달을 획득했다.
4. 2. 국내 대회
4. 3. 훈장



대통령표창 (1989년 9월 8일)
5. 기타
참조
[1] 
Sports-Reference
 
[2] 
웹사이트
 
Jo Min-Seon Biography and Olympic Results
 
http://www.sports-re[...] 
2021-09
 
[3] 
웹사이트
 
왕년 유도 스타 조민선 심판 맹활약
 
http://www.namdonews[...] 
2005-07-15
 
[4] 
간행물
 
2000年アジア選手権大会
 
近代柔道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2000-07
 
[5] 
웹사이트
 
Referees Ranking list 2015
 
http://www.intjudo.e[...] 
2015-07-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