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성희 (영화 감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성희는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이다. 서울대학교 산업디자인과를 졸업하고 한국영화아카데미(KAFA) 25기로 영화 연출을 공부했다. 2008년 단편 영화 《남매의 집》으로 데뷔하여, 미쟝센 단편 영화제, 서울독립영화제 등에서 수상하고 칸 영화제 시네파운데이션 부문에서 3등상을 받았다. 2011년 장편 데뷔작 《짐승의 끝》을 선보였으며, 2012년 《늑대소년》으로 2012년 한국 영화 흥행 3위를 기록하며 흥행 감독 반열에 올랐고, 한국영화기자협회 디스커버리상, 백상예술대상 영화 부문 신인감독상을 수상했다. 주요 연출 작품으로는 《남매의 집》, 《짐승의 끝》, 《늑대소년》, 《탐정 홍길동: 사라진 마을》, 《승리호》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원고등학교 동문 - 김선우 (1986년)
김선우는 2005년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에 입단하여 메이저리그에서 활동했으나 부상과 부진으로 기대에 미치지 못했고, 2011년 SK 와이번스에서 2015년까지 에이스로 활약하며 한국 프로야구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 수원고등학교 동문 - 김문환
김문환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로, 대전 하나 시티즌 소속, U-20 대표팀, 부산 아이파크, 로스앤젤레스 FC, 전북 현대 모터스, 알두하일 SC를 거쳤으며,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금메달, 2022년 FIFA 월드컵 참가 등 다양한 포지션을 소화하는 국가대표팀 멀티 플레이어이다. -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신인감독상 수상자 - 신성일
강신성일은 1960년 데뷔 후 청춘 멜로 영화로 큰 인기를 얻고 엄앵란과의 결혼과 별거, 국회의원 역임, 뇌물 수수 혐의, 그리고 폐암으로 사망하기까지 한국 영화계와 정치계에 족적을 남긴 배우이자 정치인이다. -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신인감독상 수상자 - 박철수 (영화 감독)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 박철수는 1978년 데뷔하여 멜로드라마 연출 후 독창적인 영화 세계를 구축, 여성의 욕망과 사회적 억압을 탐구하는 실험적인 작품을 만들었으며 대학교에서 후학 양성에 힘썼다. - 춘사영화상 수상자 - 김종수 (배우)
김종수는 1984년 극단 고래에 입단하여 연극 배우로 활동을 시작, 영화 《밀양》으로 스크린에 데뷔하여 다수의 영화에서 인상적인 연기를 선보였으며, 2023년 영화 《밀수》로 여러 영화제에서 남우조연상을 수상했다. - 춘사영화상 수상자 - 이병헌
1991년 KBS 공채 탤런트로 데뷔한 대한민국의 배우 이병헌(1970년 ~ )은 드라마와 영화에서 흥행과 비평 모두 성공하고 할리우드에도 진출했으며, BH 엔터테인먼트 설립과 사회 공헌 활동도 이어오고 있다.
조성희 (영화 감독)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조성희 |
로마자 표기 | Jo Seonghui |
한글 | 조성희 |
한자 | ! |
출생 | |
출생일 | 1979년 2월 3일 () |
출생지 | 경기도 수원시 |
직업 및 활동 | |
직업 | 영화 감독, 각본가, 애니메이터 |
학력 | 서울대학교 산업디자인 학사 한국영화아카데미 영화연출 전공 |
활동 기간 | 2009년 ~ 현재 |
수상 | |
수상 내역 | 2013년 제49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신인감독상 |
2. 학력
3. 경력
서울대학교에서 산업 디자인을 전공한 후, 서태지 컴퍼니와 어린이 애니메이션 회사인 올리브 스튜디오에 입사했다. 이 회사들에서 그는 조감독으로 다수의 뮤직 비디오와 애니메이션 영화 작업에 참여했다.[1] 또한 2007년에는 EBS에서 방영된 52부작 애니메이션 시리즈 ''따개비 루''를 연출하기도 했다.[2]
이후 한국영화아카데미(KAFA)에 진학하여 영화 연출을 공부했다. 그는 친구들과 재미로 만든 영화를 제출하여 입학했으며, KAFA 동기로는 훗날 영화 ''파수꾼''을 연출한 윤성현 감독이 있다. 그의 스승 중 한 명이었던 오승욱 감독(8월의 크리스마스의 각본가)은 "감독은 자신의 능력을 믿어야 하지만, 항상 자신의 작품에 도전하고 경험을 넓혀야 한다"고 가르쳤다.[3]
2008년, 그는 43분 분량의 단편 영화 ''남매의 집''을 직접 쓰고 연출했다. 이 영화는 가난한 남매가 집 지하실에서 낯선 이들에게 위협받는 이야기를 다룬다. ''남매의 집''은 2009년 미쟝센 단편 영화제와 서울독립영화제에서 최우수 작품상을 수상했으며, 전주국제영화제에서는 이스타젯상(최우수 한국 단편 영화)을, 칸 영화제 시네파운데이션 부문에서는 3등상을 받는 등 국내외 영화제에서 주목받았다.[4] 이 작품은 이후 옴니버스 영화 ''Nice Shorts''(2009)에 포함되어 개봉되기도 했다.[5]
KAFA 졸업 작품으로 2010년에는 이민지와 박해일이 출연한 ''짐승의 끝''을 선보이며 장편 영화 감독으로 데뷔했다. 종말, 공포, 미스터리 장르를 결합한 이 영화는 출산을 위해 고향으로 향하던 임신 말기의 여성이 겪는 기이한 시련을 그린다. 이 영화는 국내 평단과 해외 영화제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6]
2012년에는 두 번째 장편 영화 ''늑대소년''을 통해 대중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이전 작품들이 인간 심리를 파고드는 어두운 분위기였다면, ''늑대소년''은 송중기와 박보영을 주연으로 내세운 판타지 로맨스였다. 조성희 감독은 이 영화가 상업적인 성격을 띠지만, 제작 과정에서 타협하지 않았으며 "모든 세대가 즐길 수 있는 영화를 만들고 싶었다"고 밝혔다.[3][7] 영화는 그의 이전 작품들에서 보여준 특유의 유머와 불안감을 유지하면서도[8] 1960년대 한국 시골을 배경으로, 말을 하지 못하는 야생 소년과 그를 발견한 소녀의 성장 영화이자 로맨스 영화이다. 소녀는 개 훈련법을 참고해 소년에게 인간 사회의 규칙을 가르치고 둘 사이에 감정이 싹트지만, 소년의 비밀과 마을 사람들의 불안감이 그들의 관계를 위협한다.[9][10] ''늑대소년''은 2012년 토론토 국제 영화제에서 처음 공개된 후, 국내에서 약 700만 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2012년 한국 영화 흥행 3위에 올랐고, 역대 한국 멜로 영화 중 가장 높은 흥행 기록을 세웠다.[11] 이 영화로 조성희 감독은 2013년 한국영화기자협회에서 디스커버리상을, 제49회 백상예술대상 영화 부문 신인감독상을 수상했다.[12]
2013년에는 제12회 미쟝센 단편 영화제의 대표집행위원을 맡았다.
2021년 7월에는 제25회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의 부천 초이스 장편 부문 심사위원으로 위촉되었다.[13]
4. 작품 활동
조성희 감독은 단편 영화 연출을 시작으로 장편 영화, 애니메이션, 뮤직 비디오 등 다양한 영상 분야에서 감독, 각본, 편집 등 여러 역할을 맡으며 활동 영역을 넓혀왔다. 미쟝센 단편 영화제 수상작인 남매의 집 (2009)을 통해 영화계의 주목을 받았으며, 이후 늑대소년 (2012), 탐정 홍길동: 사라진 마을 (2016), 승리호 (2020) 등 독창적인 세계관을 담은 장편 상업 영화를 꾸준히 선보이고 있다. 상세한 작품 목록은 아래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1. 영화
wikitext연도 | 작품명 | 영문명 | 역할 | 비고 |
---|---|---|---|---|
2003년 | le chat magique|르 샤 마지크fra | 감독 | 애니메이션 단편 영화 | |
2004년 | 내가 있는 곳 | 감독 | 뮤직 비디오 | |
2006년 | 트로피칼리아 | 감독 | 단편 영화 | |
2007년 | 바나클 루 | 감독 | TV | |
2008년 | 집 밖으로 나오지 마세요 | 감독, 각본, 편집 | 단편 영화 | |
2009년 | 남매의 집 | 감독 | 단편 영화 | |
2009년 | 장례의 멤버 | 스토리보드 | ||
2011년 | 짐승의 끝 | End of Animal | 감독, 각본, 편집 | |
2012년 | 늑대소년 | A Werewolf Boy | 감독, 각본 | |
2016년 | 탐정 홍길동: 사라진 마을 | Phantom Detective | 감독 | |
2020년 | 승리호 | SPACE SWEEPERS | 감독, 각본 |
4. 2. 기타
5. 수상 내역
wikitext
연도 | 시상식 | 부문 | 작품 | 결과 | 비고 |
---|---|---|---|---|---|
2009 | 제35회 서울독립영화제 | 우수작품상 | 남매의 집 | 수상 | |
제8회 미쟝센 단편 영화제 | 대상 | 수상 | |||
절대악몽 최우수작품상 | 수상 | ||||
제62회 칸 영화제 | 시네파운데이션 3등 | 수상 | |||
제10회 전주국제영화제 | 최우수작품상 | 수상 | |||
2013 | 제4회 올해의 영화상 (한국영화기자협회) | 몽블랑 발견상 | 늑대소년 | 수상 | |
제49회 백상예술대상 | 영화 부문 작품상 | 후보 | [14][12] | ||
영화 부문 신인감독상 | 수상 | ||||
영화 부문 시나리오상 | 후보 | ||||
제5회 영국 테라코타 극동 영화제 | 커런트 아시안 시네마 관객상 | 수상 | |||
제50회 대종상 | 신인감독상 | 후보 | |||
제34회 청룡영화상 | 신인감독상 | 후보 | |||
2021 | 제26회 춘사영화제 | 감독상 | 승리호 | 수상 | [15] |
참조
[1]
웹사이트
조성희 (JO Sunghee)
http://www.cine21.co[...]
2013-02-24
[2]
웹사이트
JO Sung-hee
http://www.koreanfil[...]
2013-02-24
[3]
웹사이트
Director scores debut hit with coming-of-age beast tale
https://web.archive.[...]
2012-11-05
[4]
웹사이트
Don't Step Out of the House
http://www.festival-[...]
2013-02-24
[5]
웹사이트
Don't Step Out of the House (2008)
http://www.koreanfil[...]
2010-09-11
[6]
웹사이트
End of Animal
http://www.filmbiz.a[...]
2010-12-13
[7]
웹사이트
Uncomplicated relationship central to 'A Werewolf Boy'
http://koreajoongang[...]
2012-10-26
[8]
웹사이트
In Focus: A Werewolf Boy
http://www.koreanfil[...]
2012-10-05
[9]
웹사이트
Werewolf tale brings out beast in Song
http://nwww.koreaher[...]
2012-09-27
[10]
웹사이트
'Werewolf Boy' - witty, tragic tale of romance
https://www.koreatim[...]
2012-11-15
[11]
웹사이트
'Werewolf Boy' the top melodrama
http://koreajoongang[...]
2012-11-19
[12]
웹사이트
RYU Seung-ryong Wins Grand Prize at Baeksang Arts Awards
http://www.koreanfil[...]
2013-05-13
[13]
뉴스
https://n.news.naver[...]
Naver
2021-06-29
[14]
웹사이트
49th PaekSang Arts Awards Nominations Revealed
http://www.koreanfil[...]
2013-04-09
[15]
뉴스
https://n.news.naver[...]
Naver
2021-11-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