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슈아나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슈아나무는 미국 남서부와 멕시코 북서부 지역에 자생하는 유카속 식물이다. 1871년 조지 엥겔만에 의해 공식적으로 명명되었으며, 몰몬교 정착민들이 모하비 사막을 건너면서 성경 속 여호수아의 모습을 연상하여 이름 붙여졌다. 조슈아나무는 빠르게 성장하며, 잎은 짙은 녹색, 꽃은 크림색을 띠며 유카 나방에 의해 수분된다. 기후 변화와 산불 등으로 인해 개체 수 감소가 우려되며, 캘리포니아 주에서는 멸종 위협 종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조슈아나무를 식량과 섬유로 사용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후 변화의 영향 - 엘니뇨
엘니뇨는 2~7년 주기로 동태평양 해수면 온도가 높아지는 기후 현상으로, 전 지구적 기후와 지역별 기상 이변, 경제 및 사회, 생태계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친다. - 기후 변화의 영향 - 빙상
빙상은 지구에 존재하는 거대한 얼음 덩어리로, 중력, 온도, 기저 강도에 의해 역학이 결정되며, 빙하류나 빙붕을 통해 얼음을 배출하고 해양 빙상 불안정성, 해양 빙벽 불안정성 등의 요인으로 붕괴되어 해수면 상승과 지구 탄소 순환에 영향을 미치고 과거 빙하기-간빙기 주기에 따라 성장과 붕괴를 반복했다. - 관상수 - 나한송
나한송은 따뜻한 지역에서 자라는 상록 교목으로, 껍질이 벗겨지는 특징이 있고 건축재나 약재로 쓰이며 정원수로도 심는데, 종자는 독성이 있지만 붉은 종탁은 먹을 수 있다. - 관상수 - 은행나무
은행나무는 은행나무목 은행나무과에 속하는 낙엽성 교목으로, 현존하는 유일한 은행나무목 식물이며, 잎 모양 때문에 압각수, 열매 때문에 은행나무라 불리고, 동아시아에 주로 분포하며 가로수 등으로 널리 심어지나 은행은 식용 및 약용으로 쓰이지만 독성 성분에 주의해야 한다. - IUCN 적색 목록 최소관심종 - 올빼미
올빼미는 귀깃이 없고 야행성이며 작은 동물을 잡아먹고 사는 중형 올빼미로, 히말라야올빼미의 다른 이름이며, 세 가지 아종으로 분류된다. - IUCN 적색 목록 최소관심종 - 쇠황조롱이
쇠황조롱이는 매목 매과에 속하는 소형 맹금류로, 전 세계에 9개의 아종이 존재하며, 민첩한 사냥 능력으로 소형 조류, 포유류, 곤충 등을 먹이로 하고, 서식지 파괴의 위협에 직면해 있지만 IUCN 최소관심종으로 분류된다.
조슈아나무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Yucca brevifolia |
명명자 | Engelm. |
보존 상태 | 관심 필요 (LC) |
IUCN 3.1 | Esque, T.C.; DeFalco, L.A.; Hodgson, W.; Salywon, A.; Puente, R.; Clary, K. 2020. Yucca brevifolia. 2020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e.T117423077A117469962. |
NatureServe | G3 |
NatureServe Explorer 2.0 | https://explorer.natureserve.org/Taxon/ELEMENT_GLOBAL.2.160735/Yucca_brevifolia |
분포 지역 | 미국 |
![]() | |
이명 | Clistoyucca brevifolia (Engelm.) Rydb. Sarcoyucca brevifolia (Engelm.) Linding. Yucca arborescens (Torr.) Trel. Yucca jaegeriana (McKelvey) L.W.Lenz Yucca brevifolia subsp. jaegeriana (McKelvey) Hochstätter Yucca brevifolia var. jaegerana McKelvey Cleistoyucca arborescens (Torr.) Eastw. Clistoyucca arborescens (Torr.) Trel. Yucca arborescens (Torr.) Trel. Yucca brevifolia var. herbertii (J.M. Webber) Munz Yucca brevifolia fo. herbertii J.M. Webber Yucca brevifolia subsp. herbertii (J.M. Webber) Hochstätter Yucca brevifolia var. jaegerana McKelvey Yucca draconis var. arborescens Torr. |
이명 참고 | http://www.tropicos.org/name/18401424 |
생물학적 분류 | |
계 | 식물계 |
미분류 군 | 속씨식물군 |
미분류 군 | 외떡잎식물군 |
목 | 비짜루목 |
과 | 비짜루과 |
아과 | 용설란아과 |
속 | 유카속 |
종 | 조슈아나무 |
일반 정보 | |
서식 고도 | 400 ~ 1,800 m |
2. 분류
조슈아나무는 1871년 조지 엥겔만이 윌러 조사의 일부로 처음 ''Yucca brevifolia''라는 학명으로 공식 기술했다.[13]
조슈아나무는 기후 변화의 영향으로 서식지가 줄어들고 이동할 것으로 예측되는 종 중 하나이다.[30] 조슈아나무 국립공원에서 사라질 수 있다는 우려가 있으며, 생태학 연구에 따르면 21세기 말까지 현재 서식지의 90%까지 개체수가 감소할 가능성이 높다.[31][32][33][34] 이는 공원 생태계를 근본적으로 바꿀 수 있는 변화이다. 또한, 산불, 침입성 풀의 확산, 나무 씨앗의 비효율적인 이동 패턴 역시 이 종의 생존을 위협하는 요인이다.[34] 예를 들어, 세계에서 조슈아나무 밀도가 가장 높은 지역 중 하나인 모하비 국립보존지구에서는 2020년 8월 발생한 돔 화재로 인해 약 13%, 즉 130만 그루 이상의 조슈아나무가 소실되었다.[35] 약 13,000년 전 거대한 샤스타 땅늘보 (''Nothrotheriops shastensis'')가 멸종하면서, 조슈아나무가 기후 변화에 맞춰 유리한 서식지로 이동하는 능력에 대한 우려도 제기된다. 땅늘보의 배설물 화석에서 조슈아나무 잎, 열매, 씨앗이 발견되어, 과거 땅늘보가 씨앗을 퍼뜨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을 가능성이 시사된다. 현재는 땅다람쥐가 씨앗을 장거리로 옮기는 데 매우 효과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31][32]
자생명칭 아종인 ''Y. b.'' subsp. ''brevifolia'' 외에도, 다른 두 아종이 기술되었다:[21] ''Y. b.'' subsp. ''herbertii'' (웨버 유카 또는 허버트 조슈아나무)와 ''Y. b.'' subsp. ''jaegeriana'' (예거 조슈아나무 또는 피그마이 유카)이다. 이 두 아종은 때때로 변종[12][22][23] 또는 품종으로 취급되기도 한다.[24] ''Y.b.'' subsp. ''jaegeriana''는 또한 자체 종으로 취급되기도 한다.[25][26][27]
3. 생장 및 발달
조슈아 나무는 사막 종 중에서 빠르게 성장하는 편이다. 새로운 묘목은 처음 10년 동안 연평균 7.6cm까지 자랄 수 있으며, 그 이후에는 매년 약 3.8cm 정도 성장한다.[28] 줄기는 수천 개의 작은 섬유로 이루어져 있고, 연간 나이테가 없어 나무의 정확한 나이를 알기 어렵다. 이 나무는 가지가 무겁게 발달하고 뿌리 시스템이 넓게 퍼지는 특징이 있는데, 어떤 경우에는 본 나무에서 11m 떨어진 곳에서 뿌리가 발견되기도 했다.[4] 사막의 혹독한 환경을 견뎌내면 수백 년 동안 살 수 있으며, 가장 큰 나무는 키가 약 15m에 이른다. 새로운 개체는 주로 씨앗에서 자라지만, 일부 군집에서는 어미 나무 주변 지하 뿌리줄기에서 새로운 줄기가 뻗어 나와 번식하기도 한다.
상록수인 조슈아 나무의 잎은 짙은 녹색을 띠며, 길고 뾰족한 칼 모양이다. 길이는 15cm에서 35cm, 밑부분의 너비는 7mm에서 15mm 정도이며 끝은 날카롭다. 잎은 줄기 끝부분에 빽빽하게 나선형으로 배열되며, 가장자리는 흰색이고 톱니 모양을 하고 있다.
꽃은 보통 2월부터 4월 말 사이에 피며, 높이 30cm~55cm, 너비 30cm~38cm 크기의 원추꽃차례 형태로 핀다. 각각의 꽃은 위를 향해 곧게 서 있고 높이는 4cm~7cm 정도이다. 꽃잎과 꽃받침이 구분되지 않는 6개의 크림색 흰색 또는 녹색 꽃덮이를 가지며, 이 꽃덮이는 피침형이고 중앙에서 합쳐진다. 합쳐진 암술의 높이는 3cm이며, 암술머리 구멍은 엽으로 둘러싸여 있다. 꽃이 지고 나면 녹색을 띤 갈색의 타원형 열매가 맺히는데, 안에는 납작한 씨앗이 많이 들어 있다. 조슈아 나무는 대개 꽃이 핀 후에 가지가 갈라지지만(때로는 유카 구멍을 파는 바구미가 생장점을 파괴하여 갈라지기도 한다), 매년 꽃을 피우는 것은 아니다. 대부분의 사막 식물처럼 개화는 적절한 시기의 강수량에 영향을 받으며, 꽃을 피우기 위해서는 겨울철 추위를 겪어야 한다.
꽃이 피면 유카 나방( Tegeticula synthetica영어 )이라는 특정 나방에 의해 수분이 이루어진다. 유카 나방은 조슈아 나무 꽃 안에 알을 낳으면서 동시에 꽃가루를 옮겨 수분을 돕는다. 부화한 유충은 씨앗의 일부를 먹고 자라지만, 나무가 번식하는 데 필요한 충분한 양의 씨앗은 남게 된다. 조슈아 나무는 또한 너무 많은 알이 낳아진 씨방을 스스로 제거하여 조절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4. 분포 및 서식지
조슈아나무는 미국 남서부(애리조나, 캘리포니아, 네바다, 유타)와 멕시코 북서부가 원산지이다.[8] 이 분포 지역은 대부분 모하비 사막의 지리적 범위와 일치하며,[4] 모하비 사막에서 조슈아나무는 주요 지표종 중 하나로 여겨진다. 조슈아나무는 해발 고도 400m에서 1800m 사이에서 자란다.[29]
5. 보존 상태
2022년 3월, 캘리포니아 어류 및 야생동물부는 서부 조슈아나무를 캘리포니아 멸종 위기 종법(CESA)에 따라 위협 종으로 지정할지 결정하기 위한 상태 검토를 진행했다.[36] 이 연구는 ''Yucca brevifolia''에 대한 가장 큰 위협이 산불이며, 산불이 취약 지역의 개체 밀도를 위협하지만 서식지 경계 자체에는 위협이 되지 않는다고 분석했다. 또한 여러 개체군 연구에서 ''Yucca brevifolia''의 개체수가 풍부하며, 남부 지역에서는 개체수가 감소했지만 북부 지역에서는 지난 11,700년간 북미 빙상이 녹으면서 서식지가 확장되어 현재의 분포를 이루게 되었다는 경향을 확인했다. 화재 후 개체수 감소를 보고한 연구들은 항공 사진을 사용했는데, 이는 더 작고 어린 나무들을 실제보다 적게 집계하는 경향이 있어 검토 과정에서 지적되었다. 검토 결과는 다음과 같이 결론 내렸다:위에 설명된 기준에 따라, 현재 부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최상의 과학적 정보는 서부 조슈아나무가 서식지 손실, 서식지 변화, 과도한 착취, 포식, 경쟁 또는 질병을 포함한 하나 이상의 원인으로 인해 전체 또는 상당 부분에서 멸종될 심각한 위험에 처해 있지 않으며, CESA에서 요구하는 특별한 보호 및 관리 노력이 없는 한 가까운 미래에 멸종 위기 종이 될 가능성이 낮다는 것을 나타낸다.
2023년 2월, 캘리포니아 주지사 개빈 뉴섬 행정부는 기후 변화에 위협받는 종을 보호하면서도 남부 캘리포니아 사막 지역의 개발을 허용하는 데 중점을 둔 예산 부속 법안인 '서부 조슈아나무 보호법'을 제안했다. 이 법안은 기후 변화로 위협받을 수 있는 조슈아나무와 다른 종들에 대한 보존 계획 수립을 요구하며, 캘리포니아 어류 및 야생동물부가 특정 조건 하에서만 서부 조슈아나무의 제거를 허가하도록 규정한다.[37] 또한, 죽은 나무와 가지를 포함하여 서부 조슈아나무를 제거, 이식 또는 가지치기할 경우 최대 2500USD의 수수료를 부과하도록 했다.[38]
이 법안은 2023년 6월 캘리포니아 주의회에서 통과되었으며,[39] 2023년 7월 10일부터 발효되었다.[40]
6. 이용 및 재배
조슈아나무의 다양한 형태가 재배되고 있으며, 여기에는 분포 범위 동부에서 자생하는 더 작은 식물도 포함된다. 이러한 작은 식물은 높이 2.5m까지 자라며, 높이 약 1m 정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41] 붉은머리쏙독새는 이 가지에 둥지를 짓고, 이후 다른 새들이 사용한다.[42]
20세기 이전, 모하비 사막과 서부 소노란 사막의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조슈아 나무의 여러 부분을 식량과 섬유로 정기적으로 사용했다. 잎 섬유는 때때로 샌들을 묶고 제작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뿌리 덮개는 바구니에 붉은 갈색 디자인을 추가하기 위해 엮었다. 열매는 구워지거나 삶아진 후 먹었고, 씨앗은 가루로 갈아 다른 식물 종의 가루와 섞었다. 이 가루에 물을 적셔 반죽을 만들고, 이것을 케이크 형태로 만들어 말려 먹기도 했다.
참조
[1]
iucn
"''Yucca brevifolia''"
2020
[2]
웹사이트
NatureServe Explorer 2.0
https://explorer.nat[...]
2022-03-31
[3]
웹사이트
Yucca brevifolia
http://www.tropicos.[...]
Tropicos
[4]
웹사이트
Yucca brevifolia
http://www.fs.fed.us[...]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Forest Service, Rocky Mountain Research Station, Fire Sciences Laboratory
2023-07-30
[5]
웹사이트
Yucca brevifolia
http://bioimages.van[...]
Vanderbilt University
2014-12-06
[6]
웹사이트
Joshua Tree, Yucca brevifolia
http://www.delange.o[...]
Delange
2023-07-30
[7]
journal
United States Geological Exploration of the Fortieth Parallel
http://www.botanicus[...]
[8]
웹사이트
"''Yucca brevifolia'' Engelm."
https://powo.science[...]
Botany (journal) | Botany
2023-07-30
[9]
웹사이트
Joshua Tree Parkway {{!}} Wikieup to Wickenburg
https://www.arizonah[...]
Arizona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2023-07-30
[10]
웹사이트
Saddleback Butte State Park
https://www.parks.ca[...]
2023-06-21
[11]
웹사이트
Joshua Tree National Park
http://www.nps.gov/j[...]
National Park Service
2023-07-30
[12]
웹사이트
Yucca
https://www.itis.gov[...]
Integrated Taxonomic Information System
2012-03-30
[13]
웹사이트
"''Yucca brevifolia'' Engelm."
http://www.ipni.org/[...]
Royal Botanic Gardens, Kew
2008-12-20
[14]
웹사이트
Joshua Tree National Park
http://www.nps.gov/j[...]
National Park Service
2023-07-30
[15]
웹사이트
Joshua Tree National Park
http://travel.nation[...]
National Geographic Society
2013-05-27
[16]
웹사이트
Joshua Tree (Yucca brevifolia)
https://www.usanpn.o[...]
The California Phenology Project, USA National Phenology Network
2013-05-27
[17]
book
A Natural History of Western Trees
https://books.google[...]
Bonanza Books
[18]
book
Joshua Tree National Park
https://books.google[...]
Arcadia Publishing
2015
[19]
magazine
Why Joshua Tree?
https://books.google[...]
2019-01-11
[20]
웹사이트
Vegetation Specialist
https://www.nps.gov/[...]
2020-10-06
[21]
웹사이트
Yucca species
http://www.yuccaagav[...]
Yuccaagavaceae.com
2012-03-30
[22]
book
Elsevier's Dictionary of Trees - North America
https://books.google[...]
Elsevier
[23]
웹사이트
Checklist of Ventura County Rare Plants
http://www.cnpsci.or[...]
2023-07-30
[24]
book
Monocotyledons
Springer
[25]
journal
Reassessment of Yucca brevifolia and Recognition of Y. jaegeriana as a Distinct Species
https://scholarship.[...]
2007-07-25
[26]
iucn
"''Yucca jaegeriana''"
2020
[27]
웹사이트
NatureServe Explorer 2.0
https://explorer.nat[...]
2022-03-31
[28]
journal
A tree named Joshua
[29]
book
The Joshua Tree, a Controversial, Contradictory Desert Centurion
Yellow Rose Publications
[30]
journal
Potential changes in the distributions of western North America tree and shrub taxa under future climate scenarios
[31]
journal
Past and ongoing shifts in Joshua tree distribution support future modeled range contraction
http://www.fs.fed.us[...]
2023-07-30
[32]
웹사이트
Outlook Bleak for Joshua Trees
https://www.npr.org/[...]
2012-03-30
[33]
뉴스
"It makes me angry': is this the end for America's Joshua trees?"
https://www.theguard[...]
2019-08-10
[34]
뉴스
"Like witnessing a birth in a morgue': the volunteers working to save the Joshua trees"
https://www.theguard[...]
2022-01-20
[35]
웹사이트
Dome Fire torches 43,000 acres in Mojave National Preserve, many Joshua trees burned
https://www.desertsu[...]
2023-07-30
[36]
웹사이트
Report to the Fish and Game Commission Status Review of Western Joshua Tree (Yucca brevifolia)
https://www.biologic[...]
California Department of Fish and Wildlife
[37]
웹사이트
Newsom Administration offers legislation to protect western Joshua tree
https://www.latimes.[...]
2023-02-11
[38]
웹사이트
The Western Joshua Tree Conservation Act
https://trackbill.co[...]
2023-06-29
[39]
웹사이트
Joshua Trees win long term protection in environmental victory
https://www.theguard[...]
2023-06-28
[40]
웹사이트
Western Joshua Tree Conservation
https://wildlife.ca.[...]
2024-01-05
[41]
서적
Wild lilies, irises, and grasses: gardening with California monocot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42]
서적
The Audubon Society Field Guide to North American Trees: Western Region
Knopf
[43]
간행물
Yucca brevifolia
2021-11-18
[44]
웹인용
Yucca brevifolia
http://www.fs.fed.us[...]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Forest Service, Rocky Mountain Research Station, Fire Sciences Laboratory
2008-12-20
[45]
웹인용
Yucca brevifolia
http://bioimages.van[...]
Vanderbilt University
2014-12-06
[46]
웹인용
Joshua Tree, Yucca brevifolia
http://www.delange.o[...]
Delange
2012-03-30
[47]
저널
United States Geological Exploration of the Fortieth Parallel
http://www.botanicus[...]
[48]
웹인용
Yucca brevifolia Engelm.
http://www.plantsoft[...]
Royal Botanic Gardens, Kew
2020-06-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