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존 커 (물리학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존 커는 스코틀랜드의 물리학자이다. 1875년, 강한 전장을 등방성 재료에 가하면 복굴절이 발생하는 현상(전기 광학 커 효과)을 발견했고, 자기장에 의해 편광면이 변화하는 현상(자기 광학 커 효과)도 제시했다. 커 효과는 광학 기기의 초고속 셔터 원리로 사용되었고, 빛의 속도를 측정하는 데 기계적 셔터 대신 사용되었다. 그는 윌리엄 톰슨(켈빈 경)과 동갑내기 친구였으며, 글래스고 대학교에서 수학 및 물리학 강사로 활동했다. 1890년 왕립 학회 펠로우로 선출되었으며, 1898년 로열 메달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코틀랜드의 물리학자 - 제임스 듀어
    제임스 듀어는 저온 물리학에 기여한 스코틀랜드의 화학자이자 물리학자로, 코르다이트 공동 발명, 액체 산소 및 수소 액화 성공, 듀어병 발명 등의 업적을 남겼으며, 달의 듀어 크레이터는 그의 이름을 기려 명명되었다.
  • 스코틀랜드의 물리학자 - 존 로지 베어드
    존 로지 베어드는 1920년대 세계 최초로 작동 가능한 텔레비전 시스템을 개발하고 컬러 텔레비전 기술에도 기여한 영국의 발명가이자 텔레비전의 선구자이다.
  • 1824년 출생 - 베드르지흐 스메타나
    베드르지흐 스메타나는 체코의 작곡가, 피아니스트, 지휘자로, 민족 의식을 고취하는 작품 활동과 《팔려간 신부》, 《나의 조국》 등의 작품을 통해 체코 국민 음악의 기초를 확립하고 국제적으로도 널리 알려졌다.
  • 1824년 출생 - 조지 맥도널드
    조지 맥도널드는 1824년 스코틀랜드에서 태어나 《판타스테스》, 《공주와 고블린》 등의 작품을 통해 인간의 본성을 탐구하고 현대 판타지 문학에 영향을 준 작가이자 시인이다.
  • 1907년 사망 - 최익현
    최익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의병장으로, 흥선대원군의 정책을 비판하고 을사늑약 체결에 반대하며 의병을 일으켰으며, 위정척사 사상을 바탕으로 외세 침략에 저항하다 대마도에서 순국하고 건국훈장을 추서받았다.
  • 1907년 사망 - 이준 (1859년)
    이준은 대한제국의 법조인, 외교관, 독립운동가로서, 독립협회 활동, 민족 계몽 운동, 헤이그 특사 활동을 펼쳤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순국하여 일제의 침략을 알리고 독립 의지를 고취했으며 사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되었다.
존 커 (물리학자)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존 커, 1860년경, [[토머스 아난]] 사진
존 커, 1860년경, 토머스 아난 사진
이름존 커
출생1824년 12월 17일
출생지아드롯산, 스코틀랜드
사망1907년 8월 15일
사망지글래스고, 스코틀랜드
알려진 업적커 효과

2. 생애와 업적

존 커는 1824년 12월 17일 스코틀랜드 아드rossan에서 태어나 1907년 글래스고에서 생을 마감했다. 켈빈 경과 동갑내기 친구였으며, 켈빈 경이 글래스고 대학교 최초의 자연철학 교수가 되는 것을 도왔다.[3] 1890년 왕립 학회 펠로우로 선출되었고, 1898년 로열 메달을 수상했다.

2. 1. 교육 및 경력

존 커는 1841년부터 1846년까지 글래스고 대학교에서, 1849년에는 에든버러의 스코틀랜드 자유교회 신학대학에서 학생으로 공부했다. 1857년에는 글래스고 대학교에서 수학 및 물리학 강사가 되었다.[3]

2. 2. 주요 연구 업적: 커 효과

1875년, 존 커는 정전기장이 걸린 고체 및 액체 유전체에서 이중 굴절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발견했다. 이를 커 효과(Kerr effect)라고 한다. 커 효과는 굴절률의 변화가 전기장의 제곱에 비례하는 현상이다. (선형적인 관계는 포켈스 효과(Pockels effect)라고 한다.) 빛의 전기장을 이용하는 경우, AC 커 효과라고 한다.[1] 커는 또한 자기장에 대한 유사한 현상(자기광 커 효과)을 입증했다.[1]

커 효과는 100ns(나노초)만큼 빠른 셔터 속도로 고속 사진 촬영을 위한 셔터와 같은 응용 분야에서 사용되는 'Kerr cell'에서 활용된다. 1928년, 카롤루스 & 미텔스타트는 Kerr cell을 사용하여 빛의 빔을 변조하여 그 광속을 측정했다. 이전 측정은 약 10 kHz의 주파수를 가지는 기계적 수단을 사용했지만, Kerr cell은 10 MHz 이상의 주파수와 더 높은 측정 정밀도를 허용한다. 커의 원래 셀은 유리 블록이었지만, 현대의 셀은 일반적으로 니트로벤젠과 같은 액체로 채워진다.[1]

2. 3. 자기광 커 효과

커는 자기장에서 유사한 현상(편광면의 변화)을 발견했는데, 이를 자기광 커 효과(magneto-optic Kerr effect)라고 한다.

2. 4. 커 셀 (Kerr Cell)

커 효과는 Kerr Cell에 응용되어 100ns 정도의 아주 짧은 순간의 사진을 찍을 수 있게 한다. 1928년 카롤루스 & 미텔스타트는 Kerr cell을 이용하여 광속을 측정하였다. 이전의 측정은 약 10 kHz의 주파수를 달성하는 기계적 수단을 사용했지만, Kerr cell은 10 MHz 이상의 주파수와 더 높은 측정 정밀도를 허용했다. 커의 초기 셀은 유리 블록이었지만, 현대의 셀은 일반적으로 니트로벤젠과 같은 액체를 채워서 사용한다.

2. 5. 미터법 옹호

커는 영국에서 미터법을 초기에 옹호한 인물 중 한 명이다.[4]

3. 윌리엄 톰슨 (켈빈 경)과의 관계

켈빈 경과 동갑내기 친구였으며, 켈빈 경이 글래스고 대학교 최초의 자연철학 교수가 되는 것을 도왔다.

4. 수상 및 서훈

연도수상 및 서훈
1864년글래스고 대학교 명예 법학박사 학위 (LL.D.)[1]
1890년왕립학회 회원[2]
1898년왕립학회 로열 메달[3]
1902년시민 연금[4]


참조

[1] 서적 The Effects of a Magnetic Field on Radiation American Book Company
[2] 논문 A new relation between electricity and light: Dielectrified media birefringent
[3] 논문 A new relation between electricity and light: Dielectrified media birefringent (Second paper)
[4] 논문 On Rotation of the Plane of the Polarization by Reflection from the Pole of a Magnet https://books.google[...]
[5] 논문 John Kerr and his Effects Found in 1877 and 1878 http://www.computati[...]
[6] 문서
[7] 서적 The Metric System, Its Prospects in this Country Effingham Wils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