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주OECD 대한민국 대표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OECD 대한민국 대표부는 대한민국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가입하기 위한 준비 과정과 가입 이후의 활동을 담당하는 기관이다. 1978년 미국의 OECD 가입 권유를 시작으로 1990년대 본격적인 가입 준비를 거쳐 1996년 OECD 회원국이 되었으며, 2010년에는 OECD 개발원조위원회(DAC) 회원국으로 가입했다. 대표부에서는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교육부, 환경부 등 중앙 부처 공무원을 파견하여 OECD 관련 업무를 수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리 주재 공관 - 주프랑스 대한민국 대사관
    프랑스 파리에 위치한 주프랑스 대한민국 대사관은 대한민국 외교부 소속으로 프랑스와 모나코를 관할하며, 1886년 조불 수호 통상 조약 체결로 시작된 양국 외교 관계를 바탕으로 1958년 공사관에서 대사관으로 승격되었다.
  • 파리 주재 공관 - 주파리 퀘벡 정부 대표부
    주파리 퀘벡 정부 대표부는 퀘벡 주와 프랑스 간의 관계 증진을 목표로 경제, 문화,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교류를 수행하는 기관이다.
  • 경제협력개발기구 주재 대한민국 대사 - 한덕수
    한덕수는 경제 관료 출신 정치인으로, 제47대 국무총리를 역임했으며, 윤석열 정부에서 국무총리로 임명되어 의사 파업 대응과 의료 개혁을 추진했고, 대통령 탄핵 이후 권한대행을 맡았으나 탄핵소추로 직무가 정지되었다.
  • 경제협력개발기구 주재 대한민국 대사 - 김중수
    김중수는 펜실베이니아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대한민국의 경제학자이자 관료, 교육자로, 한국개발연구원(KDI) 원장, 경희대학교 아태국제대학원 교수, 한림대학교 총장, 대통령실 경제수석비서관, 주OECD 대한민국대표부 대사, 한국은행 총재 등을 역임하고 현재는 학교법인 한림대학교 이사 및 유한재단 이사장으로 재직 중이다.
  • 1997년 설립 - 홍콩
    홍콩은 중국 남부 해안에 위치한 특별행정구로서, 영국 식민지 시대를 거쳐 중국에 반환된 후 '일국양제' 원칙에 따라 높은 수준의 자치권을 누리며 서구와 동양 문화가 융합된 경제, 금융, 항구 도시이지만, 중국 정부의 개입으로 사회정치적 갈등과 민주주의 후퇴에 대한 우려가 존재한다.
  • 1997년 설립 - 다음
    다음은 1995년 설립되어 검색, 커뮤니티, 뉴스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했으며, 2014년 카카오와 합병 후 현재는 카카오의 주요 서비스 중 하나이다.
주OECD 대한민국 대표부
기본 정보
대한민국 국장
대한민국 국장
현지어 이름 (영어)Permanent Mission of the Republic of Korea to the OECD
설립일1997년
전신OECD 가입준비사무소 (1995년 ~ 1997년)
국가대한민국
소재지프랑스 파리
상급 기관대한민국 외교부
웹사이트주OECD 대한민국 대표부
기관 정보
기관장 성명최상대
기관장 직책대사

2. 역사

대한민국OECD 가입은 1978년 처음 논의가 시작된 이후,[1][2] 1980년대 비공식 대화와 1990년대 본격적인 준비 과정을 거쳐[3] 1996년 공식적으로 이루어졌다.[9][10][11][12] 가입 과정에서 외환위기를 앞두고 일부 회의적인 시각도 있었으나,[4][5][6][7][8] 가입은 성공적으로 완료되었다. 이후 2010년에는 OECD DAC 회원국으로도 가입하였다.[13][14][15]

2. 1. 가입 배경

대한민국OECD 가입 논의는 1978년 미국 재무부 장관 마이크 블루멘탈이 한국도 OECD에 가입해야 한다고 처음 언급하면서 시작되었다.[1][2] 이후 1980년대에 들어서 한국 정부와 OECD 간에 비공식적인 대화가 이루어졌으며, 본격적인 가입 준비는 1990년대부터 시작되었다.[3] 1992년 OECD 개발센터 가입을 시작으로 가입 준비가 이루어졌고, 1995년에는 주프랑스 대한민국 대사관 내에 OECD 가입준비사무소가 설치되면서 가입 절차가 순조롭게 진행되었다.

2. 2. 가입 절차

대한민국OECD 가입 논의는 1978년 미국 재무부 장관 마이크 블루멘탈이 한국의 가입 필요성을 처음 언급하면서 시작되었다.[1][2] 이후 1980년대에는 한국 정부와 OECD 사이에 비공식적인 대화가 오갔으며, 본격적인 가입 준비는 1990년대에 들어서 시작되었다.[3] 1992년 OECD 개발센터에 가입하면서 준비가 구체화되었고, 1995년에는 주프랑스 대한민국 대사관 내에 OECD 가입준비사무소가 설치되면서 가입 절차가 순조롭게 진행되었다. 하지만 당시 외환위기의 그림자가 드리우면서 OECD 가입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도 존재했다.[4][5][6][7][8] 그럼에도 불구하고, 1996년에 가입 협정에 서명하고 이를 기탁함으로써 대한민국은 공식적으로 OECD 회원국이 되었다.[9][10][11][12]

2. 3. 가입 이후

대한민국은 1996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 이후 점차 선진국의 모습을 갖추어 나갔다.[9][10][11][12] 특히 2010년에는 OECD 개발원조위원회(DAC) 회원국으로 가입하는 데 성공하며 국제 사회에서의 위상을 더욱 높였다.[13][14][15] 이는 과거 원조 수혜국이었던 한국이 공여국으로 전환되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중요한 발전으로 평가된다.

3. 역할

주OECD 대한민국 대표부는 대한민국의 여러 중앙 부처와 긴밀히 협력하며 OECD 관련 업무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관련 중앙 부처의 공무원들이 대표부 및 OECD 관련 프로그램에 파견되어 활동한다.[16][17]

3. 1. 인력 파견

OECD에는 대한민국의 중앙부처 소속 공무원들이 파견된다. 파견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하나는 주OECD 대한민국 대표부의 직원으로 근무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자문이나 연수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OECD 사무국 등에서 실제 업무를 담당하는 방식이다.[16] 주로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교육부, 환경부 등에서 공무원들이 파견되고 있다.[17]

3. 2. 주요 부처

OECD에는 대한민국 중앙부처 소속 공무원들을 파견하는 두 가지 방식이 있다. 하나는 한국 대표부 직원으로 직접 파견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자문이나 연수 프로그램으로 파견되어 실제 업무를 담당하는 방식이다.[16] 주로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교육부, 환경부에서 인원이 파견되고 있다.[17]

참조

[1] 웹인용 1~1000호 주요 등장인물과 10대 경제 사건 {{!}} Daum 부동산 https://realestate.d[...] 2023-11-12
[2] 웹인용 한국의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 가입 < 사료로 본 한국사 http://contents.hist[...] 2023-11-12
[3] 서적 OECD와 한국경제 http://openknowledge[...]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KOTRA) 1995
[4] 웹인용 한국의 OECD 가입배경 - 참여연대 - https://www.peoplepo[...] 2023-11-12
[5] 웹인용 "[1996.12.12] 한국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9번째 회원국으로 가입" https://97imf.kr/ite[...] 2023-11-12
[6] 웹인용 "OECD가입은 시기상조" https://www.joongang[...] 2023-11-12
[7] 웹인용 "[OECD 가입] 뒤늦은 '득-실 논쟁'..야당, '시기상조' 주장" https://www.hankyung[...] 2023-11-12
[8] 웹인용 국민회의 OECD가입 반대표결 방침 https://www.yna.co.k[...] 2023-11-12
[9] 웹인용 공관연혁 주오이시디 대한민국 대표부 https://overseas.mof[...] 2023-11-12
[10] 웹인용 한국 OECD 가입신청 의미 https://www.joongang[...] 2023-11-12
[11] 웹인용 OECD 상주 대표부 정부, 파리에 설치키로 https://www.mk.co.kr[...] 2023-11-12
[12] 웹인용 11/26 50년전 가난했던 한국이 선진국클럽에? https://radio.ytn.co[...] 2023-11-12
[13] 간행물 한국의 OECD/DAC 가입을 위한 DAC 특별심사 https://www.dbpia.co[...] 2008-08
[14] 웹인용 OECD 개발원조위원회(DAC) 가입 10주년 성과와 과제 {{!}} 전체보고서 {{!}} 보고서 {{!}} 발간물 https://www.kiep.go.[...] 2023-11-12
[15] 웹인용 한국, '선진국클럽' OECD 가입 25주년…정부 https://www.kita.net[...] 2023-11-12
[16] 웹인용 국가법령정보센터 {{!}} 양자조약 > 본문 https://www.law.go.k[...] 2024-03-20
[17] 웹인용 인사혁신처 https://www.mpm.go.k[...] 2024-03-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