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주 혜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 혜왕은 기원전 677년에 즉위하여 기원전 652년까지 재위한 주나라의 왕이다. 즉위 후 숙부 자퇴 일파를 탄압하고 대부들의 재산을 침해하여 반란을 겪었으며, 정나라와 괵나라의 도움으로 복위했다. 제 환공에게 패자의 지위를 하사하고, 후계 문제로 갈등을 겪다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7세기 중국의 군주 - 제 희공
    제 희공은 제나라의 제후로서 주변국과 우호 관계를 맺고, 송나라와 위나라 사이의 분쟁을 중재하며 북융의 침입을 격퇴하는 등 활발한 대외 활동을 펼쳤으나, 말년에 후계 구도에 혼란을 야기하다가 재위 33년 만에 사망했다.
  • 기원전 7세기 중국의 군주 - 제 환공
    제 환공은 춘추 시대 제나라의 제후이자 춘추오패의 첫 번째 패자로, 관중을 등용하여 제나라를 강성하게 만들고 초나라의 남진을 저지하는 등 춘추 시대 초반 질서 확립에 기여했으나, 관중 사후 정치적 혼란과 후계자 다툼으로 비참한 최후를 맞이하여 복합적인 평가를 받는다.
  • 주나라의 왕 - 주 무왕
    주 무왕은 서주를 건국하고 상나라를 멸망시켜 천자가 된 왕으로, 강태공, 주공단 등 인재를 등용하고 은나라 유민을 포용하는 정책을 펼쳐 주나라의 기틀을 다졌으며 사후 성왕으로 추앙받고 도교에서는 영보천존의 화신으로 여겨진다.
  • 주나라의 왕 - 주 성왕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주공 단의 섭정을 받은 주 성왕은 삼감의 난을 진압하고 낙양을 건설하는 등 국가의 기틀을 다졌으며, 오랑캐 부족을 정벌하여 국경을 안정시키고 아들 강왕과 함께 태평성대를 이루었다.
  • 기원전 7세기 사망 - 헤시오도스
    헤시오도스는 기원전 8세기경 고대 그리스 시인으로, 『신통기』와 『일과 날』을 통해 신화, 우주론, 농업, 윤리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당대 사회상과 가치관을 반영했고, 농부이자 방랑 음유시인으로서의 삶과 경험을 작품에 녹여내 정의와 노동의 가치를 성찰하여 서구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기원전 7세기 사망 - 제 희공
    제 희공은 제나라의 제후로서 주변국과 우호 관계를 맺고, 송나라와 위나라 사이의 분쟁을 중재하며 북융의 침입을 격퇴하는 등 활발한 대외 활동을 펼쳤으나, 말년에 후계 구도에 혼란을 야기하다가 재위 33년 만에 사망했다.
주 혜왕
기본 정보
왕위 계승주나라의 왕
재위 기간기원전 676년 – 기원전 652년
이전 통치자주 희왕
다음 통치자주 양왕
전체 이름성: 기(姬)
이름: 낭(閬) 또는 문(聞)
가문기씨
왕조주(동주)
사망일기원전 652년
시호혜왕(惠王)
아버지주 희왕
배우자진귀
주 혜후
자녀주 양왕
감 소공
왕 계
중국어 정보
시호c2: "혜"
p2: Zhōu Huì Wáng
w2: Chou Hui-wang
l2: "주의 자애로운 왕"
간체자周惠王
병음Zhōu Huì Wáng
일본어 정보
이름혜왕
대수17대
칭호
왕조
재위 기간기원전 676년 - 기원전 675년
기원전 673년 - 기원전 652년
도읍왕성(낙읍)
희 낭
시호혜왕
아버지희왕
사망년도기원전 652년
비고기원전 652년 훙거는 『사기』 주본기에 따름
『춘추좌씨전』에서는 기원전 653년 훙거

2. 생애

기원전 673년, 과 괵이 협력하여 자퇴와 그 일당 다섯 대부를 죽이고 혜왕을 복위시켰다. 혜왕은 에는 호뢰 동쪽의 땅을, 괵나라에는 주천 이북 땅을 주었다. 괵공에게 정여공보다 더 좋은 하사품을 준 것은 훗날 주나라와 정나라 사이가 벌어지는 원인이 되었다.[6]

기원전 667년, 혜왕은 제의 환공에게 패자(방백)의 지위를 하사했다.

기원전 652년, 혜왕은 사망하였다.

2. 1. 즉위 이전

기원전 677년, 아버지인 희왕이 사망하자 기원전 676년에 혜왕이 즉위했다. 혜왕은 할아버지 주 장왕의 애첩 왕요의 아들로 장왕에게 사랑받던 작은아버지 자퇴(子頹)의 일파를 탄압하여, 자퇴의 스승 위국 등 대신들의 장원을 빼앗아 유(짐승을 기르는 곳)로 만들었다. 또 대부 자금(子禽), 변백(邊伯), 축궤(祝跪), 첨보(詹父)의 재산을 침해했다.

이듬해인 기원전 675년 가을, 위의 다섯 대부와 사(士) 석속이 소자에 의지하고 자퇴를 옹립해 반란을 일으켰다. 혜왕측은 한 번은 반란군을 소자의 영읍인 온으로 쫓아냈으나, 연과 두 나라가 자퇴를 지원하여 혜왕이 쫓겨났다. 혜왕은 온(현재의 허난성 자오쭤시 원현 남부)으로 피했고, 여공은 자신이 13년간 망명할 때의 근거지인 역(현재의 허난성 위저우시)에서 혜왕을 맞이했다. 자퇴는 겨울에 주왕으로 등극했다.[4][5]

2. 2. 즉위와 반란

기원전 677년, 아버지인 희왕이 사망하여 혜왕이 즉위하였다. 기원전 676년 혜왕은 할아버지 주 장왕의 애첩 왕요의 아들인 작은아버지 자퇴(子頹)의 일파를 탄압하고, 자퇴의 스승 위국 등 대신들의 장원을 빼앗아 유(짐승을 기르는 곳)로 만들었다. 또한 대부 자금(子禽), 변백(邊伯), 축궤(祝跪), 첨보(詹父)의 재산을 침해했다.[4][5]

기원전 675년 가을, 위의 다섯 대부와 사(士) 석속이 소자에 의지하고 자퇴를 옹립해 반란을 일으켰다. 혜왕측이 한 번은 반란군을 소자의 영읍인 온으로 쫓아냈으나, 연과 두 나라가 자퇴를 지원해 혜왕이 쫓겨났다. 혜왕은 온(현재의 허난성 자오쭤시 원현 남부)으로 피했고, 여공은 자신이 13년간 망명할 때의 근거지인 역(현재의 허난성 위저우시)에서 혜왕을 맞이했다. 그해 겨울, 자퇴는 주왕으로 등극했다.[4][5]

기원전 673년, 은 괵과 협력해 자퇴와 그 일당 다섯 대부를 죽이고 혜왕을 복위시켰다. 혜왕은 에는 은상으로서 호뢰(현재의 허난성 싱양시) 동쪽의 땅을 하사했으며, 괵나라에는 주천 이북 땅을 주었다. 혜왕은 괵공에게 정여공보다 더 좋은 하사품을 주었고, 이는 주나라와 정나라 사이가 벌어져, 나중에 주 양왕정 문공 사이에서 분쟁이 일어나는 원인이 되었다.[6]

2. 3. 복위와 통치

기원전 677년 아버지인 희왕이 사망하여 혜왕이 즉위하였다. 혜왕은 할아버지 주 장왕의 애첩 왕요의 아들인 작은아버지 자퇴의 일파를 탄압하고, 여러 대신들의 재산을 침해했다.[4][5]

기원전 675년, 이에 반발한 다섯 대부와 사(士) 석속이 자퇴를 옹립해 반란을 일으켰다. 연과 두 나라가 자퇴를 지원하여 혜왕은 쫓겨나 여공에게 의탁했다. 그해 겨울, 자퇴는 주왕으로 등극했다.[4][5]

기원전 673년, 정은 괵과 협력해 자퇴와 그 일당을 죽이고 혜왕을 복위시켰다. 혜왕은 정에는 호뢰 동쪽의 땅을, 괵에는 주천 이북 땅을 주었다. 이때 혜왕은 괵공에게 정여공보다 더 좋은 하사품을 주었는데, 이는 훗날 주나라와 정나라 사이가 벌어지는 원인이 되었다.[6]

기원전 667년, 혜왕은 제의 환공에게 패자(방백)의 지위를 하사했다.

기원전 652년, 혜왕은 사망하였다.

2. 4. 후계 문제와 죽음

혜왕은 할아버지 주 장왕이 첩복인 자퇴를 총애하여 자신을 왕위에서 쫓아냈던 경험에도 불구하고, 후처 혜후의 아들 숙대를 편애하여 장자 정(주 양왕)의 왕위 계승을 위태롭게 했다.[4] 혜왕은 태자를 폐하고 숙대를 세우려 했으나, 제 환공은 이를 막기 위해 혜왕 22년(기원전 655년) 회맹에서 왕세자 정을 불러 제후들과 만나게 하여 태자 지위를 안정시키려 했다. 혜왕은 제 환공에게 대놓고 반대하지는 못하고, 회맹에 참여한 정나라를 이탈시키고 초나라, 진나라와 연합하려 했다. 정 문공은 왕명을 따라 회맹을 배반했다. 혜왕 23년(기원전 654년) 제 환공이 주도하는 제후연합군의 정나라 공격은 초나라가 허나라를 공격하여 실패했으나, 혜왕 24년(기원전 653년) 다시 공격을 받은 정나라가 제 환공에게 굴복하면서 혜왕의 계획은 무산되었다.[7]

혜왕 25년(기원전 652년), 혜왕이 서거하였다.

3.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왕후진후(陳後)왕비
왕후주혜후(周惠後)진나라 귀씨(媯姓) 출신, 진귀(陳媯)라고도 알려짐, 진 선공의 딸일 가능성 있음, 기원전 676년 혼인, 태자 정과 대왕자의 어머니[4]
아들태자 정(太子鄭)주 향왕, 기원전 651년-기원전 619년 재위
아들대왕자(王子帶)감조공(甘昭公), 기원전 672년-기원전 635년 재위
왕기(王姬)송 향공(기원전 637년 사망)과 혼인



혜왕은 할아버지 주 장왕이 첩복인 자퇴를 총애하여 왕위에서 쫓겨난 경험에도 불구하고, 후처 혜후의 아들 숙대를 사랑하여 장자 정(주 양왕)의 위치를 위태롭게 했다.[4]

참조

[1]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Ancient Chin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01-01
[2] 서적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3] 서적 春秋左氏伝
[4] 서적 사기
[5] 서적 역주 춘추좌씨전
[6] 서적
[7]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