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춘추 전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위는 상나라 멸망 후 서주 무왕의 동생 위 강숙에게 봉해져 건국된 나라이다. 초기에는 '백'으로 불리다가 주 이왕에게 뇌물을 바치고 '후'를 칭했다. 견융의 침입으로 주 왕실이 쇠퇴하자 위 무공이 공작이 되어 전성기를 맞았지만, 이후 공실의 혼란과 주변 국가의 압박으로 국력이 약화되었다. 기원전 632년 진나라에 정복당했다가 회복되었지만, 이후에도 내분과 주변국의 간섭으로 약해져 기원전 209년 진나라에 멸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위나라 (춘추 전국 시대) - 위 (전국)
위나라는 기원전 453년 진나라에서 분열되어 성립된 전국시대 국가로, 위 문후 시대에 전성기를 맞았으나 이후 쇠퇴하여 기원전 225년 진나라에 의해 멸망했다. - 위나라 (춘추 전국 시대) - 조가
조가는 상나라 말기의 수도이자 은허 남쪽에 위치한 고대 도시였으나, 주나라 멸망 후 위나라에 속했으며 춘추전국시대 분쟁 지역, 삼국시대 조가군을 거쳐 중화인민공화국 건립 후 치현의 중심지가 되었다가 도로 건설로 소멸되었다. - 허베이성의 역사 - 하북도
하북도는 당나라가 설치한 행정 구역으로, 현재의 허베이성, 산둥성 전역, 허난성 북부를 관할했으며, 안사의 난 이후 절도사 체제로 전환되어 당나라 쇠퇴의 원인이 되었다. - 허베이성의 역사 - 제나라
제나라는 중국 고대 국가로, 강태공에게 봉해진 땅에서 시작하여 강제와 전제 시대를 거쳐 진나라에 멸망했으며, 어업, 제염, 철 생산으로 경제적 부를 쌓고 직하학궁을 통해 학문과 사상의 중심지로 명성을 떨쳤다. - 허난성의 역사 - 상나라
상나라는 기원전 1600년경부터 기원전 1046년까지 중국을 지배한 왕조로, 갑골문 발견을 통해 역사적 사실이 증명되었으며, 발달된 청동기 문화와 문자 체계를 가졌고, 주나라에 의해 멸망한 후에도 일부 잔재가 이어졌다. - 허난성의 역사 - 정강의 변
정강의 변은 1125년부터 1127년까지 금나라의 침입으로 북송이 멸망한 사건으로, 휘종과 흠종을 포함한 황족들이 포로로 잡혀가고 사회 전반에 큰 충격을 주어 중국 역사에 깊은 상처를 남겼다.
위 (춘추 전국) | |
---|---|
기본 정보 | |
![]() | |
국명 | 衛 (Wèi) |
일반 명칭 | 위(Wey) |
위치 | 중국 |
존속 기간 | 기원전 1040년경 – 기원전 209년 |
정치 체제 | 군주제 |
수도 | 조가 (기원전 1040년경 – 기원전 661년) 추구 (기원전 659년 – 기원전 629년) 제구 (기원전 629년 – 기원전 241년) 야왕 (기원전 241년 – 기원전 209년) |
사용 언어 | 중국어 |
종교 | 중국 민간 신앙 조상 숭배 |
통화 | 해당 없음 |
역사 | |
건국 | 주나라 건국 |
멸망 | 진에 합병 |
주요 사건 | 해당 없음 |
지도자 | |
군주 | 해당 없음 |
기타 | |
씨족 | 희성 (zh) |
한국어 정보 | |
국성 | 희성 위씨(姬姓 衞氏) / 희성 자남씨(姬姓 子南氏) |
작위 | 후작(侯爵) / 위 사군(衞嗣君) 때 군(君)으로 강등됨 |
수도 (한국어) | 조가(朝歌) (허난성 치 현) 조(曹) (허난성 화 현) 초구(楚丘) (허난성 화 현 동부) 제구(帝丘) (허난성 푸양 현) 야왕(野王) |
분봉자 | 무왕(武王) |
시조 | 위 강숙(衛康叔) |
건국 (한국어) | 기원전 11세기 |
멸망 (한국어) | 기원전 209년 |
멸망 원인 | 진나라(秦) 이세황제(二世皇帝)에게 멸망 |
출전 | 《사기(史記)》 /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 |
2. 역사
상나라가 서주에 의해 멸망한 직후 서주 무왕의 친동생인 위 강숙이 상의 수도였던 조가(朝歌)와 그 주위의 땅에 봉해지면서 위나라가 세워졌다. 처음에는 위나라가 아니었으나 점차 영토가 성장하면서 국호를 위로 바꿨다.
《사기》에 따르면, 강숙이 봉토를 받은 후 2대 위 강백부터 7대 위후인 위 정백까지 '백'으로 불리다가 위 경후 때에 주 이왕에게 뇌물을 바치고 '후'를 칭했다. 기원전 771년 견융이 서주의 수도 호경을 함락했을 때 주 평왕의 요청으로 위 무공이 진(晉), 진(秦)과 함께 견융을 몰아낸 공으로 공작이 되었다. 위 무공은 주 왕실의 사도가 되었고, 이로써 위나라는 전성기를 맞았다.
그러나 위 무공이 사망한 후 공자들 간의 계승 문제로 공실이 혼란에 빠졌고 국력이 점점 약화되었다. 기원전 718년 위 선공이 즉위하여 혼란은 진정되었으나, 이후 위 혜공, 의공의 학정으로 국력은 계속 약화되었다. 기원전 660년 북적의 침공으로 수도 조가가 함락되고 의공이 살해되었다.
위 대공을 거쳐 위 문공이 즉위하여 제 환공의 도움을 받아 수도를 초구(楚丘)로 옮겨 나라를 수습하였다. 이후 북적의 계속된 침입으로 제구(帝丘)로 다시 천도하였으며, 북적의 침입 등으로 국력이 계속 약화되어 전국시대 초기에는 조, 제, 초, 위(魏)의 압박을 받았다.
기원전 241년 진(秦)이 위(魏)를 침공하면서 위나라 영토인 제구(帝丘) 주변에 동군(東郡)을 설치하고 야왕현(野王縣)에 위나라를 옮기면서 위나라는 사실상 진나라의 속국이 되었다. 위 원군의 아들 위군 각은 기원전 209년 진 이세황제 호해에 의해 폐위되었다.
2. 1. 초기 역사 (기원전 11세기 ~ 기원전 8세기)
위나라는 상나라가 서주에 의해 멸망한 직후 서주 무왕의 친동생인 위 강숙이 상의 수도였던 조가(朝歌)와 그 주위의 땅에 봉해짐으로써 세워졌다. 처음의 봉호는 위가 아니었으나 점차 그 영토가 성장함으로써 국호를 위로 바꿨다.《사기》에 따르면, 처음 강숙이 봉토를 받은 후 2대 위 강백부터 7대 위후인 위 정백까지 '백'으로 일컫다가 위 경후 때에 주 이왕에게 뇌물을 바치고 '후'를 칭했다. 기원전 771년 견융에 의해 서주의 수도 호경이 함락되었을 때 주 평왕의 요청으로 위 무공이 진(晉), 진(秦)과 함께 견융을 몰아낸 공으로 공작이 되었다. 이때 위 무공이 주 왕실의 사도가 됨으로써 위나라는 전성기를 맞았다.
그러나 위 무공이 사망한 후 공자들 간의 계승 문제로 공실이 혼란에 빠졌고 국력이 점점 약화되었다.
2. 2. 춘추 시대 (기원전 8세기 ~ 기원전 5세기)
서주에 의해 상나라가 멸망한 직후 서주 무왕의 친동생인 위 강숙이 상의 수도였던 조가(朝歌)와 그 주위의 땅에 봉해짐으로써 위나라가 세워졌다. 처음의 봉호는 위가 아니었으나 점차 그 영토가 성장함으로써 국호를 위로 바꿨다.《사기》에 따르면, 처음 강숙이 봉토를 받은 후 2대 위 강백부터 7대 위후인 위 정백까지 '백'으로 일컫다가 위 경후 때에 주 이왕에게 뇌물을 바치고 '후'를 칭했다. 기원전 771년 견융에 의해 서주의 수도 호경이 함락되었을 때 주 평왕의 요청으로 위 무공이 진(晉), 진(秦)과 함께 견융을 몰아낸 공으로 공작이 되었다. 이때 위 무공이 주 왕실의 사도가 됨으로써 위나라는 전성기를 맞았다.[1]
그러나 위 무공이 사망한 후 공자들 간의 계승 문제로 공실이 혼란에 빠졌고 국력이 점점 약화되었다. 기원전 718년에 위 선공이 즉위함으로써 이 혼란은 진정되었다. 하지만 훗날 위 혜공, 의공의 학정으로 계속적으로 국력을 약화시켰고, 기원전 660년에 결국 북적의 침공으로 수도 조가가 함락되고 의공은 살해되었다.
곧 위 대공을 거쳐 위 문공이 즉위하여, 제 환공의 도움을 받아 수도를 초구(楚丘)로 옮겨 나라를 수습하였다. 이후 북적의 계속된 침입으로 제구(帝丘)로 또 천도하였으며, 북적의 침입 등으로 국력이 계속해서 약화되어 전국시대 초기에는 조와 제, 초, 위(魏)의 압박을 받았다.
기원전 632년에는 진 문공에게 위나라가 정복당했는데, 문공(당시에는 충이)이 위나라로 망명했을 때 위나라 문공이 그를 잘 대우하지 않았고, 위나라 성공(위나라 문공의 아들)이 진 문공에게 거의 독살당할 뻔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결국 국가는 회복되었다. (성복 전투 전에 초나라가 송나라를 공격했을 때, 진나라는 위나라와 조나라를 공격하여 주의를 돌렸다.)
기원전 492년 위나라 출공(出公|출공중국어)은 할아버지인 영공(灵公|영공중국어)을 이어 왕위를 계승했지만, 영공의 상속자였던 그의 아버지 쾌궤(蒯聩|쾌궤중국어)는 폐위되어 추방되었다. 왕위를 얻기 위해 쾌궤는 자신의 아들과 싸웠고, 기원전 481년에 출공을 추방하는 데 성공했으며, 후장공(后庄公|후장공중국어)으로 칭해졌지만 3년 후 살해되었다. 출공은 기원전 475년에 복위했다. 아버지와 아들 간의 갈등은 위나라를 약화시켰고, 위나라는 곧 진나라의 조씨 가문에 부속되었다.
2. 3. 전국 시대와 멸망 (기원전 5세기 ~ 기원전 3세기)
위나라는 기원전 660년 북적의 침공으로 수도 조가가 함락되고 위 의공이 살해되는 등 혼란을 겪었다. 위 대공을 거쳐 위 문공이 즉위하여, 제 환공의 도움을 받아 수도를 초구(楚丘)로 옮겨 나라를 수습하였다. 이후 북적의 계속된 침입으로 제구(帝丘)로 또 천도하였으며, 국력이 계속해서 약화되어 전국시대 초기에는 조, 제, 초, 위(魏)의 압박을 받았다.기원전 346년, 위(衛) 공작은 스스로를 후작으로 낮추었다.[1] 기원전 320년, 위(衛) 후작은 다시 스스로를 '군'(君, 영주)으로 낮추었다.[1] 당시 위(衛)는 복양 (濮陽)이라는 단 하나의 현(縣)만을 소유하고 있었다.[1] 기원전 254년, 위(魏) (魏)의 안희왕(安釐王)이 위(衛)의 회군(衞怀君)을 죽였지만, 2년 후 위(衛) 가문 출신인 자신의 사위를 위(衛)의 영주로 선포하여 위(衛)는 위(魏)나라의 속국이 되었다.[1] 기원전 239년, 진(秦) (秦)은 복양(濮陽)을 점령했고, 위(衛)는 존속을 위해 야왕 (野王)으로 이주했다.[1]
기원전 241년에는 진(秦)이 위(魏)를 침공하면서 위나라 영토인 제구(帝丘) 주변에 동군(東郡)을 설치하고 야왕현(野王縣)에 위나라를 옮김으로써 위는 사실상 진나라의 속국이 되었다. 위 원군의 아들 위군 각은 기원전 209년 진 이세황제 호해에 의해 폐위되었다. 이 나라는 너무 약해 진 시황제에게 무시당했을 것으로 추정되며, 진(秦) 왕조가 붕괴되기 2년 전인 기원전 209년, 진 2세가 위군 각을 폐위시키면서 멸망했다.[1]
3. 역대 군주 목록
대수 | 시호 | 이름 | 재위 기간 |
---|---|---|---|
1 | 강숙 | 봉 | |
2 | 강백 | 모 | |
3 | 효백 | ||
4 | 사백 | ||
5 | 첩백 | ||
6 | 정백 | ||
7 | 정백 | ? ~ 기원전 867년 | |
8 | 경후 | 기원전 866년 ~ 기원전 855년 | |
9 | 희후 | 기원전 854년 ~ 기원전 813년 | |
10 | 공백 | 여 | 기원전 813년 |
11 | 무공 | 화 | 기원전 812년 ~ 기원전 758년 |
12 | 장공 | 양 | 기원전 757년 ~ 기원전 735년 |
13 | 환공 | 완 | 기원전 734년 ~ 기원전 719년 |
14 | 주우 | 기원전 719년 | |
15 | 선공 | 진 | 기원전 718년 ~ 기원전 700년 |
16 | 혜공 | 삭 | 기원전 699년 ~ 기원전 696년 |
17 | 검모 | 기원전 695년 ~ 기원전 688년 | |
18 | 혜공 | 삭 | 기원전 687년 ~ 기원전 669년 |
19 | 의공 | 적 | 기원전 668년 ~ 기원전 660년 |
20 | 대공 | 신 | 기원전 660년 |
21 | 문공 | 훼 | 기원전 659년 ~ 기원전 635년 |
22 | 성공 | 정 | 기원전 634년 ~ 기원전 632년 |
23 | 숙무 | 기원전 632년 | |
24 | 하 | 기원전 631년 ~ 기원전 630년 | |
25 | 성공 | 정 | 기원전 630년 ~ 기원전 600년 |
26 | 목공 | 속 | 기원전 599년 ~ 기원전 589년 |
27 | 정공 | 장 | 기원전 588년 ~ 기원전 577년 |
28 | 헌공 | 간 | 기원전 576년 ~ 기원전 559년 |
29 | 상공 | 추 | 기원전 558년 ~ 기원전 547년 |
30 | 헌공 | 간 | 기원전 546년 ~ 기원전 544년 |
31 | 양공 | 악 | 기원전 543년 ~ 기원전 535년 |
32 | 영공 | 원 | 기원전 534년 ~ 기원전 493년 |
33 | 출공 | 첩 | 기원전 492년 ~ 기원전 480년 |
34 | 장공 | 괴외 | 기원전 480년 ~ 기원전 479년 |
35 | 반사 | 기원전 478년 | |
36 | 기 | 기원전 477년 | |
37 | 출공 | 첩 | 기원전 476년 ~ 기원전 470년 |
38 | 도공 | 검 | 기원전 469년 ~ 기원전 465년 |
39 | 경공 | 불 | 기원전 464년 ~ 기원전 432년 |
40 | 소공 | 규 | 기원전 431년 ~ 기원전 426년 |
41 | 회공 | 미 | 기원전 425년 ~ 기원전 415년 |
42 | 신공 | 퇴 | 기원전 414년 ~ 기원전 373년 |
43 | 성공 | 훈 | 기원전 372년 ~ 기원전 362년 |
44 | 성후 | 속 | 기원전 361년 ~ 기원전 333년 |
45 | 평후 | 경 | 기원전 332년 ~ 기원전 325년 |
46 | 사군 | 기원전 324년 ~ 기원전 283년 | |
47 | 회군 | 기원전 282년 ~ 기원전 253년 | |
48 | 원군 | 기원전 252년 ~ 기원전 230년 | |
49 | 각 | 기원전 229년 ~ 기원전 209년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