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정나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나라는 기원전 806년 주 여왕의 아들이자 주 선왕의 동생인 정 환공 우가 세운 나라이다. 서주 말기부터 춘추 시대 초기에 걸쳐 주 왕실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외교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 춘추 시대 중·후반까지 강력한 세력을 유지했으나, 전국 시대 초기 한나라에 병합되어 멸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국 시대의 나라 - 예나라
    예나라는 서주 말기부터 전국 시대에 걸쳐 현재의 쑤저우시 지역에 존립했던 니나라 또는 소주이며, 주변 강대국 사이에서 존립하다가 초나라의 위협으로 멸망했고, 자오좡 시에서는 예나라 고분에서 다양한 유물이 출토되었다.
  • 전국 시대의 나라 - 동주 (전국)
    동주는 기원전 367년부터 기원전 249년까지 존재했던 주나라의 제후국으로, 《사기》 등의 역사서에 기록이 남아 있으며 기원전 249년 진나라에 의해 멸망했다.
  • 춘추 시대의 나라 - 심 (춘추)
    심(沈)은 희성을 가진 자작 작위의 국가로, 안후이성 푸양 시 린취안 현에 수도를 두었으며, 주 성왕 때 담계 재가 봉해지면서 시작되어 초나라와 동맹 관계를 맺었지만 기원전 506년 채나라에 멸망했다.
  • 춘추 시대의 나라 - 예나라
    예나라는 서주 말기부터 전국 시대에 걸쳐 현재의 쑤저우시 지역에 존립했던 니나라 또는 소주이며, 주변 강대국 사이에서 존립하다가 초나라의 위협으로 멸망했고, 자오좡 시에서는 예나라 고분에서 다양한 유물이 출토되었다.
  • 중국의 옛 나라 - 청나라
    청나라는 만주족이 세운 중국 최후의 통일 왕조로, 후금에서 국호를 변경하여 시작되었고 명나라를 멸망시킨 후 중국 대륙을 통일하여 강희제, 옹정제, 건륭제 시대에 전성기를 맞았으나, 서구 열강의 침략과 내부 반란, 근대화 개혁 실패 후 신해혁명으로 멸망, 중국 역사상 가장 넓은 영토를 확보하고 다민족 국가로서 독특한 문화를 발전시켰다.
  • 중국의 옛 나라 - 한나라
    한나라는 유방이 기원전 206년에 건국하여 220년에 멸망할 때까지 400년 이상 지속되었으며 전한과 후한으로 나뉘어 문화, 경제, 유교, 실크로드, 과학기술 등 중국 역사와 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왕조이다.
정나라
기본 정보
국명 (한자)鄭 (정)
로마자 표기Zheng (정)
위치주나라 시대의 국가
존속 기간기원전 806년 – 기원전 375년
멸망 원인한나라에 의해 멸망
수도정(鄭) (섬서성웨이난시화저우구)
신정(新鄭) (허난성신정시)
언어고대 중국어
종교도교, 애니미즘, 조상 숭배
화폐중국 동전; 삽전
"정" 전서(상), 정체자(중), 간체자(하)
주나라 시대 국가 지도 (정나라 표시)
주나라 시대 국가 지도 (정나라 표시)
정치
정치 체제공국
군주
주요 인물정 환공(희우)
정 장공
정 강공
재위 기간정 환공: 기원전 806년 – 기원전 771년
정 장공: 기원전 743년 – 기원전 701년
정 강공: 기원전 395년 – 기원전 375년
역사
건국주 선왕유 왕자에게 땅을 하사 (기원전 806년)
멸망한나라에 정복 (기원전 375년)
기타
국성희성
작위백작
사서 기록사기 (권42 정세가)
춘추좌씨전 (은공 원년에 첫 등장)

2. 역사

기원전 806년, 주 여왕의 아들이자 주 선왕의 동생인 정 환공 우(友)가 정(鄭, 현재의 중국 산시성 화현 서북쪽) 땅에 봉해지면서 정나라가 시작되었다. 주 유왕의 정치가 혼란스러워지자, 환공은 화를 피해 동쪽으로 이동하여 동괵(東虢)과 회(檜, 鄶)나라에서 열 읍을 받아 새로운 나라를 세웠다.[1][2][3][4]

정 환공은 서주 시대의 마지막 왕인 주 유왕의 숙부였고, 주 평왕의 종조부였기 때문에, 서주 말기와 춘추 시대 초기 정나라와 주 왕실은 매우 긴밀한 관계였다. 정 환공은 주 유왕의 사도로 일했고, 그의 후임인 정 무공정 장공 역시 주 평왕과 주 환왕의 경사(卿士)로 봉직했다.[1][2][3][4] 또한 오랜 시간이 지나 왕실과 혈연관계가 멀어진 다른 동성 제후국들과 달리 왕실에 대한 충성도가 높았고, 왕실 근처에 위치하여 왕실을 대신해 태산에 제사를 지내기도 했다. 이러한 관계로 춘추 시대 초기에 정나라는 국가 간 외교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

하지만 주 평왕 4년에 정 무공이 동성 제후국인 동괵을 멸망시키고 수도를 신정(지금의 허난성)으로 옮기면서 주 왕실과 정나라의 관계는 틀어지기 시작했다. 주 평왕의 뒤를 이은 주 환왕은 오랫동안 왕실에 봉사하며 동주 왕실의 핵심 세력이 된 정나라 공실을 탐탁지 않게 생각했고, 대신 다른 동성 제후인 괵나라를 중용했다.

주 왕실에서 정나라의 세력이 약해지자, 정 장공은 주 왕실의 권위를 무시하고 노나라와 서로의 봉토 안에 있는 제사용 봉토를 교환했다. 이에 분노한 주 환왕은 정나라의 영토 일부를 몰수하고 주변 제후국인 진(陳)나라, 채나라, 위(衛)나라의 군사를 모아 정나라를 공격했다. 그러나 정 장공의 반격으로 주 왕실과 연합군은 패배했고, 주 환왕은 팔에 화살을 맞아 부상을 입었다. 이 사건으로 동주 왕실의 힘은 결정적으로 약화되었으며, 주 환왕이 정 장공에게 패배한 시기 즈음이 춘추 시대가 시작되는 시점으로 여겨진다.

정 장공이 사망한 후, 정 소공, 정 여공 등 여러 공자들이 왕위 다툼을 벌이면서 국력이 급격히 약화되었다. 이로 인해 주변 강국인 진 (晉), 초, 제 사이에 끼어 제대로 힘을 발휘하지 못했다. 그러나 기원전 607년 진(晉), 진(陳), 위, 송의 연합군을 격파하고, 정 간공 시기에 자산을 등용하여 법 체계를 정비하는 등 일정 수준 이상의 국력을 유지하기도 했다.[1]

전국시대 초기부터 정나라는 한나라와 지속적으로 전쟁을 벌였다. 결국 내란이 일어난 틈을 타 한나라가 공격해 기원전 375년에 정나라는 멸망했다.[1]

2. 1. 건국

기원전 806년, 주 여왕의 아들이자 주 선왕의 동생인 정 환공 우(友)가 서주의 기내에 있는 정(鄭, 현재의 중국 산시성 화현 서북쪽) 땅에 봉해짐으로써 세워졌다.[1][2][3][4] 주 유왕의 정사가 어지러워지자 화를 피해 동쪽으로 옮겨 동괵(東虢)과 회(檜, 鄶)나라에서 열 읍을 받아 새로 나라를 세웠다. 환공은 서주 시대의 마지막 왕인 주 유왕의 숙부였으며 주 평왕의 종조부였으므로, 서주 말기와 춘추 시대 초기에 정나라와 주 왕실은 매우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였다. 정 환공은 주 유왕의 사도로 봉직했으며, 그 후임인 정 무공정 장공도 주 평왕과 주 환왕의 경사(卿士)로써 봉직했다.[1][2][3][4] 또한 오랜 세월이 지나 왕실과 혈연관계가 멀어진 다른 동성 제후국과 달리 왕실에 대한 충성도가 높았으며, 왕실 근처에 자리잡고 있어 왕실을 대신해 태산에 제사를 지내기도 했다. 이러한 주 왕실과의 관계로 인해 춘추 시대 초기에 정나라는 국가 간 외교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

2. 2. 춘추시대

기원전 806년, 주 여왕의 아들이자 주 선왕의 동생인 정 환공 우(友)가 서주의 기내에 있는 정(鄭, 현재의 섬서성 화현 서북쪽) 땅에 봉해짐으로써 정나라가 세워졌다. 주 유왕의 정사가 어지러워지자 화를 피해 동쪽으로 옮겨 동괵(東虢)과 회(檜, 鄶)나라에서 열 읍을 받아 새로 나라를 세웠다. 환공은 서주 시대의 마지막 왕인 주 유왕의 숙부였으며 주 평왕의 종조부였으므로, 서주 말기와 춘추 시대 초기에 정나라와 주 왕실은 매우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였다. 정 환공은 주 유왕의 사도로 봉직했으며, 그 후임인 정 무공정 장공도 주 평왕과 주 환왕의 경사(卿士)로써 봉직했다. 또한 오랜 세월이 지나 왕실과 혈연관계가 멀어진 다른 동성 제후국과 달리 왕실에 대한 충성도가 높았으며, 왕실 근처에 자리잡고 있어 왕실을 대신해 태산에 제사를 지내기도 했다.[5] 이러한 주 왕실과의 관계로 인해 춘추 시대 초기에 정나라는 국가간 외교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

그러나 주 평왕 4년에 정 무공이 같은 동성 제후국인 동괵을 멸망시키고 이름을 신정(지금의 허난성)으로 바꾸어 수도로 삼고, 주 평왕의 뒤를 이어 주 환왕이 즉위함으로써, 주 왕실과 정나라의 관계는 틀어졌다. 주 환왕은 오랫동안 왕실에 봉사하면서 동주 왕실의 핵심 세력이 된 정나라 공실을 탐탁지 않게 여겼고, 그 반대급부로 다른 동성 제후인 괵나라를 중용했다.

이러한 왕실의 세력 변화로 인해 주 왕실에서 정나라의 세력이 약화되자 정 장공은 주 왕실의 권위를 무시하고 노나라와 상대방의 봉토 안에 있는 각자의 제사용 봉토를 교환했으며, 이에 분노한 주 환왕은 정나라의 영토 일부를 몰수하고 주변 제후국인 진(陳)나라, 채나라, 위(衛)나라의 군사를 소집해 정나라를 공격했다. 그러나 정 장공의 반격으로 주 왕실과 그 연합군은 패배했으며, 주 환왕이 팔에 화살을 맞아 부상당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이 사건으로 인해 동주 왕실의 힘은 결정적으로 약화되었으며, 환왕이 정 장공에게 패배한 시기 근처가 바로 춘추 시대가 시작하는 때이다.

정 장공이 죽은 후에는 정 소공, 정 여공 및 다른 공자들의 공위 다툼으로 인해 국력이 급속히 약화되었으며, 주변 강국인 진 (晉), 초, 제의 사이에 끼어 제대로 된 힘을 발휘하지 못했다. 그러나 기원전 607년 진(晉), 진(陳), 위, 송의 연합군을 격파하고, 정 간공 시기에 자산을 등용하여 법 체계를 정비하는 등 일정 이상의 국력을 유지했다.[5]

정 장공(기원전 743–701년)은 춘추 오패의 선구자라고 할 수 있는데, 정나라는 주 왕조가 이끄는 제후국 연합을 격파하고 주 환왕에게 상처를 입히는 등, 후대의 패자들과는 매우 다른 방식으로 지배력을 얻었다. 장공이 죽자 그의 아들들 사이에 내전이 벌어졌고, 정나라는 강력한 국가로서의 지위를 잃었다.[5]

장공 사후, 장남 정 소공이 즉위하였으나, 재중의 압력으로 차남 정 여공에게 양위하였다. 이후 여공은 재중의 간섭에서 벗어나려다 실패하고 망명길에 올랐다. 여공의 동생 정 자영공이 잠시 통치했으나 암살당했고, 이후 여공이 복귀하여 정나라를 다스렸다.[5]

2. 3. 전국시대와 멸망

주 환왕이 즉위하면서 주 왕실과 정나라의 관계는 틀어졌다. 주 환왕은 정나라 공실을 탐탁지 않게 여겼고, 괵나라를 중용했다. 정 장공은 주 왕실의 권위를 무시하고 노나라와 봉토를 교환했으며, 분노한 주 환왕은 진(陳)나라, 채나라, 위(衛)나라의 군사를 소집해 정나라를 공격했다. 그러나 정 장공의 반격으로 주 왕실과 연합군은 패배하고, 주 환왕은 부상당했다. 이 사건으로 동주 왕실의 힘은 약화되었으며, 이 시기가 춘추 시대의 시작으로 여겨진다.[1]

정 장공 사후, 공위 다툼으로 국력이 약화되었고, 진 (晉), 초, 제 사이에서 어려움을 겪었다. 그러나 기원전 607년 진(晉), 진(陳), 위, 송의 연합군을 격파하고, 정 간공 시기 자산을 등용하여 법 체계를 정비하는 등 국력을 유지했다.[1]

전국시대 초기부터 한나라와 지속적으로 전쟁을 벌였고, 내란이 일어난 틈을 탄 한나라의 공격을 받아 기원전 375년에 멸망했다.[1] 정나라는 지리적 위치 때문에 주변 강대국에 포위되어 영토 확장이 어려웠다.[2] 춘추 시대 후기에 정나라는 외교적 동맹을 자주 바꿔야 했고, , 사이에서 분쟁의 초점이 되었다.[3]

목공 통치 하에 정나라는 기원전 607년에 진, , , 의 연합군을 격파했다.[8] 자산은 뛰어난 정치가로, 기원전 536년에 청동에 법률을 공포하여 중국 최초로 법률을 공포한 국가가 되었다.[8] 그러나 이후 내분으로 쇠퇴하여 전국 시대인 기원전 375년에 한나라에 병합되었다.[8]

3. 정치와 법률

기원전 5세기 중국 국가 지도


국가 간 경쟁이 심화되면서, 정나라는 영토를 확장할 여지가 없었다. 정나라는 지리적으로 중앙에 위치했기 때문에, 주변의 더 큰 국가들에게 포위되었다.

춘추 시대 후기에 정나라의 영토는 더욱 강력한 국가들의 경쟁 속에서 핵심적인 관심사가 되었다. 정나라는 외교적 동맹을 자주 바꿔야 했다. 처음에는 사이에서, 나중에는 초나라와 사이에서 분쟁의 초점이 되었다. 기원전 7세기까지 정나라는 결국 작은 역할만을 수행하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나라는 춘추 시대 중·후반까지 꽤 강력한 세력을 유지했다. 목공 통치 하에 정나라는 기원전 607년에 진, , , 의 연합군을 격파했다.

정나라의 재상 자산(543–522)은 당시 경쟁 국가들 사이에서 뛰어난 정치가로 널리 알려졌다. 자산은 목공의 손자였다. 또한 정나라는 기원전 536년에 청동에 법률을 공포한 중국 최초의 국가로 널리 알려져 있다.[1][2][3][8]

4. 문화


  • 자산: 저명한 철학자이자 정치가였다.
  • 정무: 열녀전에 등장하는 모범적인 여성이었다.
  • 신불해: 훗날 한나라의 재상을 지냈으며, "법가" 철학자로 알려져 있다.


공자는 『논어』에서 정나라의 음악이 음란한 것이 많다고 비판했다. 속된 곡이나 그다지 고상하지 않은 음악을 정성이라고 하는 것도 여기에서 유래한다. 『시경』에는 정나라의 곡이 수록되어 있는데, 음란한지는 알 수 없지만 남녀의 애정을 솔직하게 노래하는 것이 특징이다.

5. 역대 군주

대수시호재위비고
1환공우(友)기원전 806년 ~ 기원전 771년
2무공굴돌(掘突)기원전 770년 ~ 기원전 744년
3장공오생(寤生)기원전 743년 ~ 기원전 701년''준패자''라는 의견도 존재.
4소공홀(忽)기원전 701년
5여공돌(突)기원전 700년 ~ 기원전 697년
복위소공홀(忽)기원전 696년 ~ 기원전 695년여공이 채나라로 망명한 후 복위
6기원전 694년
7기원전 693년 ~ 기원전 680년
복위여공돌(突)기원전 679년 ~ 기원전 673년 시해 후 복위
8문공첩(踕)기원전 672년 ~ 기원전 628년
9목공란(蘭)기원전 627년 ~ 기원전 606년
10영공이(夷)기원전 605년
11양공견(堅)기원전 605년 ~ 기원전 587년
12도공비(費)기원전 586년 ~ 기원전 585년
13성공곤(睔)기원전 585년 ~ 기원전 582년
14기원전 581년성공이 진나라에 구금된 후 추대
임시곤완기원전 581년신료들이 시해 후 임시로 추대
복위성공곤(睔)기원전 581년 ~ 기원전 571년귀국 후 곤완을 대신하여 복위
15희공곤완(髡頑)
또는 운(惲)
기원전 570년 ~ 기원전 566년
16간공가(嘉)기원전 565년 ~ 기원전 530년
17정공영(寧)기원전 529년 ~ 기원전 514년
18헌공채(蠆)기원전 513년 ~ 기원전 502년
19성공승(勝)기원전 501년 ~ 기원전 464년
20애공역(易)기원전 463년 ~ 기원전 455년
21공공축(丑)기원전 454년 ~ 기원전 429년
22유공이(已)기원전 428년
23수공태(駘)기원전 427년 ~ 기원전 396년
24강공을(乙)기원전 395년 ~ 기원전 375년


참조

[1] 서적 An Outline History of China Foreign Language Press
[2] 서적 The Origins of Statecraft in China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 서적 The Multi-state System of Ancient China https://archive.org/[...] Shoe String Press 1953
[4] 웹사이트 The Regional State of Zheng 鄭 http://chinaknowledg[...] 2021-09-23
[5] 간행물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6] 서적 Writing Early China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023
[7] 간행물 refers to an episode in the ''Zuo Zhuan'' for Lady Mi: Duke Xi, 22 (638 BCE), i.e., Legge (1983), p.183: "the ladies Me and Këang, wives of Wǎn, the earl of Ch'ing" [that is: Mi, Wen, Zheng].
[8] 웹사이트 The Regional State of Zheng 鄭 http://chinaknowledg[...] 2021-09-23
[9] 서적 Ancient and Early Medieval Chinese Literature: A Reference Guide, Part Three & Four Brill 2014
[10] 서적 The landscape of words: stone inscriptions from early and medieval Ch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1] 서적 Philosopher, Practitioner, Politician: the Many Lives of Fazang (643-712) https://books.google[...] Brill 2007-05-11
[12] 서적 A Chinese word on image: Zheng Qiao (1104–1162) and his thought on images https://books.google[...] Acta Universitatis Gothoburgensis
[13] 논문 One Name, Three Monks: Two Northern Chan Masters Emerge from the Shadow of their Contemporary, the Tiantai Master Zhanran (711–782) https://books.googl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14] 문서 [[代 (戦国)|代]]は[[趙 (戦国)|趙]]の亡命政権であり、[[秦]]に滅ぼされた。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