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주우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우정은 오대 십국 시대 후량의 마지막 황제이다. 888년 변주에서 태어나, 913년 이복 형 주우규가 살해된 후 황위에 올랐다. 즉위 후 북방의 후당과의 항쟁, 천웅군 반란, 동복 동생 주우경 살해, 진과의 영토 분쟁 등 어려운 상황에 직면했다. 923년 후당의 이존욱에게 패배하여 자결, 후량은 멸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후량 (오대)의 황제 - 주전충
    주전충은 당나라 말기 후량의 초대 황제이며, 황소의 난을 진압하고 당나라의 실권을 장악한 뒤 애제로부터 선양을 받아 후량을 건국했지만, 아들에게 살해당했다.
  • 후량 (오대)의 황제 - 주우규
    주우규는 오대 십국 시대 후량의 황족으로, 아버지 주전충을 살해하고 황위에 올랐지만, 무능하고 잔혹한 통치로 인해 반란으로 살해되어 사후 서인으로 강등되었다.
  • 888년 출생 - 주우규
    주우규는 오대 십국 시대 후량의 황족으로, 아버지 주전충을 살해하고 황위에 올랐지만, 무능하고 잔혹한 통치로 인해 반란으로 살해되어 사후 서인으로 강등되었다.
  • 888년 출생 - 장정필
    장정필은 고려 태조가 후백제의 견훤을 정벌할 때 김선평, 권행과 함께 공을 세운 삼태사 중 한 명이다.
주우정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원어 이름朱友貞
계승 정보후량 황제
이전 통치자주우규
다음 통치자왕조 멸망
출생일888년 10월 20일
사망일923년 11월 18일 (35세)
가문주(朱)
왕조후량
연호건화(乾化) (913–915)
정명(貞明) (915–921)
용덕(龍德) (921–923)
개인 정보
주(Zhū, 朱)
원래 우정(Yǒuzhēn, 友貞), 913년에 굉(Huáng, 鍠)으로 변경, 915년에 전(Zhèn, 瑱)으로 변경
가족 관계
아버지태조
어머니현비 장씨 (원정황후)
배우자덕비 장씨

2. 생애

주우정은 후량 건국 후 균왕(均王)에 봉해졌고, 910년에는 동경마보군도지휘사(東京馬歩軍都指揮使)에 임명되었다.[1] 912년, 이복형인 영왕 주우규가 아버지 주전충을 살해하고 황제에 즉위하자, 주우정은 개봉부윤(현재의 개봉)이 되었다.[4] 그러나 주우규는 황음한 생활로 정치를 어지럽혔고, 이에 불만을 품은 원상선 등이 반란을 일으켜 주우규를 살해하고 주우정을 황제로 추대하였다.[4]

주우정은 즉위 후 이름을 주황(朱晃), 나중에는 주진(朱瑱)으로 바꾸었다.[4] 그는 후량에 다시 복속한 주우겸에게 회유책을 보냈고, 진(晉)과의 전쟁, 기(岐), 오(吳)와의 대립 등 어려운 상황에 직면했다.[4] 914년, 기에 대비하고, 오에 항복한 왕인(王殷)을 대신하여 동생 주우장(朱友璋)을 무녕군 병마사로 임명하려 했으나, 왕인이 오에 항복하면서 실패했다. 이후 장군 노존절(牛存節)과 유순(劉鄩)을 보내 서주(徐州)를 함락시키고 왕인을 자결하게 했다.[8]

915년, 양사후(楊師厚)가 죽자, 주진은 천웅군(天雄軍)을 약화시키기 위해 조덕군(昭德軍)을 신설하여 천웅군을 분할하려 했다. 그러나 천웅군 병사들이 반란을 일으켜 진(晉)에 항복하면서 실패했다.[8] 이후 진과의 전투에서 후량은 계속 패배했고, 916년 가을에는 황하 북쪽의 거의 모든 영토를 상실했다.[8]

917년, 주진은 낙양에서 천지에 제사를 지내려 했으나, 진군이 양류(楊劉)를 함락시키자 취소하고 달량으로 돌아왔다.[10] 918년, 진의 대규모 공격에 후량군은 큰 피해를 입었다.[10] 920년, 아들 주령덕(朱令德) 문제로 갈등을 겪던 주전(朱全)이 진에 항복했다.[11]

921년, 진의 왕용(王鎔)이 암살당하고 조(趙)의 영토가 진에 흡수되는 과정에서, 주진은 경상(景翔)의 군사 지원 제안을 거절하고 장문리(張文禮)를 돕지 않았다.[11] 923년, 이존욱후당을 건국하고 운주(鄆州)를 함락시키자, 주진은 대사원(戴思遠)을 좌천시키고 왕언장을 후당과의 전쟁 사령관으로 임명했다.[3] 그러나 왕언장은 조연(趙延) 등의 참소로 파면되고 단녕(段凝)이 임명되었다. 주진은 화주(滑州)의 황하 제방을 파괴하여 홍수를 일으켜 후당의 공격을 막으려 했다.[3]

단녕은 후당에 대한 반격 계획을 세웠으나, 후량 장교 강연소(康延孝)가 후당에 투항하여 계획이 누설되었다.[3] 이존욱은 달량으로 진격하여 왕언장을 사로잡고, 주진은 황보린(皇甫麟)에게 자신을 죽이게 한 후 자살하여 후량은 멸망했다.[3]

송나라의 사학자 사마광은 주우정이 온화하고 검소하며 자제력이 있었지만, 조연 등을 신뢰하고 경상 등의 의견을 듣지 않아 멸망을 초래했다고 평가했다.[3]

2. 1. 출생과 초기 생애

주우정은 888년 당나라 변주(汴州, 현재 허난성(河南省) 개봉(開封))에서 태어났다. 그는 당시 선무군(宣武軍) 절도사(현재 변주에 본부를 둔 군벌)였던 아버지 주전충(朱全忠)의 네 번째 아들이었다. 그의 어머니는 주전충의 부인 장씨(張氏)였으며,[1] 그는 그녀의 유일한 친생자였다.[6] 그는 잘생기고 말수가 적으며 학자들을 편애하는 것으로 묘사되었다. 900년, 그는 하남(河南, 즉 낙양(洛陽) 지역)에서 군사 고문의 칭호를 받았다.[1]

그는 후량의 태조인 주전충의 넷째 아들이며, 빈왕(郴王) 주우유(朱友裕)와 제2대 황제 주우규(朱友珪)의 이복동생이다. 아버지 주전충이 당나라를 찬탈한 후에 균왕(均王)으로 봉해졌다. 910년에 동경마보군도지휘사(東京馬歩軍都指揮使)에 임명되었다.

2. 2. 즉위 과정

912년 주우규가 아버지 주전충을 살해하고 황제로 즉위하면서 주우정은 개봉부윤으로 있었다. 그러나 주우규의 경솔한 행동과 그가 태조를 죽였다는 소문으로 백성들과 군대의 불만이 커졌다.[4]

이후 원상선 등이 반란을 일으켜 주우규를 살해하고, 주우정을 황제로 옹립하였다.[7] 주우정은 즉위 후 주우규가 사용했던 봉력(鳳暦) 연호를 폐지하고, 태조 주원장(朱溫)이 사용했던 건화(乾化) 연호를 부활시켰다.

3. 치세

913년 주우정은 황제에 즉위한 뒤 주우규가 사용했던 연호를 폐지하고, 아버지 주전충이 사용하던 연호인 건화(乾化)를 부활시켰다.[7] 즉위 후 후량은 내정과 외교 모두에서 어려움을 겪었다. 특히 북방의 진(晉, 후의 후당)과의 갈등은 계속되었다.

915년 정명(貞明)으로 개원하고, 천웅절도사(天雄節度使) 양사후가 사망하자, 주우정은 천웅군을 분할하여 그 세력을 억제하려 하였으나, 이는 오히려 천웅군 군대가 반란을 일으켜 진에 투항하는 결과를 초래했다.[8] 같은 해 이복동생 강왕(康王) 주우경이 모반을 일으키자 자객을 보내 주우경을 살해했다. 이후 주우정은 황실과 거리를 두고 조암 등 측근을 요직에 앉혀 전제 정치를 추진하였다.[8]

916년 진과의 전투에서 여러 차례 패배한 후량은 황하 이북의 영토 대부분을 잃었고, 이후 후량의 영토는 계속 잠식되었다.[8] 917년에는 유언이 남한을 건국하고 황제로 즉위하면서 또 다른 문제가 발생했다.

921년 주우정은 용덕(龍德)으로 개원하였다. 그러나 후량은 멸망 직전이었고, 사촌 주우능의 모반으로 지지도가 낮았다. 주우정은 형 주우량과 동생 주우회 등을 연좌죄로 처형하여 제위 찬탈에 대한 불안을 제거하였다. 또한 이복 동생 주우옹, 주우휘가 모반을 꾀한다는 첩보를 입수하고 이들을 살해했다.

이처럼 후량이 내홍으로 혼란스러운 틈을 타, 후당 황제 이존욱이 총공격을 감행했다. 절망한 주우정은 시위군 장교 황보린(皇甫麟)에게 자결을 명하고, 황보린도 주군의 명에 따라 자결하였다. 이로써 후량은 멸망하였다.[3]

3. 1. 내정

913년 주우정은 황제에 즉위한 뒤 주우규가 사용했던 연호를 폐지하고, 아버지 주전충이 사용하던 연호인 건화(乾化)를 부활시켰다.[7]

즉위 후 후량은 내정 뿐만 아니라 외교적으로도 북방 유목민족인 사타족의 진(晉, 후의 후당)과의 항쟁이 계속되어, 어려운 문제를 안고 출발하였다. 915년 정명(貞明)으로 개원하고, 천웅절도사(天雄節度使) 양사후가 사망하자, 주우정은 천웅군을 분할하여 그 세력을 억제하려 하였으나, 이로 인해 천웅군 군대가 반란을 일으켜 진에 투항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8]

같은 해 이복동생 강왕(康王) 주우경이 모반을 일으키자, 자객을 보내 주우경을 살해했다. 이후 주우정은 황실과 거리를 두고 조암 등 측근을 요직에 앉혀 전제 정치를 추진하였다.[8]

916년 진과의 전투에서 여러 차례 패배한 후량은 황하 이북의 영토 대부분을 잃었고, 이후 후량의 영토는 계속 잠식되었다.[8]

921년 주우정은 용덕(龍德)으로 개원하였다. 그러나 후량은 멸망 직전이었고, 사촌 주우능의 모반으로 지지도가 낮았다. 주우정은 형 주우량과 동생 주우회 등을 연좌죄로 처형하여 제위 찬탈에 대한 불안을 제거하였다. 또한 이복 동생 주우옹, 주우휘가 모반을 꾀한다는 첩보를 입수하고 이들을 살해했다. 이처럼 후량이 내홍으로 혼란스러운 틈을 타, 후당 황제 이존욱이 총공격을 감행했다. 절망한 주우정은 시위군 장교 황보린(皇甫麟)에게 자결을 명하고, 황보린도 주군의 명에 따라 자결하였다. 이로써 후량은 멸망하였다.[3]

3. 2. 대외 관계

주우정은 대외 관계에서도 여러 어려움에 직면했다. 특히 북방의 진(晉, 후의 후당)과의 지속적인 갈등은 그의 치세에 큰 부담으로 작용했다.

915년, 양사후가 사망하자 천웅절도사군을 분할하여 세력을 약화시키려 했으나, 이는 오히려 군대의 반란을 야기하여 진나라에 투항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916년에는 진나라와의 전투에서 패배하여 황하 이북의 대부분 영토를 상실했다.

917년, 유언이 청해군(현재의 광둥성 광저우)에서 남한을 건국하고 황제로 즉위하면서 또 다른 대외 문제가 발생했다. 920년에는 주우정의 아들 주령덕이 계승한 중무군에서 주전이 반란을 일으켰다가 진에 항복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921년, 이존욱의 동맹 세력이었던 조(趙)나라의 왕 왕용이 암살당하고, 그 영토가 진에게 흡수되는 과정에서 후량은 진을 견제할 기회를 잃었다.

3. 2. 1. 후당과의 전쟁

주우정은 913년 황제에 즉위한 후 주우규가 사용했던 연호를 폐지하고, 아버지 주전충이 사용하던 연호인 건화(乾化)를 부활시켰다. 그러나 북방 유목민 국가인 진(晉, 후의 후당)과의 항쟁이 계속되어 어려운 상황에서 통치를 시작하였다.[4]

915년 정명(貞明)으로 개원하고, 양사후가 사망하자 천웅절도사군을 분할하여 세력을 분산시키려 하였으나, 이로 인해 천웅절도사 군대가 반란을 일으켜 진나라에 투항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8] 같은 해, 이복동생 강왕 주우경이 모반을 일으켜 자객을 보내 살해했다. 이후 조암 등 측근을 요직에 앉히고 전제 정치를 추진하였다.[8]

916년 진나라와의 전투에서 여러 차례 패배하여 황하 이북의 대부분 영토를 잃었고, 이후 후량의 영토는 계속 잠식되었다.[8]

921년 용덕(龍德)으로 개원하였으나, 왕조는 멸망 직전에 이르렀다. 사촌 주우능의 모반 이후 지지도가 좋지 않았던 형 주우량과 동생 주우회 등을 연좌죄로 처형하여 제위 찬탈에 대한 불안을 제거하였다. 또한, 이복 동생 주우옹, 주우휘의 모반 음모 첩보를 입수하여 이복동생들을 죽였다.[3]

후량이 내홍으로 혼란스러운 틈을 타, 후당 황제 이존욱의 총공격을 받았다. 자포자기한 주우정은 시위군 장교 황보린(皇甫麟)에게 자결을 명하고, 황보린도 주군의 명을 따라 자결하여 후량은 멸망하였다.[3]

3. 2. 2. 기타 국가와의 관계

주우정은 즉위 후, 북방 유목민 국가인 진(晉, 후의 후당)과의 항쟁을 계속해야 했고, 이는 어려운 외교 문제로 이어졌다.[4] 915년, 천웅절도사(天雄節度使) 양사후가 사망하자, 주우정은 천웅절도사군을 분할하여 세력을 분산시키려 했으나, 이로 인해 군대의 반란이 일어나 진나라에 투항하는 사건이 발생했다.[8]

916년, 후량은 진나라와의 전투에서 패배하여 황하 이북의 대부분의 영토를 잃었다.[8] 917년에는 유언이 청해군(清海, 현재의 광동성 광주)에서 새로운 독립 국가인 월(越) (나중에 한(漢)으로 개명, 역사적으로 남한(Southern Han)으로 알려짐)의 황제로 자칭했다.[10]

920년, 주우정의 아들 주령덕(朱令德)이 중무군(忠武, 현재 산시성(陝西) 위난(渭南)에 위치)을 이어받은 후, 주전(朱全)이 후량에 반기를 들었다가 다시 진(晉)에 항복하는 사건이 발생했다.[11]

921년, 이존욱의 주요 동맹자인 왕용(王鎔, 조(趙) 왕)이 양자 장문리(張文禮, 왕덕명)에게 암살당했고, 장문리는 조의 영토를 장악했다. 장문리는 후량과 거란(遼)에 비밀리에 접근하여 저항을 준비했으나, 결국 진에게 패배하고 조의 영토는 진에 흡수되었다.[11]

923년, 후당의 황제로 즉위한 이존욱이사원을 보내 후량의 천평군(天平, 현재 산동성(山東) 태안(泰安)에 위치)을 기습 공격하여 운주(鄆州)를 함락시켰다. 이후 후량은 멸망하였다.[3]

3. 3. 후량 멸망

913년 주우정은 황제에 즉위한 뒤 주우규가 사용했던 연호를 폐지하고, 아버지 주전충이 사용하던 건화(乾化) 연호를 부활시켰다.[4]

즉위 후, 내정뿐 아니라 외교적으로도 북방 유목 민족인 사타족의 진(晉, 후의 후당)과의 항쟁이 계속되어, 어려운 문제를 안고 통치를 시작하였다. 915년 정명(貞明)으로 연호를 바꾸고, 천웅절도사(天雄節度使) 양사후가 사망하자, 주우정은 천웅절도사군을 분할하여 그 세력을 분산시키려 하였으나, 이로 인해 천웅절도사 군대가 반란을 일으켜 진나라에 투항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8]

같은 해, 이복동생 강왕(康王) 주우경이 모반을 일으켜, 자객을 보내 주우경을 살해했다. 이후 주우정은 황실과 거리를 두고, 조암 등 측근을 요직에 앉혀 전제 정치를 추진하였다.[8]

916년, 진나라와 싸워 여러 차례 패배한 후량은 황하 이북의 대부분 영토를 잃었고, 이후 후량의 영토는 진나라에 점차 잠식되었다.[8]

921년, 주우정은 용덕(龍德)으로 연호를 변경하였다. 그러나 후량은 멸망 직전이었고, 사촌 주우능의 모반으로 지지도가 낮았다. 형 주우량과 동생 주우회 등을 연좌죄로 처형하여 제위 찬탈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였다. 또한, 이복동생 주우옹과 주우휘가 모반을 꾀한다는 정보를 입수하여 이들 역시 제거하였다. 후량이 이처럼 내분으로 혼란스러운 틈을 타, 이존욱이 이끄는 후당군의 총공격을 받았다. 절망한 주우정은 시위군 장교 황보린(皇甫麟)에게 자결을 명하고, 황보린은 명에 따라 주우정을 죽인 후 자결하였다. 이로써 후량은 멸망하였다.[3]

4. 가족 관계


  • 조부: 열조(烈祖) 문목황제(文穆皇帝) 주성(朱誠)
  • 조모: 문혜황후(文惠皇后) 왕씨(王氏)
  • 부친: 태조(太祖) 원성황제(元聖皇帝) 주황
  • 모친: 원정황태후(元貞皇太后) 장혜(張惠)
  • 배우자: 장비 (덕비)
  • 측실: 곽씨

5. 연호

주어진 문서는 후량의 마지막 황제인 주우정에 대한 내용이며, '연호' 섹션에 해당하는 내용은 원본 소스에서 찾을 수 없다. 따라서 이 섹션에는 내용을 추가할 수 없다.

6. 평가

주우정은 후량의 마지막 황제(재위 913년 ~ 923년)이다. 그는 재위 기간 동안 건화(乾化), 정명(貞明), 용덕(龍德)이라는 연호를 사용하였다.[1]

연호기간간지서력
건화(乾化)913년 ~ 915년계유(癸酉) ~ 을해(乙亥)913년 ~ 915년
정명(貞明)915년 ~ 921년병자(丙子) ~ 신사(辛巳)915년 ~ 921년
용덕(龍德)921년 ~ 923년임오(壬午) ~ 계미(癸未)921년 ~ 923년



주우정의 통치는 후당의 성장과 후량의 멸망으로 이어진 혼란기였다.

참조

[1] 서적 Old History of the Five Dynasties
[2] 웹사이트 Chinese-Western Calendar Converter http://sinocal.sinic[...]
[3] 서적 Zizhi Tongjian
[4] 서적 Zizhi Tongjian
[5] 문서 Qianhua era name
[6] 서적 New History of the Five Dynasties
[7] 서적 Zizhi Tongjian
[8] 서적 Zizhi Tongjian
[9] 서적 Old History of the Five Dynasties and New History of the Five Dynasties and Zizhi Tongjian
[10] 서적 Zizhi Tongjian
[11] 서적 Zizhi Tongjian
[12] 서적 Old History of the Five Dynasti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