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중몽 국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몽 국경은 몽골과 중화인민공화국 사이의 경계이다. 17세기에 러시아 제국과 청나라의 대립으로 국경 획정의 기초가 마련되었으며, 1727년 캬흐타 조약으로 현재 국경선의 상당 부분이 설정되었다. 1911년 몽골 독립 선언 이후 국경 획정 문제는 복잡해졌지만, 1962년 국경 조약 체결과 1964년 최종 조약 합의를 통해 현재의 국경선이 확정되었다. 국경은 알타이 산맥에서 시작하여 고비 사막을 지나 다싱안링 산맥까지 이어지며, 여러 공식 통과 지점이 존재한다. 국경 지역에서는 성매매와 관련된 사회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몽골-중국 국경 - 부이르호
  • 몽골-중국 국경 - 타반보그드산
    타반보그드산은 중국, 몽골, 러시아의 국경이 만나는 산악 지대로, 해발 4081m 또는 4104m의 봉우리가 세 국가의 국경 접점을 이루며, 여러 봉우리와 빙하를 포함하고 있다.
중몽 국경
국경 정보
위치중국몽골 사이
총 길이
국경 획정
시작서쪽 삼중점
설명러시아와의 삼중점에서 시작
종료동쪽 삼중점
설명러시아와의 또 다른 삼중점에서 종료
국경 표식
중국 국경 표지
중국 국경 표지
몽골 국경 표지 (유형 1)
몽골 국경 표지 (유형 1)

2. 역사적 배경

청나라 시대의 몽골


러시아 제국은 17세기에 시베리아까지 진출하면서 당시 몽골을 지배하던 청나라와 대립했다. 오늘날의 중몽 국경 대부분은 1727년 캬흐타 조약으로 설정되었다.[3][4][5][10][11][12]

1911년 신해혁명으로 중국이 혼란에 빠지자, 몽골 민족주의자들은 러시아의 지원을 받아 외몽골의 독립을 선언했다.[5][12] 1915년 제2차 캬흐타 조약에서 러시아는 몽골에 대한 중국의 종주권을 인정했지만, 몽골은 사실상 반자치적인 상태로 남았다.[5][12]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중국은 몽골에 대한 완전한 통제권을 다시 주장하려 했으나 실패했고, 몽골은 1921년에 다시 독립을 선언했다.[5][12] 중국이 몽골의 독립을 인정하지 않아 국경 획정이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사람이 거의 살지 않는 험난한 지형으로 인해 시급한 문제는 아니었다.[3][10]

1931년 일본의 만주 침략 이후 만주국과 몽골 사이에 국경 분쟁이 발생했고, 1935년부터 1939년까지 부이르 호수 인근에서 동부 국경 일부가 획정되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이 협정의 지위는 불확실해졌다.[3][5][10][12]

국민투표와 소련의 불간섭 약속에 따라 중국은 1946년 몽골의 독립을 인정했다.[3][10] 1947년 바이트 산을 둘러싼 분쟁이 발생했으며, 국경 획정 작업은 중국 내전으로 중단되었다.[3][5][10][12]

1949년 중국 공산당이 중국 본토를 장악하면서,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되었고, 같은 사회주의 국가인 몽골 인민 공화국과의 관계는 점차 개선되었다.[10][12] 이후 중화인민공화국과 몽골 인민 공화국은 1962년 12월 26일 국경 조약을 체결하였고,[10][12] 1963년부터 1964년까지 완전한 국경 획정 작업을 진행하여 1964년 6월 30일 상세한 지도가 포함된 최종 조약에 합의하였다.[12][10] 비록 1960년대 중소 분쟁 기간 동안 몽골이 소련을 지지하면서 양국 관계에 긴장이 발생하기도 했지만,[12] 국경선은 현재 위치에 고정되었으며, 양국 관계는 대체로 우호적으로 유지되고 있다.[12]

2. 1. 청나라 시대



러시아 제국은 17세기에 시베리아까지 진출했다. 이는 당시 몽골을 지배하던 청나라와의 대립을 초래했다. 이때, 중국의 완전한 지배하에 있던 몽골을 내몽골로, 그 외 지역을 외몽골로 구분했다.[10] 1727년 러시아와 청나라 간의 캬흐타 조약은 현재 몽골-러시아 국경선의 대부분을 설정했으며, 이는 몽골과 중국 국경 형성의 초기 단계에 영향을 미쳤다.[3][4][5][10][11][12]

2. 2. 몽골 독립과 국경 획정



러시아 제국은 17세기에 시베리아까지 진출하면서 당시 몽골을 지배하던 청나라와 대립했다. 오늘날의 중몽 국경 대부분은 1727년 캬흐타 조약으로 설정되었다.[3][4][5][10][11][12]

1911년 신해혁명으로 중국이 혼란에 빠지자, 몽골 민족주의자들은 러시아의 지원을 받아 외몽골의 독립을 선언했다.[5][12] 1915년 제2차 캬흐타 조약에서 러시아는 몽골에 대한 중국의 종주권을 인정했지만, 몽골은 사실상 반자치적인 상태로 남았다.[5][12]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중국은 몽골에 대한 완전한 통제권을 다시 주장하려 했으나 실패했고, 몽골은 1921년에 다시 독립을 선언했다.[5][12] 중국이 몽골의 독립을 인정하지 않아 국경 획정이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사람이 거의 살지 않는 험난한 지형으로 인해 시급한 문제는 아니었다.[3][10]

1931년 일본의 만주 침략 이후 만주국과 몽골 사이에 국경 분쟁이 발생했고, 1935년부터 1939년까지 부이르 호수 인근에서 동부 국경 일부가 획정되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이 협정의 지위는 불확실해졌다.[3][5][10][12]

국민투표와 소련의 불간섭 약속에 따라 중국은 1946년 몽골의 독립을 인정했다.[3][10] 1947년 바이트 산을 둘러싼 분쟁이 발생했으며, 국경 획정 작업은 중국 내전으로 중단되었다.[3][5][10][12]

2. 3.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1949년 중국 공산당이 중국 본토를 장악하면서,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되었고, 같은 사회주의 국가인 몽골 인민 공화국과의 관계는 점차 개선되었다.[10][12] 1946년 중화민국은 국민투표 결과와 소련의 약속을 바탕으로 몽골의 독립을 승인했지만,[10] 1947년 금이 풍부한 베이티크 산맥을 둘러싸고 분쟁이 발생하기도 했으며, 국공 내전으로 인해 국경 획정 작업은 중단되었다.[10][12]

이후 중화인민공화국과 몽골 인민 공화국은 1962년 12월 26일 국경 조약을 체결하였고,[10][12] 1963년부터 1964년까지 완전한 국경 획정 작업을 진행하여 1964년 6월 30일 상세한 지도가 포함된 최종 조약에 합의하였다.[12][10] 비록 1960년대 중소 분쟁 기간 동안 몽골이 소련을 지지하면서 양국 관계에 긴장이 발생하기도 했지만,[12] 국경선은 현재 위치에 고정되었으며, 양국 관계는 대체로 우호적으로 유지되고 있다.[12]

3. 지리적 특징

국경은 서쪽 알타이 산맥의 러시아와의 삼각점에서 시작하여, 중국-카자흐스탄-러시아 삼각점의 동쪽으로 100킬로미터 지점에 위치한다. 거기서부터 육로를 따라 남동쪽 방향으로 이동하며, 고비 사막 지역에서는 직선 구간이 주를 이룬다. 북위 40°30선 바로 북쪽에 몽골의 최남단 지점이 있다.

여기서부터 육로를 따라 북동쪽 방향으로 이동하여 몽골의 최동단 지점 근처의 다싱안링 산맥까지 이어진다. 거기서 국경은 북서쪽으로 방향을 틀었다가 서쪽으로 향하며, 할힌골 강을 따라 잠시 흐르다가 부이르 호를 지나 동쪽 러시아 삼각점까지 북동쪽으로 급격하게 방향을 튼다.







4. 국경 통과 지점

다음과 같은 여러 공식 국경 통과 지점이 있다.[8]


  • 불가안 – 타카시켄/塔克什肯鎮중국어
  • 비치그트 – 주운 하타브치
  • 자민우드 – 에렌호트
  • 항기 – 만둘라
  • 셰베후렌 – 처커/策克중국어[15]
  • 숨베르 – 아르카/아얼산

4. 1. 주요 통과 지점

다음과 같은 여러 공식 국경 통과 지점이 있다.[8]

  • 불가안 – 타카시켄/塔克什肯鎮중국어
  • 비치그트 – 주운 하타브치
  • 자민우드 – 에렌호트
  • 항기 – 만둘라
  • 셰베후렌 – 처커/策克중국어[15]
  • 숨베르 – 아르카/아얼산

5. 사회 문제

5. 1. 성매매 문제

몽골과 중국의 여성 및 소녀들은 국경을 넘어 성매매의 희생이 되고 있다.[6][13] 국경 지역에는 고립된 남성 노동자가 대거 투입된 대규모 광산 및 기타 중공업 시설이 있으며, 이들 지역은 매춘과 성매매의 중심지가 되어 왔다.[7][14] 특히 타반 톨고이 타반 톨고이 탄광이 대표적이다.[7][14] 몽골에서의 성매매와 중국에서의 성매매도 이 문제와 연관되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MONGOLIA https://www.cia.gov/[...] 2020-01-31
[2] 웹사이트 Longest land borders worldwide https://www.statista[...]
[3] 웹사이트 International Boundary Study No. 173 - China-Mongolia Boundary https://fall.law.fsu[...] US Department of State 2020-09-15
[4] 웹사이트 Mongolia https://2009-2017.st[...] US DOS 2020-09-15
[5] 웹사이트 BORDER PROTECTION AND NATIONAL SECURITY OF MONGOLIA https://apps.dtic.mi[...] NAVAL POSTGRADUATE SCHOOL MONTEREY, CALIFORNIA 2020-09-15
[6] 웹사이트 Stolen from Mongolia for sex https://www.pri.org/[...] 2009-07-22
[7] 웹사이트 Mongolia's prostitution zones, where women trade sex for fuel in sub-zero temperatures https://www.telegrap[...] 2019-02-19
[8] 웹사이트 Mongolia Border Crossings https://caravanistan[...] 2020-09-15
[9] 웹사이트 MONGOLIA https://www.cia.gov/[...] 2020-01-31
[10] 웹사이트 International Boundary Study No. 173 - China-Mongolia Boundary https://fall.law.fsu[...] US Department of State 2020-09-15
[11] 웹사이트 Mongolia https://2009-2017.st[...] US DOS 2020-09-15
[12] 웹사이트 BORDER PROTECTION AND NATIONAL SECURITY OF MONGOLIA https://apps.dtic.mi[...] NAVAL POSTGRADUATE SCHOOL MONTEREY, CALIFORNIA 2020-09-15
[13] 웹사이트 Stolen from Mongolia for sex https://www.pri.org/[...] 2020-11-03
[14] 웹사이트 Mongolia's prostitution zones, where women trade sex for fuel in sub-zero temperatures https://www.telegrap[...] 2020-11-03
[15] 웹사이트 Mongolia Border Crossings https://caravanistan[...] 2020-09-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