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쥐박각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쥐박각시는 박각시과의 곤충으로, 날개 길이는 87~150mm이다. 쥐똥나무에 주로 서식하며, 유충은 쥐똥나무 열매를 먹는다. 중국에서는 사사프라스 쯔마를 먹는 것으로 기록되었으며, 목련의 드문 해충이기도 하다. 쥐박각시는 여러 아종으로 나뉘며, 한국에는 아종 M. a. scribae가 서식한다. 한국의 쥐박각시는 6월 초부터 8월 초까지 활동하며, 목련 종을 갉아먹는 해충으로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누에나방상과 - 멧누에나방
    멧누에나방은 참누에나방속에 속하는 곤충으로, 뽕나무산누에나방과 누에나방을 포함하며, 누에나방은 뽕나무산누에나방에서 가축화된 종으로 동아시아 지역에 서식한다.
  • 1874년 기재된 곤충 - 왕땅강아지
    왕땅강아지는 땅을 파는 데 특화된 앞다리와 뛰어난 청각을 가진 곤충으로, 미국 남중부 초원에 분포하며, 수컷은 구애 소리를 내어 짝짓기를 하고, 멸종 위기에 놓여 있다.
  • 1874년 기재된 곤충 - 히드로스카파과
    히드로스카파과는 갑충목에 속하는 작은 과로, 히드로스카파속, 스카피드라속, 야라속 등을 포함하며, 특히 히드로스카파속은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하는 대표적인 속이다.
  • 일본의 곤충 - 말벌
    말벌은 사회성 곤충으로 종이 펄프로 둥지를 만들고 애벌레에게 먹이를 주며, 붉은 주황색 날개와 갈색, 노란색 줄무늬 배를 가지고 암컷만 독침이 있으며, 유라시아 원산으로 북미 등에도 유입되어 꿀벌을 사냥하고 일부 지역에서는 멸종 위기로 보호받는다.
  • 일본의 곤충 - 사마귀
    참사마귀는 사마귀목 곤충으로 몸이 가늘고 길며 앞가슴등판이 길고 날개가 짧고 좁은 특징을 가지며 한국, 중국, 일본, 미국 등지에 분포한다.
쥐박각시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메가노톤 아날리스
메가노톤 아날리스
분류
동물계
절지동물문
곤충강
나비목
상과누에나방상과
박각시과
Meganoton
Meganoton analis
학명Meganoton analis
학명 명명자(R. Felder, 1874)
아종
아종쥐박각시 (M. a. scribae)
학명Meganoton analis scribae
학명 명명자(Austaut, 1911)
이명
이명Sphinx analis R. Felder, 1874
Diludia grandis Butler, 1875
Diludia tranquillaris Butler, 1876
Meganoton clossi Gehlen, 1924
Meganoton analis subalba Mell, 1922
Psilogramma analis scribae Austaut, 1911

2. 형태

날개 길이는 87mm~150mm이다. 수컷과 암컷의 형태, 등쪽과 배쪽 면의 무늬와 색깔에 차이가 있다.

3. 생태

쥐박각시는 특정 식물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생활한다. 유충은 주로 쥐똥나무목련과 식물을 먹이로 삼으며, 해당 식물 주변에서 발견된다. 자세한 서식 환경과 먹이 종류는 아래 문단에서 설명한다.

3. 1. 서식지

주로 쥐똥나무에 서식한다.

3. 2. 먹이

유충은 주로 쥐똥나무 열매를 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국에서는 사사프라스 쯔마(Sassafras tzuma)를 먹는다는 기록이 있으며, 드물게 목련 종의 해충이 되기도 한다. 일본에서는 아종 ''M. a. scribae''의 유충이 목련 코부스(Magnolia kobus)를 먹는 것으로 기록되었다. 성충의 먹이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4. 분포

쥐박각시는 아시아 여러 지역에 걸쳐 분포하며, 아종에 따라 서식지가 다르다. 각 아종의 분포 지역은 다음과 같다.

아종분포 지역
쥐박각시인도, 네팔, 중국 남부, 태국 북부, 베트남 북부[2]
쥐박각시 gressitti대만[3]
쥐박각시 scribae러시아 극동(쿠릴 열도), 중국 동부, 대한민국, 일본[4]
쥐박각시 sugii술라웨시
쥐박각시 sumatranus보르네오, 수마트라[5]



5. 아종


  • ''쥐박각시'' (인도, 네팔, 중국 남부, 태국 북부, 베트남 북부)[2]
  • ''쥐박각시 gressitti'' (대만)[3]
  • ''쥐박각시 scribae'' (러시아 극동(쿠릴 열도), 중국 동부, 대한민국, 일본)[4]
  • ''쥐박각시 sugii'' (술라웨시)
  • ''쥐박각시 sumatranus'' (보르네오, 수마트라)[5]


5. 1. 한국의 쥐박각시

한국에는 아종 ''M. a. scribae''가 서식하며, 성충은 6월 초부터 8월 초까지 활동한다. 이 아종의 유충은 중국에서 사사프라스 쯔마(Sassafras tzuma), 일본에서는 목련 코부스(Magnolia kobus)를 먹는 것으로 기록되었다. 또한 목련 종류의 드문 해충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Sphingidae Taxonomic Inventory: Notonagemia analis https://sphingidae.m[...] sphingidae.myspecies.info 2024-02-18
[2] 웹사이트 "''Notonagemia analis analis'' (R. Felder, [1874]) -- Grey double-bristled hawkmoth" http://tpittaway.tri[...] 2018
[3] 웹사이트 "''Notonagemia analis gressitti'' (Clark, 1937) -- Grey double-bristled hawkmoth" http://tpittaway.tri[...] 2018
[4] 웹사이트 "''Notonagemia analis scribae'' (Austaut, 1911) -- Grey double-bristled hawkmoth" http://tpittaway.tri[...] 2018
[5] 웹사이트 "''Meganoton analis'' Felder" http://www.mothsofbo[...] 2019-01-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