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지방도 제1001호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방도 제1001호선은 경상남도 고성군, 사천시, 진주시, 산청군, 함양군, 거창군을 지나는 지방도이다. 2002년 개통 이후 여러 차례 노선 폐지 및 재지정, 구간 개통 및 변경, 노선 조정이 이루어졌다. 주요 경유지로는 고성군 하이면, 사천시 향촌동, 사남면, 곤양면, 곤명면, 진주시 수곡면, 산청군 단성면, 금서면, 함양군 유림면, 휴천면, 함양읍, 병곡면, 거창군 북상면, 고제면 등이 있으며, 일부 구간은 미개통 상태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거창군의 교통 - 국도 제3호선
    국도 제3호선은 경상남도 남해군에서 강원도 철원군까지 이어지는 일반 국도로, 1971년 삼천포-초산선으로 지정된 후 노선 변경 및 확장을 거쳐 현재에 이르며, 여러 도시를 경유하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 거창군의 교통 - 국도 제37호선
    국도 제37호선은 경상남도 거창군에서 경기도 파주시까지 총 연장 405km에 걸쳐 6개 도를 연결하며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지만, 노선 변경에 따른 주민 불편과 일부 구간의 교통 혼잡 문제도 안고 있는 일반국도이다.
  • 함양군의 교통 - 국도 제3호선
    국도 제3호선은 경상남도 남해군에서 강원도 철원군까지 이어지는 일반 국도로, 1971년 삼천포-초산선으로 지정된 후 노선 변경 및 확장을 거쳐 현재에 이르며, 여러 도시를 경유하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 함양군의 교통 - 국도 제26호선
    국도 제26호선은 군산에서 대구 서구까지 연결되는 일반 국도로, 1971년에 지정되었으며 전라북도, 경상남도, 경상북도를 거쳐 대구광역시를 지난다.
  • 산청군의 교통 - 국도 제3호선
    국도 제3호선은 경상남도 남해군에서 강원도 철원군까지 이어지는 일반 국도로, 1971년 삼천포-초산선으로 지정된 후 노선 변경 및 확장을 거쳐 현재에 이르며, 여러 도시를 경유하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 산청군의 교통 - 국도 제20호선
    국도 제20호선은 산청에서 포항까지 연결되는 일반 국도로, 1971년 야가와-경주선으로 지정되었으며, 여러 고속도로 및 국도와 교차한다.
지방도 제1001호선 - [지명]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도로 종류경상남도 지방도
[[거창군]] [[북상면]] 소정리
거창군 북상면 소정리
노선명하이 ~ 고제선
노선번호명지방도 제1001호선
총연장170.14km
기점경상남도 고성군 하이면
주요 경유지경상남도 고성군
경상남도 사천시
경상남도 진주시
경상남도 산청군
경상남도 함양군
경상남도 거창군
종점경상남도 거창군 고제면
주요 교차 도로통영대전고속도로
국도 제2호선
국도 제3호선
국도 제20호선
국도 제24호선
국도 제26호선
국도 제37호선
국도 제59호선
국도 제7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3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
지방도 제742호선
지방도 제1002호선
지방도 제1014호선
지방도 제1016호선
지방도 제1034호선
지방도 제1049호선
지방도 제1084호선

2. 연혁


  • 2002년 5월 1일: 함양군 서상면 중남리~상남리 간 2.21km 구간이 개통되었다.[1]
  • 2002년 6월 4일: 산청군 단성면 관정리~단성면 남사리 간 3.08km 구간이 개통되었다.[2]
  • 2003년 2월 20일: 노선이 폐지되었다가 다시 지정되었다.[3][4]
  • 2003년 8월 28일: 서부경남첨단지방산업단지 도로(사천시 사남면 초전리~월성리) 2km 구간이 개통되었다.[5]
  • 2007년 3월 2일: 칡목재(거창군 고제면 개명리~북상면 소정리) 4.68km 구간이 개통되었다.[6]
  • 2009년 10월 15일: 지방도 노선 조정으로 총 연장이 174km에서 170.3km로 변경되었다.[7]
  • 2016년 8월 4일: 구 88올림픽고속도로 (함양군 백전면 경백리~병곡면 도천리) 5.8km 구간으로 이설되었다.[8]
  • 2017년 2월 2일: 흥사 일반산업단지 진입도로 (사천시 곤양면 검정리~흥사리) 3.64km 구간이 개통되었다.[9]
  • 2017년 4월 7일: 이은~남산간 도로 (함양군 함양읍 이은리) 980m 구간이 개통되고, 기존 570m 구간은 폐지되었다.[10][11]
  • 2017년 5월 4일: 총연장이 170.34km에서 170.14km로 변경되었다.[12]
  • 2018년 1월 4일: 휴천산업단지~목현간 도로 (함양군 휴천면 목현리) 1.04km 구간이 개통되고, 기존 총 380m 구간은 폐지되었다.[13][14]
  • 2020년 10월 8일: 지방도 노선이 조정되었다.[15]

2. 1. 노선 지정과 초기 개통 (2002년 ~ 2009년)


  • 2002년 5월 1일: 함양군 서상면 중남리~상남리 간 2.21km 구간 개통[1]
  • 2002년 6월 4일: 산청군 단성면 관정리~단성면 남사리 간 3.08km 구간 개통[2]
  • 2003년 2월 20일: 노선 폐지 및 재지정[3][4]
  • 2003년 8월 28일: 서부경남첨단지방산업단지 도로(사천시 사남면 초전리~월성리) 2km 구간 개통[5]
  • 2007년 3월 2일: 칡목재(거창군 고제면 개명리~북상면 소정리) 4.68km 구간 개통[6]
  • 2009년 10월 15일: 지방도 노선 조정으로 총 연장이 174km에서 170.3km로 변경[7]

변경 내역


2. 2. 노선 변경과 확장 (2016년 ~ 현재)


  • 2016년 8월 4일: 구 88올림픽고속도로 (함양군 백전면 경백리 ~ 병곡면 도천리) 5.8km 구간으로 이설[8]
  • 2017년 2월 2일: 흥사 일반산업단지 진입도로 (사천시 곤양면 검정리 ~ 흥사리) 3.64km 구간 개통[9]
  • 2017년 4월 7일: 이은 ~ 남산간 도로 (함양군 함양읍 이은리) 980m 구간 개통[10], 기존 570m 구간 폐지[11]
  • 2017년 5월 4일: 총연장을 170.34km에서 170.14km로 변경[12]
  • 2018년 1월 4일: 휴천산업단지 ~ 목현간 도로 (함양군 휴천면 목현리) 1.04km 구간 개통[13], 기존 총 380m 구간 폐지[14]
  • 2020년 10월 8일: 지방도 노선 조정[15]

3. 주요 경유지

지방도 제1001호선은 경상남도 고성군 하이면을 기점으로 거창군 고제면까지 이어지는 지방도이다.

시군읍면주요 경유지
고성군하이면삼천포화력발전소
사천시향촌동, 사남면, 곤양면, 곤명면이홀동, 계양리, 검정리, 흥사리, 신흥리, 정곡리, 본촌리
진주시수곡면원외리, 원내리, 효자리, 사곡리, 자매리
산청군단성면, 산청읍, 금서면관정리, 남사리, 입석리, 청계리, 운리, 옥산리, 매촌리, 특리, 화계리, 주상리
함양군유림면, 휴천면, 함양읍, 병곡면, 백전면, 서하면유평리, 호산리, 목현리, 이은리, 죽곡리, 대덕리, 월암리, 옥계리, 경백리, 평정리, 운산리, 백운리, 운곡리, 송계리
거창군북상면, 고제면월성리, 농산리, 갈계리, 소정리, 개명리



이 도로는 여러 구간에서 미개통되었으며, 특히 사천항공산업대교(사천시)와 아침재(산청군) 등이 있다.

3. 1. 경상남도 고성군

고성군 하이면 덕호리(삼천포화력발전소) - 하이교 - 신덕사거리 - 부평교 - 석지리 - 봉현리 - 봉현교 - 봉현삼거리

3. 2. 경상남도 사천시

향촌동 이홀동 - 봉현저수지 - 사남면 계양리 - 사촌리 - 송암교 - 종천리 - 가천리 - 가천교 - 우천리 - 우천교 - 구룡저수지 - 화전교 - 화전리 - 병둔사거리 - 삼성초등학교 - 초전 교차로 - 월성 교차로 - 서부첨단산업단지 - ('''미개통 구간''': 사천항공산업대교) - 곤양면 ('''미개통 구간''': 사천항공산업대교) - 검정리 - 흥사리 - 선덜재 - 곤명면 선덜재 - 신흥리 - 만지교 - 정곡 교차로 - 곤명보건지소 - 정곡리 - 본촌리 - 덕천교

3. 3. 경상남도 진주시

수곡면 덕천교 - 원외리 - 원내리 - 수곡교 - 효자리 - 수곡면 행정복지센터 - 수곡삼거리 - 수곡초등학교 - 사곡리 - 사곡1교 - 자매리

3. 4. 경상남도 산청군

단성면 관정리 - 남사리 - 남사삼거리 - 호암교 - 사월리 - 입석교 - 입석리 - 청계리 - 운리교 - 운리 - 동의보감촌 - 청계교 - 청계저수지 - 청계리 - (고개) - 방목리 - 어리내교 - ('''미개통 구간''': 아침재) - 산청읍 ('''미개통 구간''': 아침재) - 성심원 - ('''미개통 구간''': 내리) - (지성) - 내리교 - 옥산리 - 경호1교 - 금서면 경호1교 - 매촌삼거리 - 매촌리 - 특리 - 산청한방테마파크 - 특집재 - 신아리 - 화계리 - 덕양전 - 주상리 - 임천교

3. 5. 경상남도 함양군

유림면 임천교 - 유림삼거리 - 서주리 - 유평리 - 휴천면 대천교 - 대포삼거리 - 호산리 - 목현교 - 휴천보건지소 - 휴천면사무소 - 목현리 - 팔두재 - 함양읍 팔두재 - 이은리 - 이은교 - 인당사거리 - 돌북교 서단 회전교차로 - 위림초등학교 - 함양공설운동장 - 죽곡교 - 죽곡리 - 뇌계교 - 대덕리 - 병곡면 월암삼거리 - 월암교 - 도천 교차로 - 휴촌 교차로 - 병곡2교 - 송평 교차로 - 옥계 교차로 - 옥계리 - 백전면 경백리 - 대평사거리 - 평정리 - 백송정 - 양백리 - 운산리 - 운산교 - 백운리 - 백운교 - 원동재 - 서하면 원동재 - 운곡리 - 운곡교 - 송계리 - 송계교 - 서하면사무소 - 송계삼거리

3. 6.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군 북상면 남령 - 월성리 - 산수교 - 창선리 - 농산교 - 농산리 - 북상교 - 북상면 행정복지센터 - 북상초등학교 - 갈계리 - 중산교 - 소정리 - 개삼삼거리 - 소정교 - 칡목재 - 고제면 칡목재 - 개명리 - 신기 교차로

4. 미개통 구간


  • 사천시
  • * 사남면 : 서부첨단산업단지 - ('''미개통 구간''': 사천항공산업대교)
  • * 곤양면 : ('''미개통 구간''': 사천항공산업대교) - 검정리
  • 산청군
  • * 단성면 : 어리내교 - ('''미개통 구간''': 아침재)
  • * 산청읍 : ('''미개통 구간''': 아침재) - 성심원 - ('''미개통 구간''': 내리)

5. 중복 구간

6. 도로명

구간도로명
고성군 하이면 덕호리 ~ 봉현삼거리하이로
고성군 하이면 봉현삼거리 ~ 사천시 사남면 사촌리삼상로
사천시 사남면 사촌리 ~ 초전 교차로사남로
사천시 사남면 초전 교차로 ~ 서부첨단산업단지공단3로
사천시 곤양면 중항리 ~ 검정리검항로
사천시 곤양면 검정리 ~ 곤명면 정곡 교차로흥신로
사천시 곤명면 정곡 교차로 ~ 산청군 단성면 관정리곤수로
산청군 단성면 관정리 ~ 남사삼거리목화로
산청군 단성면 남사삼거리 ~ 호암교 남단지리산대로
산청군 단성면 호암교 남단 ~ 어리내교호암로
산청군 산청읍 내리 ~ 옥산리웅석봉로
산청군 산청읍 옥산리 ~ 금서면 경호1교 북단꽃봉산로
산청군 금서면 경호1교 북단 ~ 매촌삼거리친환경로
산청군 금서면 매촌삼거리 ~ 함양군 유림면 유림삼거리동의보감로
함양군 유림면 유림삼거리 ~ 서주교 동단천왕봉로
함양군 유림면 서주교 동단 ~ 병곡면 도천 교차로함양남서로
함양군 병곡면 도천 교차로 ~ 백전면 대평사거리구 88올림픽고속도로
함양군 백전면 대평사거리 ~ 서하면 송계삼거리함양남서로
함양군 서하면 송계삼거리 ~ 서상면 중남삼거리육십령로
함양군 서상면 중남삼거리 ~ 거창군 북상면 북상면사무소덕유월성로
거창군 북상면 북상면사무소 ~ 고제면 신기 교차로송계로


참조

[1] 간행물 경상남도공고 제2002-138호 http://www.gyeongnam[...] 2002-05-02
[2] 간행물 경상남도공고 제2002-190호 http://www.gyeongnam[...] 2002-06-14
[3] 간행물 경상남도공고 제2003-73호 http://www.gyeongnam[...] 2003-02-20
[4] 간행물 경상남도공고 제2003-72호 http://www.gyeongnam[...] 2003-02-20
[5] 간행물 경상남도공고 제2003-368호 http://www.gyeongnam[...] 2003-09-04
[6] 간행물 경상남도공고 제2007-154호 http://www.gyeongnam[...] 2007-03-08
[7] 간행물 경상남도공고 제2009-756호 http://www.gyeongnam[...] 2009-10-15
[8] 간행물 경상남도공고 제2016-1012호 http://210.104.249.3[...] 2016-08-04
[9] 간행물 경상남도공고 제2017-100호 http://210.104.249.3[...] 2017-02-02
[10] 간행물 경상남도공고 제2017-700호 http://210.104.249.3[...] 2017-04-27
[11] 간행물 경상남도공고 제2017-701호 http://210.104.249.3[...] 2017-04-27
[12] 간행물 경상남도고시 제2017-175호 http://www.gyeongnam[...] 2017-05-04
[13] 간행물 경상남도공고 제2018-27호 http://210.104.249.3[...] 2018-01-09
[14] 간행물 경상남도공고 제2018-28호 http://210.104.249.3[...] 2018-01-09
[15] 간행물 경상남도고시 제2020-478호 https://www.gyeongna[...] 2020-10-08
[16] 간행물 2015년 도로교량 및 터널현황 https://stat.kosis.k[...]
[17] 간행물 2015년 도로교량 및 터널현황 https://stat.kosis.k[...]
[18] 간행물 2015년 도로교량 및 터널현황 https://stat.kosis.k[...]
[19] 간행물 2015년 도로교량 및 터널현황 https://stat.kosis.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