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국도 제20호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도 제20호선은 산청에서 포항까지 이어지는 일반 국도로, 1971년 야가와-경주선으로 지정되었다. 1996년 포항시로 연장되어 '산청 ~ 포항선'이 되었으며, 2000년 경주시 건천읍에서 포항시 남구까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경상남도 산청군, 의령군, 창녕군과 경상북도 청도군, 경주시, 포항시를 지나며, 경부고속도로, 함양울산고속도로, 통영대전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 등의 고속도로와 국도 제3호선, 제4호선, 제7호선, 제24호선, 제25호선, 제31호선, 제33호선, 제35호선, 제58호선, 제59호선, 제79호선 등 다양한 도로와 교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도 제20호선 - 창녕 나들목
    창녕 나들목은 경상남도 창녕군에 위치한 구마고속도로의 교차로로, 국도 및 지방도를 통해 창녕군 주요 지역과 우포늪 등 관광지로 연결된다.
  • 국도 제20호선 - 창밀로
    창밀로는 경상남도 창녕군과 밀양시에 걸쳐 있는 도로이며, 창녕읍, 고암면, 청도면, 무안면, 부북면, 내이동 등을 지난다.
  • 청도군의 교통 - 중앙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는 부산광역시 사상구에서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를 잇는 총 길이 388.1km의 고속도로로, 대부분 왕복 4차로이며 일부 구간은 신대구부산고속도로㈜에서 관리하고 최고 제한 속도가 다르다.
  • 청도군의 교통 - 남성현역
    남성현역은 경상북도 경산시 남산면에 위치한 경부선 지상역으로, 신호소에서 보통역으로 승격되었고 역사를 이전 및 신축했으며,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구조와 독특한 배선 구조를 가지며, 대한민국 최초의 스위치백 흔적이 남아있는 역사적 의미를 지닌 무궁화호 정차역이다.
  • 의령군의 교통 - 함양울산고속도로
    함양울산고속도로는 함양군에서 울주군을 잇는 고속국도 제14호선으로, 2012년 지정되었으며, 왕복 4차로로 건설되어 천황산터널 등 장대 터널이 많고, 밀양 분기점 ~ 울주 분기점 구간 과속 단속을 시행한다.
  • 의령군의 교통 - 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은 전라남도 무안군에서 부산광역시 기장군을 잇는 국가지원지방도로, 과거 국도 제60호선으로 계획되었으나 재정 부족으로 변경되어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전북특별자치도, 경상남도, 부산광역시를 경유한다.
국도 제20호선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노선 정보
도로 종류일반 국도
노선 번호20
노선 이름국도 제20호선
총연장230.2 km
지정일1971년 8월 31일
도로 방향동서
기점경상남도 산청군 시천면
기점 방향서쪽
종점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종점 방향동쪽
주요 경유지
경유 지역경상남도 산청군
경상남도 의령군
경상남도 합천군
경상남도 창녕군
경상북도 청도군
경상북도 경주시
경상북도 포항시
주요 연결 도로
고속도로경부고속도로
함양울산고속도로
통영대전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
국도국도 제3호선
국도 제4호선
국도 제7호선
국도 제24호선
국도 제25호선
국도 제31호선
국도 제33호선
국도 제35호선
국도 제58호선
국도 제59호선
국도 제79호선
국가지원지방도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9호선

2. 역사

1981년 3월 14일, 시천 ~ 경주를 잇는 국도 제20호선이 신설되었다.[4] 같은 해 5월 8일에는 청도군 풍각면 금곡동에서 월성군 건천읍 건천리에 이르는 구간(79.7km)이,[5] 5월 12일에는 산청군 시천면 중산리에서 창녕군 성산면 방리에 이르는 구간(136.473km)이 국도로 승격되어 개통되었다.[6]

이후 여러 차례 도로 개량 및 확장 공사가 진행되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2. 1. 개요

1971년 8월 31일 : 일반국도노선지정령에 의해 '''국도 제20호선'''(야가와-경주선)으로 지정되었다.[4]

1981년 3월 14일 : 국도 제20호선 시천 ~ 경주선이 신설되었다.[4]

1981년 5월 8일 : 청도군 풍각면 금곡동 ~ 월성군 건천읍 건천리 구간(79.7km)이 국도로 승격되어 개통되었다.[5]

1981년 5월 12일 : 산청군 시천면 중산리 ~ 창녕군 성산면 방리 구간(136.473km)이 국도로 승격되어 개통되었다.[6]

1996년 7월 1일 : 종점이 경상북도 경주시에서 포항시로 연장되면서 '산청 ~ 포항선'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9]

2000년 2월 24일 : 경주시 건천읍 천포리 ~ 포항시 남구 장흥동 구간(32.9km)이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16]

2015년 3월 27일 : 시점이 산청군 시천면 원리 교차로에서 시천면 중산리로 변경되었다.[41]

2. 2. 상세

산청군 시천면 중산리에서 시작하여 경상남도, 경상북도, 경주시를 거쳐 포항시 남구 현대제철 삼거리에서 끝나는 구간에 대한 상세 정보는 다음과 같다.

구간주요 교차로 및 시설비고
산청군 시천면중산리(시점), 삼당교 동단, 삼성교 북단, 덕산제, 원리 교차로, 천평4통로, 덕산1교, 사리 교차로중산리에서 시작, 지방도 제1047호선과 중복, 국도 제59호선과 중복 및 분기
산청군 단성면소리교, 덕문교, 창촌삼거리, 호암교 남단, 남사삼거리, 사월3통로, 배양교, 단성 나들목(통영대전고속도로), 성내리, 단성중고교앞사거리, 단성교지방도 제1005호선, 지방도 제1001호선, 지방도 제1049호선과 교차, 통영대전고속도로와 연결
산청군 신안면원지삼거리, 하정 교차로, 청현교 북단, 문대삼거리, 신안교국도 제3호선과 교차, 지방도 제1006호선과 중복 및 분기
산청군 생비량면도리 교차로, 생비량교, 봉두 교차로, 도리교, 봉두교, 가락 교차로, 법평교, 법평 교차로, 생비량삼거리, 생비량 교차로, 송계교국도 제33호선과 중복
의령군 대의면대의1교, 추산교, 대의 교차로, 마쌍 교차로, 평촌 교차로, 죽전 교차로, 죽전1교, 죽전2교, 죽전터널, 다사 교차로, 다사터널국도 제33호선과 분기, 한티로와 연결
의령군 칠곡면축공교, 양촌 교차로, 산남 교차로, 칠곡 교차로, 신포교, 입암 교차로한티로, 지방도 제1013호선과 연결
의령군 가례면봉두 교차로, 운암육교, 가례육교, 가례 교차로, 가례교홍의로, 의병로, 국궁길과 연결
의령읍남천삼거리, 서부삼거리, 의병사거리, 구룡사거리, 백야오거리, 무전삼거리지방도 제1037호선과 중복 및 분기, 국도 제79호선과 교차
의령군 용덕면교암사거리, 운곡삼거리, 용덕사거리, 용소교, 산학삼거리, 진등재삼거리, 진등재터널덕암로, 소상로, 의합대로와 연결
의령군 정곡면죽전교, 죽전삼거리, 정곡삼거리, 중교사거리, 정곡중학교, 달재의합대로, 법정로,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 지방도 제1011호선과 연결
의령군 유곡면야산삼거리, 세간삼거리, 세간교삼거리, 세간교지방도 제1041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 지방도 제1008호선과 연결,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과 중복
의령군 부림면막곡리, 부림교, 의령 나들목(함양울산고속도로)(미개통), 여배교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과 중복, 대한로와 연결, 함양울산고속도로와 연결 예정
합천군 청덕면원진교, 적포삼거리, 적포교국도 제24호선과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과 중복
창녕군 이방면이남삼거리, (성산), 유어교국가지원지방도 제79호선과 연결, 국도 제24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79호선과 중복
창녕군 유어면(승계), 등대중학교(폐교), (미구), 유어파출소, 유어면 행정복지센터, 유어삼거리, (선소), (유장), (회룡마을), 우포생태교육원, (회룡)국도 제79호선과 분기, 국도 제24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과 중복
창녕군 대지면(예동), 본초삼거리, (대초), (학성), 대지농공단지, (구미리)국도 제24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과 중복
창녕군 창녕읍(직신), 창녕공단, 창녕육교, 창녕 나들목(중부내륙고속도로), 조산삼거리, 오리정사거리, 창녕군청, 명덕초등학교, 창녕 석빙고, 송현사거리, 창녕박물관,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 창녕공업고등학교국도 제24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과 중복, 중부내륙고속도로와 연결, 지방도 제1080호선과 교차
창녕군 고암면우천교, 고암사거리, 고암초등학교, 고암면 행정복지센터, 중대교, 방골재국도 제24호선과 분기,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과 중복
창녕군 성산면방리삼거리, 버티재삼거리, 버티재지방도 제1034호선과 연결,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과 중복



구간주요 교차로 및 시설비고
청도군 풍각면버티재, 금곡삼거리, 풍각육교, 송서1교, 송서2교경상남도 - 경상북도 경계
청도군 각남면신당 교차로, 예리 교차로, 각남 교차로지방도 제30호선, 지방도 제902호선과 연결
청도군 화양읍서상 교차로, 합천삼거리, 화양삼거리, 눌미사거리, 운동장앞사거리(청도공설운동장), 범곡사거리, 청도대교
청도군 청도읍모강 교차로, 원당삼거리, 부야 교차로, 곰티재터널국도 제25호선과 연결
청도군 매전면곰태 교차로, 관하리, 매전보건지소, 매전면사무소, 매전삼거리, 매전교삼거리, 동곡재국도 제58호선과 연결, 지방도 제919호선, 지방도 제925호선과 연결
청도군 금천면동곡네거리, 금천면사무소, 금천네거리, 동곡삼거리, 방지초등학교지방도 제69호선, 지방도 제919호선과 중복 및 분기
청도군 운문면대천공용여객자동차터미널, 대천삼거리, 운문댐, 운문댐삼거리, 지촌삼거리, 지촌2교, 신원1교, 신원2교지방도 제69호선과 분기, 지방도 제919호선, 지방도 제921호선과 중복 및 분기
경주시 산내면산내네거리, 의곡교, 당고개지방도 제921호선과 분기
경주시 건천읍건천 나들목(경부고속도로), (천포리), 용명육교, 북건천 나들목, 건천터널, 대곡 교차로경부고속도로와 연결, 국도 제4호선, 국도 제35호선과 연결
경주시 현곡면경주터널, 현곡 교차로, 말구불터널지방도 제904호선과 연결
경주시 안강읍사방 교차로, 사방대교
경주시 천북면형산강교, 북경주 나들목, (이름 없음), 신왕신교, 강동터널국도 제7호선과 연결
경주시 강동면강동교, 왕신 나들목, 강동산단교지방도 제945호선과 연결
포항시 남구 연일읍우복 교차로국도 제31호선과 연결
포항시 남구 대송면남성 교차로, 남천교
포항시 남구(동국제강앞), (포항변전소), 장흥동사거리, 동국에스앤씨, 현대종합특수강 포항공장, 포스코건설, 제내교, 괴동역, 현대제철 삼거리(종점)지방도 제20호선과 연결, 현대제철 삼거리에서 종료


3. 주요 경유지

경상북도 구간은 청도군(풍각면, 각남면, 화양읍, 청도읍, 매전면, 금천면, 운문면)을 거쳐 경주시(산내면, 건천읍, 현곡면, 안강읍, 천북면, 강동면)을 지나 포항시 남구(연일읍, 대송면, 동해면)까지 이어진다.

경주터널

3. 1. 경상남도

산청군 (시천면 · 단성면 · 신안면 · 생비량면) - 의령군 (대의면 · 칠곡면 · 가례면 · 의령읍 · 용덕면 · 정곡면 · 유곡면 · 부림면) - 합천군 청덕면 - 창녕군 (이방면 · 유어면 · 대지면 · 창녕읍 · 고암면 · 성산면)[2]

한글명연결위치비고
중산리산청군시천면종점
중산교
(삼당교 동단)지방도 제1047호선|지방도 제1047호선한국어(삼신봉로)지방도 제1047호선|지방도 제1047호선한국어 중복
신천초등학교
(외공마을)국도 제59호선지방도 제1047호선|지방도 제1047호선한국어 중복
국도 제59호선 중복
원리 교차로국도 제59호선(지리산대로)국도 제59호선 중복
(이름 없음)진황령로
사리 교차로남명로
창촌삼거리지방도 제1005호선|지방도 제1005호선한국어(옥단로)단성면
(호암교 남단)지방도 제1001호선|지방도 제1001호선한국어(호암로)지방도 제1001호선|지방도 제1001호선한국어 중복
남사삼거리지방도 제1001호선|지방도 제1001호선한국어(목화로)
(이름 없음)지방도 제1049호선|지방도 제1049호선한국어(목화로)
배양교지방도 제1049호선|지방도 제1049호선한국어(목화로)
(성철로)
단성 나들목통영대전고속도로
목화로
단성중고교앞사거리강누방목로
지리산대로 3362번길
단성교
신안면
원지삼거리중정알천로
(이름 없음)원지로
하정 교차로국도 제3호선(산청대로)
(청현교 북단)지방도 제1006호선|지방도 제1006호선한국어(청현로)지방도 제1006호선|지방도 제1006호선한국어 중복
문대보건진료소
문대삼거리지방도 제1006호선|지방도 제1006호선한국어(신차로)
신안교
도리 교차로비룡로생비량면
생비량삼거리진산로
생비량 교차로국도 제33호선(대신로)국도 제33호선 중복
송계교
대의 교차로국도 제33호선(합천대로)의령군대의면
마쌍 교차로대의로
(이름 없음)대의로
평촌 교차로마쌍2길
죽전 교차로한티로
다사 교차로한티로
다사터널약 660m
칠곡면
양촌 교차로한티로
산남 교차로한티로
칠곡 교차로칠곡로
입암 교차로지방도 제1013호선|지방도 제1013호선한국어(칠곡로)
(진의로)
봉두 교차로홍의로가례면
운암육교
가례육교홍의로
가례 교차로의병로
남천삼거리지방도 제1037호선|지방도 제1037호선한국어(벽화로)의령읍지방도 제1037호선|지방도 제1037호선한국어 중복
서부삼거리지방도 제1037호선|지방도 제1037호선한국어(의병로8길)
의병사거리충익로
구룡사거리구룡로
남산로
백야오거리국도 제79호선(의령대로)
남강로
백산로
무전삼거리백산로
교암사거리덕암로
소상로
용덕면
(이름 없음)용암로
진등재
정곡면
죽전리지방도 제1029호선|지방도 제1029호선한국어건설 중
정곡삼거리법정로
중교사거리지방도 제1011호선|지방도 제1011호선한국어(법정로)
정곡중학교
야산삼거리지방도 제1041호선|지방도 제1041호선한국어(청정로)유곡면지방도 제1041호선|지방도 제1041호선한국어 중복
세간삼거리지방도 제1041호선|지방도 제1041호선한국어(함의로)
세간교삼거리지방도 제60호선|지방도 제60호선한국어·지방도 제1008호선|지방도 제1008호선한국어(박진로)지방도 제60호선|지방도 제60호선한국어 중복
(이름 없음)단원로
신번로
부림면지방도 제60호선|지방도 제60호선한국어 중복
부림교대한로
의령 나들목함양울산고속도로건설 중
여배교
원진교합천군청덕면
적포삼거리국도 제24호선(동부로)국도 제24호선 중복
적포교
창녕군이방면
이남삼거리지방도 제67호선|지방도 제67호선한국어·지방도 제79호선|지방도 제79호선한국어(이방로)국도 제24호선 중복
지방도 제67호선|지방도 제67호선한국어, 지방도 제79호선|지방도 제79호선한국어 중복
유어교
유어면
유어면사무소
유어삼거리국도 제79호선·지방도 제67호선|지방도 제67호선한국어(영산장마로)
(이름 없음)읍온읍길국도 제24호선 중복
본초삼거리관동길대지면
창녕 나들목
(창녕IC사거리)
중부내륙고속도로
우포늪농로
창녕읍
오리정사거리지방도 제1080호선|지방도 제1080호선한국어(우포2로)
명덕초등학교
창녕 석빙고
송현사거리척경비로
화왕산로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
창녕공업고등학교고암면
고암사거리언만미산로
중대길
고암사거리국도 제24호선(창밀로)
고암면사무소
중대교
방골재
성산면
방리사거리지방도 제1034호선|지방도 제1034호선한국어(성산로)
버티재삼거리
버티재경상북도로 이어짐


3. 2. 경상북도

경상북도한국어 구간은 청도군 (풍각면, 각남면, 화양읍, 청도읍, 매전면, 금천면, 운문면), 경주시 (산내면, 건천읍, 현곡면, 안강읍, 천북면, 강동면), 포항시 남구 (연일읍, 대송면, 동해면)을 지난다.

이름접속 노선소재지비고
버티재청도군풍각면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과 중복
금곡삼거리금동길
풍각육교봉기로
월봉길
송서1교
송서2교
각남면
신당 교차로국가지원지방도 제30호선
지방도 제902호선
(각남로)
(한재로)
(헐티로)
예리 교차로예리4길
각남 교차로국가지원지방도 제30호선
(이서로)
서상 교차로도주관로
연지로
화양읍
합천삼거리화양로
화양삼거리화양로
눌미사거리동고길
동천3길
운동장앞사거리
(청도공설운동장)
범곡사거리청화로
범곡길
청도대교
청도읍
모강 교차로국도 제25호선
(새마을로)
원당삼거리중앙로
부야 교차로팔치길
곰티재터널연장 1030m
매전면
곰태 교차로곰티로
관하리지방도 제925호선
(관방로)
매전면보건지소
매전면사무소
매전삼거리국도 제58호선
(청매로)
매전교삼거리지방도 제919호선
(선암로)
동곡재
금천면
동곡네거리국가지원지방도 제69호선
(금천로)
국가지원지방도 제69호선과 중복
금천면사무소
금천네거리지방도 제919호선
(선암로)
동곡삼거리지방도 제919호선
(금천로)
국가지원지방도 제69호선과 중복
지방도 제919호선과 중복
상행 좌회전 불가
방지초등학교국가지원지방도 제69호선과 중복
지방도 제919호선과 중복
대천공용여객자동차터미널운문면
대천삼거리국가지원지방도 제69호선
(운문로)
운문댐지방도 제919호선과 중복
운문댐삼거리지방도 제919호선
(운용로)
지촌삼거리지방도 제921호선
(운북로)
지방도 제921호선과 중복
지촌2교
신원1교
신원2교
경주시산내면
산내네거리지방도 제921호선
(문복로)
의곡중앙길
의곡교
당고개
건천읍
건천 나들목1호선 경부고속도로
(천포리)단석로
용명육교
북건천 나들목국도 제4호선
국도 제35호선
(대경로)
건천터널상행 연장 615m
하행 연장 627m
대곡 교차로대곡용명길
경주터널상행 연장 2080m
하행 연장 2060m
현곡면
상구교
상구 교차로국도 제7호선
(외현로)
국도 제7호선과 중복
하구교
현곡 교차로
(현곡교)
지방도 제904호선
(용담로)
청림교
무과교
말구불터널국도 제7호선과 중복
상행 연장 465m
하행 연장 440m
안강읍
사방 교차로안현로국도 제7호선과 중복
사방대교
형산강교
천북면
북경주 나들목국도 제7호선
(산업로)
(이름 없음)화산공단길
신왕신교
강동터널상행 연장 1215m
하행 연장 1235m
강동면
강동교
왕신 나들목지방도 제945호선
(천강로)
강동산단교강동산단로
우복 교차로국도 제31호선
(영일만대로)
포항시남구 연일읍
남성 교차로홍계길62번길
남성길
남성길1길
남구 대송면
남천교운제로
(동국제강앞)장흥로남구
(포항변전소)괴동로
철강로
장흥동사거리국가지원지방도 제20호선
(철강로)
동국에스앤씨
현대종합특수강 포항공장섬안로
포스코건설
제내교
괴동역
현대제철삼거리동해안로종점



4. 노선

경상북도 구간은 청도군에서 시작하여 경주시포항시를 거쳐 현대제철 삼거리까지 이어진다.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은 다음과 같다.





명칭[3]한글명연결 노선위치비고
버티재버티재청도군풍각면경상남도 - 경상북도 경계
금곡삼거리금곡삼거리금동길
풍각육교풍각육교봉기로
월봉길
송서1교송서1교
송서2교송서2교
각남면
신당 교차로신당 교차로지방도 제30호선
지방도 902호선
(각남로)
(한재로)
(헐티로)
예리 교차로예리 교차로예리4길
각남 교차로각남 교차로지방도 제30호선
(이서로)
서상 교차로서상 교차로도주관로
연지로
화양읍
합천삼거리합천삼거리화양로
화양삼거리화양삼거리화양로
눌미사거리눌미사거리동고길
동천3길
운동장앞사거리
(청도공설운동장)
운동장앞사거리
(청도공설운동장)
범곡사거리범곡사거리천화로
범곡길
청도대교청도대교
청도읍
모강 교차로모강 교차로국도 제25호선
(새마을로)
원당삼거리원당삼거리중앙로
부야 교차로부야 교차로팔치길
곰티재터널곰티재터널약 1030m
매전면
곰태 교차로곰태 교차로곰티로
관하리관하리지방도 925호선
(관방로)
매전보건지소
매전면사무소
매전보건지소
매전면사무소
매전삼거리매전삼거리국도 제58호선
(청매로)
매전교삼거리매전교삼거리지방도 919호선
(선암로)
동곡재동곡재
금천면
동곡네거리동곡네거리지방도 제69호선
(금천로)
지방도 제69호선 중복
금천면사무소금천면사무소
금천네거리금천네거리지방도 919호선
(선암로)
동곡삼거리동곡삼거리지방도 919호선
(금천로)
지방도 제69호선, 지방도 919호선 중복
방지초등학교방지초등학교지방도 제69호선, 지방도 919호선 중복
대천공용여객자동차터미널대천공용여객자동차터미널운문면
대천삼거리대천삼거리지방도 제69호선
(운문로)
운문댐운문댐지방도 919호선 중복
운문댐삼거리운문댐삼거리지방도 919호선
(운용로)
지촌삼거리지촌삼거리지방도 921호선
(운북로)
지방도 921호선 중복
지촌2교지촌2교
신원1교
신원2교
신원1교
신원2교
경주시산내면
산내네거리산내네거리지방도 921호선
(문복로)
의곡교의곡교
당고개당고개
건천읍
건천 나들목건천 나들목경부고속도로
(천포리)(천포리)단석로
용명육교용명육교
북건천 나들목북건천 나들목국도 제4호선
국도 제35호선
(대경로)
건천터널건천터널우측터널: 약 615m
좌측터널: 약 627m
대곡 교차로대곡 교차로대곡경명길
경주터널경주터널우측터널: 약 2080m
좌측터널: 약 2060m
현곡면
현곡 교차로현곡 교차로지방도 904호선
(용담로)
말구불터널말구불터널우측터널: 약 465m
좌측터널: 약 440m
안강읍
사방 교차로사방 교차로안현로
사방대교사방대교
형산강교형산강교
천북면
북경주 나들목북경주 나들목국도 제7호선
(산업로)
(이름 없음)(이름 없음)화상공단길
신왕신교신왕신교
강동터널강동터널우측터널: 약 1215m
좌측터널: 약 1235m
강동면
강동교강동교
왕신 나들목왕신 나들목지방도 945호선
(청강로)
강동산단교강동산단교강동산단로
우복 교차로우복 교차로국도 제31호선
(영일만대로)
포항시포항시 남구 연일읍
남성 교차로남성 교차로홍계길 62번길
남성길
남성길 1길
포항시 남구 대송면
남천교남천교운제로
(동국제강앞)(동국제강앞)장흥로포항시 남구
(포항변전소)(포항변전소)고읍로
철강로
장흥동사거리장흥동사거리지방도 제20호선
(철강로)
동국에스앤씨동국에스앤씨
현대종합특수강 포항공장현대종합특수강 포항공장서만로
포스코건설
제내교
괴동역
포스코건설
제내교
괴동역
현대제철삼거리현대제철삼거리동해안로종점


4. 1. 경상남도

경상남도 구간은 산청군에서 시작하여 의령군, 합천군, 창녕군을 거쳐 경상북도 청도군으로 이어진다.

  • 산청군 구간: 해당 문서 참조
  • 의령군 구간: 해당 문서 참조
  • 합천군 구간: 해당 문서 참조
  • 창녕군 구간: 해당 문서 참조

4. 1. 1. 산청군

중산리한국어(종점)에서 시작하여 시천면 소재 중산교를 건너 삼당교 동단에서 지방도 제1047호선과 중복된다. 신천초등학교와 외공마을을 지나면서 국도 제59호선과도 겹치게 되고, 원리 교차로에서 국도 제59호선과 분기한다. 이후 사리 교차로를 거쳐 단성면으로 진입한다.

단성면에서는 창촌삼거리에서 지방도 제1005호선과 만나고, 호암교 남단에서 지방도 제1001호선과 중복되었다가 남사삼거리에서 다시 분기한다. 배양교에서는 지방도 제1049호선과 교차하며, 단성 나들목에서 통영대전고속도로와 교차한다. 단성중고교앞사거리와 단성교를 지나 신안면으로 들어간다.

신안면에서는 원지삼거리를 지나 하정 교차로에서 국도 제3호선과 교차하고, 청현교 북단에서 지방도 제1006호선과 중복되었다가 문대삼거리에서 분기한다. 이후 신안교를 건너 생비량면으로 진입한다.

생비량면에서는 도리 교차로, 생비량삼거리를 거쳐 생비량 교차로에서 국도 제33호선과 중복되고, 송계교를 지난다.

상세한 구간은 아래 표와 같다.

명칭[2]한글명연결 노선소재지비고
Jungsan-ri중산리산청군시천면종점
Jungsan Bridge중산교
(Samdang Bridge)(삼당교 동단)지방도 제1047호선
(삼신봉로)
지방도 제1047호선 중복
Sincheon Elementary School신천초등학교
(Oegongma-eul)(외공마을)국도 제59호선지방도 제1047호선 중복
국도 제59호선 중복
Wonri IS원리 교차로국도 제59호선
(지리산대로)
국도 제59호선 중복
(이름 없음)(이름 없음)진황령로
Sari IS사리 교차로남명로
Changchon IS창촌삼거리지방도 제1005호선
(옥단로)
단성면
(Hoam Bridge)(호암교 남단)지방도 제1001호선
(호암로)
지방도 제1001호선 중복
Namsa IS남사삼거리지방도 제1001호선
(목화로)
(이름 없음)(이름 없음)지방도 제1049호선
(목화로)
Baeyang Bridge배양교지방도 제1049호선
(목화로)
(성철로)
Danseong IC단성 나들목통영대전고속도로
목화로
Danseong High School IS단성중고교앞사거리강누방목로
지리산대로 3362번길
Danseong Bridge단성교
신안면
Wonji IS원지삼거리중정알천로
(이름 없음)(이름 없음)원지로
Hajeong IS하정 교차로국도 제3호선
(산청대로)
(Cheonghyeon Bridge)(청현교 북단)지방도 제1006호선
(청현로)
지방도 제1006호선 중복
Mundae Clinic문대보건진료소
Mundae IS문대삼거리지방도 제1006호선
(신차로)
Sinan Bridge신안교
Dori IS도리 교차로비룡로생비량면
Saengbiryang IS생비량삼거리진산로
Saengbiryang IS생비량 교차로국도 제33호선
(대신로)
국도 제33호선 중복
Songgye Bridge송계교


4. 1. 2. 의령군

의령군 大義面한국어에서는 대의1교, 대의 교차로, 마쌍 교차로, 평촌 교차로, 죽전 교차로, 다사 교차로, 다사터널(약 660m)을 지난다. 대의 교차로에서는 국도 제33호선과 중복된다.[3]

의령군 七谷面한국어에서는 양촌 교차로, 산남 교차로, 칠곡 교차로, 입암 교차로를 지난다. 입암 교차로에서는 지방도 제1013호선과 연결된다.[3]

의령군 佳禮面한국어에서는 봉두 교차로, 운암육교, 가례육교, 가례 교차로를 지난다.[3]

의령군 宜寧邑한국어에서는 남천삼거리, 서부삼거리, 의병사거리, 구룡사거리, 백야오거리, 무전삼거리를 지난다. 남천삼거리와 서부삼거리에서는 지방도 제1037호선과 중복되며, 백야오거리에서는 국도 제79호선과 연결된다.[3]

의령군 龍德面한국어에서는 교암사거리, 진등재를 지난다.[3]

의령군 正谷面한국어에서는 죽전리, 정곡삼거리, 중교사거리, 정곡중학교를 지난다. 죽전리에서는 건설 중인 지방도 제1029호선과 연결되며, 중교사거리에서는 지방도 제1011호선과 연결된다.[3]

의령군 柳谷面한국어에서는 야산삼거리, 세간삼거리, 세간교삼거리를 지난다. 야산삼거리와 세간삼거리에서는 지방도 제1041호선과 중복되며, 세간교삼거리에서는 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 지방도 제1008호선과 중복된다.[3]

의령군 富林面한국어에서는 부림교, 의령 나들목, 여배교를 지난다. 의령 나들목에서는 건설 중인 함양울산고속도로와 연결된다.[3]

4. 1. 3. 합천군

경상남도 의령군에서 합천군 청덕면으로 이어지는 구간이다.

이름접속 노선소재지비고
원진교합천군 청덕면
적포삼거리국도 제24호선 (합천대로)국도 제24호선 중복
적포교

[47]

4. 1. 4. 창녕군

이방면에서는 이남삼거리가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79호선, 국도 제24호선과 중복된다. 유어교를 건너 유어면에 이르면 유어면사무소가 있고, 유어삼거리에서 국도 제79호선과 교차한다. 대지면에는 본초삼거리가 있다. 창녕읍에는 중부내륙고속도로와 연결되는 창녕 나들목이 있으며, 오리정사거리에서 지방도 제1080호선과 교차한다. 명덕초등학교, 창녕 석빙고, 송현사거리를 지나면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이 나오고, 창녕공업고등학교가 이어진다. 고암면에는 고암사거리에서 국도 제24호선과 교차하고, 고암면사무소와 중대교가 있다. 성산면에는 방골재, 방리사거리(지방도 제1034호선과 교차), 버티재삼거리, 버티재가 있다.[47]

4. 2. 경상북도

경상북도 구간은 청도군에서 시작하여 경주시포항시를 거쳐 현대제철 삼거리까지 이어진다.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은 다음과 같다.

  • 청도군 풍각면 - 경주시 강동면 (우복 교차로)



4. 2. 1. 청도군



청도군을 지나는 국도 제20호선은 다음과 같은 구간을 지난다.

이름접속 노선비고
버티재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과 중복
금곡삼거리금동길
풍각육교봉기로
월봉길
송서1교
송서2교
신당 교차로국가지원지방도 제30호선
지방도 제902호선
(각남로)
(한재로)
(헐티로)
예리 교차로예리4길
각남 교차로국가지원지방도 제30호선
(이서로)
서상 교차로도주관로
연지로
합천삼거리화양로
화양삼거리화양로
눌미사거리동고길
동천3길
운동장앞사거리
(청도공설운동장)
범곡사거리청화로
범곡길
청도대교
모강 교차로국도 제25호선
(새마을로)
원당삼거리중앙로
부야 교차로팔치길
곰티재터널연장 1,030m
곰태 교차로곰티로
관하리지방도 제925호선
(관방로)
매전보건지소
매전면사무소
매전삼거리국도 제58호선
(청매로)
매전교삼거리지방도 제919호선
(선암로)
동곡재
동곡네거리국가지원지방도 제69호선
(금천로)
국가지원지방도 제69호선과 중복
금천면사무소
금천네거리지방도 제919호선
(선암로)
동곡삼거리지방도 제919호선
(금천로)
국가지원지방도 제69호선, 지방도 제919호선과 중복[47]
방지초등학교국가지원지방도 제69호선, 지방도 제919호선과 중복[47]
대천공용여객자동차터미널국가지원지방도 제69호선과 중복[47]
대천삼거리국가지원지방도 제69호선
(운문로)
국가지원지방도 제69호선과 중복[47]
운문댐지방도 제919호선과 중복[47]
운문댐삼거리지방도 제919호선
(운용로)
지방도 제919호선과 중복[47]
지촌삼거리지방도 제921호선
(운북로)
지방도 제921호선과 중복[47]
지촌2교
신원1교
신원2교


4. 2. 2. 경주시

산내면에서 지방도 제921호선(문복로)과 분기되어 의곡교를 건너 당고개를 넘어간다. 건천읍에서는 건천 나들목에서 경부고속도로와 교차하고, 천포리에서 단석로와 분기된다. 용명육교를 지나 북건천 나들목에서 국도 제4호선국도 제35호선 (대경로)과 교차한다. 건천터널(상행 약 615m, 하행 약 627m)과 대곡 교차로(대곡용명길)를 지나 경주터널(상행 약 2080m, 하행 약 2060m)을 통과한다.

현곡면에서는 현곡 교차로에서 지방도 제904호선(용담로)과 교차하고, 말구불터널(상행 약 465m, 하행 약 440m)을 지난다. 안강읍에서는 사방 교차로(안현로)와 사방대교, 형산강교를 지난다. 천북면에서는 북경주 나들목에서 국도 제7호선 (산업로)과 교차하고, 화산공단길과 교차하는 지점을 지나 신왕신교를 건넌다. 강동터널(상행 약 1215m, 하행 약 1235m)을 지나 강동면으로 진입한다.

강동면에서는 강동교를 건너고, 왕신 나들목에서 지방도 제945호선(천강로)과 교차하며, 강동산단교를 지나 강동산단로와 만난다.[47]

4. 2. 3. 포항시 남구

연일읍 우복 교차로 (국도 제31호선)[47]에서 시작하여, 대송면의 남성 교차로, 남천교를 지난다.[47] 동해면에서는 동국제강앞, 포항변전소, 장흥동사거리 (국가지원지방도 제20호선)를 거쳐 동국에스앤씨, 현대종합특수강 포항공장, 포스코건설, 제내교, 괴동역을 지나 현대제철삼거리에서 끝난다.[47]

5. 도로명

국도 제20호선은 구간에 따라 다양한 도로명을 가지고 있다. 경상남도 구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산청군 시천면 중산리 ~ 생비량면 생비량 교차로: 지리산대로
  • 산청군 생비량면 생비량 교차로 ~ 의령군 대의면 대의 교차로: 합천대로
  • 의령군 대의면 대의 교차로 ~ 의령읍 백야오거리: 의령대로
  • 의령군 의령읍 백야오거리 ~ 합천군 청덕면 적포교: 의합대로
  • 창녕군 이방면 적포교 ~ 창녕읍 오리정사거리: 우포1대로
  • 창녕군 창녕읍 오리정사거리 ~ 송현사거리: 명덕로
  • 창녕군 창녕읍 송현사거리 ~ 고암면 고암사거리: 창밀로
  • 창녕군 고암면 고암사거리 ~ 성산면 버티재: 고암성산대로


경상북도 구간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 청도군 풍각면 버티재 ~ 운문면 신원1교: 청려로
  • 경주시 산내면 신원1교 ~ 건천읍 건천 나들목: 단석로
  • 경주시 건천읍 건천 나들목 ~ 포항시 남구 동국제강앞: 건포산업로
  • 포항시 남구 동국제강앞 ~ (포항변전소): 장흥로
  • 포항시 남구 (포항변전소) ~ 장흥동사거리: 철강로
  • 포항시 남구 장흥동사거리 ~ 현대제철삼거리: 대송로

5. 1. 경상남도

5. 2. 경상북도

청도군 풍각면 버티재에서 운문면 신원1교까지 구간은 청려로이다. 경주시 산내면 신원1교에서 건천읍 건천 나들목까지 구간은 단석로이다. 경주시 건천읍 건천 나들목에서 포항시 남구 동국제강앞까지 구간은 건포산업로이다. 포항시 남구 동국제강앞에서 (포항변전소)까지 구간은 장흥로이며, (포항변전소)에서 장흥동사거리까지 구간은 철강로이다. 포항시 남구 장흥동사거리에서 현대제철삼거리까지 구간은 대송로이다.

명칭 [3]한국어 명칭연결 도로위치비고
Beotijae버티재 청도군풍각면경상남도-경상북도 경계
Geumgok IS금곡삼거리금동길 
Punggak Overpass풍각육교봉기로
월봉길
 
Songseo 1 Bridge송서1교  
Songseo 2 Bridge송서2교  
  각남면
Sindang IS신당 교차로지방도 제30호선, 지방도 902호선
(각남로)
(한재로)
(헐티로)
 
Yeri IS예리 교차로예리4길 
Gaknam IS각남 교차로지방도 제30호선
(이서로)
 
Seosang IS서상 교차로도주관로
연지로
화양읍
Hapcheon IS합천삼거리화양로 
Hwayang IS화양삼거리화양로 
Nulmi IS눌미사거리동고길
동천3길
 
Stadium IS
(Cheongdo Public Stadium)
운동장앞사거리
(청도공설운동장)
  
Beomgok IS범곡사거리천화로
범곡길
 
Cheongdo Bridge청도대교  
  청도읍
Mogang IS모강 교차로국도 제25호선
(새마을로)
 
Wondang IS원당삼거리중앙로 
Buya IS부야 교차로팔치길 
Gomtijae Tunnel곰티재터널 약 1,030m
  매전면
Gomtae IS곰태 교차로곰티로 
Gwanha-ri관하리지방도 925호선
(관방로)
 
Maejeon Health Center
Maejeon-myeon Office
매전보건지소
매전면사무소
  
Maejeon IS매전삼거리국도 제58호선
(청매로)
 
Maejeon Bridge IS매전교삼거리지방도 919호선
(선암로)
 
Donggokjae동곡재  
  금천면
Donggok IS동곡네거리지방도 69호선
(금천로)
지방도 69호선 중복
Geumcheon-myeon Office금천면사무소 
Geumcheon IS금천네거리지방도 919호선
(선암로)
Donggok IS동곡삼거리지방도 919호선
(금천로)
지방도 69호선, 지방도 919호선 중복
Bangji Elementary School방지초등학교 지방도 69호선, 지방도 919호선 중복
Daecheon Public Bus Terminal대천공용여객자동차터미널 운문면
Daecheon IS대천삼거리지방도 69호선
(운문리)
Unmundaem운문댐 지방도 919호선 중복
Unmundaem IS운문댐삼거리지방도 919호선
(운용로)
Jichon IS지촌삼거리지방도 921호선
(운북로)
지방도 921호선 중복
Jichon 2 Bridge지촌2교 
Sinwon 1 Bridge
Sinwon 2 Bridge
신원1교
신원2교
 
  경주시산내면
Sannae IS산내네거리지방도 921호선
(문복로)
Uigok Bridge의곡교  
Danggogae당고개  
  건천읍
Geocheon IC건천 나들목경부고속도로 
(Cheonpo-ri)(천포리)단석로 
Yongmyeong Overpass용명육교  
North Geoncheon IC북건천 나들목국도 제4호선, 국도 제35호선
(대경로)
 
Geoncheo Tunnel건천터널 우측터널: 약 615m
좌측터널: 약 627m
Daegok IS대곡 교차로대곡경명길 
Gyeongju Tunnel경주터널 우측터널: 약 2,080m
좌측터널: 약 2,060m
  현곡면
Hyeongok IS현곡 교차로지방도 904호선
(용담로)
 
Malgubul Tunnel말구불터널 우측터널: 약 465m
좌측터널: 약 440m
  안강읍
Sabang IS사방 교차로안현로 
Sabang Bridge사방대교  
Hyeongsangang Bridge형산강교  
  천북면
North Gyeongju IC북경주 나들목국도 제7호선
(산업로)
 
No name(이름 없음)화상공단길 
Sinwangsin Bridge신왕신교  
Gangdong Tunnel강동터널 우측터널: 약 1,215m
좌측터널: 약 1,235m
  강동면
Gangdong Bridge강동교  
Wangsin IC왕신 나들목지방도 945호선
(청강로)
 
Gangdongsandan Bridge강동산단교강동산단로 
Ubok IS우복 교차로국도 제31호선
(영일만대로)
포항시연일읍
Namseong IS남성 교차로홍계길 62번길
남성길
남성길 1길
대송면
Namcheon Bridge남천교운제로 
(동국제강)(동국제강앞)장흥로포항시 남구
(포항 변전소)(포항변전소)고읍로
철강로
 
장흥동 IS장흥동사거리지방도 제20호선
(철강로)
 
동국에스앤씨동국에스앤씨  
현대종합특수강 포항공장현대종합특수강 포항공장서만로 
포스코건설
제내교
괴동역
포스코건설
제내교
괴동역
  
현대제철 삼거리현대제철삼거리동해안로종점


6.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

국토교통부에서 지정한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으로, 보행자, 자전거 등은 통행할 수 없다. 이륜자동차(모터사이클 혹은 오토바이)는 긴급자동차(싸이카 및 소방용 모터사이클 등)에 한해 통행이 가능하며, 그 밖의 이륜자동차와 경운기, 우마차, 트랙터, 손수레는 통행할 수 없다.

도로명
고속도로
시점
고속도로
종점
총연장 (km)차로수지정일
건포산업로경상북도 경주시 건천읍 천포리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장흥동32.942000년 2월 24일


7. 통과하는 도로

국도 제20호선이 통과하는 도로는 다음과 같다.

=== 고속도로 ===



=== 국도 ===

명칭한국어 명칭연결위치참고
Mogang IS모강 교차로국도 25호선 (새마을로)청도군 청도읍
North Geoncheon IC북건천 나들목국도 4호선, 국도 35호선 (대경로)경주시 건천읍
North Gyeongju IC북경주 나들목국도 7호선 (산업로)경주시 천북면
Ubok IS우복 교차로국도 31호선 (영일만대로)포항시 남구 연일읍
현대제철삼거리동해안로포항시 남구종점



=== 국가지원지방도 ===

경상남도 산청군 시천면에서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현대제철 삼거리를 잇는 대한민국국가지원지방도이다.

명칭[3]한국어 명칭연결위치참고
Sindang IS신당 교차로지방도 30호선, 지방도 902호선
(각남로)
(한재로)
(헐티로)
청도군 각남면
Gaknam IS각남 교차로지방도 30호선
(이서로)
청도군 각남면
Sannae IS산내네거리지방도 921호선
(문복로)
경주시 산내면
Hyeongok IS현곡 교차로지방도 904호선
(용담로)
경주시 현곡면
Jangheungdong IS장흥동사거리지방도 20호선
(철강로)
포항시 남구
현대제철삼거리동해안로포항시 남구종점



=== 지방도 ===

경상북도 청도군 각남면 신당 교차로에서 지방도 제30호선과 분기되어 청도군 각남 교차로에서 다시 지방도 제30호선과 만난다. 경주시 산내면 산내네거리에서 지방도 제921호선과 분기되며, 경주시 현곡면 현곡 교차로에서 지방도 제904호선과 교차한다. 포항시 남구 장흥동사거리에서 지방도 제20호선과 교차하며, 종점인 현대제철 삼거리에서 동해안로와 연결된다.

구간비고
청도군 각남면 신당 교차로 ~ 각남 교차로지방도 제30호선 중복
경주시 산내면 산내네거리 ~ 경주시 현곡면 현곡 교차로지방도 제921호선 중복
포항시 남구 장흥동사거리 ~ 현대제철 삼거리지방도 제20호선 중복


7. 1. 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

7. 2. 국도

명칭한국어 명칭연결위치참고
Mogang IS모강 교차로국도 25호선 (새마을로)청도군 청도읍
North Geoncheon IC북건천 나들목국도 4호선, 국도 35호선 (대경로)경주시 건천읍
North Gyeongju IC북경주 나들목국도 7호선 (산업로)경주시 천북면
Ubok IS우복 교차로국도 31호선 (영일만대로)포항시 남구 연일읍
현대제철삼거리동해안로포항시 남구종점


7. 3. 국가지원지방도

경상남도 산청군 시천면에서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현대제철 삼거리를 잇는 대한민국국가지원지방도이다.

명칭[3]한국어 명칭연결위치참고
Beotijae버티재청도군풍각면경상남도 - 경상북도 경계
Geumgok IS금곡삼거리금동길
Punggak Overpass풍각육교봉기로
월봉길
Songseo 1 Bridge송서1교
Songseo 2 Bridge송서2교
각남면
Sindang IS신당 교차로지방도 30호선
지방도 902호선
(각남로)
(한재로)
(헐티로)
Yeri IS예리 교차로예리4길
Gaknam IS각남 교차로지방도 30호선
(이서로)
Seosang IS서상 교차로도주관로
연지로
화양읍
Hapcheon IS합천삼거리화양로
Hwayang IS화양삼거리화양로
Nulmi IS눌미사거리동고길
동천3길
Stadium IS
(Cheongdo Public Stadium)
운동장앞사거리
(청도공설운동장)
Beomgok IS범곡사거리천화로
범곡길
Cheongdo Bridge청도대교
청도읍
Mogang IS모강 교차로국도 25호선
(새마을로)
Wondang IS원당삼거리중앙로
Buya IS부야 교차로팔치길
Gomtijae Tunnel곰티재터널약 1,030m
매전면
Gomtae IS곰태 교차로곰티로
Gwanha-ri관하리지방도 925호선
(관방로)
Maejeon Health Center
Maejeon-myeon Office
매전보건지소
매전면사무소
Maejeon IS매전삼거리국도 58호선
(청매로)
Maejeon Bridge IS매전교삼거리지방도 919호선
(선암로)
Donggokjae동곡재
금천면
Donggok IS동곡네거리지방도 69호선
(금천로)
지방도 69호선 중복
Geumcheon-myeon Office금천면사무소
Geumcheon IS금천네거리지방도 919호선
(선암로)
Donggok IS동곡삼거리지방도 919호선
(금천로)
지방도 69호선, 919호선 중복
Bangji Elementary School방지초등학교지방도 69호선, 919호선 중복
Daecheon Public Bus Terminal대천공용여객자동차터미널운문면
Daecheon IS대천삼거리지방도 69호선
(운문리)
Unmundaem운문댐지방도 919호선 중복
Unmundaem IS운문댐삼거리지방도 919호선
(운용로)
Jichon IS지촌삼거리지방도 921호선
(운북로)
지방도 921호선 중복
Jichon 2 Bridge지촌2교
Sinwon 1 Bridge
Sinwon 2 Bridge
신원1교
신원2교
경주시산내면
Sannae IS산내네거리지방도 921호선
(문복로)
Uigok Bridge의곡교
Danggogae당고개
건천읍
Geocheon IC건천 나들목경부고속도로
(Cheonpo-ri)(천포리)단석로
Yongmyeong Overpass용명육교
North Geoncheon IC북건천 나들목국도 4호선
국도 35호선
(대경로)
Geoncheo Tunnel건천터널우측터널: 약 615m
좌측터널: 약 627m
Daegok IS대곡 교차로대곡경명길
Gyeongju Tunnel경주터널우측터널: 약 2,080m
좌측터널: 약 2,060m
현곡면
Hyeongok IS현곡 교차로지방도 904호선
(용담로)
Malgubul Tunnel말구불터널우측터널: 약 465m
좌측터널: 약 440m
안강읍
Sabang IS사방 교차로안현로
Sabang Bridge사방대교
Hyeongsangang Bridge형산강교
천북면
North Gyeongju IC북경주 나들목국도 7호선
(산업로)
No name(이름 없음)화상공단길
Sinwangsin Bridge신왕신교
Gangdong Tunnel강동터널우측터널: 약 1,215m
좌측터널: 약 1,235m
강동면
Gangdong Bridge강동교
Wangsin IC왕신 나들목지방도 945호선
(청강로)
Gangdongsandan Bridge강동산단교강동산단로
Ubok IS우복 교차로국도 31호선
(영일만대로)
포항시포항시 남구 연일읍
Namseong IS남성 교차로홍계길 62번길
남성길
남성길 1길
포항시 남구 대송면
Namcheon Bridge남천교운제로
(동국제강)(동국제강앞)장흥로포항시 남구
(포항 변전소)(포항변전소)고읍로
철강로
Jangheungdong IS장흥동사거리지방도 20호선
(철강로)
동국에스앤씨동국에스앤씨
현대종합특수강 포항공장현대종합특수강 포항공장서만로
포스코건설
제내교
괴동역
포스코건설
제내교
괴동역
현대제철 삼거리현대제철삼거리동해안로종점


7. 4. 지방도

경상북도 청도군 각남면 신당 교차로에서 지방도 제30호선과 분기되어 청도군 각남 교차로에서 다시 지방도 제30호선과 만난다. 경주시 산내면 산내네거리에서 지방도 제921호선과 분기되며, 경주시 현곡면 현곡 교차로에서 지방도 제904호선과 교차한다. 포항시 남구 장흥동사거리에서 지방도 제20호선과 교차하며, 종점인 현대제철 삼거리에서 동해안로와 연결된다.

구간비고
청도군 각남면 신당 교차로 ~ 각남 교차로지방도 제30호선 중복
경주시 산내면 산내네거리 ~ 경주시 현곡면 현곡 교차로지방도 제921호선 중복
포항시 남구 장흥동사거리 ~ 현대제철 삼거리지방도 제20호선 중복


참조

[1] 법률 대통령령 제10247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81-03-14
[2] 문서 Intersection and interchange are also included, as well as buildings and facilities in the surrounding area
[3] 문서 Intersection and interchange are also included, as well as buildings and facilities in the surrounding area
[4] 법률 대통령령 제10247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81-03-14
[5] 간행물 대구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7호 http://theme.archive[...] 1981-05-08
[6]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4호 http://theme.archive[...] 1981-05-12
[7]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191호 http://theme.archive[...] 1981-05-30
[8]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5호 http://theme.archive[...] 1989-03-11
[9] 법률 대통령령 제15101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96-07-01
[10]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8-176호 http://theme.archive[...] 1998-05-23
[11]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9-126호 http://theme.archive[...] 1999-06-10
[12]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9-159호 http://theme.archive[...] 1999-07-21
[13]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9-153호, 제1999-154호 http://theme.archive[...] 1999-07-15
[14]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9-200호 http://theme.archive[...] 1999-09-02
[15]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9-284호 http://theme.archive[...] 1999-12-27
[16]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0-16호 http://theme.archive[...] 2000-02-24
[17]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0-202호, 제2000-203호 http://theme.archive[...] 2000-07-31
[18]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1-209호 http://gwanbo.mois.g[...] 2001-10-15
[19]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1-210호 http://gwanbo.mois.g[...] 2001-10-15
[20]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2-274호 http://www.gyeongnam[...] 2002-09-12
[21]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2-275호 http://www.gyeongnam[...] 2002-09-12
[22]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2-379호 http://www.gb.go.kr/[...] 2003-01-06
[23]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3-118호 http://www.gb.go.kr/[...] 2003-05-19
[24]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3-337호 http://www.gb.go.kr/[...] 2003-12-04
[25]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4-254호 http://www.gb.go.kr/[...] 2004-09-30
[26]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4-331호 http://www.gb.go.kr/[...] 2004-12-27
[27]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6-105호 http://www.gyeongnam[...] 2006-07-27
[28]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8-131호 http://gwanbo.mois.g[...] 2008-06-19
[29]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0-183호 http://gwanbo.mois.g[...] 2010-09-10
[30]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1-4호 http://gwanbo.mois.g[...] 2011-01-11
[31]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3-122호 http://gwanbo.mois.g[...] 2013-06-19
[32] 뉴스 국도 25호선 청도∼경산 구간과 국도20호선 곰티재 구간 개통 https://news.naver.c[...] 뉴시스 2013-06-30
[33]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3-178호 http://gwanbo.mois.g[...] 2013-08-28
[34]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4-218호 http://gwanbo.mois.g[...] 2014-11-26
[35] 뉴스 의령 대의~칠곡 국도 20호선 확장 개통 http://www.knnews.co[...] 경남신문 2014-12-02
[36]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4-234호 http://gwanbo.mois.g[...] 2015-01-19
[37] 블로그 경북 청도군 풍각 ~ 화양 국도 4차로 전면개통 http://www.yda.kr/72[...] 2014-12-18
[38] 뉴스 청도 풍각~화양 국도건설 완료 http://www.hidomin.c[...] 경북도민일보 2014-12-22
[39]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4-235호 http://gwanbo.mois.g[...] 2015-01-19
[40]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4-252호 http://gwanbo.mois.g[...] 2015-01-05
[41]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181호 http://gwanbo.mois.g[...] 2015-03-27
[42]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7-7호 http://gwanbo.mois.g[...] 2017-01-12
[43]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7-151호 http://gwanbo.mois.g[...] 2017-08-02
[44]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7-152호 http://gwanbo.mois.g[...] 2017-08-02
[45]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21-270호 https://gwanbo.go.kr[...] 2021-12-30
[46]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21-271호 https://gwanbo.go.kr[...] 2021-12-30
[47] 문서 교차로와 나들목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의 건물 및 시설 등도 포함
[48] 문서 고시 상으로 지리산빨치산토벌전시관 인근이 시점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