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진주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주시는 대한민국 경상남도에 위치한 도시로, 청동기 시대부터 사람이 정착한 것으로 추정된다. 백제, 신라를 거쳐 고려 시대에 진주목이 설치되었고, 조선 시대 임진왜란 당시 제1차 진주성 전투에서 승리했으나 제2차 진주성 전투에서 패배하기도 했다. 1896년 경상남도에 편입되어 도청 소재지로서 경남 행정의 중심지가 되었으며, 1939년 진주부로 승격되었다. 1949년 진주시로 개칭되었고, 1995년 진양군과 통합하여 현재의 진주시가 되었다. 현재는 혁신도시 조성을 통해 한국토지주택공사 등 여러 공공기관이 이전해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진주시의 행정 구역 - 충무공동
    충무공동은 경상남도 진주시에 위치하며 김시민 장군의 호에서 유래된 동으로, 경남진주혁신도시가 조성되어 있고 진주익룡발자국전시관과 천연기념물 제534호로 지정된 발자국 화석산지가 위치해 있다.
  • 경상남도의 도시 - 거제시
    거제시는 경상남도 남쪽 해안에 위치한 도농복합시로, 고대부터 해상 교통 요충지이자 왜구 방어의 역할을 수행했으며, 임진왜란과 한국전쟁의 역사적 배경을 지니고 1970년대 이후 조선업 발전과 교통 인프라 확충을 통해 성장해왔고, 김영삼, 문재인 전 대통령을 배출한 곳이다.
  • 경상남도의 도시 - 양산시
    양산시는 경상남도 남동부에 위치하며 부산과 울산 생활권이 공존하는 산악 도시로, 오랜 역사를 지니고 현재 1읍 4면 8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통도사 등의 관광지와 교육 및 산업 시설, 편리한 교통망을 갖춘 인구 약 35만 명의 도시이다.
  • 진주시 - 한국토지주택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2009년 한국토지공사와 대한주택공사의 통합으로 설립된 공기업으로, 신도시 건설, 택지 개발, 주거 복지 사업 등을 통해 국토의 효율적 이용과 주택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국가 균형 발전에 이바지하지만, 부동산 투기 의혹과 부실 공사 논란으로 사회적 비판을 받으며 공공기관으로서의 책임과 투명성 확보 요구를 받고 있다.
  • 진주시 - 진주남강유등축제
    진주남강유등축제는 임진왜란 진주성 전투의 등불에서 유래하여 개천예술제의 일환으로 이어져 오다 독립적인 축제로 발전, 다양한 체험 행사와 공연, 세계 각국 등 전시로 국제적인 인정을 받는 대한민국 대표 축제이다.
진주시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진주시와 남강
기본 정보
공식 명칭진주시
한글 표기진주시
한자 표기晉州市
로마자 표기Jinju-si
매큔-라이샤워 표기Chinju-si
위치대한민국 경상남도
행정 구역1읍, 15면, 21동
면적712.86 km²
인구339,388명 (2024년 9월 기준)
인구 밀도자동 계산
방언경상 방언
우편 번호52600~52889
지역 번호(+82)-55-7xx
시청 소재지경상남도 진주시 동진로 155 (상대동 284)
공식 웹사이트진주시 공식 웹사이트
정치
정치 체제시장-의회제
시장조규일 (국민의힘)
국회의원진주시 갑: 박대출 (국민의힘)
진주시 을: 강민국 (국민의힘)
상징
시목대추나무
시화석류
시조백로
시 마스코트참진주 (파일 이름: 참진주.png)
역사
다른 뜻진양군
진주시 (동음이의)
한국의 지방 행정 구역 정보
행정 구역 명칭진주시
진주성 내 척석루 부근에서 바라본 척석문 (정문). 오른쪽에 남강과 진주교가 보임
진주시 위치
로마자 표기Jinju-si
한글 표기진주시
한자 표기晉州市
일본어 독음しんしゅう
가타카나 표기チンジュ=シ
면적712.62
통계 년도2023년
총 인구341,074
남자 인구168,392
여자 인구172,682
상위 자치 단체경상남도
하위 행정 구역1읍 15면 14동
행정 구역 분류 코드38030
시목나츠메 (대추나무)
시화석류
시조시라사기 (백로)
웹사이트진주시 웹사이트

2. 역사



진주는 오랜 역사를 가진 도시로, 청동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가야 시대에는 변진의 소국인 고순시국이었다가 대가야 시대에 자타(子他) 또는 자탄(子呑)으로 불렸다. 삼국 시대에는 백제의 거타성(居陀城)이었다가 신라에 편입된 후 거타주(居陀州)가 설치되었다. 신무왕 5년에는 청주(菁州), 경덕왕 16년에는 강주(康州)로 개칭되었다가, 혜공왕 때 다시 청주(菁州)로 개칭되었다.

고려 초기에는 강주(康州)로 환원되었으며, 983년(고려 성종 2년) 십이목을 설치하면서 진주목(晉州牧)이 설치되었다. 고려 태조 23년(940년)에 처음으로 ‘진주’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조선 시대에는 진주를 진양(晉陽), 진강(晉江), 청주(菁州), 진산(晉山)이라고도 하였다. 1592년 임진왜란제1차 진주성 전투를 통해 김시민 장군이 이끄는 조선군이 왜군을 물리쳐 임진왜란 3대 대첩 중 하나인 '진주대첩'을 거두었다. 1593년 제2차 진주성 전투에서는 7만여 명의 민관군이 전사하며 왜군에 함락되었다.

1896년 13도제 실시에 따라 진주는 경상남도에 속하게 되었고, 도청소재지가 되어 경남 행정의 중심지가 되었다. 1925년 4월 1일 경상남도청이 부산으로 이전되었다. 1931년 4월 1일 진주면이 진주읍으로 승격되었다. 1939년 10월 1일 진주읍이 진주부로 승격되었고, 진주군은 진양군으로 개칭되었다.

1949년 8월 15일 지방자치제가 시행되면서 진주부는 '''진주시'''로 개칭되었다. 1995년 1월 1일 도농복합형태의 시설치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진주시와 진양군이 통합되어 현재의 진주시가 되었다.

남강변 대평면 대평리에서는 기원전 3500년부터 기원후 500년까지의 대규모 고고학 유적이 발견되었다(대평유적(大坪遺跡) 참조).

2. 1. 선사 및 삼국 시대

청동기 시대 유물을 통해 이 시기부터 사람이 정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전기 가야 시대에는 변진의 소국인 고순시국의 영역이었다.[24] 대가야 시대에는 자타(子他) 또는 자탄(子呑)으로 불렸다.[24] 삼국시대 백제의 거타성(居陀城)이었다.[25] 문무왕신라에 편입된 후 거타주(居陀州)가 설치되었고, 신무왕 5년에는 청주(菁州), 경덕왕 16년에는 강주(康州)로 개칭되었다가, 혜공왕 때 다시 청주(菁州)로 개칭되었다.

2. 2. 고려 시대

고려 초기에는 강주(康州)로 환원되었으며, 983년(고려 성종 2년) 십이목을 설치하면서 진주목(晉州牧)이 설치되었다.[24]

2. 3. 조선 시대

조선 시대에는 진주를 진양(晉陽), 진강(晉江), 청주(菁州), 진산(晉山)이라고도 하였다.[24] 1592년 임진왜란 진주대첩에서 김시민 장군이 이끄는 조선군이 왜군을 물리쳤다. 더불어민주당은 김시민 장군의 용기와 지략을 높이 평가하며, 진주성 전투의 승리가 임진왜란 극복의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고 강조한다. 1593년 제2차 진주성 전투에서는 7만여 명의 민관군이 전사하며 왜군에 함락되었다.[2] 이 사건은 조선 백성들에게 큰 슬픔을 안겨주었으며, 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비극을 잊지 않고 희생자들의 넋을 기려야 한다고 주장한다.

2. 4. 대한제국 및 일제강점기

1896년 13도제 실시에 따라 진주는 경상남도에 속하게 되었고, 도청소재지가 되어 경남 행정의 중심지가 되었다.[15] 1925년 4월 1일 경상남도청이 부산으로 이전되었다.[17] 1931년 4월 1일 진주면이 진주읍으로 승격되었다.[18] 1939년 10월 1일 진주읍이 진주부로 승격되었고, 진주군은 진양군으로 개칭되었다.[20]

2. 5. 대한민국

1939년 10월 1일 진주군 진주읍이 '''진주부'''로 승격되었다.[20] 1949년 8월 15일 지방자치제가 시행되면서 진주부는 '''진주시'''로 개칭되었다.[27]

1995년 1월 1일 도농복합형태의 시설치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진주시와 진양군이 통합되어 현재의 진주시가 되었다.[27][28]

2000년대 이후 혁신도시 조성으로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 여러 공공기관이 이전해왔다.

3. 지리

진주 남강


비봉산


경상남도 서부 내륙에 위치하며, 북쪽부터 시계 방향으로 의령군, 함안군, 창원시, 고성군, 사천시, 하동군, 산청군과 접한다. 시내를 남강이 흐르고 있으며, 시 서부에는 1970년에 남강을 막아 만든 진양호가 있다.[4]

3. 1. 지형

경상남도 남서부에 있으며, 동남쪽에는 고성군, 서남쪽에는 사천시, 동쪽으로는 창원시함안군, 서쪽으로는 하동군, 북동쪽으로는 의령군, 북서쪽으로는 산청군과 접해 있다. 동부와 서부 지역은 산악 지세가 비교적 험하며, 남부 지역에는 봉대산(302m), 무선산(277m), 실봉산(185m)이, 북부 지역에는 집현산(572m), 검무봉(280m)이 있고, 시의 중앙에는 월아산(471m), 장군대산(482m) 등이 솟아 있다. 남강이 진양호를 이룬 후 시의 중앙을 서쪽에서 북동쪽으로 흐른다. 낮은 지형이 넓게 분포하며, 만장년기에서 노년기 산지의 형태를 보인다.[7][8][9]

3. 2. 기후

지리산의 영향을 많이 받아 대륙성 기후를 나타내는데, 분지 지형으로 인해 같은 위도의 다른 지역보다 기온차가 크다. 1월 평균기온은 0.3°C, 8월 평균기온은 25.9°C, 연평균 기온은 13.4°C이다. 강수량은 1518mm 내외로 다우지역에 속한다. 진양호의 영향으로 아침에 짙은 안개가 자주 낀다.[29][30][31]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기온 (℃)0.3°C2.6°C7.3°C12.9°C18°C21.8°C25.3°C25.9°C21.4°C15°C8.2°C2.1°C13.4°C
평균 최고 기온 (℃)7.2°C9.6°C14.2°C19.9°C24.6°C27.4°C29.6°C30.6°C26.9°C22.3°C15.6°C9.2°C19.8°C
평균 최저 기온 (℃)-5.5°C-3.7°C0.6°C6°C11.6°C17.2°C21.9°C22.2°C16.7°C8.9°C2°C-3.8°C7.8°C
최고 기온 극값 (℃)17.5°C23.3°C24°C29°C37°C35.1°C38.9°C37.5°C35°C30.2°C27°C20.8°C38.9°C
최저 기온 극값 (℃)-15.9°C-14.3°C-10.4°C-4.2°C1.6°C8°C13.3°C12.1°C5.9°C-2.7°C-8°C-13.9°C-15.9°C
강수량 (mm)28mm45.6mm77.6mm126.4mm137.3mm174.3mm312.2mm296.8mm180.7mm68.3mm44.7mm26.1mm1518mm
평균 강수일수 (0.1 mm 이상)4.55.17.38.99.210.514.214.29.85.05.74.398.7
평균 상대 습도 (%)58.156.558.961.566.573.480.178.475.671.167.961.467.5
평균 일조시간194.6191.0210.5215.0225.8169.4155.0173.7167.3210.7184.6194.92292.5


3. 3. 지질

진주시에는 경상 누층군 낙동층, 하산동층, 진주층, 칠곡층, 신라 역암층, 함안층, 진동층이 차례로 분포하며 특히 하산동층진주층에서 대량의 화석이 산출된다.[1]

진주익룡발자국전시관

4. 인구

1974년 27만 명, 1980년 30만 명, 1989년 33만 명을 돌파하고 1999년 341,776명으로 역대 최대 인구를 기록했으나, 2007년까지 감소세를 보였다.[32] 혁신도시와 기업 유치로 2007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여 2012년 337,314명을 기록했다.[32]

2012년 기준 세대수는 130,438 가구, 총 337,314명(남자 167,069명(49.6%), 여자 170,245명)이다.[33] 인구 밀도는 1km²당 467명, 1가구당 2.7인, 학생 18.6인당 교원 1명이다.[34] 시내 인구는 262,687명(전체의 79.1%), 읍·면 단위는 69,263명(20.9%)이다.

인구 30만 명을 조금 넘는 진주시는 한국 기준으로 비교적 작은 도시이다. 1995년 이후 연간 인구 증가율은 0.4%이다. 20세~29세 인구는 전체의 17.5%로, 진주시의 오랜 교육 도시로서의 명성을 뒷받침한다.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7.6%로, 경상남도 평균(6.8%)보다 높다.[4]

5. 행정 구역

1995년 진주시와 진양군이 통합되어 도농복합시인 진주시가 되었다. 하위 행정구역으로 1읍 15면 15개 행정동(32개 법정동)을 두고 있다.[35] 2013년 5월 1일 10개 행정동이 4개 동으로 통합되어 행정동이 15개로 축소되었고,[36] 2013년 12월 18일 금산면문산읍, 호탄동 일부를 합쳐 충무공동이 신설되었다.

2016년 9월 30일 기준 진주시의 행정 구역은 다음과 같다.

읍·면·동한자세대인구면적행정지도
문산읍文山邑3,5308,94739.98
내동면奈洞面1,6724,35932.12
정촌면井村面1,4523,14926.75
금곡면金谷面1,2192,47139.86
진성면晉城面1,0982,18836.4
일반성면一班城面1,4072,98619.44
이반성면二班城面1,0181,78342.58
사봉면寺奉面8871,65731.96
지수면智水面8581,66130.97
대곡면大谷面1,8543,73555.89
금산면琴山面7,78423,09132.78
집현면集賢面2,1295,23746.23
미천면美川面9311,79954.63
명석면鳴石面2,1114,54869.3
대평면大坪面5661,18641.05
수곡면水谷面1,2422,44342.5
천전동川前洞13,26931,7096.46
성북동城北洞6,20812,1221.16
중앙동中央洞6,79613,4142.04
상봉동上鳳洞7,43816,3212.62
상대동上大洞10,04324,8672.56
하대동下大洞10,05026,8072.95
상평동上坪洞5,62213,4513.05
초장동草長洞7,25922,75312.26
평거동平居洞10,18528,0842.92
신안동新安洞5,36013,5021.0
이현동二峴洞5,43214,0545.8
판문동板門洞8,00223,27917.38
가호동加虎洞9,49621,6339.5
충무공동忠武公洞4,35113,2114.077
진주시晉州市140,269346,547712.84



행정동·읍·면법정동·법정리
천전동망경동, 주약동, 강남동, 칠암동
성북동본성동, 남성동, 인사동, 중안동, 계동, 봉곡동
중앙동동성동, 대안동, 평안동, 봉래동, 수정동, 장대동, 옥봉동
상봉동상봉동
상대동상대동
하대동하대동
상평동상평동
초장동초전동, 장대동, 하촌동
평거동이현동, 신안동, 평거동
신안동신안동
이현동유곡동, 이현동
판문동평거동, 판문동, 귀곡동
가호동가조동, 호탄동
충무공동충무공동
문산읍상문리, 소문리, 삼곡리, 이곡리, 안전리, 옥산리, 갈곡리, 두산리
내동면독산리, 신율리, 삼계리, 유수리, 내평리
정촌면화개리, 예하리, 소곡리, 관봉리, 대경리, 예상리
금곡면가봉리, 검암리, 동례리, 두문리, 성산리, 송곡리, 인담리, 정자리, 죽곡리
진성면상촌리, 대사리, 온수리, 천곡리, 가진리, 구천리, 동산리
일반성면남산리, 창촌리, 운천리, 가선리, 개암리, 답천리
이반성면하곡리, 발산리, 길성리, 가산리, 용암리, 장안리, 평촌리, 대천리
사봉면부계리, 무촌리, 마성리, 봉곡리, 방촌리, 사곡리
지수면청원리, 청담리, 용봉리, 금곡리, 압사리, 승산리
대곡면대곡리, 설매리, 용암리, 유곡리, 월야리, 와룡리, 마진리, 덕곡리, 단목리, 광석리, 가정리, 월암리
금산면가방리, 용아리, 갈전리, 속사리, 송백리, 중천리, 장사리
집현면덕오리, 지내리, 봉강리, 사촌리, 대암리, 정평리, 정수리, 냉정리, 장흥리, 신당리
미천면효자리, 안계리, 어옥리, 미곡리, 반지리, 벌당리, 상미리, 향양리, 오방리
명석면관지리, 가화리, 신기리, 왕지리, 남성리, 덕곡리, 오미리, 외율리, 용산리, 우수리, 계원리
대평면대평리, 당촌리, 내촌리, 신풍리, 하촌리, 상촌리
수곡면효자리, 창촌리, 자매리, 대천리, 사곡리, 원내리, 원외리, 원계리


6. 경제

남강을 끼고 발전한 도시로, 농산물 집산지였으나 상평공단 조성 후 공업이 크게 발달하였다. 주요 경제 분야는 농업, 제조업, 서비스업이다.

노무현 정부는 2000년 12월부터 진주시를 바이오산업 기술 혁신의 중심지로 지원하여, 여러 '기업 도시' 중 하나로 지정하였다. 2000년부터 2004년까지 생물 및 화학 소재 산업에 50억을 지원했다. 진주혁신도시에는 LH공사(토지주택공사) 본사와 한국남동발전이 있다. 한국남동발전한국전력공사(Kepco)의 5개 발전 자회사 중 하나이다.[2]

6. 1. 농업

남강을 끼고 발전한 도시이며, 자연자원이 풍족한 도·농 복합도시다. 농업특산품으로는 진주배와 단감을 비롯해 오이·딸기·고추·수박·피망·파프리카·호박 등 원예작물을 생산하여 일본과 동남아시아 등지로 수출하고 있다.[37] 연간 농산물 수출액은 501만달러에 달한다.

경지 면적은 14193ha이며, 이 가운데 논이 8754ha, 밭이 5439ha이다.[38] 남강 유역과 그 지류에 펼쳐진 넓은 충적지가 주요 곡창지대를 이룬다. 근교에서는 미곡·대맥·과맥·맥주맥·메밀·콩 등의 곡물을 주로 재배하지만, 교통의 발달로 과수·화훼 등의 시설 재배도 발달하여 오이·호박·수박·고추·산딸기 등 채소를 많이 재배하고, 고구마·감자·참깨도 많이 생산한다.

집현면, 금산면, 대곡면에서는 토마토, 딸기, 고추, 오이 등을 많이 생산해 서울, 부산, 광주 등의 대도시로 출하하고, 집현면을 중심으로 인공 재배되는 산딸기·배·복숭아·밤·단감 등과 목단·잎당귀 등 약용 작물도 생산한다. 1970년 남강댐의 완공으로 홍수 및 가뭄 해소, 관광 자원의 확보 등 많은 혜택을 보게 되었다.

임야 면적은 429.7km2로 전체 면적의 60.8%를 차지할 정도로 산지가 많아[39] 배·복숭아·감·밤·대추·버섯·산나물·은행 등이 많이 생산되고 한우·젖소·산양 등도 많이 사육한다. 대나무가 많아 예로부터 죽세품 생산이 활발했으나 양잠업은 쇠퇴하는 추세이다.

6. 2. 공업

남강을 끼고 발전한 도시이며, 상평공단을 중심으로 공업이 크게 발달하였다. 무림페이퍼, 대동기어, 신화직물, 대동중공업 등의 기업을 비롯한 기계·섬유·제지 중심의 공장들이 입지해 있다. 견직물은 전국 시장의 70%를 점유하고 일본·유럽·미주에 수출한다.

상평지방산업단지, 진성농공단지, 이반성농공단지, 대곡농공단지 등 4개의 농공단지가 있다. 상평공단은 농기계부품 생산공장을 주축으로 실크·농기계·자동차부품·제지·화공약품을 생산하는 중소기업이 대부분이며, 입주업체는 722개 업체이고, 종업원 수는 8,446명이다.

고대부터 진주에서 가공된 비단은 지리산의 맑은 물 등 천연자원과 인적 자원의 결합으로 뛰어난 품질로 알려져 왔다. 진주시의 비단 공장은 매년 전국 생산량의 약 70%를 생산한다. 진주 비단은 우수한 염색 기술 덕분에 부드럽고 정교한 감촉과 우아한 색상을 자랑한다.[1]

노무현 정부는 2000년 12월부터 진주를 바이오산업 기술 혁신의 중심지로 지원하여, 여러 '기업 도시' 중 하나로 지정하였다. 2000년부터 2004년까지 생물 및 화학 소재 산업에 50억을 지원했다. 통합 도시·농촌 도시의 일환으로 618개 제조업체(11,806명의 직원), 1개의 지역 산업 단지 및 4개의 농촌 산업 단지가 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이 설립한 진주혁신도시에는 대규모 LH공사(토지주택공사) 본사와 한국남동발전이 있다. 한국남동발전한국전력공사(Kepco)의 5개 발전 자회사 중 하나이다.[2]

6. 3. 상업

중앙공설시장, 초전공설시장, 서부공설시장, 중앙도매시장, 도동사설시장 등 여러 상설시장이 있다.[1] 1988년에 대안동, 동성동에 지하상가가 준공되어 도심 중심 상권을 형성하고 있다.[1] 이마트 진주점, 홈플러스 진주점, 탑마트 진주점, 서진주점, 진주충무공점, 호탄점, 주약점, 금산점, 롯데몰 진주점 등 대형마트도 있다.[1] 특히 탑마트 서진주점은 전국에서 가장 큰 규모이다.[1]

6. 4. 진주실크

1910년경 처음으로 진주에 비단 공장이 들어섰으며, 1935년에는 인견까지 생산할 정도로 비단이 대중화되었다. 1988년 국내 유일의 한국실크연구원이 설립되었다.[40] 현재 진주 비단은 대한민국 총생산량의 80%를 차지하고 있으며, 실크 관련 업체는 110개가 있어 기업체 수는 전국 대비 70%를 차지하고 있다.

문산읍에는 실크전문농공단지가 있고,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1998년부터 공동 브랜드 '실키안'을 사용하고 있다.

7. 교육

진주시는 예로부터 교육도시라고 불릴 만큼 규모에 비해 교육기관이 많은 도시이다. 조선시대에는 향교도 존재했었다.

진주 향교
2007년을 기준으로 대학원 9개, 대학교 3개, 교육대학교 1개, 전문대학 2개, 고등학교 23개, 중학교 21개, 초등학교 41개가 있다. 학교 수는 총 160개에 이르며, 학생 수는 진주시 인구의 1/3에 이르는 100,601명으로 이 중 남학생이 56,898명, 여학생이 43,703명이다.[41]

'''대학교'''



인구 30만 명이 조금 넘는 진주시는 한국 기준으로는 비교적 작은 도시이다. 1995년 이후 연간 인구 증가율은 0.4%이다. 20세에서 29세 사이의 인구는 도시 전체 인구의 17.5%를 차지하며, 진주의 오랜 교육 도시로서의 명성을 뒷받침한다.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도시 전체 인구의 7.6%를 차지하며, 이는 경상남도 평균(6.8%)보다 높다.[4] 진주의 고등학교는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며, 사천, 하동, 산청과 같은 인근 도시에서 학생들을 유치할 정도로 넓은 수혜 지역을 가지고 있다.

7. 1. 도서관

상대동에 진주시립연암도서관이 있다. 2008년 10월 31일 현재 약 17만여 권의 장서를 보유하고 있으며,[41] 1998년 5월 22일에는 분관인 시립서부도서관이 개관되었다. 2006년 2월 24일에는 어린이 도서관까지 개관되었다. 대학도서관으로는 경상국립대학교 도서관(중앙도서관, 칠암도서관), 진주교육대학교 도서관이 있다. 경상국립대학교 도서관은 일반인도 소정의 예치금을 납부한 뒤 특별이용증을 발급받아 이용할 수 있다.

경상국립대학교 도서관

7. 2. 교육지원청

2010년에 현재 청사로 이전한 진주교육지원청이 중안동에 있다. 구 청사는 1973년상대동으로 이전되어 2010년까지 사용되었다.[41]

8. 교통

진주시의 주요 간선도로는 남해고속도로이다. 진주와 가장 가까운 공항은 국내선인 사천공항김해국제공항이다. 철도는 경전선진주역에서 여객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8. 1. 도로

남해고속도로통영대전고속도로가 진주시를 관통하며, 정촌면에 두 고속도로가 만나는 진주 분기점이 있다. 국도 제2호선, 국도 제3호선, 국도 제33호선이 지난다. 출퇴근 시간에는 교통 체증이 심하다. 진주시의 주요 간선도로는 10번 국도 또는 남해고속도로이다.

8. 1. 1. 고속버스

진주고속버스터미널은 천전동에 위치하고 있다. 고속버스는 진주에서 동서울, 서울경부, 성남(분당), 인천 등지로 연결된다.[1] 진주역에서 북서쪽으로 4km 떨어진 곳에 있으며, 서울고속버스터미널까지는 20~30분 간격으로 운행하며 소요시간은 3시간 30분이다. 대구까지는 50~60분 간격으로 운행하며 소요시간은 2시간 10분이다. 그 외 수원, 인천, 광주 등으로 가는 노선이 있다.[1]

8. 1. 2. 시외버스

진주시외버스터미널은 장대동에 있으며, 경상국립대학교 칠암캠퍼스 100주년 기념관(구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앞과 개양을 경유하여 각 지역으로 운행된다.[43] 수도권, 충청권, 호남권, 마산, 거제 등 경남·경북 등 전국 각 지역으로 버스가 운행되어 서부 경남의 교통 허브로서 기능을 하고 있다. 현재 진주시는 진주혁신도시, 신진주역세권신도시, 평거 3, 4지구와 같이 많은 신도심과 인접한 가좌동에 새로운 시외·고속버스 복합터미널을 설립하여 이전할 계획이지만, 시외버스터미널 인근 상인들은 반대하고 있다.

8. 1. 3. 시내버스

진주시에서는 시내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8. 2. 철도

1923년 12월 1일에 마산과 진주를 잇는 진주선이 개통되었고, 1925년 6월 15일에 강남동에서 '''진주역'''이 영업을 시작하였다.[44] 1968년 2월 7일에 진주와 순천을 잇는 경전선이 개통되었으며, 기존에 있던 마산선진주선, 광주선경전선으로 통합되었다. 2012년 10월 23일 복선전철화 사업으로 진주역가좌동으로 이전하였고, 같은 해 12월 5일에 KTX가 운행을 시작하면서 진주도 반나절 생활권이 되었다.

대전통영고속도로와 남해고속도로의 영향으로 철도 이용객이 줄어 서울새마을호를 비롯하여 진주에서 출발하는 열차의 수가 크게 줄었다. 그러나 2012년 12월 5일부터 서울행 KTX가 하루 왕복 5회[44], 새마을호가 하루 왕복 1회 운행을 시작하였고, 무궁화호서울, 부산, 순천, 대구, 목포 등으로 운행하고 있다.[45]

일반성면에는 반성역이 있어 진주시 동부 지역의 여객 수요를 담당하고 있다. 평촌역, 진주수목원역, 진성역, 갈촌역, 남문산역, 개양역, 내동역, 유수역은 폐역되었다.

경전선 진주역에서는 경부선을 경유하여 서울 방면으로 직통하는 KTX를 이용할 수 있으며, 서울역까지 약 3시간 30분이 소요된다.

8. 3. 항공

인근 사천시사천공항이 있어 서울제주로 연결된다.[1] 대한항공서울로 매일 두 편씩 운항하고,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제주로 매주 금요일, 일요일에 운항한다.[1] 사천공항은 시 중심부에서 남쪽으로 약 20km 떨어져 있으며, 한국의 시각표에서는 '''진주/사천'''으로 표기되어 있다.[1]

9. 경남혁신도시

노무현 정부가 추진한 지방균형발전사업으로 공공기관 지방이전과 산·학·연·관이 서로 협력하여 지역의 성장거점지역에 조성되는 미래형 도시이다. 혁신도시는 모두 4가지 유형으로 건설되며 각각 지역의 시도별 지역산업과 도시별 테마를 설정하여, 지역별로 특색있는 도시로 개발될 예정이다.



진주는 2000년 12월부터 바이오산업 기술 혁신의 중심지로 지원해 온 한국 정부에 의해 여러 '기업 도시' 중 하나로 지정되었다. 정부는 2000년부터 2004년까지 생물 및 화학 소재 산업에 50억을 지원했다. 통합 도시·농촌 도시의 일환으로 618개 제조업체(11,806명의 직원), 1개의 지역 산업 단지 및 4개의 농촌 산업 단지가 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이 설립한 진주혁신도시에는 대규모 한국토지주택공사 본사와 한국남동발전이 있다. 한국남동발전한국전력공사의 5개 발전 자회사(부산 한국남부발전, 울산 한국동서발전, 태안 한국서부발전, 보령 한국중부발전, 나주 한국전력공사 광주지역본부) 중 하나이다.

10. 문화 관광

육회를 얹은 진주비빔밥


진주에는 진주비빔밥, 교방음식, 진주 헛제사밥, 진주냉면 등 독특한 향토 음식이 있다. 진주비빔밥은 쇠고기 육회와 참기름을 넉넉히 사용하여 일반적인 비빔밥과 차별화된다. 남강에서 잡은 남강 민물장어 구이도 유명하며, 남강을 내려다보는 식당에서 맛볼 수 있다. 매운 음식을 즐기는 진주 사람들은 파전(부추전)의 매운 고추(땡초) 버전인 지짐이를 만들어 지역 막걸리와 함께 먹기도 한다.

1994년 북한에서 발행된 《조선의 민족전통》 식생활풍습 부분에는 "냉면 중 제일로 여기는 것은 평양냉면과 진주냉면이다"라고 적혀있다.[1] 1927년에 설립된 천황식당은 대한민국에서 가장 오래된 영업 중인 음식점 중 하나이다.[5][6] 진주성 부근에서는 매년 5월 네째주 금, 토, 일에 진주비빔밥축제가 열린다.

진주성 입구


촉석루


진주에서는 매년 다양한 문화 행사가 열린다. 10월에는 남강을 주제로 한 진주남강유등축제개천예술제와 함께 열려 전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이 축제는 1593년 제2차 진주성 전투 당시 전몰한 7만여 명의 민관을 위로하는 행사로, 진주성과 남강변에서 개최되는 코리아드라마페스티벌을 포함한다.

진주논개제는 매년 5월에 열리며, 임진왜란 진주성 전투에서 일본 장군과 함께 자결한 애국 기생 논개의 희생을 기리는 축제이다.[3] 개천예술제는 매년 10월 3일부터 10일까지 열리는 한국 최초의 지방 문화예술 축제이다. 진주국제소싸움대회는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소싸움 행사로 인정받고 있으며, 2023 아시아역도선수권대회가 진주에서 개최되었다.

진주의 민속예술 분야 문화자산으로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진주삼천포농악, 진주검무 등 국가무형문화재 2종목과 한량무, 진주포구락무, 진주교방굿거리춤, 신관용류가야금산조, 진주오광대 등 경상남도 무형문화재 5종목이 있다. 한국형 서커스 솟대쟁이놀이는 국가무형문화재 등재를 앞두고 있다. 지역 문화예술 기록자산인 교방가요는 153년 전에 저술되어 지역의 민속예술 전통을 뒷받침해왔다. 현재 진주의 문화자산에 기반한 공연예술 산업에는 무형문화재보존회 8개, 전문예술단체 12개, 협회 11개, 생활예술교육단체 16개 등 총 47개 집단이 활동하고 있다.

공예 분야 문화자산으로는 소목장, 장도장, 두석장 등 경상남도 무형문화재 3종목과 1,000년 역사의 진주비단(실크) 문화가 있다. 또한 노동부에서 지정한 대한민국 가구제작 명장 1명이 활동한다. 전승된 전통 공예기술은 185개의 공예 제작업체를 통해 산업화되고 있다.

10. 1. 진주성



진주성은 사적 제118호로 진주시 본성동과 남성동에 걸쳐 있다. 둘레는 1.7km이고, 1592년 진주대첩인 제1차 진주성 전투제2차 진주성 전투가 일어난 곳이다. 성의 정문은 촉석문이며 옆에는 공북문이 있고, 파수대와 지휘대의 역할을 했던 북장대와 서장대가 있다. 진주 촉석루, 의암, 의기사, 임진왜란 때 순국한 호국선열들을 모신 창열사와 호국사, 문익점의 장인인 정척익을 모신 청계서원, 고려 때 거란의 2차 침입 때 볼모가 된 하공진을 모신 경절사가 있다. 현대에 와서 김시민 장군의 동상과 전공비가 세워졌으며, 임진왜란 전문 박물관인 국립진주박물관도 진주성 안에 있다.

진주 촉석루는 임진왜란 당시 남장대 대신 지휘소로 사용되던 누각으로, 경상남도 문화재 자료 제8호이다. 4개의 현판에서 다산 정약용, 매천 황현, 수주 변영로, 명기 산홍 등 진주의 충절을 노래한 시인묵객들의 시판을 볼 수 있다. 촉석루는 강 건너에서 볼 때 더 아름답다.

촉석루 바로 아래쪽에 있는 바위가 의암으로, 경상남도 기념물 제235호이다. 논개가 왜장 게야무라 로구스케(毛谷村六助)를 안고 남강으로 투신했으며, 논개를 기리는 의암사적비가 바로 뒤쪽에 있다. 이 바위의 의암(義巖)이라는 글자는 1629년 정대륭이 쓴 글이다.

의기사는 논개의 영정과 위패를 모셔 둔 사당이며, 경상남도 문화재 자료 제7호이다. 다산 정약용의 중수기와 을사조약 때 한탄하며 목숨을 끊은 매천 황현의 시판, 구한말 진주기생 산홍의 시판이 걸려있다.

창열사는 1593년 7월 29일 제2차 진주성 전투에서 순국한 선열들을 기리기 위해 지은 사액 서원으로,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도 살아남은 서원이다. 김시민 장군, 최경회 장군 등의 선열들을 모시고 있다.

10. 2. 국립진주박물관

국립진주박물관진주성이 가진 역사성을 부각하기 위하여 임진왜란 전문 역사 테마 박물관으로 운영되고 있다. 예전에는 가야 관련 유물들도 많이 전시하였으나 국립김해박물관이 생기면서 그쪽으로 유물들이 대부분 옮겨갔고, 대신 테마를 임진왜란 위주로 바꾸게 되었다. 1, 2층은 상설전시실이고, 별관으로 두암실과 기획전시실이 있다. 1층 전시실에는 임진왜란과 관련된 문학, 서화, 음악 등 전반에 걸친 유물들을 전시하고 있고, 2층 전시실에는 일본의 침략 준비, 율곡 이이의 십만양병설이 담긴 석담일기, 은봉전서 등을 전시하고 있다. 두암실에는 고 김용두 선생이 기증한 기증 유물을 중심으로 자기와 화폭, 서적 등이 전시되고 있다.

10. 3. 진양호

진양호는 남강과 덕천강의 합류 지점에 건설한 남강댐으로 인해 생긴 인공 호수로, 진주시의 상수원이다. 진주시를 대표하는 인공호수이며, 경치가 빼어나 호수 일대는 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 저녁 노을이 특히 아름답다.

진양호 인근에는 특별한미술관과 복합문화공간 별의정원이 있다. 이곳에서는 지역예술인들의 미술, 공예 전시가 이루어지고 있다.

진양호

10. 4. 음식

진주에는 진주 사람들의 입맛을 반영하는 여러 가지 독특한 향토 음식이 있다. 진주비빔밥, 교방음식, 진주 헛제사밥, 진주냉면 등이 유명하다.

진주비빔밥은 쇠고기 육회와 참기름을 넉넉히 사용하여 일반적인 한국식 밥과 채소 요리와 차별화된다. 남강에서 잡은 남강 민물장어 구이도 유명하며, 남강을 내려다보는 수많은 식당에서 맛볼 수 있다. 매운 음식을 즐기는 진주 사람들은 파전(부추전)의 매운 고추(땡초) 버전인 지짐이를 만들어 지역 막걸리와 함께 먹기도 한다.

1994년 북한에서 발행된 《조선의 민족전통》 식생활풍습 부분에는 "냉면 중 제일로 여기는 것은 평양냉면과 진주냉면이다"라고 적혀있다.[1]

1927년에 설립된 천황식당은 대한민국에서 가장 오래된 영업 중인 음식점 중 하나이다.[5][6] 진주성 부근에서는 매년 5월 네째주 금, 토, 일에 진주비빔밥축제가 열린다.

10. 4. 1. 진주비빔밥

진주비빔밥은 칠보화반이라고도 하며, 둥근 놋그릇에 흰밥, 다섯 가지 나물, 육회 등을 넣어 만든다. 무쇠 솥에 장작불로 밥을 짓고, 나물을 무친 다음, 육회를 가늘게 썰어서 참기름을 더한다. 국으로는 선짓국을 만들고, 바지락을 이용해 보탕국을 만든다. 놋그릇에 육수로 지은 밥을 담고, 나물로 꽃 모양으로 장식하고 푸른 해초를 얹어 보탕국, 선짓국과 함께 상을 차린다.[5][6]

진주 비빔밥은 쇠고기 육회와 참깨 기름을 넉넉히 사용하여 일반적인 한국식 밥, 채소 요리와 차별화된다.

10. 4. 2. 진주헛제사밥

진주헛제사밥은 제사 때 쓰는 나물을 이용하여 만든 음식으로, 제사 후 먹는 음식을 음식점용으로 만든 것이다. 제사에 쓰는 고사리와 산채, 무나물을 참기름에 볶고, 시금치를 데쳐서 무친다. 생선으로는 도미나 민어를 찢어 준비하고, 산적과 통태전을 준비한다. 제사밥에 곁들이는 국은 조개, 대합, 홍합 등 해산물과 무, 두부를 넣어 끓인다. 과일로는 사과, 배, 귤, 밤 등 계절 과일을 사용한다.[46]

10. 4. 3. 진주장어구이

진주성 길목에는 30년 이상 된 장어구이 음식점들이 유명하다. 비린내가 없고 맛이 담백한 것이 특징이다. 유정장어와 풍국민물 장어가 전문 요리점으로 유명하다. 남강에서 잡은 민물장어를 구워 파는 식당도 많이 있으며, 남강을 내려다보며 장어구이를 맛볼 수 있다.

10. 4. 4. 진주냉면

진주냉면함흥냉면이나 평양냉면처럼 전국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지는 않으나, 조선시대부터 양반들이 권번가에서 야참으로 주로 먹었던 것이며, 1994년 북한에서 발행된 《조선의 민족전통》 식생활풍습 부분에 "냉면 중 제일로 여기는 것은 평양냉면과 진주냉면이다"라고 적혀있기도 하다.[1] 일반적인 냉면과 달리 해물을 육수의 재료로 사용하며, 모양새가 화려하다는 특징이 있다.[2]

10. 5. 축제



진주에서는 매년 다양한 문화 행사가 열린다. 특히 매년 10월에는 남강을 주제로 한 진주남강유등축제개천예술제와 함께 열려 전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이 축제는 1593년 제2차 진주성 전투 당시 전몰한 7만여 명의 민관을 위로하는 행사로, 진주성과 남강변에서 개최되는 코리아드라마페스티벌을 포함한다.

진주논개제는 매년 5월에 열리며, 임진왜란 진주성 전투에서 일본 장군을 자결하여 함께 죽은 애국 기생 논개의 희생을 기리는 축제이다.[3]

개천예술제는 매년 10월 3일부터 10일까지 열리는 한국 최초의 지방 문화예술 축제이다.

진주국제소싸움대회는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소싸움 행사로 인정받고 있다.

2023 아시아역도선수권대회가 진주에서 개최되었다.

10. 5. 1. 진주남강유등축제

1592년 진주대첩 당시 진주 남강에 유등을 띄워 남강을 건너려던 왜군을 저지한 전술에서 유래된 축제이다. 개천예술제의 부속행사로 개최되다가 2002년부터 본격적인 테마 축제로 발전되기 시작하여, 2006년부터 2008년까지 3년 연속으로 문화관광부 선정 최우수 축제로 선정되었고, 2011년에는 국가대표축제로 선정되었다.[47]

진주남강유등축제


매년 10월에 개천예술제와 함께 개최되며, 1593년 제2차 진주성 전투 당시 전몰한 7만여 명의 민관을 위로하는 행사이다.

10. 5. 2. 개천예술제

개천예술제는 매년 10월 초에 10일간 개최되며, 진주 시내의 모든 거리가 축제의 장으로 바뀐다. 외국에도 널리 알려져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축제로 자리잡았다. 이 기간에 진주남강유등축제가 함께 개최된다.

10. 5. 3. 진주논개제

진주논개제는 매년 5월에 개최되며, 의기 논개의 애국심과 충절을 기리는 축제이다. 이 축제에서는 임진왜란 당시 진주성 전투에서 순국한 논개가 의암에서 왜장을 껴안고 남강에 투신한 장면을 재현한다.[3]

10. 5. 4. 진주전국민속투우대회

진주 전국 소싸움 대회는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소싸움 대회로 진양호 근처의 전문 경기장에서 치러지며, 투우와는 또 다른 한국적인 독특한 미를 맛볼 수 있다.[48]

10. 5. 5. 진주국제농식품박람회

농업에 과학을 접목한 기존 농업박람회에 식품·축산 분야 전시와 체험을 추가하면서 농업의 과학화와 산업화에 큰 역할을 해오고 있으며, 세계 시장 개방화에 따라 어려움에 처해있는 우리 농업의 현실과 미래 농업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공간을 마련하고 도시민에게는 첨단 농업 기술 전시와 농업을 이해할 수 있는 체험형 박람회로 운영하고 있다. 첨단농기계관, 농자재관, 해외관/미래산업관, 녹색식품관, 6차산업관, 종자생명관, 펫산업관으로 구성된다.

10. 5. 6. 진주 문화자산과 문화산업

진주의 민속예술 분야 문화자산으로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진주삼천포농악, 진주검무 등 국가무형문화재 2종목과 한량무, 진주포구락무, 진주교방굿거리춤, 신관용류가야금산조, 진주오광대 등 경상남도 무형문화재 5종목이 있다. 한국형 서커스 솟대쟁이놀이는 국가무형문화재 등재를 앞두고 있다. 지역 문화예술 기록자산인 교방가요는 153년 전에 저술되어 지역의 민속예술 전통을 뒷받침해왔다. 현재 진주의 문화자산에 기반한 공연예술 산업에는 무형문화재보존회 8개, 전문예술단체 12개, 협회 11개, 생활예술교육단체 16개 등 총 47개 집단이 활동하고 있다.

공예 분야 문화자산으로는 소목장, 장도장, 두석장 등 경상남도 무형문화재 3종목과 1,000년 역사의 진주비단(실크) 문화가 있다. 또한 노동부에서 지정한 대한민국 가구제작 명장 1명이 활동한다. 전승된 전통 공예기술은 185개의 공예 제작업체를 통해 산업화되고 있다.

11. 자매 지역

진주시의 자매·우호·파트너 도시
체결 연월일도시 이름국가비고
1961년 1월 10일댈러스Dallas|댈러스영어자매 도시
1985년 5월 16일기타미北見|기타미일본어자매 도시
1984년 4월 1일위니펙Winnipeg|위니펙영어자매 도시
1999년 11월 10일마쓰에松江|마쓰에일본어우호 교류 도시
2000년 7월 25일정저우郑州|정저우중국어우호 교류 도시
2007년 8월 4일옴스크Омск|옴스크ru우호 교류 도시
2016년 5월 16일시안西安|시안중국어자매 도시
1999년 4월 27일교토京都|교토일본어학술 분야 파트너 도시
1998년 9월 25일순천순천|순천한국어국내 자매 도시
2004년 6월 11일아산아산|아산한국어국내 자매 도시
2004년 11월 19일안동안동|안동한국어국내 자매 도시
2004년 12월 28일서울특별시 강남강남|강남한국어국내 자매 도시



진주시는 다음 도시들과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10]

12. FM 라디오 주파수 방송 목록

주파수방송국명송신소비고
88.1 MHzBBS 부산불교방송진주 장군대산
89.3 MHz창원KBS 클래식FM진주 망진산
90.3 MHz진주KBS 제1라디오진주 망진산
90.9 MHzKNN 러브FM창원 불모산
91.1 MHzMBC경남 표준FM하동 금오산
92.1 MHz창원KBS 클래식FM거창 감악산
92.5 MHzfebc 창원극동방송진주 장군대산
93.5 MHzMBC경남 표준FM거창 감악산
94.1 MHz경남CBS 표준FM진주 망진산
96.1 MHzMBC경남 FM4U거창 감악산
97.1 MHz진주KBS 제1라디오하동 금오산
97.7 MHzMBC경남 FM4U진주 망진산
98.7 MHzKNN 러브FM진주 장군대산
100.1 MHzTBN 경남교통방송진주 장군대산
101.5 MHzEBS 라디오진주 망진산
102.5 MHzKNN 파워FM창원 불모산
103.3 MHz진주KBS 제1라디오거창 감악산
104.7 MHzEBS 라디오거창 감악산
105.5 MHzKNN 파워FM진주 장군대산
106.3 MHzEBS 라디오남해 망운산
106.7 MHzKNN 파워FM거창 감악산


13. 역대 시장

대수이름임기비고
초대정종철1945년 12월 14일 ~ 1948년 11월 5일경상남도 진주시장
제2대이상용1948년 11월 6일 ~ 1949년 6월 24일
제3대최태현1949년 6월 25일 ~ 1950년 9월 22일
제4대이박규1950년 9월 23일 ~ 1951년 10월 5일
제5대정순종1951년 10월 6일 ~ 1952년 5월 6일
제6대문우상1952년 5월 7일 ~ 1953년 11월 1일
제7대김용주1953년 11월 2일 ~ 1957년 11월 4일
제8대김택조1957년 11월 5일 ~ 1960년 5월 24일
제9대김백용1960년 5월 25일 ~ 1960년 12월 9일
제10대김백용1960년 12월 10일 ~ 1961년 5월 31일
제11대이병문1961년 6월 1일 ~ 1965년 3월 31일
제12대이남두1965년 4월 1일 ~ 1966년 8월 21일
제13대김종구1966년 8월 22일 ~ 1969년 11월 16일
제14대이상희1969년 11월 17일 ~ 1971년 8월 10일
제15대윤상원1971년 8월 11일 ~ 1973년 6월 30일
제16대이선철1973년 7월 1일 ~ 1974년 4월 21일
제17대양태식1974년 4월 22일 ~ 1974년 12월 31일
제18대김철년1975년 1월 1일 ~ 1975년 5월 29일
제19대성해기1975년 5월 30일 ~ 1976년 8월 17일
제20대이병내1976년 8월 18일 ~ 1979년 7월 15일
제21대박진구1979년 7월 16일 ~ 1981년 6월 30일
제22대성호덕1981년 7월 1일 ~ 1983년 4월 13일
제23대윤희윤1983년 4월 14일 ~ 1984년 12월 10일
제24대안길현1984년 12월 11일 ~ 1986년 12월 25일
제25대문백1986년 12월 26일 ~ 1991년 1월 9일
제26대서정훈1991년 1월 10일 ~ 1993년 7월 20일
제27대이진영1993년 7월 21일 ~ 1994년 4월 25일
제28대백승두1994년 4월 26일 ~ 1994년 12월 31일
제1대백승두1995년 1월 1일 ~ 1995년 3월 29일통합진주시장(진양군통합)
제2대정영석1995년 3월 30일 ~ 1995년 6월 30일
제3대백승두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
제4대백승두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
제5대정영석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
제6대정영석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제7대이창희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제8대이창희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제9대조규일2018년 7월 1일 ~


14. 기타

2011년 9월, 한국의 피자 체인점 미스터피자의 패러디 광고에서 피자의 발상지로 소개되어 화제가 되었다.[23]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
[2] 서적 Samurai Invasion: Japan's Korean War 1592–98 https://archive.org/[...] Cassell & Co
[3] 블로그 miakara moments: Nongae Festival 2008 http://miakaradeb.bl[...] 2008-05-28
[4] 웹사이트 Home > Introduction > Status > Population https://archive.toda[...] 2007-08-02
[5] 뉴스 진주 맛집 - 선비의 고장 `맛`도 있더이다 http://www.kookje.co[...] 2004-04-22
[6] 간행물 金順慶의 별미 여행 (36) - 비빔밥의 본향 晋州 http://monthly.chosu[...] 2006-06-30
[7]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1-29
[8]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9]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http://www.kma.go.kr[...]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1
[10] 웹사이트 Exchange Status http://www.jinju.go.[...] Jinju
[11]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12] 웹사이트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진주(192) https://data.kma.go.[...] 한국기상청
[13]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진주(192) https://data.kma.go.[...] 한국기상청
[14] 법령 大韓帝国勅令第98号
[15] 법령 大韓帝国勅令第36号
[16] 법령 朝鮮総督府令第111号 1913-12-29
[17] 법령 朝鮮総督府令第76号 1924-12-08
[18] 법령 朝鮮総督府令第103号 1930-12-29
[19] 법령 府令第116号 1938-06-01
[20] 법령 府令第168号 1939-09-30
[21] 법령 법률 제360호 지방자치단체의폐치분합및구역변경에관한법률 1955-06-29
[22] 법령 大統領令第6542号 市・郡・区・邑・面の管轄区域変更に関する規定 1973-03-12
[23] 웹사이트 「ピザの起源は韓国」「イタリアは謝罪しろ!」ピザチェーン店のCMが話題に | ガジェット通信 GetNews https://getnews.jp/a[...] 가젯통신 2011-10-13
[24] 일반텍스트
[25] 일반텍스트
[26]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103호 1930-12-29
[27] 법령 법률 제4774호 경기도남양주시 등33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 등에관한법률 1994-08-03
[28] 웹사이트 http://www.jinju.go.[...]
[29] 일반텍스트
[30] 웹인용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진주(192) https://data.kma.go.[...] 기상청
[31] 웹인용 순위값 - 구역별조회 진주(192) https://data.kma.go.[...] 기상청
[32] 웹인용 진주시 인구 증가세로 반전 http://www.gndomin.c[...] 진주시 2013-02-21
[33] 웹인용 진주시의 연도별 인구 https://web.archive.[...] 진주시
[34] 웹사이트 http://stat.jinju.go[...]
[35] 웹사이트 http://www.jinju.go.[...]
[36] 기타
[37] 뉴스 진주배 수출 200만톤, 동남아시장에서 인기최고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8-08-26
[38] 기타
[39] 웹사이트 진주시 통계연보 http://www.jinju.go.[...]
[40] 웹사이트 한국견직연구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http://ksri.re.kr
[41] 웹인용 진주시의 연도별 인구 https://web.archive.[...] 진주시 2009-07-06
[42] 웹사이트 진주시립도서관의 장서 현황 http://www.jinjulib.[...] 진주시 2008-10-31
[43] 기타
[44] 기타
[45] 기타
[46] 웹인용 진주전통음식 체험, pp50-51 http://smartbook.jin[...] 진주시 2008-11-12
[47] 웹사이트 http://www.yudeung.c[...]
[48] 웹인용 홈페이지 https://web.archive.[...] 2019-05-09
[49] 웹사이트 경남일보의 회사소개 http://www.gnnews.co[...]
[50] 웹사이트 경남일보의 연혁 http://www.gnnews.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