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수이탄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수이탄역은 베이징 지하철 2호선과 19호선이 지나는 지하철역이다. 2호선은 섬식 승강장을 사용하며, 19호선은 공사 중이다. 출구는 5곳이며, A, B1, B2, C, D 출구로 구성되어 있다. 역 주변에는 덕승문 버스 터미널, 쉬베이훙 기념관, 베이징 지수이탄 병원 등 다양한 시설이 위치해 있다. 1984년 9월 20일에 2호선이 개통되었고, 2021년 4월 10일 리모델링 공사로 폐쇄되었다가 6월 18일에 재개통되었다. 19호선은 2021년 12월 31일에 개통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이징 지하철 2호선 - 베이징역
베이징역은 1901년 개업하여 1959년 확장된 베이징의 철도역으로, 마오쩌둥이 역명을 썼으며, 베이징 지하철과 버스 노선이 연결되어 있고, 도쿄역, 우에노역, 서울역과 우호 관계를 맺고 있다. - 베이징 지하철 2호선 - 첸먼역
첸먼역은 1901년 기차역으로 개업하여 베이징 근대화에 기여했으나 현재는 베이징 지하철 2호선과 8호선이 지나는 환승역이며, 톈안먼 광장 등 주요 명소와 연결되고 역사 복원 논의가 진행 중이다. - 시청구의 철도역 - 스차하이역
스차하이역은 베이징 지하철 8호선의 역으로, 스차하이 동쪽 지하에 위치하며, 베이징 전통 고건축 양식을 반영한 디자인과 "추하영상" 미술 작품이 특징이다. - 시청구의 철도역 - 구러우다제역
구러우다제역은 베이징 지하철 2호선과 8호선 환승역으로, 구러우교 아래에 위치하며 2호선은 1984년, 8호선은 2012년에 개통되었고, 승객 추락 사고 이후 안전 문제가 제기되었으며, 8호선 역 내부는 붉은색 테마와 북을 본뜬 조명, 공공 예술 작품이 설치되어 있다. - 1984년 개업한 철도역 - 합정역
합정역은 서울 지하철 2호선과 6호선이 환승되는 역으로, 각 노선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있으며, 총 10개의 출구를 통해 접근 가능하다. - 1984년 개업한 철도역 - 아현역
아현역은 서울 지하철 2호선 역으로, 1984년 개통 이후 서울 마포구와 서대문구 경계에 위치하며, 아현고가도로 영향으로 분리된 폐쇄식 승강장과 다양한 주변 시설을 갖추고, 과거 지명인 "클레반타리"의 흔적을 일부 간직한 채 2만 명대의 일평균 승하차 인원을 기록하고 있다.
지수이탄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위치 정보 | |
기본 정보 | |
![]() | |
![]() | |
역 이름 | 지수이탄역 (积水潭站) |
로마자 표기 | Jīshuǐtán Zhàn |
주소 | 북2환로 및 신제커우 외대가 / 신제커우 북대가 |
위치 | 베이징시 시청구 |
운영 주체 | 베이징시 지하철 운영 유한공사 (2호선), 베이징 지하철 운영 관리 유한공사 (19호선) |
노선 | 2호선 19호선 |
승강장 수 | 4 (2개의 섬식 승강장) |
선로 수 | 4 |
구조 | 지하 |
개업일 | 1984년 9월 20일 (2호선), 2021년 12월 31일 (19호선) |
접근성 | 가능 |
역 코드 | 218 (2호선) |
노선 정보 | |
2호선 | 이전 역: 시즈먼 다음 역: 구러우다제 |
19호선 | 이전 역: 베이타이핑좡 다음 역: 핑안리 |
2. 역 구조
지수이탄역은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지하역으로, 출구는 5곳이 있다.[4]
2. 1. 층별 구조
积水潭站|지수이탄 역중국어은 섬식 승강장을 사용하고 있다. 19호선은 지하에 공사 중이다.[7]층 | 시설 | 내용 |
---|---|---|
지면층 | 출구 | A-D 출구 |
지하 1층 | 대합실 | 고객 서비스 센터, 자동발매기, 이카통 충전 |
지하 2층 | ■중국어 2호선 외선순환 방면 (시즈먼) | |
섬식 승강장, 왼쪽 출입문이 열림 | ||
■중국어 2호선 내선순환 방면 (구러우다제) |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지하역이다. 출구는 5곳이 있다.[4]
2. 2. 승강장
이 역은 2호선과 19호선 모두 지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지하역으로, 출구는 5곳이 있다.[4]3. 출구
지수이탄 역에는 4개의 출구가 있다. 기존에는 3개의 출구(A 서북, B 동남, C 서남)가 있었으나, 2015년 9월 30일 더성먼 서 버스터미널 내 동북쪽에 B 출구가 신설되면서 기존 B 출구는 C 출구로, 기존 C 출구는 D 출구로 바뀌었다.[8]
출구 | 인근 |
---|---|
A | 신제커우 외대가, 베이징 지하철 운영 유한회사 제3지사 |
B1 | 더성먼 서대가 북측, 더성먼 서 버스터미널(德胜门西公交场站) |
B2 | 더성먼 서대가 북측, 더성먼 서 버스터미널, 더성먼전루(德胜门箭楼), 팔달령장성 방면 버스 |
C | 베이징 프랑스어연맹(北京法语联盟), 더성먼 서대가 남측 |
D | 신제커우 북대가, 베이징시 국립공인처, 쓰촨 호텔, 쉬베이훙 기념관, 싱제팡 쇼핑센터, 해방군가극원, 지수이탄 병원 |
4. 역 주변
이 역은 더성먼 서대가(북2환, 동서방향)와 신제커우 북대가-신제커우 외대가(남북향)의 교차로 앞 지수이탄교 동쪽에 동서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역 주변의 주요 시설은 다음과 같다.
주요 시설 |
---|
더성먼 버스 터미널, 더성먼 서 버스 터미널, 더성먼 버스 터미널 (팔달령장성행 버스) |
법원사 |
베이징시 지하철 설계 연구소 |
쉬베이훙 기념관 |
베이징시 제53중학교 |
베이징 안정병원 |
중국 인민해방군 제2포병총병원 |
베이징 더와이 병원 |
베이징 지수이탄 병원 |
베이징시 제157중학교 |
중국영화그룹공사 |
인민해방군 가극원 |
5. 역사
1984년 9월 20일 - 베이징 지하철 2호선 지수이탄역 개통.[1][2]
2021년 4월 10일 - 베이징 지하철 19호선과의 환승을 위한 리모델링 공사 시작.[5]
2021년 6월 18일 - 지수이탄역 리모델링 공사 완료 및 재개통.[3][6]
2021년 12월 31일 - 베이징 지하철 19호선 지수이탄역 개통.
참조
[1]
뉴스
提醒!北京地铁2号线积水潭站封站延期,6月18日恢复运营
https://web.archive.[...]
北京日报客户端
2021-06-03
[2]
뉴스
注意!地铁积水潭站、牡丹园站将封站停运近俩月
https://news.bjd.com[...]
2021-04-07
[3]
웹사이트
封站69天,北京地铁积水潭站、牡丹园站明起恢复运营
https://web.archive.[...]
2021-06-17
[4]
웹사이트
http://www.bjsubway.[...]
[5]
뉴스
注意!地铁积水潭站、牡丹园站将封站停运近俩月
https://news.bjd.com[...]
北京日报客户端
2021-04-07
[6]
뉴스
提醒!北京地铁2号线积水潭站封站延期,6月18日恢复运营
http://ie.bjd.com.cn[...]
北京日报客户端
2021-06-03
[7]
보고서
北京地铁十九号线一期工程环境影响报告书
http://www.tsdig.com[...]
2016-11-23
[8]
웹인용
2号线积水潭站新增出入口于9月30日启用
http://www.bjsubway.[...]
2015-09-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