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정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합정역은 서울특별시 마포구에 있는 지하철역으로, 서울 지하철 2호선과 6호선이 만나는 환승역이다. 1983년 역명으로 결정되었으며, 2호선은 1984년, 6호선은 2000년에 개통되었다. 2호선과 6호선 모두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있으며, 출구는 10개이다. 주변에는 서교동, YG 엔터테인먼트, 홍익대학교 등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마포구의 전철역 - 공덕역
공덕역은 서울특별시 마포구에 위치한 지하철역으로, 5호선, 6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 경의·중앙선 등 4개 노선이 지나가는 환승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 서울 마포구의 전철역 - 아현역
아현역은 서울 지하철 2호선 역으로, 1984년 개통 이후 서울 마포구와 서대문구 경계에 위치하며, 아현고가도로 영향으로 분리된 폐쇄식 승강장과 다양한 주변 시설을 갖추고, 과거 지명인 "클레반타리"의 흔적을 일부 간직한 채 2만 명대의 일평균 승하차 인원을 기록하고 있다. - 서울 지하철 6호선의 역 - 삼각지역
삼각지역은 서울 지하철 4호선과 6호선이 환승하는 지하철역이며, 1985년 4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00년 6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역명은 삼각지 고가도로에서 유래하고 "베호 만남의 광장"이 있으며, 국방부, 전쟁기념관 등 주요 국가기관과 시설들이 위치해 있다. - 서울 지하철 6호선의 역 - 효창공원앞역
**핵심 정보:** *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이다. * 1929년 개통된 후 개명과 폐지 후, 2000년 6호선이 개통되었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여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다. * 6호선은 섬식 승강장,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요약:**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으로, 1929년 개통 후 폐지되었다가 2000년 6호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면서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으며, 6호선은 섬식,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 서울 지하철 2호선의 역 - 을지로입구역
을지로입구역은 서울 지하철 2호선 역으로, 1983년 개통하여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8개의 출구를 갖추고 있으며 롯데백화점 본점, 명동 거리 등이 인접해 있다. - 서울 지하철 2호선의 역 - 성수역
성수역은 서울 지하철 2호선에 있는 역으로, 1980년 개통하여 섬식 승강장과 풀스크린 타입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있으며, 을지로순환선과 성수지선이 지나고 주변에는 다양한 시설이 위치해 있다.
합정역 | |
---|---|
기본 정보 | |
![]() | |
![]() | |
![]() | |
![]() | |
노선 정보 | |
노선 | 2호선 6호선 |
승강장 | 4면 4선 (각 노선별 2면 2선 상대식 승강장) |
2호선 정보 | |
역 번호 | 238 |
전 역 | 당산 |
다음 역 | 홍대입구 |
영업 거리 | 시청 기점 42.8 km |
전역 간 거리 | 2.0 km |
다음 역 간 거리 | 1.1 km |
6호선 정보 | |
역 번호 | 622 |
전 역 | 망원 |
다음 역 | 상수 |
영업 거리 | 응암 기점 12.9 km |
전역 간 거리 | 0.8 km |
다음 역 간 거리 | 0.8 km |
통계 정보 | |
2015년 승차 인원 | 46,874명 |
2015년 승강 인원 | 93,815명 |
2. 역사
- 1983년 6월 30일: '''합정역'''으로 역명 결정[6]
- 1984년 5월 22일: 서울 지하철 2호선 서울대입구 ~ 을지로입구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 (출구 6개)
- 1990년대 중반: 6호선 공사로 인해 구 1번 출구, 구 6번 출구 (합정로터리 방면) 폐쇄
- 1996년 12월 31일: 당산철교 결함 발견으로 1999년 11월 21일까지 운휴, 교량 교체 공사 실시. 기간 중 홍대입구역 - 합정역 - 당산역 구간에 대체 버스 운행.
- 1997년 1월 1일 ~ 2월 14일: 역내 회차선 설치 공사로 2호선 역사 임시 폐쇄 및 영업 일시 정지 후, 2월 15일 회차선 완공으로 영업 재개.
- 1999년 9월 1일 ~ 11월 16일: 역내 회차선 철거 공사로 역사 임시 폐쇄 및 영업 일시 정지 후, 당산철교 재시공 완료로 영업 재개.
- 1999년 11월 22일: 당산철교 재개통, 당산역 - 합정역 구간 운행 재개
- 2000년 12월 15일: 서울 지하철 6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됨, 출구 9개로 확장
- 2005년 1월 1일: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가 서울메트로로 개칭.
- 2006년 6월 16일: 2호선 역사 스크린도어 설치
- 2017년 5월 31일: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와 서울메트로가 통합되어 2호선·6호선은 서울교통공사의 역이 됨.
- 2021년 3월 31일 ~ 9월 2일: 합정역 중앙차선 철거 후 스마트쉘터 설치, 시운전 후 정식 개통
- 2023년: 부기역명 홀트아동복지회 계약 만료로 세아타워로 변경
2. 1. 서울 지하철 2호선
1984년 5월 22일 서울 지하철 2호선 서울대입구 ~ 을지로입구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였다.[6] 1997년 1월 1일 2호선 역사 폐쇄 후, 역내 회차선 설치 공사로 인해 1차 영업을 일시 정지하였다가, 1997년 2월 15일 회차선을 완공하여 영업을 재개하였다. 1999년 9월 1일에는 역내 회차선 철거 공사로 2차 영업을 일시 정지하였고, 1999년 11월 16일 당산철교 재시공 완료와 함께 영업을 재개하였다. 1999년 11월 22일 당산철교 재개통으로 당산역 ~ 합정역 구간 운행이 재개되었다. 2006년 6월 16일에는 2호선 역사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었다.- - 2호선의 역 번호는 '''238'''이다.
2. 2. 서울 지하철 6호선
2000년 12월 15일 서울 지하철 6호선 개통으로 합정역은 환승역이 되었으며, 출구는 9개로 확장되었다.[6] 당초 2022년 3월 서울 지하철 6호선 합정역과 동일하게 합정(홀트아동복지회)역으로 역명이 변경될 예정이었으나, 2023년 부기역명이 홀트아동복지회 계약 만료로 세아타워로 변경되었다.2. 3. 기타
- 1983년 6월 30일: '''합정역'''으로 역명이 결정되었다.[6]
- 1990년대 중반: 6호선 공사로 인해 구 1번 출구, 구 6번 출구(합정로터리 방면)가 폐쇄되었다.
- 1997년 1월 1일: 역내 회차선 설치 공사로 2호선 역사 폐쇄 및 1차 영업이 일시 정지되었다.
- 1997년 2월 15일: 회차선 완공으로 영업이 재개되었다.
- 1999년 9월 1일: 역내 회차선 철거 공사로 역사 폐쇄 및 2차 영업이 일시 정지되었다.
- 1999년 11월 16일: 당산철교 재시공 완료로 영업이 재개되었다.
- 1999년 11월 22일: 당산철교 재개통으로 당산역 - 합정역 구간 운행이 재개되었다.
- 2006년 6월 16일: 2호선 역사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었다.
- 2021년 3월 31일: 합정역 중앙차선을 철거하고 스마트쉘터 설치 공사를 시작하였다.
- 2021년 8월 29일: 스마트쉘터가 완공되었다.
- 2021년 8월 30일 ~ 9월 1일: 시운전에 들어갔다.
- 2021년 9월 2일: 정식으로 개통되었다.
- 2023년: 부기역명이 홀트아동복지회 계약 만료로 세아타워로 변경되었다.
3. 역 구조
2호선과 6호선은 모두 상대식 승강장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2호선 승강장은 지하 2층, 6호선 승강장은 지하 4층에 있다. 개찰구는 지하 1층에 있는데, 2호선 위에 있는 개찰구 2곳은 내선순환 방향과 외선순환 방향으로 나뉘어 있다. 화장실은 개찰구 밖에 있다. 6호선 승강장은 곡선으로 많이 휘어있어 승강장과 열차 사이의 간격이 넓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3. 1. 환승
두 노선 모두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출구는 총 10개다. 2호선은 직선 승강장이고 6호선은 곡선 승강장이며, 6호선 승강장은 곡선으로 많이 휘었기 때문에 승강장과 열차 사이의 간격이 넓어 주의해야 한다.2호선 양쪽 방향 승강장과 6호선 지하 3층을 잇는 환승 통로가 있다. 2호선 당산역 방면 끝에 있는 내림 계단과 6호선 승강장 중앙에 있는 오름 계단을 통해 환승할 수 있다. 2호선과 6호선의 환승은 서로 계단 두 개만 거치면 되며, 그 길이도 짧은 편이라 신당역에 비해 비교적 편리하다.
3. 2. 2호선 승강장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2호선은 직선 승강장이고, 6호선 승강장은 곡선으로 많이 휘었기 때문에 승강장과 열차 사이의 단차가 있으므로 승하차 시 조심해야 한다.2호선 양쪽 방향 승강장과 6호선 지하 3층을 잇는 환승 통로가 있다. 2호선 당산역 방면 끝에 있는 내림 계단과 6호선 승강장 중앙에 있는 오름 계단을 통해 환승할 수 있다. 2호선과 6호선의 환승은 서로 계단 두 개만 거치면 환승할 수 있으며, 그 길이도 짧은 편이라 환승은 신당역에 비해 비교적 편리하다.
3. 3. 6호선 승강장
6호선 승강장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6호선 승강장은 곡선으로 많이 휘어있어 승강장과 열차 사이의 간격이 넓으므로 승·하차시 주의해야 한다.[1]
4. 역 주변
- 양화로
- 서교치안센터
- 극동방송
- 서울특별시늘푸른여성지원센터
- 서교119안전센터
- 서교동우체국
- 독막로
- 상수동 방면
- 합정 생고기 김치찌개
- 합정동
- 합정치안센터
- 성산중학교
- 절두산순교박물관
- 양화진외국인선교사묘원
- 양화대교
- 선유도공원
- 마포구건강가정지원센터
- 마포한강푸르지오 연결통로
- 합정동주민센터
- 서울성산초등학교
- 마포한강푸르지오
- 영진시장
- 홈플러스 합정점
- KEB 하나은행 합정역지점
- 서교동주민센터
- 서교우체국
- 서울특별시 누르푸른 여성정보센터
- 한강중앙교회
- YG엔터테인먼트
- 난타 홍대극장
- 외국인묘지
- C9엔터테인먼트
- 스타제국
- B2M 엔터테인먼트
- 롯데시네마 합정
- 일본식 거리 - 합정역에서 홍익대학교로 가는 길에는 일본 음식점이 많다.
유재석의 노래 "합정역 5번 출구"는 헤어지기 전 마지막으로 합정역에서 만나는 연인에 대한 노래이다.
5. 이용객 변동
서울 지하철 2호선과 서울 지하철 6호선의 연도별 일평균 이용객(승, 하차, 승하차) 수치는 다음과 같다.[7][8]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서울 지하철 2호선 | 승차 | 19,788 | 17,719 | 19,480 | 20,573 | 21,500 | 23,358 | 25,034 | 26,192 | 26,908 | 27,106 |
하차 | 17,600 | 15,109 | 16,410 | 17,716 | 18,776 | 20,557 | 21,678 | 22,807 | 24,181 | 24,195 | |
승하차 | 37,389 | 32,828 | 35,890 | 38,289 | 40,276 | 43,915 | 46,712 | 48,999 | 51,089 | 51,301 | |
서울 지하철 6호선 | 승차 | 2,477 | 3,514 | 4,286 | 4,937 | 5,585 | 5,657 | 5,443 | 5,434 | 5,603 | 7,098 |
하차 | 2,121 | 3,339 | 4,110 | 4,656 | 4,995 | 5,322 | 5,457 | 5,450 | 5,564 | 6,768 | |
승하차 | 4,598 | 6,853 | 8,396 | 9,593 | 10,581 | 10,979 | 10,899 | 10,884 | 11,167 | 13,866 | |
노선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
서울 지하철 2호선 | 승차 | 24,770 | 26,113 | 27,503 | 31,115 | 35,308 | 34,348 | 33,355 | 32,908 | 33,048 | |
하차 | 23,947 | 25,195 | 26,677 | 31,144 | 34,605 | 34,567 | 34,692 | 35,195 | 35,760 | ||
승하차 | 48,717 | 51,308 | 54,180 | 62,259 | 69,913 | 68,915 | 68,047 | 68,103 | 68,808 | ||
서울 지하철 6호선 | 승차 | 10,048 | 9,994 | 10,267 | 12,095 | 12,257 | 12,526 | 13,524 | 14,591 | 15,867 | |
하차 | 8,039 | 8,443 | 9,177 | 11,016 | 12,214 | 12,373 | 12,648 | 13,501 | 13,988 | ||
승하차 | 18,087 | 18,437 | 19,444 | 23,111 | 24,471 | 24,899 | 26,172 | 28,092 | 29,855 |
서울 지하철 6호선의 2000년 자료는 개통일인 2000년 12월 15일부터 12월 31일까지 총 17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6. 인접한 역
7. 기타
유재석의 노래 〈합정역 5번 출구〉는 헤어지기 전 마지막으로 합정역에서 만나는 연인에 대한 노래이다.
참조
[1]
웹사이트
합정역
http://terms.naver.c[...]
Doopedia
2016-07-05
[2]
웹사이트
Hapjeong station
https://terms.naver.[...]
[3]
웹사이트
서울메트로 > 공사소개 > 운행현황 > 수송통계 자료실
http://www.seoulmetr[...]
2016-03-04
[4]
웹사이트
서울도시철도공사 > 알림정보 > 자료실
http://smrt.co.kr/pr[...]
[5]
웹인용
합정역
https://terms.naver.[...]
[6]
간행물
서울특별시고시 제326호
http://event.seoul.g[...]
1983-06-30
[7]
웹사이트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http://www.seoulmetr[...]
[8]
웹사이트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http://www.seoulmetr[...]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합정역 배터리 화재로 긴급 대피…평택 공장서 폭발 사고
지하철 승객 '배터리'서 연기…한때 무정차 통과
"갑자기 확" 연기에 아수라장…'활활' 어디서 시작됐나
오늘의 SBS 8뉴스 예고 (9월 1일)
"나가요! 나가" 뿌연 연기 가득…합정역 '배터리 화재' 소동
[자막뉴스] "지하철 승객 배터리에서 연기가!" 다급한 신고…합정역 2·6호선 열차 한때 무정차 통과
2호선 합정역서 승강장 연기…2·6호선 양방향 무정차
합정역 승강장서 '배터리 연기' 발생…"2·6호선 무정차 통과"
지하철 2호선 합정역 승강장 승객 소지 배터리서 연기
지하철 2호선 합정역 승강장 연기…“2·6호선 무정차”
'아빠 카드'로 지하철 출퇴근…2,500만 원 '폭탄'
아빠 경로우대카드 470번 사용한 30대…2500만원 물게 돼
지하철 부정승차하다 걸리고도 버티면 법정간다
마포 합정역 초고층 주상복합 ‘라비움 한강’ 내달 분양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