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지혜학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혜학교는 "지혜로워지는 만큼, 그들의 삶에서는 아름다운 사랑이 흘러넘칠 것입니다"라는 교훈을 바탕으로 2008년 설립된 철학학교이다. 6년 통합 교육 과정으로 운영되며, 기숙사 생활과 유기농 채식 급식을 제공한다. 3학년은 연극, 4학년은 영화 제작, 5학년은 해외 이동 학습을 진행하며, 다양한 수상 경력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주광역시의 학교 - 한국폴리텍V대학
    한국폴리텍V대학은 호남권에 위치한 국책 특수대학으로, 광주를 중심으로 전북과 전남에 캠퍼스를 운영하며 산업학사 및 기능사 과정을 통해 현장 중심의 기술 인력을 양성하고 지역 산업 발전에 기여한다.
  • 대안학교 - 산돌학교
    산돌학교는 자유, 통전성, 깨달음, 생태와 생명, 평화를 핵심 가치로 학생 스스로 질문하고 답을 찾아가는 교육을 지향하며, 학생과 교사가 함께 성장하는 교학상장의 가치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대안학교이다.
  • 대안학교 - 꿈의학교
    꿈의학교는 학생들의 전인적 성장을 목표로 인격 존중, 경험 중시, 진로 지도, 생활 공동체, 세계 진출을 위한 교육을 제공하는 학교이다.
지혜학교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지혜학교
영문 표기Sophia School
개교2009년 6월 13일
설립 형태미인가대안학교
교장정상수
위치광주광역시 광산구
박호등임로 485 (등임동 410)
웹사이트지혜학교 웹사이트

2. 교훈

지혜와 사랑

2. 1. 지혜와 사랑

"지혜로워지는 만큼, 그들의 삶에서는 아름다운 사랑이 흘러넘칠 것입니다"

3. 연혁

지혜학교는 2006년 솔성수도회에서 시작하여 2009년 사단법인 인가를 받아 설립된 철학 교육 기관이다. 이후 여러 차례의 입학 및 졸업, 교육과정 개편, 연구소 설립 등을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하위 섹션에서 설립 초기 (2006년 ~ 2009년)와 학교 운영 초기 (2009년 ~ 2013년)의 내용을 상세하게 다루고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그 이후의 연혁을 간략하게 표로 제시한다.

연도내용
2014년3월제2회 졸업식, 제5회 입학식[1]
2014년6월개교 5주년 기념 한마당[1]
2015년2월제3회 졸업식[1]
2015년3월제6회 입학식[1]
2015년6월개교 6주년 기념 한마당[1]
2015년12월장종택 차기 교장 추천[1]
2016년2월제4회 졸업식[1]
2016년3월장종택 제3대 교장 취임, 제7회 입학식, 네팔 해외이동학습 시작, 학교 산하 철학연구소 개소[1]
2016년6월개교 7주년 기념 한마당[1]
2017년2월제5회 졸업식[1]
2017년3월제8회 입학식, 선택수업 교육과정 시행, 인도·네팔 해외이동학습 시작[1]
2017년6월개교 8주년 기념 한마당[1]
2018년2월제6회 졸업식[1]
2018년3월제9회 입학식[1]
2018년6월개교 9주년 기념 한마당[1]
2018년12월교장추천위원회 활동[1]
2019년2월제7회 졸업식[1]
2019년3월이남옥 제4대 교장 취임, 제10회 입학식, 법인 산하 지혜교육연구소 개소[1]
2019년6월개교 10주년 기념 한마당[1]
2019년9월교육과정위원회 활동 시작[1]
2020년2월제11회 입학식[1]
2020년6월제8회 졸업식[1]
2020년10월3주체 학교 토론회, 사단법인 지혜교육공동체로 명칭 변경[1]
2021년2월제9회 졸업식, 제12회 입학식[1]
2021년3월교육과정 개편(기초2-본2-심화2 학제)[1]
2022년2월제10회 졸업식[1]
2022년3월제13회 입학식, 이남옥 5대 교장 연임[1]
2023년2월제11회 졸업식[1]
2023년3월제14회 입학식[1]
2023년5월교사회가 “제29회 석은 김용근 선생 민족교육상” 수상[1]
2024년2월제12회 졸업식[1]
2024년3월제15회 입학식[1]


3. 1. 설립 초기 (2006년 ~ 2009년)

연도사건
2006년 12월솔성수도회가 만들어져 공부를 시작했다.
2008년 3월솔성수도회에서 시민강좌를 시작했다.
2008년 6월철학학교인 지혜학교 설립을 결의했다.
2009년 3월본격적인 학교설립 준비를 시작했다.
2009년 5월사단법인 지혜학교의 설립 인가를 받았다.
2009년 6월지혜학교 창립대회를 하고 이종태 이사장이 취임했다.
2009년 8월여름학교를 열었다.
2009년 9월첫 입학전형을 했다.
2009년 11월두 번째 입학전형을 했다.
2009년 12월지혜학교 전체 가족의 첫 모임을 가졌다.


3. 2. 학교 운영 초기 (2009년 ~ 2013년)

2006년 12월 솔성수도회가 만들어져 공부를 시작했고, 2008년 3월 시민강좌를 시작했다. 같은 해 6월 철학학교인 지혜학교 설립을 결의했다.[1]

2009년 3월 본격적인 학교설립 준비를 시작하여, 5월에는 사단법인 지혜학교의 설립 인가를 받았다. 6월에는 지혜학교 창립대회를 하고 이종태 이사장이 취임했다. 8월에는 여름학교를 열었고, 9월과 11월에는 두 차례에 걸쳐 입학전형을 실시했다. 12월에는 지혜학교 전체 가족의 첫 모임을 가졌다.[1]

2010년 1월에는 4학년 겨울예비학교를, 2월에는 1학년과 4학년이 함께하는 2차 예비학교를 진행했다. 같은 달 남자생활관인 두향재를 준공했다. 3월에는 개교식 및 입학식을 하고 초대 김창수 교장이 취임했다. 6월에는 개교 1주년 기념 한마당을 개최했고, 7월과 10월에는 각각 2011학년도 통합과정 및 고등과정 신입생 전형을 실시했다.[1]

2011년 2월에는 생활관을 증축하고 제2회 입학식을 진행했다. 5월에는 본과정 교사인 행단을 준공했고, 6월에는 개교 2주년 기념 한마당을 개최했다. 7월에는 2012학년도 통합과정 신입생 전형을, 8월에는 제1회 지혜학교 철학-인문학 캠프를 개최했다. 10월에는 2012학년도 고등과정 신입생 전형을 실시했다.[1]

2012년 2월 제3회 입학식을 했고, 3월에는 법인 산하에 철학교육연구소를 개소하고 김태완 소장이 취임했다. 같은 달 지혜학교 1~6학년이 완성되었다. 4월에는 철학교육연구소가 예비사회적기업으로 지정받았다. 6월에는 개교 3주년 기념 한마당을 개최했다. 7월에는 2013학년도 통합과정 신입생 전형을 실시했다. 8월에는 김창수 교장의 지병으로 장종택 운영위원장이 교장을 대행했다. 10월에는 2013학년도 통합과정 신입생 2차 전형과 4학년 편입전형을 실시했다. 11월에는 지혜학교 3년 평가위원회 활동이 시작되었다.[1]

2013년 1월 지혜학교 교장추천위원회에서 장종택을 차기 교장에 추천했다. 2월에는 지혜학교 1기 졸업과 함께 6개년 통합교육과정(기초2-본3-심화1)이 완성되었고, 3년 평가 공청회를 개최했다. 3월에는 제1회 졸업식과 함께 김창수 초대교장 퇴임식이 진행되었다. 같은 날 장종택 제2대 교장 취임식과 제4회 입학식이 열렸다. 또한 학교 산하에 지혜교육연구소(소장 : 장동식)를 개소하고 열린주간을 시작했다. 6월에는 개교 4주년 기념 한마당을 개최했다.[1]

3. 3. 학교 운영 발전기 (2013년 ~ 현재)

연도내용
2013년1월지혜학교 교장추천위원회에서 장종택을 차기 교장에 추천함.
2013년2월지혜학교 1기 졸업, 6개년 통합교육과정(기초2-본3-심화1) 완성[1]
3년 평가 공청회 개최[1]
제1회 졸업식 및 김창수 초대교장 퇴임식[1]
2013년3월장종택 제2대 교장 취임식 및 제4회 입학식[1]
학교 산하에 지혜교육연구소 개소(소장 : 장동식)[1]
열린주간 시작[1]
2013년6월개교 4주년 기념 한마당 개최[1]
2014년3월제2회 졸업식[1]
제5회 입학식[1]
2014년6월개교 5주년 기념 한마당 개최[1]
2015년2월제3회 졸업식[1]
2015년3월제6회 입학식[1]
2015년6월개교 6주년 기념 한마당 개최[1]
2015년12월지혜학교 교장추천위원회에서 장종택을 차기 교장에 추천함[1]
2016년2월제4회 졸업식[1]
2016년3월장종택 제3대 교장 취임식 및 제7회 입학식[1]
네팔 해외이동학습 시작[1]
법인 산하 철학교육연구소 운영 취소, 학교 산하 철학연구소 개소[1]
2016년6월개교 7주년 기념 한마당 개최[1]
2017년2월제5회 졸업식[1]
2017년3월제8회 입학식[1]
지혜학교 선택수업 교육과정(초대와 응답) 시행, 인도·네팔 해외이동학습 시작[1]
2017년6월개교 8주년 기념 한마당 개최[1]
2018년2월제6회 졸업식[1]
2018년3월제9회 입학식[1]
2018년6월개교 9주년 기념 한마당 개최[1]
2018년12월지혜학교 교장추천위원회 활동[1]
2019년2월제7회 졸업식[1]
2019년3월이남옥 제4대 교장 취임식 및 제10회 입학식[1]
학교 산하 지혜교육연구소 운영 취소, 법인 산하 지혜교육연구소 개소[1]
2019년6월개교 10주년 기념 한마당 개최[1]
2019년9월교육과정 개편을 위한 교육과정위원회 활동 시작[1]
2020년2월제11회 입학식[1]
2020년6월제8회 졸업식[1]
2020년10월개교 10주년 기념 3주체 학교 토론회 개최[1]
사단법인 지혜교육공동체로 명칭 변경[1]
2021년2월제9회 졸업식[1]
제12회 입학식(지혜학교 15기)[1]
2021년3월교육과정 개편, 새로운 교육과정(기초2-본2-심화2 학제) 도입[1]
2022년2월제10회 졸업식[1]
2022년3월제13회 입학식(지혜학교 16기)[1]
이남옥 5대 교장 연임[1]
2023년2월제11회 졸업식[1]
2023년3월제14회 입학식(지혜학교 17기)[1]
2023년5월지혜학교 교사회가 “제29회 석은 김용근 선생 민족교육상” 수상[1]
2024년2월제12회 졸업식(지혜학교 12기)[1]
2024년3월제15회 입학식(지혜학교 18기)[1]


4. 교육 과정

6년 통합 교육 과정으로 1, 2학년은 기초 과정, 3, 4학년은 본 과정, 5, 6학년은 심화 과정으로 불린다.[1] 3학년은 연극, 4학년은 영화를 제작하며, 5학년은 인도, 네팔로 해외 이동 학습을 간다.[1] 기숙사 생활을 하며, 2주에 한 번 금요일 오전에 귀가해 월요일 오후에 귀교한다.[1] 급식은 '밥모심'이라 불리며, 유기농 채식 위주로 운영된다.[1] 노트북, 스마트폰 등 전자기기 사용은 금지, MP3 플레이어, 무선 이어폰은 허용된다.[1]

4. 1. 개요

지혜학교는 6년 통합 교육 과정으로 운영되며, 1, 2학년은 기초 과정, 3, 4학년은 본 과정, 5, 6학년은 심화 과정으로 구성된다. 3학년은 수업을 듣고 연극을 만들어 무대에 올리며, 4학년은 영화를 제작하여 상영하고 여러 영화제에 출품한다. 5학년(고등학교 2학년 해당)은 인도, 네팔로 해외 이동 학습을 간다.[1]

학생들은 기숙사에서 생활하며, 2주에 한 번 금요일 오전에 귀가해 월요일 오후에 귀교한다. 급식은 '밥모심'이라 불리며, 유기농 채식 위주로 식단을 운영한다. 교내에서는 노트북,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등 전자기기 사용이 금지되어 있고, MP3 플레이어와 무선 이어폰은 허용된다.[1]

4. 2. 특징

지혜학교는 6년 통합 교육 과정으로 운영되며, 각 과정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1]

  • 1, 2학년: 기초과정
  • 3, 4학년: 본과정
  • 5, 6학년: 심화과정


본과정에서는 다음과 같은 활동을 한다.

  • 3학년(본과정 1년차): 수업을 듣고 연극을 만들어 무대에 올린다.[1]
  • 4학년(본과정 2년차): 수업을 듣고 영화를 제작해 상영하며, 각종 영화제에 출품한다.[1]


5학년(심화과정 1년차, 고2) 때는 인도네팔로 해외 이동 학습을 간다.[1]

학생들은 기숙사 생활을 하며, 2주에 한 번씩 금요일 오전에 귀가하여 월요일 오후에 귀교한다.[1] 급식은 '밥모심'이라 불리며, 유기농 채식 위주의 식단으로 운영된다.[1]

교내에서는 노트북, 스마트폰, 스마트워치와 같은 전자기기 사용이 금지되어 있지만, MP3 플레이어와 무선 이어폰은 사용이 허용된다.[1]

5. 수상 내역

연도수상 내용
미상대안학교 최초 대학수학능력시험 만점자 배출[1]
미상지혜학교 교사회, 제29회 김용근 교육상 수상[2]
미상https://kymf.ssro.net/ KYMF 대상 수상[3]


참조

[1] 웹인용 [단독] “공교육은 1년뿐”…대안학교서 첫 ‘수능 만점’ http://www.hani.co.k[...] 한겨레신문 2017-12-14
[2] 웹인용 광주 지혜학교 교사회, ‘제29회 김용근 교육상’ 수상 https://www.namdonew[...] 남도일보 2023-05-16
[3] 웹인용 광주 대안학교 학생들, KYMF 대상 ‘영예’ http://gwangnam.co.k[...] 광남일보 2023-11-06
[4] 웹인용 광주 지혜학교, 철학교육 이야기 https://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24-03-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