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공흡인 유방생검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공흡인 유방생검술은 유방 조직 검사 및 양성 종양 제거에 사용되는 시술법이다. 1994년 미국의 스티브 파커 박사가 최초로 개발했으며, 기존 유방절개 생검의 단점을 보완하여 흉터를 줄이고 시술 시간을 단축했다. 시술 전 준비사항, 시술 과정, 시술 후 주의사항이 있으며, 굵은 바늘로 많은 양의 조직을 채취할 수 있고 흉터가 작다는 장점이 있다. 출혈, 혈종, 통증 등의 단점도 있을 수 있다. 대한민국 여성에게 두 번째로 흔한 암인 유방암 진단에 기여하며, 유방암 검진율 증가와 함께 시술 건수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검사 결과는 일반적으로 7-10일 후에 확인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생검 - 자궁경부 원추절제술
자궁경부 원추절제술은 자궁경부암 전 단계 병변인 자궁경부 상피내 종양을 치료하는 수술로, 냉도, 레이저, 루프 전기 절제술 등의 방법이 있으며 시술 후 정기적인 추적 검사가 중요하고 절제 깊이에 따라 조산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 - 유방암 - BRCA1
BRCA1은 DNA 복구, 전사 조절, 세포 주기 조절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유방암 및 난소암과 관련되어, 이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유전성 유방-난소암 증후군을 유발하여 암 위험을 증가시킨다. - 유방암 - 염증성 유방암
염증성 유방암은 유방이 붓고 붉게 변하는 진행성 유방암의 희귀한 형태로, 종괴가 잘 만져지지 않으며, 영상 검사 및 생검을 통해 진단하고, 수술 전 전신 치료와 방사선 치료를 병행하며, 공격적인 특성으로 다학제적 진료 및 임상 시험 참여가 권장된다.
| 진공흡인 유방생검술 | |
|---|---|
| 진단 정보 | |
| 이름 | 진공 보조 유방 생검 |
| 목적 | 유방암 진단 |
| 검사 대상 | 유방 |
2. 역사
2. 1. 개발 배경
1994년 이전에는 악성종양이 의심되는 경우 유방절개 생검을 통해 유방 조직을 채취했다.[7] 그러나 유방절개생검은 조직검사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고 수술 흉터가 크게 남는다는 한계가 있었으며, 95%의 환자가 유방암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외과적 수술을 받아야 했다.[7] 이에 1994년 미국의 스티브 파커(Steve Parker) 박사가 최초의 진공흡인 유방생검기기 맘모톰을 개발·출시한다.[7]2. 2. 국내 도입 및 발전
진공흡인 유방생검술은 세 번째 도전 만에 신의료기술 등재에 성공했다. 2019년 8월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은 한국원자력의학원에 공문을 통해 '초음파유도하의 진공보조장치를 이용한 유방 양성병변 절제술'(이하 진공흡인 유방생검술)에 대한 안전성·유효성 평가결과를 통보했다. 제7차 신의료기술평가위원회(2019.7.26) 심의결과, 진공흡인 유방생검술은 유방 양성병변 환자의 병변을 제거하는데 있어 안전하고 유효한 기술로 심의되었다.[4]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은 “시술 관련 합병증 발생이 외과적 절제술과 유사해 안전한 수준”이라면서 “교과서 및 가이드라인에서 유방 양성병변의 제거를 위해 사용 가능한 기술로 언급돼 있고 환자 만족도가 높다”고 평가했다.[5]3. 시술 방법 및 과정
3. 1. 시술 전 준비사항
아스피린이나 쿠마딘 등 항응고 제제를 복용하고 있는 경우, 시술 도중 출혈의 위험이 있으므로 해당 약을 일주일 정도 복용하지 않은 다음 시행해야 안전하다. 따라서 약을 처방받은 병원에서 해당 약을 잠시 중단해도 되는지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2]3. 2. 시술 과정
3. 3. 시술 후 주의사항
피부 절개 부위를 꿰매지 않고 작은 테이프를 붙이므로 염증이 생기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시술 후 3일 간은 목욕을 피해야 하며, 시술 후 일주일 정도는 격한 운동을 삼가 해야 한다.[2] 시술한 당일은 사고의 위험이 있으므로 본인이 직접 운전하는 것은 피해야 한다.[2]출혈로 인해 멍이 들고 피가 뭉쳐 혈종이 생길 경우, 단단하게 만져질 수 있으나 대개 1-2주 내에 서서히 흡수가 된다.[2] 시술 직후 시술 부위가 1-2일 내에 빠르게 부풀어 오른다면, 시술 부위에 출혈이 진행되는 신호일 수 있으므로 다시 병원을 방문해야 한다.[2] 시술한 다음날부터 약 일주일간 약간의 뻐근함과 욱신거림이 있을 수 있다.[2] 만약 진통이 심하다면, 약국에서 진통제를 구입해 복용해도 된다.[2]
4. 장점 및 단점
4. 1. 장점
진공흡인 유방생검술은 굵은 바늘을 이용하여 한 번에 많은 양의 조직을 채취할 수 있다.[2] 유방 종양의 크기가 작고 여러 군데 생긴 미세석회화 병변, 유관 내 병변 등의 조직검사 방법으로 흔히 사용되며, 신의료기술로 인정받아 섬유선종과 같은 양성 혹을 제거하는 방법으로도 이용되고 있다.[2] 절개 흉터가 5-7mm로 매우 작다는 장점이 있다.[2]진공흡인 유방생검술은 유방종양 진단과 제거에 대한 유용성과 안전성이 입증된 시술이다.[3] 기존 검사는 종양의 일부를 떼어내 악성 여부를 판단한 후, 악성이면 별도의 수술을 통해 제거해야만 했다. 그러나 진공흡인 유방생검술은 평균 3-5분의 짧은 시간으로 유방 내 종양 전체를 떼어내 정확도 높은 검사를 할 수 있으며, 종양도 제거할 수 있다.[3] 또한 최소한의 절개로 흉터는 물론 합병증을 줄일 수 있다.[3] 시술한 종양의 크기는 2.0cm 이하가 약 89%, 3.0cm 이상이 3.1%로, 최근 사례가 증가하면서 3cm가 넘는 큰 양성종양까지도 시술이 가능해졌다.[6]
4. 2. 단점
시술 과정 중이나 이후에 드물게 출혈, 혈종, 혈성 유두 분비, 통증, 감염 및 염증, 피부 열상 (피부가 갈라져 붙지 않는 것), 마취제 부작용 등이 발생할 수 있다.[2]5. 적용 질환
6. 대한민국 유방암 현황 및 진공흡인 유방생검술의 역할
대한민국에서 유방암은 여성에게 발생하는 전체암 중 갑상선암에 이어 두 번째로 흔한 암이다.[8] 2015년 유방암은 전체 여성암의 18.9%를 차지하였으며,[8] 2000년 6,237명이던 유방암 환자 수는 꾸준히 증가하여 2015년에는 22,550명의 새로운 유방암 환자가 발생해 연간 유방암 발생자수는 2만 명을 넘어섰다.[8]
최근 유방암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유방암 정기 검진율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2018년 대한민국의 유방암 수검률은 63.1%로, 위암(72.8%)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9] 유방암(악성종양) 진단에 쓰이는 진공흡인 유방생검술을 받은 환자 수는 2017년 55,175명에서 2018년 162,763명으로 약 3배가량 증가했다.[10]
7. 결과 확인
진공흡인 유방생검술은 영상의학과 전문의가 시행한다.[2] 검사 결과는 대개 검사일로부터 7-10일 후에 확인할 수 있으며, 진료를 본 해당 진료과 의사(유방외과 의사)에게 확인한다.[2]
참조
[1]
논문
Diagnostic value of vacuum-assisted breast biopsy for breast carcinoma: A meta-analysis and systematic review
[2]
웹사이트
암정보, 검사정보, 맘모톰
http://www.samsungho[...]
[3]
블로그
진공흡인 유방생검술(맘모톰 시술)
https://blog.naver.c[...]
[4]
뉴스
3전 2기 '맘모톰' 드디어 신의료기술 인정…의료계 '환영'
http://medipana.com/[...]
메디파나뉴스
2019-08-08
[5]
뉴스
맘모톰 시술이 뭐길래…신의료기술 통과로 달라지는 것
http://www.ftoday.co[...]
파이넨셜투데이
2019-08-22
[6]
논문
Clinicopathological Analysis of Ultrasound-guided Vacuum-assisted Breast Biopsy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Breast Disease
http://ar.iiarjourna[...]
2018-04
[7]
뉴스
'[맘모톰, 엔코 개발자 스티브 파커 박사 인터뷰] "유방 종양 찔러 癌 확인, 가슴에 칼 대는 고통 줄이죠"'
http://health.chosun[...]
헬스조선
2018-12-08
[8]
간행물
2018 유방암백서
http://www.kbcs.or.k[...]
한국유방암학회
2018-12
[9]
웹사이트
2018 암검진수검행태 조사
https://ncc.re.kr/pr[...]
국립암센터
[10]
웹사이트
진료행위 통계, 유방생검 – 침생검
http://opendata.hir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