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위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위암은 전 세계적으로 다섯 번째로 흔하게 진단되는 암으로, 특히 동아시아와 남아메리카 지역에서 발병률이 높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감염, 짠 음식, 가공 육류, 흡연, 음주, 유전적 요인 등이 위암의 원인으로 작용하며, 초기에는 증상이 거의 없거나 소화불량과 같은 비특이적인 증상만 나타난다. 내시경 검사와 조직 검사를 통해 진단하며, 병기에 따라 수술, 항암 화학 요법, 방사선 치료, 표적 치료, 면역 치료 등의 치료법이 사용된다. 위암의 예후는 좋지 않은 편이며, 5년 생존율은 10% 미만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위장병 - 위염
    위염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알코올,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위 점막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상복부 통증, 메스꺼움,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나거나 무증상일 수 있으며, 급성 또는 만성으로 분류되고, 내시경 검사 등으로 진단하여 제산제, 항생제 등으로 치료한다.
  • 위장병 - 위 식도 역류병
    위 식도 역류병은 위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하여 속쓰림, 산 역류 등의 증상을 유발하며, 영아에게는 구토, 기침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고, 역류성 식도염, 식도암 등의 합병증을 동반하며, 증상 관찰, 내시경, pH 모니터링을 통해 진단하고, 생활 습관 개선, 약물, 수술 등으로 치료한다.
  • 암 - 피부암
    피부암은 피부 세포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으로, 자외선 노출, 유전적 요인, 면역 저하 등이 원인이 되며 기저세포암, 편평상피세포암, 흑색종으로 나뉘고 조기 발견과 자외선 차단이 중요하다.
  • 암 - 자궁경부암
    자궁경부암은 인유두종바이러스 감염이 주원인인 자궁 경부의 악성 종양으로, 초기에는 증상이 미미하지만 진행 시 질 분비물 증가, 성교통, 골반통이 나타날 수 있으며, 자궁경부 세포진 검사, 조직 생검 등으로 진단하고 수술, 방사선 치료, 항암 치료 등으로 치료하며, HPV 백신 접종과 정기 검진으로 예방이 가능하다.
  • 감염성 암원 - 결핵
    결핵은 결핵균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성 질환으로, 주로 폐에 영향을 미치며 기침, 객혈 등의 증상을 보이지만 무증상일 수도 있고, 호흡기 비말 전파를 통해 감염되며, 항생제 치료를 하지만 약물 내성 문제로 인해 공중 보건 문제로 남아있다.
  • 감염성 암원 - 자궁경부암
    자궁경부암은 인유두종바이러스 감염이 주원인인 자궁 경부의 악성 종양으로, 초기에는 증상이 미미하지만 진행 시 질 분비물 증가, 성교통, 골반통이 나타날 수 있으며, 자궁경부 세포진 검사, 조직 생검 등으로 진단하고 수술, 방사선 치료, 항암 치료 등으로 치료하며, HPV 백신 접종과 정기 검진으로 예방이 가능하다.
위암
위암
위암
생검에서 암으로 진단된 위궤양
분야소화기내과, 종양학
증상
초기속쓰림
복부팽만
상복부 복통
구역질
트림
식욕부진
후기체중 감소
황달
토혈
연하곤란
흑색변
발병
기간수년에 걸쳐 발생
종류
종양위 암종
림프종
간엽종
원인
주요 원인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유전
위험 요인
주요 요인흡연
절임 채소 등의 식이 요인
비만
진단
방법내시경 중 생검
예방
방법지중해식 식단
금연
치료
방법수술
화학 요법
방사선 요법
표적 치료
생존율
5년 생존율10% 미만 (진행된 경우)
32% (미국)
71% (일본)
발생률
2022년968,350건
사망자
2022년659,853명
질병 정보
질병 데이터베이스12445
OMIM137215
메드라인플러스00022
eMedicine 주제845
메쉬IDD013274
유전자 리뷰 IDNBK1139
유전자 리뷰 이름유전성 미만성 위암

2. 역학

2012년 백만 명당 위암 사망자 수


2018년 기준으로 전 세계에서 위암은 다섯 번째로 많이 진단되는 암으로 전체 암 사례의 5.7%를 차지하며, 암으로 인한 사망 원인 중 세 번째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여 전체 암 사망의 8.2%를 차지한다.[96] 남성은 683,754건(전체 암 사례의 7.2%), 여성은 349,947건(전체 암 사례의 4.1%)이 진단되었다.[96]

2012년 기준으로 위암은 95만 2000건이 진단되어 다섯 번째로 흔한 암이었다.[15] 남성과 개발도상국에서 더 흔하게 발생한다.[97][98] 2012년 남성 암 사례의 8.5%를 차지하여 남성에게서 네 번째로 흔한 암이었다.[99] 2012년 사망자 수는 70만 명으로, 1990년 77만 4000명에서 약간 감소하여 폐암과 간암에 이어 암 관련 사망의 세 번째 주요 원인이 되었다.[100][101]

40세 미만 인구에서 발생하는 위암은 5% 미만이며, 그 5% 중 81.1%가 30~39세, 18.9%가 20~29세 연령대에 해당한다.[102]

위암은 중국(중화인민공화국), 일본, 한국(대한민국) 등 아시아와 남아메리카 지역에 환자가 많고, 미국(미국)을 비롯한 다른 국가에서는 발생률이 낮다.

일본에서는 과거 남녀 모두 위암이 암 사망 원인 1위였으나, 사망자 수는 매년 감소하고 있다. 2003년 일본의 위암 사망자 수는 49,535명(남성 32,142명, 여성 17,393명)으로, 남성은 폐암에 이어 2위, 여성은 대장암에 이어 2위였다.

일본의 암 통계[121]
rowspan=2|사망자 수 (2017년)발생자 수 (2014년)
남성여성남녀남성여성남녀
1위폐암대장암폐암위암유방암대장암
2위위암폐암대장암대장암대장암위암
3위대장암췌장암위암대장암위암폐암
4위간암위암췌장암전립선암폐암유방암
5위췌장암유방암간암간암자궁암전립선암



일본에서는 국립암연구센터 암예방·검진연구센터 예방연구그룹에서 다목적 코호트 연구(JPHC Study) 결과가 발표되었다.[120]

아프리카의 위암 발생률과 사망률은 매우 다양하다. 국가마다 발생률과 사망률이 다르게 나타나는데, 이는 모든 국가에 대한 등록 시스템에 대한 보편적인 접근이 부족하기 때문일 수 있다.[107] 우간다에서는 1960년대 0.8/10만 명에서 5.6/10만 명으로 위암 발생률이 증가했다.[107]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이 위암 위험을 증가시키지만 아프리카에서는 그렇지 않아 이 현상을 "아프리카 수수께끼"라고 부른다.[108] 아프리카에서 이 박테리아 종이 발견되지만, 박테리아 유전자형의 돌연변이가 있는 다른 균주가 아프리카 국가와 대륙 외부 국가 간의 암 발생 차이에 기여할 수 있다는 증거가 있다.[108]

3. 원인

위암의 원인은 한 가지로 설명하기 어렵다.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위암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음식물은 위와 오랫동안 접촉하기 때문에 위암 발생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동물 실험을 통해 음식물 속 발암 물질, 특히 가공 육류에 포함된 질산염, 아질산염이 위암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밝혀졌다. 또한 탄 음식, 맵고 짠 음식도 위암 발생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세계 보건 기구 권장량의 3배에 달하는 한국인의 높은 염분 섭취량은 위암 발생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은 위염과 위궤양의 원인균으로, 위암 발생과 연관성을 보인다. 동물 실험에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단독으로는 종양을 발생시키지 못했지만, 발암 물질과 함께 투여했을 때 종양 발생이 확인되었다. 이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가 직접적인 원인이라기보다는 위암 발생을 촉진하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위암은 남성에게서 여성보다 두 배 더 흔하게 발생하는데, 에스트로겐이 여성의 위암 발생을 예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28][29]

위암은 가족력과 관련이 있으며, 1~3%는 유전 질환인 유전성 확산성 위암(HDGC)에 의한 것이다.[118]

3. 1.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감염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은 위염과 위궤양의 원인균으로, 위암 발생과 연관성을 보인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은 위암의 65~80%에서 필수적인 위험 요소이지만, 감염자 중 실제 위암 발생 비율은 2%에 불과하다.[7][30]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가 위암을 유발하는 기전은 만성 염증, CagA와 같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병독성 인자의 작용,[31] 또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과 상동 재조합 유전자의 생식세포 병원성 변이체 간의 상호작용을 포함할 수 있다.[32]

위암 발생 과정에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에 의한 “만성 위축성 위염”, “위점막의 융모 위축”[127]의 관련성이 시사되고 있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양성 환자는 음성 환자에 비해 위암 발생 위험이 5배가 된다. 위의 위축 정도가 심해지면 위암 위험도 높아지고,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감염 양성이면서 위축성 위염이 있는 그룹은 음성이고 위축이 없는 그룹과 비교하여 위암 발생 위험이 10배가 된다.[128]

메타분석에 따르면, 아시아의 무증상 성인을 대상으로 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은 위암 발생률 및 위암 사망률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129] 그러나 제균 시 이미 위 점막에 병변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 제균이 성공해도 암 병변(점막하 침윤암)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130]

일본에서 실시된 조사에서 3,161건의 위암 치료 환자 중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에 감염되지 않은 경우는 21건(0.66%)이었다. 또 다른 조사에서 240건의 위암 내시경 치료 환자 중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에 감염되지 않은 경우는 1례(0.42%)에 불과했다.[131]

이화학연구소 생명의료과학연구센터, 아이치현 암센터 연구소 암예방연구분야 등의 국제 공동 연구 그룹은 일본의 11,000명 이상의 위암 환자군과 44,000명 이상의 비암 대조군을 사용한 세계 최대 규모의 사례-대조 연구를 실시하여, 위암 위험과 관련된 유전자의 존재와 그 특징을 제시하고, BRCA1·BRCA2 유전자 등 상동 재조합 수복 기능에 관여하는 유전자군의 병적 변이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감염에 의한 위암 위험에 대한 영향을 증강시키고 있다는 것을 밝혔다.[132][133]

3. 2. 식이 요인

짠 음식, 가공 육류, 탄 음식 등은 위암 발생 위험을 높이는 반면, 신선한 채소 및 과일 섭취는 위암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 특히, 한국인의 전통적인 식습관은 위암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다.[7][41][42][43]

  • 위암 위험을 낮추는 요인:
  • 신선한 과일과 채소 섭취,[42] 감귤류 과일 섭취,[42] 항산화제 섭취[7][43]
  • 지중해식 식단[44]
  • 규칙적인 아스피린 복용[7]
  • 채소 및 과일 소량 섭취[150]
  • 녹차: 여성의 위암 위험 감소. 단, 흡연 시 효과 감소 가능성[146][147]


3. 3. 흡연 및 음주

흡연은 위암 발생 위험을 약 2배 증가시킨다. 음주는 위암, 특히 위 분문부 위암 발생률을 2~3배 높인다.[141] 알코올 섭취는 암 위험 증가와 연관성을 보인다.[7][36]

알코올 대사 활성 관련 유전자(AHH1B, ADH1C, ALDH2)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ADH1C, ALDH2의 대사 활성이 낮은 유전자형을 가진 사람이 많은 양의 술(주당 150g 이상, 즉 일본식 청주 1합 이상을 매일 마시는 수준)을 마실 경우 위암 발생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142]

알코올 섭취 시 L-시스테인을 동시에 섭취하면 위 내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낮춰 위암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보고가 있다.[143]

3. 4. 유전적 요인

위암 환자의 약 10%는 가족력이 있으며, 1~3%는 유전 질환으로 인해 유전되는 경우이다. 유전성 확산성 위암(HDGC)이 그 예이다.[21]

유전성 확산성 위암(HDGC)의 유전적 위험 요인은 ''CDH1'' 유전자의 유전적 결함이다. E-카드헤린을 암호화하는 ''CDH1'' 유전자는 16번 염색체에 위치한다.[48] 이 유전자에 특정 돌연변이가 발생하면, 아직 완전히 이해되지 않은 기전을 통해 위암이 발생한다.[48][49] 이 돌연변이는 상염색체 우성으로 간주되는데, 이는 보인자의 자녀 중 절반이 같은 돌연변이를 경험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48] 유전성 확산성 위암의 진단은 일반적으로 가족 구성원(부모 또는 조부모) 중 최소 두 명이 진단을 받고, 그중 최소 한 명이 50세 이전에 진단을 받은 경우에 이루어진다.[48] 가족 내에 최소 세 명의 환자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진단이 가능하며, 이 경우에는 나이는 고려하지 않는다.[48]

국제 암 유전체 컨소시엄은 위암에 관여하는 유전체 변화를 확인하기 위한 노력을 주도하고 있다.[50][51] 소수의 확산형 위암은 유전적으로 이상이 있는 ''CDH1'' 유전자로부터 발생한다. 위험이 있는 가족을 위한 유전자 검사 및 치료법이 있다.[52]

4. 증상

초기 위암은 대부분 증상이 없거나 소화불량과 같은 비특이적인 증상(속쓰림, 복통, 소화불량 등)만 나타날 수 있다.[24] 암이 진행됨에 따라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22][23]


  • 식후 위팽만, 상복부 통증, 메스꺼움, 때때로 구토, 전신쇠약, 피로
  • 체중 감소 또는 출혈로 인한 토혈, 혈변(검은색 변, 흑색변), 빈혈
  • 심장부 위암 또는 식도로 확장된 위암의 경우 삼킴곤란


이러한 증상은 위장 바이러스, 위궤양 등 다른 문제의 증상일 수도 있다.

위암이 진행되면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 자각 증상: 복통, 상복부 불쾌감, 메스꺼움, 구토, 속쓰림, 식후 팽만감, 식욕 감퇴 등
  • 객관적 증상: 급격한 체중 감소, 복수 저류, 흑색 변, 토혈, 빈혈


내시경 사진. 위암의 한 종류인 유문협착증으로, 위 전체가 침범되어 가죽 주머니 같은 모양을 하고 있으며, 출혈이 발생하고 있다.


초기 단계 위암의 내시경 사진. 조직 검사 결과는 분화도가 낮은 선암이며, 윤상세포가 포함되어 있다. 왼쪽 위: 정상, 오른쪽 위: FICE 염색, 왼쪽 아래: 아세트산염 염색, 오른쪽 아래: AIM 염색

5. 진단

위암 진단은 내시경을 통해 병변 부위를 확인하고 조직검사를 시행하여 악성 세포의 존재를 확인함으로써 이루어진다.[22] 내시경 초음파 검사로 병변의 깊이를 알 수 있으며, 상부위장관조영술을 통해 위장의 전체적인 모양과 병변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CT 촬영으로 등 다른 장기로의 전이 여부를 확인하고, 흉부 X-선 촬영으로 폐로의 암세포 전이 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PET 검사를 통해 미세한 암세포의 존재를 확인하기도 한다.[22]

위암 진단을 위해 다음과 같은 검사들이 시행될 수 있다.[53]


  • 위내시경 검사: 섬유 광학 카메라를 위에 삽입하여 위를 시각화하는 방법으로, 위암 진단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검사이다.[36]
  • 상부 위장관 조영술: 바륨 X선 사진이라고도 불리며, 위암의 위치와 형태를 파악하는 데 사용된다.
  • 복부 컴퓨터 단층촬영(CT): 위암 자체를 진단하는 것 외에도 인접 조직으로의 침윤이나 국소 림프절로의 전이 여부를 판단하는 데 유용하다.[54] 1cm 이상의 두꺼워진 벽이 국소적이고 편심적이며 강조되는 것은 악성 종양을 시사한다.[54]


2013년, 중국과 이스라엘 과학자들은 호흡으로 배출되는 화학 물질을 분석하여 위암을 진단하는 알코올 측정기 스타일의 호흡 검사에 대한 예비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55][56] 2014년에는 이 기술에 대한 대규모 임상 시험이 완료되었다.[57][58]

위내시경 검사에서 보이는 비정상 조직은 외과 의사나 소화기내과 의사에 의해 생검된다. 이 조직은 병리학자에게 보내져 현미경으로 조직학적 검사를 통해 암세포 존재 여부를 확인한다. 암세포 존재를 확인하는 유일한 확실한 방법은 생검 후 조직학적 분석이다.[36]

세포 구조를 강조하고 이형성 부위를 식별할 수 있는 염료를 사용하거나, 초고배율 내시경, 광학 코히어런스 단층촬영과 같은 새로운 내시경 방식들이 연구 및 개발되고 있다.[59]
흑색극세포증, "주름진 손바닥", 레저-트렐라 징후와 같은 여러 피부 질환이 위암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60]

빈혈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혈액 완전 검사(CBC)와 대변 속 혈액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잠혈 검사 등 다양한 혈액 검사가 시행될 수 있다.[61]

위암 유형별 상대적 발생률
[62]

위암 확진을 위해서는 위에서 채취한 조직의 병리 검사가 필요하다.

위암 발견 및 진단을 목적으로 다음과 같은 검사가 시행된다.

;상부 소화관 조영 검사

: "바륨 검사" 또는 "위투시"라고도 불린다. 일본에서 개발 및 연구되었으며, 현재에도 많은 암 검진에서 널리 시행되고 있다. 내시경 검사에 비해 안전하고 의사가 아니어도 시행할 수 있어 집단 검진에 사용된다. 특히 스키루스 위암 발견에 효과적이며, 수술 전 정확한 위치 진단을 위해서도 유용하다.

;상부 소화관 내시경 검사

: 현재 가장 확실한 검사 방법이다. 병변 부위의 세포를 채취하여 진단할 수 있어 확진이 가능하다. 하지만 조영 검사보다 비용이 비싸고 신체적 부담이 커서 집단 검진에는 적합하지 않다. 2013년 개정 후생노동성 지침에서는 바륨을 이용한 X선 검사가 공비 검진에서 권장되었고, 내시경은 권장되지 않았다. 그러나 2013년 2월 21일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제균 치료가 만성 위염 단계까지 건강보험 적용이 확대되면서, 상부 소화관 내시경 검사가 요건에 포함되었고,[154] 이는 조기 위암 발견으로 이어졌다.[155] 그 결과 2016년 4월부터 상부 소화관 내시경 검사가 추가되었다. 현재 많은 의료기관 및 건강검진센터에서 시행되고 있다.

:*위궤양과 위암의 감별

항목위궤양위암
형태윤활불규칙
크기3cm를 초과하는 궤양은 드물다크기는 다양
함몰저의 성상평활오목볼록, 불규칙
궤양 변연의 성상규칙, 소모상 등불규칙
궤양 주변 주름 끝의 성상주름이 가늘어지는 정도가 부드러움절벽과 같은 단절 등
주위 융기의 성상부종상과립, 결절
병변 주위 점막의 성상발적, 탈색, 함몰 등의 유무
병변의 위치위저선 영역, 유문선 영역



;CT·MRI

: 일반적으로 거대 위암이 아닌 경우 CT나 MRI를 이용한 위암 진단은 어렵다. 림프절, 간 등으로의 전이 및 침윤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시행된다.

; ABC 검사

: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은 위 점막의 위축을 일으켜 위암 발생 요인이 되므로, 양성일 경우 제균 치료가 권장된다. 펩신의 전구체인 펩시노겐(PG)을 측정하여 위암 고위험군을 분류하는 방법[156]으로, 건강검진 스크리닝에서의 유용성이 기대된다. PG-I는 위저선의 주세포와 부세포에서, PG-II는 위저선 이외에서 분비되는데, 이들은 만성 위축성 변화에서 감소한다. 이를 통해 분화형 선암 발생 위험을 분류하고, 고위험군에 대해 내시경 검사를 통한 감시를 계획한다.

;종양표지자

: 위암이 진행되면 CEA, CA19-9 등의 수치 상승이 관찰될 수 있다. 전이 등이 나타나는 경우 고농도가 확인된다.

6. 병기

위암의 병기는 암의 침윤 깊이(T), 림프절 전이 여부(N), 원격 전이 여부(M)를 종합하여 결정된다. (TNM 분류) 병기는 0기부터 4기까지 분류되며, 숫자가 높을수록 진행된 암을 의미한다. 병기는 치료 방법 결정 및 예후 예측에 중요한 지표로 활용된다.[68][69][70]

위암의 T 분류


조직 샘플에서 암세포가 발견되면 병기 분류를 통해 질병의 범위를 파악한다. 여러 검사를 통해 암이 전이되었는지, 전이되었다면 신체의 어느 부분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한다. 위암은 간, 췌장 및 위 주변의 다른 장기뿐만 아니라 폐로 전이될 수 있으므로, 의사는 CT 스캔, PET 스캔,[67] 내시경 초음파 검사 등을 통해 확인한다. 종양 표지자(예: 카르시노엠브리오닉 항원 및 탄수화물 항원)에 대한 혈액 검사도 시행할 수 있다.

병기 분류는 수술 후까지 완료되지 않을 수 있다. 외과의는 인접 림프절을 제거하고 복부의 다른 부위에서 조직 샘플을 채취하여 병리학자의 검사를 받는다.

위암의 임상 병기는 다음과 같다.

  • '''0기''': 위 내벽에 국한되며, 매우 초기에 발견되는 경우 내시경 점막 절제술로 치료하거나, 위 절제술 및 림프절 절제술로 치료한다.
  • '''1기''': 위의 두 번째 또는 세 번째 층까지 침윤(1A기) 또는 두 번째 층과 인접한 림프절까지 침윤(1B기)된 경우이다. 1A기는 대망 제거를 포함한 수술로 치료한다. 1B기는 화학 요법(5-플루오로우라실) 및 방사선 요법으로 치료할 수 있다.
  • '''2기''': 두 번째 층과 더 먼 림프절까지 침윤, 또는 세 번째 층과 인접한 림프절만 침윤, 또는 네 번째 층까지 침윤되었지만 림프절에는 침윤되지 않은 경우이다. 1기와 같이 치료하며, 경우에 따라 신보조 화학 요법을 시행할 수 있다.
  • '''3기''': 세 번째 층과 더 먼 림프절까지 침윤, 또는 네 번째 층까지 침윤되고 인접 조직 또는 인접하거나 더 먼 림프절에 침윤된 경우이다. 2기와 같이 치료하며, 일부 경우에는 완치가 가능하다.
  • '''4기''': 암이 인접 조직과 더 먼 림프절로 전이되었거나 다른 장기로 전이된 경우이다. 완치가 거의 불가능하며, 수명 연장이나 증상 개선을 위한 치료를 시행한다.


폐로 전이된 위암


스코틀랜드의 한 연구에서는 환자의 7%가 1기, 17%가 2기, 28%가 3기로 진단되었다.[71] 미네소타 인구의 경우 10%가 1기, 13%가 2기, 18%가 3기로 진단되었다.[72] 그러나 남부 칠레 발디비아 주의 고위험군 인구에서는 환자의 5%만이 처음 두 단계에서 진단되었고 10%가 3기로 진단되었다.[73]

위암의 병기(Stage) 분류[157]
침윤 깊이 및 전이림프절 전이
N0N1N2N3M1
기호 ※설명림프절 전이 없음림프절 1~2개에 전이림프절 3~6개에 전이림프절 7개 이상에 전이원격 전이
T1a (M)
T1b (SM)
위의 점막 또는 점막하층에 국한됨.style="background-color:#FFF5EE" |style="background-color:#B0C4DE" |style="background-color:#66CDAA" |style="background-color:#ADD8E6" |style="background-color:#D8BFD8" |
T2 (MP)위의 고유근층까지 침윤.style="background-color:#B0C4DE" |style="background-color:#66CDAA" |style="background-color:#ADD8E6" |style="background-color:#FFFFE0" |style="background-color:#D8BFD8" |
T3(SS)위의 고유근층을 넘어 장막하층까지 침윤.style="background-color:#66CDAA" |style="background-color:#ADD8E6" |style="background-color:#FFFFE0" |style="background-color:#FFE4B5" |style="background-color:#D8BFD8" |
T4a (SE)암이 장막을 넘어 위 표면으로 돌출.style="background-color:#ADD8E6" |style="background-color:#FFFFE0" |style="background-color:#FFE4B5" |style="background-color:#FAF0E6" |style="background-color:#D8BFD8" |
T4b (SI)암이 위 표면으로 돌출되었고, 다른 장기에도 암이 침범.style="background-color:#FFFFE0" |style="background-color:#FFE4B5" |style="background-color:#FAF0E6" |style="background-color:#FAF0E6" |style="background-color:#D8BFD8" |
간, 폐, 복막 등에 전이.style="background-color:#D8BFD8" |style="background-color:#D8BFD8" |style="background-color:#D8BFD8" |style="background-color:#D8BFD8" |style="background-color:#D8BFD8" |
※ 침윤 깊이 및 전이 기호란의 괄호 안 기호는 구분류에 따른 기호(구 가이드라인에서 표기되는 기호).


7. 치료

위암 치료는 암의 진행 단계(병기),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 암의 위치와 크기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된다. 초기 단계(전이되기 전)에 발견되지 않으면 치료가 어렵지만, 최근에는 림프절 절제술의 발전으로 치료 성적이 향상되고 있다.[80] 조기 위암의 경우 내시경적 점막 절제술, 복강경을 이용한 복강경적 위 절제술 등이 발전하고 있으며, 면역요법, 항암화학요법, 유전자 요법의 발전으로 재발률을 줄이고 생존율을 높이고 있다.

위암 치료에는 수술,[81] 항암화학요법,[9] 방사선 치료[82] 등이 있으며, 면역요법이나 유전자 치료와 같은 새로운 치료법도 연구되고 있다.[83] 위암은 악성 림프종, 위장관 간질종양과는 달리 수술이 적합한 치료법이다.[158]

7. 1. 내시경 치료

조기 위암 중 림프절 전이 가능성이 낮은 경우, 내시경을 이용하여 암 병변을 절제하는 내시경적 점막 절제술(EMR) 또는 내시경적 점막하층 박리술(ESD)을 시행할 수 있다. 내시경적 점막 절제술은 점막 내 조기 위암에 대해 주사침으로 생리 식염수를 주입하여 병변 부위를 부풀린 후, 전기 소작기로 점막을 절제하는 방법이다.[159] 이 방법은 위를 보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모든 조기 위암에 적용 가능한 것은 아니다. 림프절 전이 가능성이 낮은 일부 경우에 한하며, 수술 후 조직검사 결과에 따라 근치적 위 절제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 내시경적 점막절제술의 성공률은 약 80%로 알려져 있다.[159]

분화형으로 림프절 전이가 없는 조기 위암의 경우 EMR·ESD와 같은 내시경적 절제술이 널리 시행된다. GIST 등에 대한 최소침습 치료로서 복강경 내시경 협동 수술(LECS) 등이 시행되고 있다.[159]

7. 2. 수술 치료

위암의 근본적인 치료법은 수술적 절제이며, 암의 위치와 병기에 따라 위 부분 절제술 또는 위 전 절제술을 시행한다.[12] 림프절 전이 여부에 따라 림프절 절제 범위를 결정하며, D2 림프절 절제가 표준 치료로 간주된다. 근치술의 근본은 외과적 수술적 절제이며, 위절제술 + D2 림프절곽청이 기본이다.

진행 정도에 따라 내시경으로 암 병변만 절제하는 내시경 점막 절제술, 복강경을 이용한 복강경적 위 절제술을 시행할 수 있다. 조기 위암의 경우에는 내시경을 이용한 수술을 진행하는데, 점막 내 조기 위암은 내시경 점막 절제술(EMR)로 치료한다.[2] EMR은 내시경을 통해 전기선 루프를 사용하여 종양과 함께 위의 내벽(점막)을 위벽에서 제거하는 것이다.[2] 이 방법은 간단한 내시경 시술로 위 절제 수술의 고통을 피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81] 하지만, 점막에 국한된 조기 위암 중 림프절 전이 가능성이 낮은 일부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고, 수술 후 조직검사에서 절제된 점막 조직 경계면에 암세포가 발견되거나, 암이 점막하층까지 침범한 경우, 혈관 또는 림프관 내에서 암세포가 발견된 경우는 근치적 위 절제 수술을 시행받아야 한다.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은 한 조각으로 큰 점막 부위를 절제하는 데 사용되는 기법이다.[2] 절제된 검체의 병리 검사에서 절제 불완전 또는 종양의 심부 침윤이 나타나면 환자는 정식 위 절제술을 받아야 한다.[2]

위암 절제를 위한 Roux-en-Y 수술 전 해부학


2016년 코크란 검토에서는 복강경 위 절제술과 개복 위 절제술(위 제거) 간의 단기 사망률에 차이가 없다는 증거가 발견되었으며, 복강경 위 절제술의 이점 또는 해악을 배제할 수 없다는 결과가 나왔다.[84] 수술 후, 위 전체 절제술을 받은 사람의 최대 70%가 덤핑 증후군 및 역류성 식도염과 같은 합병증을 경험한다.[85] "위 대체물" 역할을 하는 "주머니"를 만들면 덤핑 증후군과 역류성 식도염의 발생률이 감소하고 삶의 질, 영양 결과 및 체질량 지수가 개선되었다.[85]

암의 진행이 상당히 진행되어 수술 전 진단이 내려지면, 대망, 비장, 담낭 등 주위 장기들을 함께 절제하는 확대 수술이 시행된다. 발견 당시 복막전이림프절전이 등 위 이외에 전이된 진행암인 경우에는, 먼저 화학요법 등을 시도하여 전이된 암을 축소시킬 수 있는 경우에 수술을 시행하기도 한다. 진단 당시 전이성 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완화적 수술을 받을 수 있으며, 수술 자체의 합병증 가능성과 화학 요법을 지연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지금까지의 데이터는 대부분 긍정적이며, 이러한 접근 방식으로 치료받은 환자의 생존율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2][87]

7. 3. 항암 화학 요법

항암 화학 요법은 수술이 불가능한 진행성 위암 환자에게 암세포를 파괴하고 증식을 억제하여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1차 항암 요법이다. 또한, 위 절제술 및 림프절 곽청술 후 눈에 보이지 않는 암세포를 제거하기 위한 보조 항암 요법과 수술 전 암종의 크기를 줄이기 위한 수술 전 화학 요법도 있다.[9] 수술로 암종을 완전히 제거하지 못하거나 암종이 소화관을 막는 경우 방사선 요법을 병용하기도 한다.[2]

위암 치료에 사용되는 항암제로는 5-FU, 시스플라틴, 메토트렉세이트, 파클리탁셀, 이리노테칸 등의 주사제와 경구용 TS-1이 있다. 이러한 약물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여러 약물을 병용하는 경우가 많다.[9] 다양한 약제의 조합을 요법이라고 부르며, 여러 요법의 유효성이 보고되었다.[160]

위암에 사용되는 항암제는 다음과 같다.[160]

  • 분자표적치료제: 특정 수용체효소에 작용하는 저분자 화합물 또는 단클론항체이다. 상피세포증식인자 등 세포 증식 신호를 억제하거나 암세포를 직접 손상시켜 항종양 효과를 낸다.
  • 트라스투주맙 (항HER2 단클론항체제제): HER2 양성 진행성 위암의 1차 치료에 플루오로피리미딘계 약제 및 백금제제와 병용 투여한다.
  • 트라스투주맙 엠탄신: 항체-약물 접합체
  • 람실루맙 (항VEGFR2 단클론항체제제): 진행성 위암의 2차 치료 이후에 단독 또는 파클리탁셀과 병용 투여한다.

  • 면역관문억제제
  • 니볼루맙 (항PD-1 단클론항체제제): 3차 치료 이후, 그리고 1차 치료에서 화학요법과 병용하여 사용이 가능하다.[162][163]
  • 펨브롤리주맙 (항PD-1 단클론항체제제): MSI-high 증례에 사용한다.


위암 치료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수술 후 보조 화학요법은 병기 IIa에는 S-1을 1년간 투여하고, 병기 IIb에는 Cape+OX, S-1+OX, S-1+DTX 중 하나를 권장한다.

다음은 위암 치료에 사용되는 주요 요법들이다.

요법시험비고
S-1ACTS-GC 시험
Cape+OX 요법CLASSIC 시험
S-1+DTX 요법JACCRO GC-07 시험S-1 단독 요법보다 우수
S-1+OX 요법
5-FU 요법JCOG9205
5-FU + CDDP 요법JCOG9205
CPT-11 + CDDP 요법JCOG9912
S-1 요법JCOG9912
S-1 + CDDP 요법SPIRITS 시험
S-1 + CPT-11 요법GCO301/TOP-002 시험
S-1 + DTX 요법START 시험
FOLFOX 요법REAL2 시험
S-1 + OX 요법G-SOX 시험
Cape + OX 요법REAL2 시험 및 G-SOX 시험에 준함
Cape + OX 요법 또는 FOLFOX 요법 + 니볼루맙[164]CheckMate649 시험[165]
S-1 + OX 요법 또는 Cape + OX 요법 + 니볼루맙[164][166]ATTRACTION-4 시험[167]
CPT-11 요법ASCO 2009 AIO 연구
DTX 요법ASCO 2011 한국 연구
PTX 요법ASCO 2012 WJOG4007
nab-PTX 요법ABSOLUTE 시험
RAM+PTX 요법RAINBOW 시험
RAM 요법REGARD 시험


7. 4. 방사선 치료

위암은 방사선 치료에 대한 반응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지만, 수술 후 국소 재발을 줄이거나 증상 완화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2] 화학 요법 및/또는 수술의 보조 요법으로 사용되기도 한다.[2] 일본에서는 선암이 많기 때문에 방사선치료가 많이 시행되지 않는다. 수술 후 병변에 대한 치료나, 비승인 치료법으로서 수술 중 조사(intraoperative radiation therapy)가 수술 보조로서 유효한지 연구되고 있다.

7. 5. 표적 치료

인간 표피 성장 인자 수용체 2(HER2)를 억제하는 트라스투주맙 치료는 HER2 유전자가 과발현된 절제 불가능한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위암 환자의 전체 생존율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12] HER2는 위암 환자의 13~22%에서 과발현된다.[83][89] 위암에서 HER2 과발현은 이질적이며 종양 세포의 소수만을 포함하므로(종양 세포의 5% 이상에서 HER2를 과발현하는 위암은 10% 미만) HER2 검사 시 이러한 점을 고려해야 하며, 하나 이상의 생검 샘플을 평가해야 한다.[89]

분자표적치료제는 특정 수용체효소에 대한 저분자 화합물 또는 단클론항체이며, 상피세포증식인자 등 세포 증식 신호 저해나 암세포를 직접 손상시켜 항종양 효과를 낸다.

  • '''트라스투주맙''' (항HER2 단클론항체제제): HER2 양성 진행성 위암에 대한 1차 치료로, 플루오로피리미딘계 약제와 백금제제와 병용하여 투여된다.
  • '''트라스투주맙 엠탄신''': 항체-약물 접합체
  • '''람실루맙''' (RAM 항VEGFR2 단클론항체제제): 진행성 위암에 대한 2차 치료 이후에, RAM 단제 또는 파클리탁셀과 병용하여 투여된다.


대장암 등에서 유용한 베바시주맙게피티닙, 에베로리무스, 라파티닙 등은 위암에서 효과가 인정되지 않았다.[161]

7. 6. 면역 치료

면역관문억제제인 니볼루맙(항PD-1 단클론항체제제)은 일본에서 2017년 9월에 3차 치료 이후에 사용하도록 권고되었고,[162] 2021년 11월에는 1차 치료에서 니볼루맙과 화학요법을 함께 사용하는 방법이 승인되었다.[163] 펨브롤리주맙(항PD-1 단클론항체제제)은 MSI-high 증례에 대해 사용이 가능하다.

2019년 가을 기준으로, 니볼루맙과 펨브롤리주맙만이 위암에 대해 효과가 입증된 면역 요법이다. 이 외에는 위암에 대한 효과가 증명된 면역 요법은 없으므로, 정해진 절차에 따라 전문 기관에서 시행하는 임상 시험 외에는 사용해서는 안 된다.

8. 예후

위암의 예후는 병기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병기는 주로 위벽 침습 정도와 림프절 전이 숫자로 결정된다. 1기에는 대부분 완치가 가능하며, 2기는 약 2/3, 3기 초는 약 1/2 정도 완치가 된다. 그러나 3기 후기는 약 1/3, 4기는 약 1/10 정도만 완치가 가능하여 예후가 매우 나쁘다. 조기 위암은 림프절 전이와 상관없이 암세포가 점막이나 점막 하조직까지 침범한 경우를 말하며, 그 이상 근육층이나 장막까지 침범한 경우를 진행 위암이라고 한다.[92]

위암은 발견 시 종양이 이미 전이된 경우가 많고, 진단받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고령(중간 연령 70~75세)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예후가 좋지 않다. 진단 후 평균 생존 기간은 약 24개월이며, 5년 생존율은 10% 미만이다.[2]

약 300개의 유전자가 위암 예후와 관련이 있으며, 발현이 높을수록 생존율이 낮은 불리한 유전자와 발현이 높을수록 생존 기간이 긴 유리한 유전자가 모두 존재한다.[93][94] 예후가 좋지 않은 유전자의 예로는 ITGAV, DUSP1, P2RX7 등이 있다.[95]

국립암센터 중앙병원의 위암 연구팀 통계에 따르면 5년 생존율은 전체 환자의 경우 71.4%였다. 세부적으로 1기는 91.2%, 2기는 80.9%, 3기는 54.7%, 4기는 9.4%였다.[168]

위 절제술 후에는 비타민 B1의 장 흡수가 악화되어 각기 증상으로 심부전(심장각기)이 발생하거나, 베르니케 뇌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169][170] 또한 비타민 B12의 장 흡수에는 위에서 분비하는 물질(내인자)이 필요하기 때문에, 위 절제술 후에는 비타민 B12 흡수가 되지 않아 평균 5년 후 체내 저장분을 모두 소모하면 B12 결핍으로 조혈 기능에 장애가 생겨 빈혈(위 절제 후 빈혈)이 발생할 수 있다. B12가 포함된 음식을 섭취해도 흡수되지 않기 때문에, 결핍이 발생할 무렵부터는 주사를 통해 보충해야 한다. 그러나 주사가 아닌 메코발라민 과립 제제의 경구 투여로도 흡수된다는 보고가 있다.[171]

9. 위암 검진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 pylori'') 감염을 제거하면 위암 위험이 감소한다.[74] 혈청 마커 기반 등의 현대 기술은 조기 진단을 촉진하는 데 사용된다.[79] 위암 검진을 받은 사람은 위암으로 인한 사망률이 낮다.[148]

한국에서는 만 40세 이상 남녀를 대상으로 2년마다 위내시경 검사 또는 상부 위장관 조영술을 국가 암 검진 사업으로 시행하고 있다. 위암 고위험군(가족력,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감염, 위축성 위염, 장상피화생 등)은 의료진과 상담하여 조기 검진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10. 위암과 관련된 인물


  • 동 치즈루(東ちづる) 초기 위암을 응급 수술로 극복하였다.
  • 아츠미 지로(渥美二郎) 1989년, 진행성 위암에 걸려 사경을 헤맸으나 수술과 항암 치료로 회복하였다.
  • 아리스가와노미야 노리히토 친왕(有栖川宮幟仁親王)
  • 아와즈 고(粟津號)
  • 이치카와 단쥬로 11대(市川團十郎 (11代目))
  • 이치미 마사타카(逸見政孝)
  • 이토 이치요(伊藤一葉)
  • 이토 세이(伊藤整)
  • 이마 이쿠요(今いくよ)
  • 이와쿠라 구미(岩倉具実)
  • 존 웨인(ジョン・ウェイン)
  • 우츠미 요시에(内海好江)
  • 에도야 네코하치 4대(江戸家猫八 (4代目))
  • 에나토 아키라(江波戸昭)
  • 에모토 마사키(江本孟紀) 2017년, 진행성 위암 수술 후 회복하였다.
  • 왕정치(王貞治) 2006년, 게이오기주쿠 대학병원(慶應義塾大学病院)에서 수술 후 업무에 복귀하였다.
  • 오야 마사코(大屋政子)
  • 오다 미노루(小田実)
  • 함의제(咸宜帝)
  • 기보 아이코(宜保愛子)
  • 키리시마 사토시(桐島聡)
  • 쿠로키 나나(黒木奈々)
  • 코지로 후부키(越路吹雪)
  • 코다마 키요시(児玉清)
  • 사가 센(佐賀潜)
  • 쟈키 사토(ジャッキー佐藤)
  • 사토우 B사쿠(佐藤B作) 2008년 위의 3분의 2를 절제한 후 "가는 세상은 요괴뿐(渡る世間は鬼ばかり)" 등의 작품으로 업무에 복귀하였다.
  • 사와다 타카시(澤田貴司) 55세에 위암 수술을 받고 수술 한 달 후 업무에 복귀하였다.
  • 시오자와 토키(塩沢とき)
  • 지쓰쇼지 아키오(実相寺昭雄)
  • 스즈키 무네오(鈴木宗男) 조기 발견으로 회복하였다.
  • 타카모쿠 요시히코(高杢禎彦) 위암 발병 후 자살도 생각했지만 수술을 받고 극복하였다.
  • 다자이 히사오(太宰久雄)
  • 타테카베 카즈야(たてかべ和也)
  • 장춘교(張春橋)
  • 데즈카 오사무(手塚治虫)
  • 나리타 미키오(成田三樹夫)
  • 하야시야 키쿠센(林家木久扇) 위암을 비밀리에 치료하는 중에도 "쇼텐"에 출연을 계속하였다.
  • 호리에 시노부(堀江しのぶ)
  • 미키 타케키치(三木武吉)
  • 미야사코 히로유키(宮迫博之) 조기 발견으로 회복하였다.
  • 모리타 칸야 12대(守田勘彌 (12代目))
  • 요한 23세(요한 바오로 23세)(ヨハネ23世 (ローマ教皇))

참조

[1] 논문 Global cancer statistics 2022: GLOBOCAN estimates of incidence and mortality worldwide for 36 cancers in 185 countries 2024-04-04
[2] 웹사이트 Stomach (Gastric) Cancer http://www.cancer.go[...] 1980-01-01
[3] 웹사이트 Gastric Cancer Treatment (PDQ®) http://www.cancer.go[...] 2014-04-17
[4] 서적 Cancer biolog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5] 논문 Role of bacteria in oncogenesis 2010-10-01
[6] 서적 Issues in public health https://books.google[...] Open University Press 2011
[7] 논문 Gastric cancer: epidemiologic aspects 2013-09-01
[8] 웹사이트 Stomach (Gastric) Cancer Prevention (PDQ®) http://www.cancer.go[...] 2014-02-27
[9] 논문 Chemotherapy for advanced gastric cancer 2017-08-01
[10] 논문 Targeting the Myeloid-Derived Suppressor Cell Compartment for Inducing Responsiveness to Immune Checkpoint Blockade Is Best Limited to Specific Subtypes of Gastric Cancers 2021-08-01
[11] 논문 Treatment of gastric marginal zone lymphoma of MALT type 2010-09-01
[12] 논문 Treatment of gastric cancer 2014-02-01
[13] 웹사이트 Cancer of the Stomach - Cancer Stat Facts https://seer.cancer.[...] 2020-02-01
[14] 웹사이트 がん診療連携拠点病院等院内がん登録生存率集計: [国立がん研究センター がん登録・統計] https://ganjoho.jp/r[...] 2020-02-02
[15] 서적 World Cancer Report 2014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4
[16] 논문 Global cancer statistics 2018: GLOBOCAN estimates of incidence and mortality worldwide for 36 cancers in 185 countries 2018-11-01
[17] 서적 Cancer and its management https://books.google[...] Wiley-Blackwell 2010
[18] 서적 Handbook of cancer chemotherapy https://books.google[...] Wolter Kluwer 2011
[19] 서적 Human Longevity: The Major Determining Factors https://books.google[...] Author House 2010
[20] 서적 Cancer, culture, and communication https://archive.org/[...] Kluwer Academic 2004
[21] 서적 World Cancer Report 2014 2014
[22] 웹사이트 Statistics and outlook for stomach cancer http://www.cancerres[...] Cancer Research UK 2014-02-19
[23] 논문 Awareness of Stomach and Colorectal Cancer Risk Factors, Symptoms and Time Taken to Seek Medical Help Among Public Attending Primary Care Setting in Muscat Governorate, Oman 2019-06-01
[24] 웹사이트 Guidance on Commissioning Cancer Services Improving Outcomes in Upper Gastro-intestinal Cancers http://www.dh.gov.uk[...] NHS 2001-01-01
[25] 웹사이트 Symptoms of stomach cancer https://www.nhs.uk/c[...] 2018-09-17
[26] 논문 Should Loss of Appetite Be Palliated in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 2021-02-01
[27] 논문 Environmental and lifestyle risk factors of gastric cancer http://www.ams.ac.ir[...] 2013-06-01
[28] 논문 Oestrogen and the enigmatic male predominance of gastric cancer 2008-11-01
[29] 논문 The direct effect of estrogen on cell viability and apoptosis in human gastric cancer cells 2014-10-01
[30] 웹사이트 Proceedings of the fourth Global Vaccine Research Forum https://www.who.int/[...] WHO 2004-04-01
[31] 논문 Helicobacter pylori CagA: a new paradigm for bacterial carcinogenesis 2005-12-01
[32] 논문 ''Helicobacter pylori'', Homologous-Recombination Genes, and Gastric Cancer 2023-03-01
[33] 웹사이트 Developing a vaccine for the Epstein–Barr Virus could prevent up to 200,000 cancers globally say experts http://www.cancerres[...] 2014-03-24
[34] 논문 Cigarette smoking and stomach cancer http://cancerres.aac[...] 1990-11-01
[35] 논문 Tobacco smoking and gastric cancer: review and meta-analysis 1997-08-01
[36] 논문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gastric cancer 2013-11-01
[37] Review Nature, Nurture, and Cancer Risks: Genetic and Nutritional Contributions to Cancer 2017-08-01
[38] 논문 Association of Fried Food Intake with Gastric Cancer Risk: A System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Case-Control Studies 2023-06-01
[39] 논문 Meat intake and risk of gastric cancer in the Stomach cancer Pooling (StoP) project 2020-07-01
[40] 논문 Human carcinogenesis and bracken fern: a review of the evidence http://www.benthamdi[...] 2002-03-01
[41] 논문 Nitrosamine and related food intake and gastric and oesophageal cancer risk: a systematic review of the epidemiological evidence 2006-07-01
[42] 논문 Fruits and vegetables intake and gastric cancer risk: A pooled analysis within the Stomach cancer Pooling Project 2020-12-01
[43] 웹사이트 What Are The Risk Factors For Stomach Cancer(Website) http://www.cancer.or[...] American Cancer Society 2010-03-31
[44] 논문 Adherence to a Mediterranean diet and risk of gastric adenocarcinoma within the European Prospective Investigation into Cancer and Nutrition (EPIC) cohort study 2010-02-01
[45] 논문 Epidemiology of gastric cancer 2006-01-01
[46] 논문 Meta-analysis: obesity and the risk for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and its complications 2005-08-01
[47] 서적 Comprehensive Handbook of Iodine: Nutritional, Biochemical, Pathological and Therapeutic Aspects Elsevier
[48] 웹사이트 Hereditary Diffuse Cancer http://www.nostomach[...] 2014-10-21
[49] 논문 Association of polymorphisms in TP53 and the promoter region of IL10 with gastric cancer in a Kazakh population 2020-11-01
[50] 웹사이트 Gastric Cancer — Adenocarcinoma http://www.icgc.org/[...] International Cancer Genome Consortium 2014-02-24
[51] 웹사이트 Gastric Cancer—Intestinal- and diffuse-type http://www.icgc.org/[...] International Cancer Genome Consortium 2014-02-24
[52] 논문 Germline E-cadherin mutations in hereditary diffuse gastric cancer: assessment of 42 new families and review of genetic screening criteria 2004-07-01
[53] 웹사이트 Gastric Cancer https://www.lecturio[...] 2021-07-22
[54] 논문 Neoplastic stomach lesions and their mimickers: spectrum of imaging manifestations 2012-08-01
[55] 논문 A nanomaterial-based breath test for distinguishing gastric cancer from benign gastric conditions 2013-03-01
[56] 뉴스 Breath Test Could Detect And Diagnose Stomach Cancer http://www.medicalne[...] Medical News Today 2013-03-06
[57] 논문 Detection of precancerous gastric lesions and gastric cancer through exhaled breath 2016-03-01
[58] 논문 Volatile organic compounds as a potential screening tool for neoplasm of the digestive system: a meta-analysis 2021-12-01
[59] 논문 Technology insight: Laser-scanning confocal microscopy and endocytoscopy for cellular observation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2005-01-01
[60] 논문 Oral acanthosis nigricans, tripe palms and sign of leser-trélat in a patient with gastric adenocarcinoma 2004-07-01
[61] 논문 Occult Gastrointestinal Bleeding: Detection, Interpretation, and Evaluation http://medind.nic.in[...]
[62] 논문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and the risk of gastric carcinoma 1991-10-01
[63] 서적 Pathologic Basis of Disease Saunders Elsevier
[64] 서적
[65] 논문 Helicobacter pylori-induced gastric pathology: insights from in vivo and ex vivo models 2017-02-01
[66] 논문 Roles of resolvins in the resolution of acute inflammation 2015-01-01
[67] 논문 CT and PET in stomach cancer: preoperative staging and monitoring of response to therapy
[68] 웹사이트 Detailed Guide: Stomach Cancer Treatment Choices by Type and Stage of Stomach Cancer http://www.cancer.or[...] American Cancer Society 2009-11-03
[69] 웹사이트 What Are The Stages Of Stomach Cancer? http://www.ehealthmd[...] ehealthmd.com 2009-10-01
[70] 웹사이트 Detailed Guide: Stomach Cancer: How Is Stomach Cancer Staged? http://www.cancer.or[...] American Cancer Society
[71] 논문 Impact of open-access endoscopy on detection of early oesophageal and gastric cancer 1994 - 2003: population-based study 2006-05-00
[72] 논문 Survival trends in patients with gastric and esophageal adenocarcinomas: a population-based study 2008-10-00
[73] 논문 Incidence and survival of stomach cancer in a high-risk population of Chile 2009-04-00
[74] 논문 Helicobacter pylori eradication therapy to prevent gastric cancer in healthy asymptomatic infected individual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sed controlled trials 2014-05-00
[75] 논문 Diet and cancer risk in the Korean population: a meta- analysis 2014-00-00
[76] 논문 Vitamin intake reduce the risk of gastric cancer: meta-analysis and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and observational studies 2014-00-00
[77] 논문 Antioxidant supplements for preventing gastrointestinal cancers 2008-07-00
[78] Submitted manuscript Antioxidant supplements for prevention of mortality in healthy participants and patients with various diseases 2012-03-00
[79] 논문 Gastric Cancer Pre-Stage Detection and Early Diagnosis of Gastritis Using Serum Protein Signatures 2022-04-00
[80] 논문 Modern oncological approaches to gastric adenocarcinoma 2013-06-00
[81] 논문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laparoscopy-assisted and open total gastrectomy for gastric cancer 2013-08-00
[82] 논문 Chemoradiation therapy: localized esophageal, gastric, and pancreatic cancer 2013-07-00
[83] 논문 Critical appraisal of trastuzumab in treatment of advanced stomach cancer 2011-03-00
[84] 논문 Laparoscopic versus open gastrectomy for gastric cancer 2016-03-00
[85] 논문 Pouch Versus No Pouch Following Total gastrectomy: Meta-analysis of Randomized and Non-randomized Studies 2018-12-00
[86] 논문 Robotic-assisted proximal gastrectomy with a laparoscopic-assisted double-tract reconstruction for proximal early gastric cancer
[87] 논문 Clinical significance of palliative gastrectomy on the survival of patients with incurable advanced gastric cancer: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http://www.biomedcen[...] 2013-12-00
[88] 논문 Chemotherapy for advanced gastric cancer: across the years for a standard of care 2007-04-00
[89] 논문 HER2 in gastric cancer: a digital image analysis in pre-neoplastic, primary and metastatic lesions 2013-06-00
[90] 논문 Nivolumab plus anlotinib hydrochloride in advanced gastric adenocarcinoma and esophageal squamous cell carcinoma: the phase II OASIS trial https://www.nature.c[...] 2024-10-15
[91] 웹사이트 New Combined Therapy Shows Promise for Advanced Stomach Cancer Treatment {{!}} Nature Communication https://www.bgi.com/[...] 2024-10-21
[92] EMedicine Gastric Cancer
[93] 웹사이트 The stomach cancer proteome – The Human Protein Atlas https://www.proteina[...]
[94] 논문 A pathology atlas of the human cancer transcriptome 2017-08-00
[95] 논문 P2X7 receptor as an independent prognostic indicator in gastric cancer 2020-05-00
[96] 서적 WHO report on cancer: setting priorities, investing wisely and providing care for all.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97] 논문 Global cancer statistics, 2002
[98] 웹사이트 Are the number of cancer cases increasing or decreasing in the world? https://www.who.int/[...] WHO 2009-05-11
[99] 서적 World Cancer Report 2014 2014
[100] 논문 Global and regional mortality from 235 causes of death for 20 age groups in 1990 and 2010: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0 https://repozitorij.[...] 2012-12-00
[101] 웹사이트 PRESS RELEASE N° 224 Global battle against cancer won't be won with treatment alone: Effective prevention measures urgently needed to prevent cancer crisis http://www.iarc.fr/e[...] 2014-02-03
[102] 논문 Câncer gástrico em adultos jovens http://www.inca.gov.[...] 2000-00-00
[103] 웹사이트 Health profile: United States http://www.worldlife[...] Le Duc Media 2016-01-31
[104] 웹사이트 Health profile: China http://www.worldlife[...] Le Duc Media 2016-01-31
[105] 웹사이트 Stomach Cancer: Death Rate Per 100,000 http://www.worldlife[...] Le Duc Media 2014-03-13
[106] 웹사이트 Stomach cancer statistics http://www.cancerres[...] 2014-10-28
[107] 논문 Gastric cancer in Africa: current management and outcomes 2014-04-00
[108] 논문 The relationship between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the virulence genotypes of the infecting strain and gastric cancer in the African setting 2001-12-00
[109] 서적 Withrow and MacEwen's Small Animal Clinical Oncology Elsevier 2013-00-00
[110] 논문 Gastrointestinal neoplasia: carcinogenic interaction between bile acids and Helicobacter pylori in the stomach 2022-05-00
[111] 논문 Iron deficiency linked to altered bile acid metabolism promotes Helicobacter pylori-induced inflammation-driven gastric carcinogenesis 2022-05-00
[112] 웹사이트 Gastric Cancer Treatment (PDQ®) http://www.cancer.go[...] 2014-04-17
[113] 서적 Cancer biolog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7-00-00
[114] 논문 Role of Bacteria in Oncogenesis
[115] 서적 Issues in public health https://books.google[...] Open University Press 2011-00-00
[116] 논문 Gastric cancer: epidemiologic aspects
[117] 서적 World Cancer Report 2014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4-00-00
[118] 서적 World Cancer Report 2014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4-00-00
[119] 웹사이트 WHO Disease and injury country estimates http://www.who.int/h[...]
[120] 웹사이트 연구 프로젝트 http://epi.ncc.go.jp[...]
[121] 간행물 암 정보 서비스「암 등록·통계」 https://ganjoho.jp/ 국립암연구센터
[122] 서적 Cancer and its management https://books.google[...] Wiley-Blackwell 2010-00-00
[123] 서적 Handbook of cancer chemotherapy https://books.google[...] Wolter Kluwer 2011-00-00
[124] 서적 Human Longevity: The Major Determining Factors https://books.google[...] Author House 2010-00-00
[125] 서적 Cancer, culture, and communication https://books.google[...] Kluwer Academic 2004-00-00
[126] 서적 야사시이 종양가쿠 난코도
[127] 논문 임상지침 닭살 위염에 합병한 연소자 미분화형 위암의 2증례 https://ndlsearch.nd[...] 후쿠오카 : 다이도가쿠칸출판부 2011-09-00
[128] 웹사이트 헬리코박터·필로리균 감염과 위암 발병과의 관계:CagA 및 펩시노겐과의 조합에 의한 위험(2006/09/04) http://epi.ncc.go.jp[...]
[129] 논문 Helicobacter pylori eradication therapy to prevent gastric cancer in healthy asymptomatic infected individual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sed controlled trials. 2014-05-20
[130] 논문 'Helicobacter pylori' 제균 후의 위암 https://doi.org/10.1[...] 일본소화기내시경학회
[131] 논문 'H. pylori' 비감염 위암의 특징 https://search.jamas[...] 일본소화기내시경학회
[132] 웹사이트 유전 요인이 헬리코박터 필로리 감염의 위암 위험을 높이는 것을 해명-헬리코박터 필로리 제균에 의해 그 높아진 위험을 저감할 수 있는 가능성- https://www.ncc.go.j[...]
[133] 웹사이트 Helicobacter pylori, Homologous-Recombination Genes, and Gastric Cancer https://pubmed.ncbi.[...]
[134] 간행물 Report of a Joint WHO/FAO Expert Consultation Diet, Nutrition and the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s http://www.fao.org/d[...] 2003-00-00
[135] 웹사이트 식염·염장식품 섭취와 위암과의 관련에 대해 http://epi.ncc.go.jp[...]
[136] 웹사이트 식염·염장식품 섭취와 위암과의 관련에 대해(2004/01/18) http://epi.ncc.go.jp[...]
[137] 웹사이트 염분·염장식품과, 암·순환기 질환의 관련에 대해 http://epi.ncc.go.jp[...]
[138] 논문 Synergistic promoting effects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and high-salt diet on gastric carcinogenesis in Mongolian gerbils.
[139] 웹사이트 생체내에서의 니트로소화합물의 생성과 위암과의 관계:농림수산성 https://www.maff.go.[...]
[140] 웹사이트 위암-암에 관한 정보 https://www.jfcr.or.[...] 2019-03-11
[141] 웹사이트 たばこ・お酒と胃がんの関連について(2002/11/20) http://epi.ncc.go.jp[...] 2002-11-20
[142] 웹사이트 アルコール代謝関連遺伝子(アルコール・アルデヒド脱水素酵素)と飲酒量に基づく胃がん罹患について https://epi.ncc.go.j[...]
[143] 뉴스 胃癌のリスクを減らすサプリメントL-システインの効果は二日酔い改善だけではない https://www.tohoku.a[...] 東北大学 2015-04-02
[144] 웹사이트 総コレステロール値とがん発生リスクとの関連 https://epi.ncc.go.j[...]
[145] 웹사이트 血中のカロテノイドと胃がん罹患との関係について https://epi.ncc.go.j[...] 2008-07-17
[146] 웹사이트 緑茶飲用と胃がんとの関連について https://epi.ncc.go.j[...]
[147] 웹사이트 血中の緑茶ポリフェノールと胃がん罹患との関係について https://epi.ncc.go.j[...]
[148] 웹사이트 胃がん検診受診と胃がん死亡率との関係 https://epi.ncc.go.j[...]
[149] 웹사이트 食生活パターンと胃がんとの関連について https://epi.ncc.go.j[...]
[150] 웹사이트 野菜・果物摂取と胃がん発生率との関係について https://epi.ncc.go.j[...]
[151] 논문 癌取扱い規約の最近の変更点 https://www.chiringi[...]
[152] 서적 これなら見逃さない!胃X線読影法 虎の巻 羊土社
[153] 웹사이트 【対談】胃癌を知る――『胃癌の構造』第3版発刊によせて http://www.igaku-sho[...] 医学書院 2006-03-06
[154] 서적 胃がんは「ピロリ菌除菌」でなくせる 潮出版 2013-10-05
[155] 간행물 胃がん・乳がん検診に関する指針の改正について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健康局 がん・疾病対策課
[156] 웹사이트 ペプシノゲン(PG)検査チャート http://uwb01.bml.co.[...] 臨床検査受託BML 2023-02-13
[157] 웹사이트 胃がんの病期(ステージ)分類 https://ganjoho.jp/p[...]
[158] 서적 ドクター中川の"がんを知る" 毎日新聞社
[159] 논문 胃粘膜下腫瘍に対する新しい術式: 腹腔鏡・内視鏡合同胃局所切除 https://doi.org/10.5[...]
[160] 논문 Immunoregulatory Effect of Mesima (R) as an Immunotherapeutic Agent in Stage III Gastric Cancer Patients after Radical Gastrectomy. https://www.e-crt.or[...]
[161] 논문 Bevacizumab in Combination With Chemotherapy As First-Line Therapy in Advanced Gastric Cancer: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Phase III Study.
[162] 웹사이트 オプジーボ®点滴静注(一般名:ニボルマブ)がん化学療法後に増悪した治癒切除不能な進行・再発の胃癌に対する国内製造販売承認事項一部変更承認取得 https://www.bms.com/[...] 小野薬品工業、ブリストル・マイヤーズ スクイブ 2017-09-22
[163] 웹사이트 胃がん新ガイドライン「条件付き承認」で増える治療選択、1次治療でオプジーボ承認 https://gansupport.j[...] 2022-01
[164] 웹사이트 半世紀ぶりに大きく変わる胃がんの1次治療 https://medical.nikk[...] 2022-01-18
[165] 웹사이트 First-line nivolumab plus chemotherapy versus chemotherapy alone for advanced gastric, gastro-oesophageal junction, and oesophageal adenocarcinoma (CheckMate 649): a randomised, open-label, phase 3 trial https://pubmed.ncbi.[...] 2023-03-18
[166] 웹사이트 日本、韓国、台湾で行われた進行胃癌対象フェーズ3試験の長期観察でニボルマブと化学療法によるOS改善は良好な傾向【日本胃癌学会2023】 https://medical.nikk[...] 2023-02-24
[167] 웹사이트 Nivolumab plus chemotherapy versus placebo plus chemotherapy in patients with HER2-negative, untreated, unresectable advanced or recurrent gastric or gastro-oesophageal junction cancer (ATTRACTION-4): a randomised, multicentre,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phase 3 trial https://pubmed.ncbi.[...] 2023-03-18
[168] 웹사이트 がんの統計'03 https://web.archive.[...] 国立がん研究センターがん対策情報センター 2004-12-01
[169] 논문 噴門側胃切除術後6年目に発症した脚気ニューロパチー,衝心脚気の1 例 https://doi.org/10.1[...]
[170] 논문 胃切除後にWernicke 脳症を呈した一例 https://kwmed.repo.n[...]
[171] 논문 胃切除術後および胃全摘術後患者に対するビタミンB12の経口投与の有効性 https://doi.org/1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