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쩐까오 (후 레 왕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쩐까오는 후 레 왕조 시기 반란을 일으킨 인물이다. 그는 수당양진장의 순미감 출신으로, 레 위목제와 레 양익제의 폭정 속에서 동쪽에 천자의 기운이 있다는 말을 듣고 반란을 계획했다. 1516년, 쩐 태종의 외척을 자칭하며 아들 쩐꽁과 함께 거병하여 티엔응이라는 연호를 사용하고 세력을 확장했다. 이후 레 양익제에게 패배하여 악산으로 달아났으나, 여러 전투에서 승리하며 세력을 키웠다. 쩐까오는 탕롱을 공격하여 점령했으나, 조정의 반격으로 패배하여 량원으로 도주했다. 이후 쩐꽁에게 지도권을 넘기고 승려가 되었으며, 말년에는 사당이 있는 지역에서 생을 마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후 레 왕조의 관료 - 레꾸이돈
    레 꾸이 돈은 레 히엔 통 황제 시대에 활동한 베트남의 학자이자 관료로, 린장강 남쪽 지역의 민정을 회복하고 재통합하는 데 기여했으며, 백과사전, 역사서, 지리서 등 다양한 저술 활동을 펼쳤다.
  • 후 레 왕조의 관료 - 응우옌짜이
    응우옌짜이는 베트남 레 왕조 초기의 정치가, 시인, 군사가, 외교관, 학자로서, 람선 봉기를 주도하여 레 왕조 건국에 공헌하고 승상으로서 국가 기틀을 다졌으나 억울하게 처형당한 후 복권되어 베트남의 위대한 사상가이자 국민적 영웅으로 추앙받고 있다.
  • 베트남의 반란자 - 부이티쑤언
    부이티쑤언은 베트남 떠이선 왕조 시대의 여성 영웅으로, 전투 코끼리 훈련을 돕고 떠이선 오봉서로 활약했으나 응우옌 왕조와의 전투에서 패배하여 처형되었다.
  • 베트남의 반란자 - 타인티엔
    타인티엔은 1세기 후한 시대에 반란을 일으킨 베트남의 여성 영웅으로, 쯩 자매의 반란에 합류하여 공주로 책봉되어 합포군을 다스렸으나, 쯩 자매의 패배 후 낫득강에서 자결했다.
쩐까오 (후 레 왕조)
진고
쩐까오의 초상
쩐까오의 초상
쩐까오 (Trần Cảo, 陳暠)
묘호담주황제 (Đàm Dụ Hoàng Đế, 澹裕皇帝)
시호요천계운흠공조경예철현문정무홍유담유황제 (Diệu Thiên Khải Vận Khâm Cung Toản Khánh Duệ Triết Hiển Văn Trinh Vũ Hoằng Hựu Đàm Dụ Hoàng Đế, 耀天啓運欽恭纂慶睿哲顯文貞武弘祐澹裕皇帝)
연호천응 (Thiên Ứng, 天 ứng)
재위 기간1516년 ~ 1521년
개인 정보
출생홍치 3년 (1490년)
사망통원 3년 (1524년)
부친미상
모친미상
배우자미상
자녀쩐꿍
기타 정보
존호담유황제(澹裕皇帝)
능묘무릉(茂陵)

2. 생애

쩐까오는 후 레 왕조에서 낮은 관직을 맡고 있었으나, 레 위목제레 양익제의 폭정으로 왕조가 혼란한 틈을 타 반란을 일으킬 결심을 한다. 그는 동쪽에 천자의 기운이 있다는 말을 듣고 반란을 모의했다.

1516년, 쩐까오는 쩐 태종의 후손이자 광숙황후(光淑皇后) 응오티응옥자오(吳氏玉瑤)의 외척이라고 주장하며, 아들 쩐꽁과 함께 거병하여 여러 지역을 점거했다. 그는 '제석강생(帝釋降生)'이라 칭하고 연호를 티엔응이라 하며 세력을 확장했다.[1] 탕롱을 공격하여 함락시키기도 했으나, 레 소종의 반격으로 패배하여 량원으로 달아났다. 이후 쩐까오는 아들 쩐꽁에게 지휘권을 넘기고 승려가 되었다.

쩐까오의 이후 행적은 명확히 기록되지 않았지만, 보록(保祿), 안락(安樂), 주원(周源) 등의 마을 일대에 쩐까오의 사당이 있는 것을 보면 그곳에서 늙어서 생을 마친 것으로 추정된다.[1]

2. 1. 초기 생애

쩐까오는 원래 후 레 왕조의 수당양진장(水棠養眞莊)의 순미감(純美監)이었다. 당시 왕조는 내부적으로 혼란하였고, 레 위목제레 양익제가 폭정을 펼쳤다. 쩐까오는 동쪽에 천자의 기운이 있다는 말을 듣고 즉시 반란을 일으킬 음모를 꾸몄다.

2. 2. 쩐까오의 난 (1516년)

1516년, 쩐까오는 쩐 태종의 현손이자 광숙황후(光淑皇后) 응오티응옥자오(吳氏玉瑤)의 외척이라고 자칭하면서 아들인 쩐꽁(陳㫒)과 함께 동조현(東潮縣) 경림사(瓊林寺)에서 거병하였고, 해양(海陽), 수당(水棠), 동조(東潮) 등의 현들을 점거하였다.[1] 쩐까오는 치의(緇衣)를 입고 '제석강생(帝釋降生)'이라고 칭하였고, 연호티엔응이라고 하였다.[1] 그의 부중(部衆)은 전부 머리를 깎고 대머리가 되었다.[1]

쩐까오는 병사를 이끌고 선유(僊遊), 계양(桂陽), 가림(嘉林) 등지를 공격하였고, 병사가 보제진(菩提津)에 이르렀는데 강이 막고 있어서 건널 수 없었다.[1] 레 양익제는 친정하여 쩐까오를 크게 격파하였고, 쩐까오는 악산(鄂山)으로 달아났다.[1] 양익제는 정국공(定國公) 풍쩐(馮鎭), 연흥백(延興伯) 찐콩찌에우(鄭孔昭), 부록백(富祿伯) 찐응악(鄭萼)을 파견해 쩐까오를 토벌하게 했으나, 쩐까오는 이를 크게 패배시켰고 풍쩐과 찐콩찌에우는 전사하였으며 찐응악은 사로잡혔다.[1] 쩐까오는 찐응악에게 항복을 권유하였으나 거절당하자 즉시 그를 죽였다.[1] 양익제는 다시 안화후(安和侯) 응우옌호앙주를 보내 토벌하였으나 응우옌호앙주는 두려워하여 보제영(菩提營)에 주둔하였다.[1]

쩐까오의 세력은 매우 강대해졌고, 양익제가 피살된 틈을 타 탕롱을 공격해 격파하였다.[1] 쩐까오는 왕조의 중신인 레꽝도(黎廣度)를 집장조정(執掌朝政)에 임명하였다.[1] 철산백(鐵山伯) 쩐쩐이 자렴현(慈廉縣)에서 거병하여 근왕하러 탕롱에 오자 쩐까오는 부장(部將) 판엇(潘乙)을 보내 그를 공격하게 하였다.[1] 레 소종이 서도(西都)에서 각지의 관원들이 쩐까오를 토벌하라는 조서를 내리자 찐주이산이 천관(天關), 응천(應天)에서, 응우옌호앙주가 장안(長安), 위인(莅仁)에서 진격하였고, 정영(正營) 평부후(平富侯) 응우옌반르(阮文慮), 영흥후(永興侯) 찐뚜이도 수군과 보군을 거느리고 병진하여 탕롱을 공격하였다.[1] 매우 격렬한 전투에서 쩐까오는 패배하여 천덕강(天德江)을 건너 량원(諒源)으로 달아났다.[1]

후 레 왕조 조정은 쩐까오 부자를 잡는데 상금을 내걸었는데,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대 상상 금 내 용
쩐까오50명에게 상을 주고, 잡은 1명은 우도독(右都督), 종1품(從一品)에 봉하며 음습(蔭襲) 3대를 주고, 또한 다음으로 잡은 1명은 도지휘사동지(都指揮使同知), 종3품(從三品)에 봉하고, 잡은 10명부터는 지휘첨사(指揮僉事), 정4품(正四品)에 봉하고, 또한 잡은 30명부터는 지휘동지(指揮同知)에 봉한다.
쩐꽁20명에게 상을 주고, 머리를 얻은 1명은 도독동지(都督同知)에 봉한다.

[1]

찐주이산, 응우옌호앙주, 명무후(明武侯) 찐꽁(鄭拱), 광복백(廣福伯) 응우옌칵니으엉(阮克讓)은 쩐까오의 잔여세력을 공격하였다.[1] 쩐까오는 지령현(至靈縣)에서 찐주이산을 잡아 죽였고, 병사를 진군시켜 보제진(菩提津)에 이르렀으나 철산백(鐵山伯) 쩐쩐에게 크게 패배하였다.[1] 쩐까오는 량원으로 달아나 돌아간 뒤 다시 감히 출병하지 못했고, 쩐꽁에게 전위한 뒤 자신은 출가하여 승려가 되었다.[1]

2. 3. 말년

1516년, 쩐까오는 쩐 태종의 현손이자 광숙황후(光淑皇后) 응오티응옥자오(吳氏玉瑤)의 외척이라고 자칭하면서 아들인 쩐꽁(陳㫒)과 함께 동조현(東潮縣) 경림사(瓊林寺)에서 거병하였고, 해양(海陽), 수당(水棠), 동조(東潮) 등의 현들을 점거하였다.[1] 쩐까오는 치의(緇衣)를 입고 '제석강생(帝釋降生)'이라고 칭하였고, 연호티엔응이라고 하였다.[1] 그의 부중(部衆)은 전부 머리를 깎고 대머리가 되었다.[1]

쩐까오는 병사를 이끌고 선유(僊遊), 계양(桂陽), 가림(嘉林) 등지를 공격하였고, 병사가 보제진(菩提津)에 이르렀는데 강이 막고 있어서 건널 수 없었다.[1] 레 양익제는 친정하여 쩐까오를 크게 격파하였고, 쩐까오는 악산(鄂山)으로 달아났다.[1] 양익제는 정국공(定國公) 풍쩐(馮鎭), 연흥백(延興伯) 찐콩찌에우(鄭孔昭), 부록백(富祿伯) 찐응악(鄭萼)을 파견해 쩐까오를 토벌하게 했으나, 쩐까오는 이를 크게 패배시켰고 풍쩐과 찐콩찌에우는 전사하였으며 찐응악은 사로잡혔다.[1] 쩐까오는 찐응악에게 항복을 권유하였으나 거절당하자 즉시 그를 죽였다.[1] 양익제는 다시 안화후(安和侯) 응우옌호앙주를 보내 토벌하였으나 응우옌호앙주는 두려워하여 보제영(菩提營)에 주둔하였다.[1]

쩐까오의 세력은 매우 강대해졌고, 양익제가 피살된 틈을 타 탕롱을 공격해 격파하였다.[1] 쩐까오는 왕조의 중신인 레꽝도(黎廣度)를 집장조정(執掌朝政)에 임명하였다.[1] 철산백(鐵山伯) 쩐쩐이 자렴현(慈廉縣)에서 거병하여 근왕하러 탕롱에 오자 쩐까오는 부장(部將) 판엇(潘乙)을 보내 그를 공격하게 하였다.[1] 레 소종이 서도(西都)에서 각지의 관원들이 쩐까오를 토벌하라는 조서를 내리자 찐주이산이 천관(天關), 응천(應天)에서, 응우옌호앙주가 장안(長安), 위인(莅仁)에서 진격하였고, 정영(正營) 평부후(平富侯) 응우옌반르(阮文慮), 영흥후(永興侯) 찐뚜이도 수군과 보군을 거느리고 병진하여 탕롱을 공격하였다.[1] 매우 격렬한 전투에서 쩐까오는 패배하여 천덕강(天德江)을 건너 량원(諒源)으로 달아났다.[1]

후 레 왕조 조정은 쩐까오 부자를 잡는데 상금을 내걸었다.[1] 쩐까오를 잡는다면 50명에게 상을 주고, 잡은 1명은 우도독(右都督), 종1품(從一品)에 봉하며 음습(蔭襲) 3대를 주고, 다음으로 잡은 1명은 도지휘사동지(都指揮使同知), 종3품(從三品)에 봉하고, 잡은 10명부터는 지휘첨사(指揮僉事), 정4품(正四品)에 봉하고, 잡은 30명부터는 지휘동지(指揮同知)에 봉한다고 하였다.[1] 쩐꽁을 잡는다면 20명에게 상을 주고, 머리를 얻은 1명은 도독동지(都督同知)에 봉한다고 하였다.[1]

찐주이산, 응우옌호앙주, 명무후(明武侯) 찐꽁(鄭拱), 광복백(廣福伯) 응우옌칵니으엉(阮克讓)은 쩐까오의 잔여세력을 공격하였다.[1] 쩐까오는 지령현(至靈縣)에서 찐주이산을 잡아 죽였고, 병사를 진군시켜 보제진(菩提津)에 이르렀으나 철산백(鐵山伯) 쩐쩐에게 크게 패배하였다.[1] 쩐까오는 량원으로 달아나 돌아간 뒤 다시 감히 출병하지 못했고, 쩐꽁에게 전위한 뒤 자신은 출가하여 승려가 되었다.[1]

이후 쩐까오의 행적은 사서에 기록되지 않는데, 《대월사기전서》의 기록에 근거한 것에 지나지 않고, 보록(保祿), 안락(安樂), 주원(周源) 등의 마을 일대에 쩐까오의 사당이 있는 것을 보면 쩐까오는 여기서 결국 늙어서 생을 마쳤다고 볼 수 있다.[1]

참조

[1] 서적 Essays Into Vietnamese Pasts 1995
[2] 서적 Vietnamese Supernaturalism: Views from the Southern Region 2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