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삼능은 장기에서 차(車)와 두 개의 다른 기물을 조합한 형태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양사(兩士)를 이길 수 있는 강력한 공격 조합으로 간주된다. 차양포, 차포마, 차포상, 차양마, 차마상, 차양상, 차포졸/병, 차마졸/병, 차상졸/병 등 다양한 조합이 존재하며, 각 조합은 차의 강력함과 다른 기물들의 특징을 활용하여 양사를 공략한다. 그러나 차이졸/병은 예외적으로 양사를 상대로 비길 수 있는 조합으로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낱장기 - 대삼능 대삼능은 장기에서 세 개의 기물이 남는 상황을 의미하며, 대한민국에서는 포가 한 개 이상 포함된 경우 양사를 이길 수 있지만, 포가 없는 경우에는 불가능하다.
장기 용어 - 체크 (체스) 체크는 체스에서 자신의 기물로 상대 킹을 공격하는 수이며, 킹은 체크를 해소해야 하고, 전술의 일부로 활용된다.
장기에 관한 - 명인전 (장기) 명인전(장기)은 1990년부터 2013년까지 총 16회 대회가 열린 장기 기전으로, 황문수, 송종일, 김경중, 신대순 등이 우승한 기록을 가지고 있다.
장기에 관한 - 이체배 왕위전 이체배 왕위전은 케이지씨판매(주) 후원, 대한장기협회 주최 및 주관, 브레인TV 방송 주관으로 진행되는 바둑 대회로, 32강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며 제한 시간, 초읽기, 덤 규정을 따르고, 2024년 5월 16강전을 거쳐 이창호와 이세돌의 결승전이 예정되어 있으며, 1972년 제1회 대회에서는 김기영이 우승했다.
차양포(車兩包)는 차와 두 개의 포를 활용하여 공격하는 형태로, 양사를 효과적으로 제압할 수 있다.
양사를 이길 수 있는 차삼능
그림(초)
그림(한)
차양포(車兩包)
2. 2. 차포마(車包馬)
차(車), 포(包), 마(馬)를 조합하여 다양한 공격 경로를 확보하여 양사를 공략한다.
차포마(車包馬)
초
한
2. 3. 차포상(車包象)
차포상(車包象)은 차, 포, 상을 이용하여 상대방을 제압하며, 특히 양사를 공격하는 데 유용하다. 거의 모든 차삼능(車三能)은 양사를 이길 수 있다.
양사를 이길 수 있는 차삼능
그림(초)
그림(한)
차포상(車包象)
2. 4. 차양마(車兩馬)
차삼능에서 차와 두 마로 구성된 조합은 기동성을 극대화하여 양사를 빠르게 제압할 수 있다.
양사를 이길 수 있는 차삼능
그림(초)
그림(한)
차양마(車兩馬)
50px50px50px
50px50px50px
차이능(車二能) 중에 양차(兩車)도 반드시 양사를 이길 수 있으므로, 양차를 포함한 차삼능은 표기하지 않는다.
2. 5. 차마상(車馬象)
차, 마, 상을 조합하여 상대방의 수비를 분산시키고 양사를 공격한다. 거의 모든 차삼능은 양사를 이길 수 있다. 차이능(車二能) 중에 양차(兩車)도 반드시 양사를 이길 수 있으므로, 양차를 포함한 차삼능은 표기하지 않는다.
양사를 이길 수 있는 차삼능
차삼능
그림(초)
그림(한)
차마상(車馬象)
2. 6. 차양상(車兩象)
차와 두 상을 이용하여 상대방의 진영을 압박하고, 방어선을 뚫어 양사를 제압한다.
양사를 이길 수 있는 차삼능
초(楚)
한(漢)
2. 7. 차포졸(車包卒)/차포병(車包兵)
차, 포, 졸(병)을 조합하여 상대방에게 지속적인 압박을 가하고 양사를 공격한다. 거의 모든 차삼능은 양사를 이길 수 있다. 차이능(車二能) 중에 양차(兩車)도 반드시 양사를 이길 수 있으므로, 양차를 포함한 차삼능은 표기하지 않는다.
양사를 이길 수 있는 차삼능
그림(초)
그림(한)
차포졸(車包卒) 차포병(車包兵)
2. 8. 차마졸(車馬卒)/차마병(車馬兵)
거의 모든 차삼능(車三能)은 양사를 이길 수 있다. 차이능(車二能) 중에 양차(兩車)도 반드시 양사를 이길 수 있으므로, 양차를 포함한 차삼능은 표기하지 않기로 한다.
양사를 이길 수 있는 차삼능
양사를 이길 수 있는 차삼능
그림(초)
그림(한)
차양포(車兩包)
차포마(車包馬)
차포상(車包象)
차양마(車兩馬)
차마상(車馬象)
차양상(車兩象)
차포졸(車包卒)/차포병(車包兵)
차마졸(車馬卒)/차마병(車馬兵)
차상졸(車象卒)/차상병(車象兵)
2. 9. 차상졸(車象卒)/차상병(車象兵)
차, 상, 졸(병)을 조합하여 상대방의 수비를 무력화하고 양사를 공격할 수 있다. 거의 모든 차삼능(車三能)은 양사를 이길 수 있다. 차이능(車二能) 중에 양차(兩車)도 반드시 양사를 이길 수 있으므로, 양차를 포함한 차삼능은 표기하지 않는다.
양사를 이길 수 있는 차삼능
차상졸(車象卒)
3. 양사를 이길 수 없는 차삼능
차삼능 중 유일하게 차이졸(車二卒) 또는 차이병(車二兵)은 상대편이 양사를 갖추고 정수로 방어하면 이길 수 없다. 단, 이졸 또는 이병이 모두 궁성에 붙으면 100% 이길 수 있다.
양사를 이길 수 없는 차삼능 !! 그림(초) !! 그림(한)
차이졸(車二卒) 차이병(車二兵)
과거에는 차이졸 또는 차이병도 다른 차삼능과 마찬가지로 양사를 이길 수 있다고 인식되었다. 그러나 현대에는 정상급 고수들이 많은 연구를 거친 결과 비기는 기물로 정립되었다.
3. 1. 차이졸(車二卒)/차이병(車二兵)
과거에는 차이졸(車二卒) 또는 차이병(車二兵)도 다른 차삼능과 마찬가지로 양사를 이길 수 있다고 인식되었다. 그러나 현대에는 정상급 고수들의 연구 결과 비기는 기물로 정립되었다. 단, 이졸 또는 이병이 모두 궁성에 붙으면 100% 이길 수 있다.
양사를 이길 수 없는 차삼능
그림(초)
그림(한)
차이졸(車二卒) 차이병(車二兵)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