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르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차이르는 북마케도니아 스코페의 자치구로, 바르다르강 북쪽 강둑에 위치해 있다. 터키어 단어 "çayır"에서 유래된 이름은 "초원" 또는 "목초지"를 의미하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민족이 거주해왔다. 2001년 마케도니아 공화국 반란 이후 행정 구역 개편으로 알바니아인 다수가 거주하는 차이르 자치구와 마케도니아인 다수가 거주하는 부텔 자치구로 분리되었다. 202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알바니아인이 다수를 차지하며, KF 슈쿠피 축구팀의 홈구장인 차이르 스타디움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차이르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 | |
위치 | 스코페 |
시장 | 비사르 가니우 (DUI) |
면적 | 3.52 km² |
인구 | 62,586명 |
인구 밀도 | 17,780명/km² |
언어 | 마케도니아어 (주요) 알바니아어 (주요) |
좌표 | 42°0′7″N 21°26′17″E |
시간대 | CET (UTC+1)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행정 구역 | |
통계 지역 | [[File:Logo of Skopje Region.svg|15px]] 스코페 |
자치체 | [[File:Coat of arms of Čair Municipality.svg|15px]] 차이르 |
2. 지리
차이르는 현대 시가지 중심부 맞은편, 바르다르강의 북쪽(왼쪽) 강둑을 따라 위치해 있다. 남서쪽으로는 첸타르 시, 서쪽으로는 카르포시 시, 북쪽으로는 부텔 시, 동쪽으로는 가지 바바 시와 접한다.
2. 1. 인접 지역
차이르는 현대 시가지 중심부 맞은편, 바르다르강의 북쪽(왼쪽) 강둑을 따라 위치해 있다. 남서쪽으로는 첸타르 시, 서쪽으로는 카르포시 시, 북쪽으로는 부텔 시, 동쪽으로는 가지 바바 시와 접한다.3. 역사
"차이르(Čair)"라는 이름은 터키어 단어인 ''çayır''에서 유래되었으며, "초원" 또는 "목초지"를 뜻한다. 이 지역은 오늘날에도 터키 소수 민족이 거주하고 있으며, 현대 터키어로는 ''Çayır Belediyesi''라고 불린다.[4]
스코페의 구시가지, 즉 스타라 차르시야(Stara Čaršija)는 적어도 12세기부터 이 도시의 주요 중심지였다.[3][4] 5세기에 걸친 오스만 제국의 지배로 인해 오스만 양식의 건물, 좁은 자갈길, 많은 모스크가 남아있다.[4] 구 바자르 옆에는 스코페에서 가장 큰 시장인 비트 파자르(Bit Pazar)가 있으며, 다민족, 다언어 환경을 유지하고 있다.[5]
차이르는 역사적으로 다민족 지역이었다.[15] 2001년 마케도니아 공화국 반란 이후 일부 마케도니아인들은 북쪽의 부텔이나 남부 마케도니아 지역과 같이 기반 시설이 잘 갖춰진 다른 스코페 도시 지역으로 이주했다.[15] 2004년 이전에는 부텔 자치구를 포함하여 더 넓었으며, 마케도니아인, 알바니아인, 터키인, 보스니아인, 로마인, 세르비아인이 거주했다.[6] 2004년 행정 개혁으로 알바니아인 다수가 거주하는 차이르 자치구와 마케도니아인 다수가 거주하는 부텔 자치구로 분리되었다.[6] 이 과정에서 차이르 자치구 예산의 대부분을 제공하던 산업 지대가 부텔 자치구로 넘어가게 되었다.[16]
2005년 3월, 통합을 위한 민주 연합(DUI)의 이제트 메흐지티가 차이르 자치구 시장이 되었다.[7] DUI와 마케도니아 사회민주 연합(SDSM) 간의 연립이 자치 의회에서 결성되었으며, 다른 소규모 알바니아 및 마케도니아 정당도 참여했다.[8] 2006년 자치 의회는 스칸데르베그, 구 바자르, 오스만 시계탑(Saat kula)을 묘사한 새로운 깃발과 문장을 채택했지만 마케도니아 의원들의 지지를 받지 못했다.[8]
스칸데르베그 광장은 차이르에 위치해 있다. 2000년대 후반, 중세 알바니아 전사 스칸데르베그의 동상이 구 바자르 입구 앞의 열린 공간에 설치되었다.[9] 2010년대에는 차이르 자치구와 알바니아계 주민들이 이 지역에 대한 투자를 제외한 정부의 “스코페 2014” 개조 계획에 대한 경쟁 프로젝트로 이 공간을 두 번째 도시 광장으로 개조했다.[10][11][12] 알바니아 및 마케도니아 엘리트 간의 정치 협상으로 마케도니아 정부가 스칸데르베그 광장 개조의 대부분을 지원하게 되었다.[13]
2019년 11월 26일, 지진이 알바니아를 강타하자 차이르 자치구는 지진 피해자들과의 연대를 위해 3일간의 애도 기간을 가졌다.[14]
3. 1. 오스만 제국 시대
"차이르(Čair)"라는 이름은 터키어 단어인 ''çayır''에서 유래되었으며, "초원" 또는 "목초지"를 뜻한다. 이곳은 오늘날에도 터키 소수 민족이 거주하고 있으며 현대 터키어로는 ''Çayır Belediyesi''라고 불린다.[4][3]스코페의 구시가지(스타라 차르시야)는 적어도 12세기부터 이 도시의 주요 중심지였다. 5세기에 걸친 오스만 제국의 지배로 인해 구시가지는 오스만 양식의 건물, 좁은 자갈길, 많은 모스크로 가득 차 있으며, 터키의 영향이 지배적이다.[4] 구 바자르 옆에는 스코페에서 가장 큰 시장인 비트 파자르(Bit Pazar)가 있는데, 이곳은 시골 사람들이 농산물을 팔고 현지인들이 사업을 하는 다민족, 다언어 환경을 유지하고 있다.[5]
차이르는 역사적으로 다민족 지역이었다. 스칸데르베그 광장은 차이르에 위치해 있다. 2000년대 후반, 중세 알바니아 전사를 기념하는 스칸데르베그의 동상이 차이르 자치구에 의해 구 바자르 입구 앞의 열린 공간에 설치되었다.[9]
3. 2. 2001년 마케도니아 분쟁 이후
"차이르(Čair)"라는 이름은 터키어 단어인 ''çayır''에서 유래되었으며, "초원" 또는 "목초지"를 뜻한다. 이곳은 오늘날에도 터키 소수 민족이 거주하고 있으며, 현대 터키어로는 ''Çayır Belediyesi''라고 불린다.[4]스코페의 스타라 차르시야는 적어도 12세기부터 이 도시의 주요 중심지였다.[4][3] 5세기에 걸친 오스만 제국의 지배로 인해 구시가지는 오스만 양식의 건물, 좁은 자갈길, 많은 모스크로 여전히 가득 차 있다.[4] 구 바자르 옆에는 스코페에서 가장 큰 시장인 비트 파자르(Bit Pazar)가 있으며, 이곳은 시골 사람들이 농산물을 팔고 현지인들이 사업을 하는 다민족, 다언어 환경을 유지하고 있다.[5]
차이르는 역사적으로 다민족 지역이었다.[15] 2001년 마케도니아 공화국 반란 이후 차이르의 일부 마케도니아인들은 북쪽의 인근 부텔이나 공공 기반 시설이 잘 갖춰진 남부 마케도니아 지역과 같은 다른 스코페 도시 지역으로 이주했다.[15] 2004년 이전의 차이르 자치구는 더 넓었고, 다수의 마케도니아인(48.60%), 알바니아인(38.89%), 터키인(4.12%), 보스니아인(3.40%), 로마인(1.46%) 및 세르비아인(2.11%)이 거주하는 부텔 자치구를 포함했다.[6] 2004년의 새로운 영토 행정 개혁으로 자치구는 알바니아인 다수(57.01%)가 거주하는 더 작은 차이르 자치구와 마케도니아인 다수가 거주하는 별도의 부텔 자치구로 나뉘었다.[6] 차이르 자치구의 새로운 경계는 이전에는 차이르 자치구 예산의 대부분을 제공했던 산업 지대가 부텔 자치구로 넘어가는 결과를 초래했다.[16]
2005년 3월 마케도니아 선거에서 알바니아 정당 통합을 위한 민주 연합(DUI)의 일원인 이제트 메흐지티가 차이르 자치구 시장이 되었다.[7] DUI와 마케도니아 마케도니아 사회민주 연합(SDSM) 간의 연립이 자치 의회에서 결성되었으며, 다른 소규모 알바니아 및 마케도니아 정당도 참여했다.[8] 2006년 자치 의회는 스칸데르베그, 구 바자르 및 오스만 시계탑(Saat kula)을 묘사한 새로운 깃발과 문장을 채택했지만 마케도니아 의원들의 지지를 받지 못했다.[8]
스칸데르베그 광장은 차이르에 위치해 있다. 2000년대 후반, 중세 알바니아 전사를 기념하는 스칸데르베그의 동상이 차이르 자치구에 의해 구 바자르 입구 앞의 열린 공간에 설치되었다.[9] 2010년대에는 차이르 자치구와 마케도니아 수도에 거주하는 알바니아계 주민들이 이 지역에 대한 투자를 제외한 정부의 “스코페 2014” 개조 계획에 대한 경쟁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이 공간을 두 번째 도시 광장으로 개조했다.[10][11][12] 알바니아 및 마케도니아 엘리트 간의 정치 협상으로 마케도니아 정부가 스칸데르베그 광장 개조의 대부분을 지원하게 되었다.[13]
2019년 11월 26일, 지진이 알바니아를 강타했고, 차이르 자치구는 지진 피해자들과의 연대를 위해 3일간의 애도 기간을 가졌다.[14]
3. 3. 스칸데르베그 광장
"차이르(Čair)"라는 이름은 터키어 단어인 ''çayır''에서 유래되었으며, "초원" 또는 "목초지"를 의미한다. 이 지역은 오늘날에도 터키 소수 민족이 거주하고 있으며, 현대 터키어로는 ''Çayır Belediyesi''라고 불린다.[4]스코페의 구시가지, 즉 스타라 차르시야(Stara Čaršija)는 적어도 12세기부터 이 도시의 주요 중심지였다.[3][4] 5세기에 걸친 오스만 제국의 지배로 인해 오스만 양식의 건물, 좁은 자갈길, 많은 모스크가 남아있다.[4] 구 바자르 옆에는 스코페에서 가장 큰 시장인 비트 파자르(Bit Pazar)가 있으며, 다민족, 다언어 환경을 유지하고 있다.[5]
차이르는 역사적으로 다민족 지역이었다.[15] 2001년 마케도니아 공화국 반란 이후 일부 마케도니아인들은 북쪽의 부텔이나 남부 마케도니아 지역과 같이 기반 시설이 잘 갖춰진 다른 스코페 도시 지역으로 이주했다.[15] 2004년 이전에는 부텔 자치구를 포함하여 더 넓었으며, 마케도니아인, 알바니아인, 터키인, 보스니아인, 로마인, 세르비아인이 거주했다.[6] 2004년 행정 개혁으로 알바니아인 다수가 거주하는 차이르 자치구와 마케도니아인 다수가 거주하는 부텔 자치구로 분리되었다.[6] 이 과정에서 차이르 자치구 예산의 대부분을 제공하던 산업 지대가 부텔 자치구로 넘어가게 되었다.[16]
2005년 3월, 통합을 위한 민주 연합(DUI)의 이제트 메흐지티가 차이르 자치구 시장이 되었다.[7] DUI와 마케도니아 사회민주 연합(SDSM) 간의 연립이 자치 의회에서 결성되었으며, 다른 소규모 알바니아 및 마케도니아 정당도 참여했다.[8] 2006년 자치 의회는 스칸데르베그, 구 바자르, 오스만 시계탑(Saat kula)을 묘사한 새로운 깃발과 문장을 채택했다.[8]
스칸데르베그 광장은 차이르에 위치해 있다. 2000년대 후반, 중세 알바니아 전사 스칸데르베그의 동상이 구 바자르 입구 앞의 열린 공간에 설치되었다.[9] 2010년대에는 차이르 자치구와 알바니아계 주민들이 이 지역에 대한 투자를 제외한 정부의 “스코페 2014” 개조 계획에 대한 경쟁 프로젝트로 이 공간을 두 번째 도시 광장으로 개조했다.[10][11][12] 알바니아 및 마케도니아 엘리트 간의 정치 협상으로 마케도니아 정부가 스칸데르베그 광장 개조의 대부분을 지원하게 되었다.[13]
2019년 11월 26일, 지진이 알바니아를 강타하자 차이르 자치구는 지진 피해자들과의 연대를 위해 3일간의 애도 기간을 가졌다.[14]
4. 인구 통계
2021년 북마케도니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차이르 시에는 62,586명의 주민이 있다.[16][17][18] 시의 민족 집단은 다음과 같다.
2002년 | 2021년 | |||
---|---|---|---|---|
수 | % | 수 | % | |
총계 | 64,773 | 100 | 62,586 | 100 |
알바니아인 | 36,921 | 57 | 42,180 | 67.4 |
마케도니아인 | 15,628 | 24.13 | 5,357 | 8.56 |
튀르크인 | 4,500 | 6.95 | 4,182 | 6.68 |
보스니아인 | 2,950 | 4.55 | 2,531 | 4.04 |
로마인 | 3,083 | 4.76 | 1,337 | 2.14 |
세르비아인 | 621 | 0.96 | 202 | 0.32 |
발라흐인 | 78 | 0.12 | 37 | 0.06 |
기타 / 미신고 / 알 수 없음 | 992 | 1.53 | 534 | 0.85 |
행정 자료에서 데이터를 가져온 사람 | align="center"| | align="center"| | 6,226 | 9.95 |
4. 1. 2021년 인구 조사
2021년 북마케도니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차이르 시에는 62,586명의 주민이 있다.[16][17][18] 시의 민족 집단은 다음과 같다.
2002년 | 2021년 | |||
---|---|---|---|---|
수 | % | 수 | % | |
총계 | 64,773 | 100 | 62,586 | 100 |
알바니아인 | 36,921 | 57 | 42,180 | 67.4 |
마케도니아인 | 15,628 | 24.13 | 5,357 | 8.56 |
튀르크인 | 4,500 | 6.95 | 4,182 | 6.68 |
보스니아인 | 2,950 | 4.55 | 2,531 | 4.04 |
로마인 | 3,083 | 4.76 | 1,337 | 2.14 |
세르비아인 | 621 | 0.96 | 202 | 0.32 |
발라흐인 | 78 | 0.12 | 37 | 0.06 |
기타 / 미신고 / 알 수 없음 | 992 | 1.53 | 534 | 0.85 |
행정 자료에서 데이터를 가져온 사람 | align="center"| | align="center"| | 6,226 | 9.95 |
5. 스포츠
KF 슈쿠피는 차이르 스타디움을 홈구장으로 사용하며 마케도니아 축구 최상위 리그에서 활동하고 있다.
참조
[1]
간행물
[2]
서적
Ethno-Baroque: Materiality, Aesthetics and Conflict in Modern-Day Macedonia
https://books.google[...]
Berghahn Books
[3]
간행물
[4]
서적
Post-conflict performance, film and visual arts: Cities of memory
Palgrave Macmillan
[5]
간행물
[6]
간행물
[7]
간행물
[8]
간행물
[9]
논문
The Political Uses and Social Lives of "National Heroes": Controversies over Skanderbeg's Statue in Skopje
https://halshs.archi[...]
[10]
웹사이트
Skopje's Albanians Plan 'Alternative' City Square
http://www.balkanins[...]
Balkan Insight
2018-03-02
[11]
서적
Mirroring Europe: ideas of Europe and europeanization in Balkan societies
Brill
[12]
서적
Decentralisation and the Management of Ethnic Conflict: Lessons from the Republic of Macedon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13]
서적
Identity, Justice and Resistance in the Neoliberal City
Palgrave Macmillan
[14]
뉴스
Komunat shqiptare në Maqedoni anulojnë kremtimet për festat e nëntorit
https://www.gazetaex[...]
2019-11-29
[15]
간행물
[16]
간행물
[17]
문서
2002 census results
http://www.stat.gov.[...]
[18]
웹사이트
Попис на населението, домаќинствата и становите во Република Северна Македонија, 2021 - прв сет на податоци
https://www.stat.gov[...]
2022-07-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