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천민은 한국의 카스트식 계층 제도에서 세습되었으며, 정육, 무당, 제화공 등 상류층이 기피하는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을 지칭했다. 이들은 사회적으로 고립되어 차별받았으며, 관직 진출과 과거 시험 응시가 제한되었다. 그러나 왕조 사회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했으며, 일부 예외적인 사례로 신분을 극복한 인물들이 존재했다. 현대 사회에서는 이러한 차별의 잔재가 남아있으며 극복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양천제 - 오색천민
오색천민은 율령제 사회에서 양민과 구별되는 신분으로, 릉호, 관호, 가인, 공노비/관노비, 사노비 등으로 구성되어 법적 제약과 사회적 차별을 받았으며, 율령제 붕괴와 함께 변화를 겪으며 사회적 불평등과 차별의 역사를 반영한다. - 아시아의 사회 계급 - 출신성분
출신성분은 김일성 시대에 확립된 북한의 계층 분류 제도로, 주민을 핵심, 동요, 적대 계층으로 나누어 사회적 지위와 운명을 결정하며, 시장 경제 확산으로 영향력이 약화되었으나 여전히 불평등과 체제 불안의 요인으로 작용한다. - 고려의 사회 - 무신정권
무신정권은 1170년 정중부의 난부터 1270년 임유무 피살까지 약 100년간 고려에서 무신들이 권력을 잡았던 시대로, 문벌 귀족 사회의 폐단과 무신 차별에 불만을 품은 무신들이 정변을 일으켜 수립되었으며, 이의방, 정중부, 최충헌 등의 권력자를 거쳐 최씨 무신정권 시대를 대표적으로 거쳤으나 몽골 침입과 내부 권력 투쟁으로 붕괴되어 고려가 원나라의 간섭을 받게 되었다. - 고려의 사회 - 시무 11조
《시무 11조》는 검소한 생활 장려, 사치 풍조 근절, 농업 장려 및 상업 통제, 화폐 및 군사 제도 개혁, 백성을 위한 정책 등 국가 안정과 백성들의 삶을 개선하기 위한 11가지 정책 제안이다.
천민 | |
---|---|
구별 | |
구별 | 불가촉천민 |
기본 정보 | |
한글 | 천민 |
한자 | 賤民 |
로마자 표기 | cheonmin |
매큔-라이샤워 표기 | ch'ŏnmin |
한국어 발음 | tɕʰʌnmin |
시대 | 옛날 |
2. 사회 계층 제도
조선시대 신분제에서 이 계층은 대체로 세습적이었으며, 상류층에 의해 "불결한" 것으로 간주되는 특정 직업에 기반을 두었다. 이러한 불결한 직업에는 도축업자, 무당, 구두장이, 금속 세공사, 매춘부, 마술사, 점쟁이, 간수, 그리고 기생과 같은 공연자들이 포함되었다. 노비(노예)는 천민 계층에서 징발되어 양반(귀족)과 왕실을 섬겼지만, 노예와 마찬가지로 주인의 소유물로 간주되어 다른 고위층에게 주어질 수 있었다.
2. 1. 천민의 사회적 역할과 한계
천민은 한국 왕조 사회에서 필수적인 기능과 역할을 수행했다. 정육, 제화공 등 이들이 하는 일은 다른 계층이 할 수 없는 서비스를 제공했다.[1] 그러나 이들은 상류층이 "부정한" 것으로 간주하는 특정 직업에 종사해야 했다. 여기에는 정육, 무당, 제화공, 금속 세공인, 매춘부, 마술사, 간수, 기생과 같은 공연자 등이 포함되었다.[1] 노비는 양반과 왕족을 섬기는 하인이었지만, 이들 역시 주인의 재산으로 여겨져 다른 고위층에게 넘겨질 수 있었다.[1]기생은 교육을 받았지만 사회에서 존경받지 못하는 계층이었다.[1] 천민은 관직에 들어가거나 관직 시험을 치르는 등 대부분의 사회 진출이 금지되었다.[1]
천민은 백정처럼 사회로부터 고립되고, 사회에서 멀리 떨어진 게토에서 소외된 채 차별받는 삶을 살았다.[1] 이러한 신분제의 세습적 특성은 한국 역사 초기에 제도화된 차별과 편견을 낳았다.[1]
3. 유산
한국 왕조의 계급과 신분 제도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으며 현대에 들어와서 대부분 사라졌지만, 자신의 직업이나 선조의 이전 직업에 근거한 그러한 사회적 차별의 잔재가 오늘날에도 한국의 전통적 사고와 가치를 계속 형성하고 있다. 현대 한국 사회는 이러한 차별의 잔재를 극복하고 평등한 사회를 건설해야 할 과제를 안고 있다.
4. 예외
조선왕조 역사에서 천민 출신으로 신분을 극복한 사례는 드물다. 숙빈 최씨는 왕비 바로 아래 계급인 빈의 최고 품계에 올랐고, 장금은 중종 때 어의녀로 궁중에서 세 번째로 높은 직책에 임명되었다.[1][2][3]
4. 1. 숙빈 최씨
숙빈 최씨는 조선에서 왕비 바로 아래 계급인 빈의 최고 품계에 올랐다. 영조의 어머니인 최씨는 본래 무수리, 즉 노비 출신이었다. 어머니의 미천한 출신 때문에 영조는 이복형의 재위 시절 왕세제로 책봉되었을 때 여러 차례 목숨을 위협받았다. 인원왕후에게 입양되어 그녀의 보호를 받았지만, 많은 귀족들은 미천한 출신의 왕자가 나라를 다스리는 것을 반대했다.4. 2. 장금
장금(16세기 초)은 본래 천민 출신의 의녀였으나, 한국 역사상 최초의 여성 어의가 되었다. 조선왕조실록에 따르면 중종은 장금의 의술을 인정하여 모든 왕족의 의료를 맡겼다. 중종은 장금을 궁중에서 세 번째로 높은 직책에 임명하고, 이름 앞에 ‘대(大)’ 자를 붙여 사용할 것을 허락했다.[1][2][3]참조
[1]
웹사이트
Daejanggeum (Jewel in the Palace)
https://web.archive.[...]
Korea Tourism Organization
2012-02-21
[2]
뉴스
Daejanggeum spurs continuing interest in royal court cuisine
http://www.hancinema[...]
2009-01-08
[3]
논문
Annals of Joseon History Brought To Life by the Digital Era
https://web.archive.[...]
2012-02-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