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초크 팜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초크 팜역은 1907년 6월 22일 개통한 런던 지하철의 역이다. 채링크로스, 유스턴 & 햄스테드 철도의 일부로 시작하여, 에지웨어, 케닝턴까지 노선이 연장되었다. 1924년 캠던 타운역까지 시티 앤 사우스 런던 철도가 연장되면서 두 노선이 연결되었고, 이후 클래펌 커먼역, 모던역까지 운행하게 되었다. 역은 초크 팜 로드와 애들레이드 로드가 만나는 교차로에 위치하며, 좁은 쐐기 모양의 건물로 레슬리 그린이 설계했다. 런던 지하철에서 가장 짧은 엘리베이터를 가지고 있으며, 2011년 등재건축물 2급으로 지정되었다. 런던 버스 노선으로 환승이 가능하며, 밴드 매드니스의 앨범 커버 촬영 장소로도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캠던구의 지하철역 - 벨사이즈 파크역
    벨사이즈 파크 역은 1907년에 개통되어 찰링 크로스-골더스 그린 구간에 속하며, 붉은색 차양 외관을 특징으로 하고, 런던 심층 방공호가 설치된 지하철역 중 하나로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대피소로 사용되었으며, 소설 및 뮤직 비디오에 등장한다.
  • 노던선 - 벨사이즈 파크역
    벨사이즈 파크 역은 1907년에 개통되어 찰링 크로스-골더스 그린 구간에 속하며, 붉은색 차양 외관을 특징으로 하고, 런던 심층 방공호가 설치된 지하철역 중 하나로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대피소로 사용되었으며, 소설 및 뮤직 비디오에 등장한다.
  • 노던선 - 골더스 그린역
    골더스 그린역은 1907년 개통된 런던 지하철 노던 선의 역으로, 런던 북부 골더스 그린에 위치하며 2개의 승강장과 4개의 선로를 갖추고, 버스 및 코치 노선과 환승이 가능하며 교통 약자를 위한 시설이 개선되었다.
  • 1907년 개업한 철도역 - 이마미야에비스역
    이마미야에비스역은 오사카 니시나리구에 위치한 난카이 고야 선의 역으로, 1907년 에비스역으로 개업하여 1915년 현재 역명으로 변경되었으며, 섬식 승강장과 고가역 구조를 갖추고, 2013년 무인역이 되었고, 2023년 시설 개선 공사가 이루어졌으며, 이마미야에비스 신사 인근에 위치한다.
  • 1907년 개업한 철도역 - 메무로역
    메무로역은 1907년에 개업한 홋카이도 네무로 본선의 역으로, 2면 3선의 지상역이며, 특급 열차가 일부 정차하고, 메무로 정청 등 주변 시설이 있으며, 홋카이도 여객철도가 업무를 위탁받아 운영한다.
초크 팜역
역 정보
2021년 3월의 초크 팜 지하철역
2021년 3월의 애들레이드 로드에 있는 역 건물
관리런던 지하철
위치초크 팜
자치구캠든 구
승강장 수2
요금 구역2
개요
원래 이름채링 크로스, 유스턴 앤드 햄프스테드 철도
개업1907년 6월 22일
역사적 지정2등급 건물
지정 시작일2011년 7월 20일
지정 참조1401028
노선 정보
노선노던 선
구조지하역
역 코드ZCF
이용객 수 (백만 명)
2010년5.25
2011년4.94
2012년5.34
2013년5.55

2. 역사

초크 팜 역은 1907년 6월 22일 차링크로스 유스턴 햄프스테드 철도(CCE&HR)의 일부로 개통되었다. 초기에는 차링 크로스 역과 골더스 그린 역 사이를 운행했으며, 1923~24년에 에지웨어 역까지, 1926년에 케닝턴 역까지 노선이 연장되었다. 처음에는 모든 열차가 차링크로스 지선을 경유했다. 1908년에는 종합 안내판 계획에 따라 '지하철' (UndergrounD)이라는 표기가 추가되었다.[1]

1924년 시티 사우스 런던 철도(C&SLR)가 캠던 타운 역까지 연장되면서 두 노선이 연결되었고, 뱅크 지선을 통해 클래펌 커먼 역을 거쳐 1926년에는 모든 역까지 운행하게 되었다.[1]

2. 1. 초기 역사 (1907년 ~ 1926년)

초크 팜 역은 1907년 6월 22일 차링크로스 유스턴 햄프스테드 철도의 일부로 문을 열었다. 원래는 차링 크로스 역과 골더스 그린 역 사이를 운행하였으나 이후 1923~24년에 에지웨어 역까지, 1926년에 케닝턴 역까지 연장되었다. 당시 모든 열차가 차링크로스 지선을 통과했다. 1908년에는 종합 안내판 계획의 일환으로 '지하철' (UndergrounD)이라는 표기가 추가되었다.

1924년 캠던 타운까지 시티 사우스 런던 철도가 연장되면서 두 노선이 서로 만나게 되었고, 뱅크 지선을 따라 남쪽으로 클래펌 커먼 역까지, 1926년에는 모든 역까지 운행하게 되었다.

2. 2. 노선 연결 및 확장 (1924년 ~ 현재)

1924년 캠던 타운까지 시티 앤 사우스 런던 철도가 연장되면서 두 노선이 서로 만나게 되었다. 이로 인해 뱅크 지선을 따라 남쪽으로 클래펌 커먼까지 운행할 수 있게 되었고, 1926년에는 모던까지 운행 구간이 확대되었다.[1]

3. 역 구조

초크 팜 역은 초크 팜 로드, 헤이버스토크 힐(캠던 하이 가의 북쪽 연장구간), 애들레이드 로드가 만나는 교차로에 위치해 있으며, 이들의 중심에는 둥그런 로터리가 있어 초크팜의 중심지를 이룬다.

레슬리 그린이 설계한 초크 팜 역의 엘리베이터는 런던 지하철에서 가장 짧은 것으로, 깊이는 약 6.40m이다. 2005년에 튜브 라인즈에 의해 역사가 수리되었으며, 2011년에 제2급 등재건축물으로 지정되었다.[4]

3. 1. 건축

레즐리 그린이 설계한 초크 팜 역은 좁은 쐐기형 건물이 특징이다. 1906년~1907년 당시 레즐리 그린이 설계한 런던 지하철 전기 철도 회사 소속의 세 지하철 노선 중에서도 가장 기다란 외관을 지니고 있다. 또 런던 지하철역 중에서는 가장 짧은 엘리베이터 통로 (약 6.40m)를 지니고 있다.[5] 2005년에는 튜브 라인스의 주도로 역 개선공사가 이루어졌다. 역 건물은 현재 등재건축물 2급으로 지정되어 있다.[2]

4. 환승

런던 버스 노선 31번, 168번, 393번과 야간 노선인 N5번, N28번, N31번이 초크 팜역을 경유한다.

5. 대중문화 속 초크 팜 역

런던의 스카/팝 밴드 매드니스는 영국 2위 히트 앨범인 ''Absolutely''와 영국 3위 싱글 Baggy Trousers의 커버 사진을 위해 초크 팜역 밖에서 포즈를 취했다.

6. 갤러리

참조

[1] 간행물 Chalk Farm Underground Station National Heritage List for England 2015-04-03
[2] 간행물 Chalk Farm Underground Station NHLE 2024-04-21
[3] 간행물 Chalk Farm Underground Station English Heritage List entry 2015-04-03
[4] 웹사이트 16 London Underground Stations Listed At Grade II http://www.english-h[...] English Heritage 2011-07-28
[5] 웹인용 16 London Underground Stations Listed At Grade II http://www.english-h[...] English Heritage 2011-07-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