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축 (바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축은 바둑에서 한 방향으로 끊임없이 단수를 쳐서 상대방의 돌을 잡는 형태를 의미한다. 축은 시초(始初)의 위치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며, 시초를 방해하는 돌인 시초아타리가 존재할 경우 축이 성립되지 않을 수 있다. 축머리는 축으로 몰린 돌의 앞길을 의미하며, 이를 활용하여 유리한 국면을 만들 수 있다. 축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시보리나 마구리를 활용하여 돌을 잡는 경우도 있다. 축과 관련된 사건으로는 2000년 본인방전에서 왕밍완이 시초를 간과하여 패배한 사례가 있으며, 진롱은 축을 활용한 사활 문제의 일종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둑 용어 - 컴퓨터 바둑
    컴퓨터 바둑은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바둑을 두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을 의미하며, 딥러닝 기술 발전으로 프로 기사를 이기고 바둑계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 바둑 용어 - 신포석
    신포석은 기타니 미노루와 우칭위안이 1933년 창안하여 중앙을 중시하는 파격적인 바둑 포석 방법으로, 바둑계에 큰 영향을 주어 현대 바둑 포석 발전에 기여했다.
  • 바둑에 관한 - 이세돌
    대한민국의 프로 바둑 기사 이세돌은 12세에 입단하여 2000년대 세계 바둑계를 이끌었고, 알파고와의 대국으로 주목받았으며, 공격적인 기풍으로 '비금도 소년', '쎈돌' 등으로 불렸고, 은퇴 후에는 텍사스 홀덤 플레이어 및 보드게임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 바둑에 관한 - 충암고등학교
    충암고등학교는 1965년 설립된 학교법인 충암학원이 운영하는 서울 서대문구에 위치한 사립 고등학교이며, 1969년 개교하여 인문계열 교육과 국내 최대 규모의 바둑 도장 운영을 병행하고, 윤석열 대통령, 배우 김명민, 프로 바둑 기사 이창호 등 다양한 분야의 동문을 배출했다.
축 (바둑)
바둑 용어
종류바둑 기술
언어별 명칭한국어: 축
일본어: シチョウ (시초)
중국어: 征子 (정쯔)
로마자 표기Chuk
정의
설명상대 돌을 잡기 위해 계속해서 쫓는 형태의 수. 잡히지 않기 위해 탈출하는 형태를 띠기도 함.
상세 설명'축머리'라는 돌이 있어서 축이 안 되는 경우가 있다.
축은 바둑에서 기본적인 수읽기 기술 중 하나이다.
AI 바둑 프로그램에서 축은 쉽게 풀 수 있는 문제로 간주된다.

2. 축의 기본 원리

축은 상대방의 돌을 단수로 계속 몰아가서 결국 잡는 바둑의 기본적인 기술 중 하나이다. 돌이 도망가는 경로에 축을 모는 쪽의 돌과 같은 색의 돌, 즉 잡으려는 돌을 도와주는 돌이 미리 놓여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축머리(시초아타리)라고 한다. 축머리의 존재 유무는 축의 성립 여부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축머리가 있으면 축으로 잡으려던 돌이 연결되어 탈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축을 구사하거나 방어할 때는 축머리의 유무와 위치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2. 1. 기본 형태

축은 한쪽 방향으로 끊임없이 단수를 쳐서 상대방의 돌을 잡는 기본적인 사활 기술 중 하나이다.

오른쪽 그림과 같이 흑 1에 두어 백 △돌을 잡으러 가는 것이 축의 시작이다. 이 수를 "사활에 껴붙인다"라고도 표현한다. 백이 2로 도망가면, 흑은 3으로 백돌의 진로를 막듯이 젖히는 것이 중요하다. 만약 반대쪽에서 젖히면 백돌이 도망갈 수 있게 된다.

백이 계속해서 도망가더라도 흑이 그림의 숫자 순서대로 계속 단수를 치며 쫓아가면, 백돌은 결국 바둑판의 변이나 귀퉁이에 몰려 더 이상 도망갈 곳이 없어져 잡히게 된다.

하지만 위 그림처럼 백돌이 도망가는 경로 상에 미리 놓여 있는 백돌(△)이 있다면 상황이 달라진다. 이 돌을 축머리(또는 시초아타리)라고 부른다.

축머리가 있으면 그림처럼 흑이 계속 몰아가도 백은 축머리 돌과 연결되어 탈출하게 된다. 이 경우 흑은 더 이상 단수를 칠 수 없게 되고, 오히려 a와 같은 자리에 양단수를 맞는 약점만 남아 형세가 매우 불리해진다. 이런 상황을 "흑은 축머리가 나쁘다" 또는 "백이 축머리가 좋다"라고 표현한다.

따라서 돌을 잡으려는 쪽(쫓는 쪽)과 잡히지 않으려는 쪽(쫓기는 쪽) 모두 축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면, 축머리의 유무와 위치를 잘 살펴야 한다. 축머리와 같이 축을 방해하는 돌이 없다면, 단순히 바둑판의 변으로 몰리는 것만으로는 쫓기는 쪽이 잡히게 된다.

축머리의 유무는 정석 선택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소목에 한 칸 높이로 걸치는 정석에서,

만약 우상귀 쪽에 백돌이 있어 축이 백에게 유리하다면, 백 1로 붙이는 수가 성립한다. 흑이 2로 젖혀 오더라도 백 3으로 끊고, 흑 4로 막을 때 백 5로 단수 치는 축으로 흑 한 점을 잡을 수 있다. 이 경우 흑은 2로 젖히는 대신 a 자리로 늘어 두는 등 다른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

반대로 축이 백에게 불리하다면, 백 1로 붙이는 수는 좋지 않다. 흑 2로 끊었을 때 백 3으로 단수 쳐도 축으로 잡을 수 없으므로, 백은 결국 흑 4에게 두 점을 잡히게 되어 불리한 결과가 된다.

3. 축머리

으로 몰린 돌이 나아가는 앞길을 '''축머리'''라고 한다. 축머리는 축으로 몰리는 돌의 진행 경로상에 위치하여 축의 성립 여부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1]

만약 축으로 몰리는 돌의 경로, 즉 축머리에 몰리는 돌과 같은 색의 돌이 미리 놓여 있다면, 축은 성립하지 않는다. 즉, 흑이 백돌을 축으로 몰고 있을 때 축머리에 다른 백돌이 있다면, 흑이 계속해서 단수를 쳐 몰아가더라도 결국 몰리던 백돌은 축머리의 백돌과 연결되어 탈출하게 된다.[2]

축으로 몰리는 돌이 도망가는 길에 놓여 축을 방해하는 상대편 돌을 '''시초아타리'''라고 부르기도 한다.[3] 축머리(또는 시초아타리)의 유무는 축의 성립 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며,[5] 이는 정석 선택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6]

3. 1. 축머리의 방해

축으로 몰린 돌이 나아가는 앞길을 축머리라고 한다. 만약 이 축머리에 축으로 몰리는 돌과 같은 색의 돌(즉, 축을 방해하는 돌)이 놓여 있다면, 축을 모는 쪽은 그 방향으로 몰아가서는 안 된다.

예를 들어, 흑이 백을 축으로 몰고 있을 때, 백이 도달할 경로(축머리)에 미리 다른 백돌이 놓여 있다면, 흑이 계속해서 축으로 몰아가는 것은 좋지 않다. 만약 흑이 무리하게 축을 계속 몰면, 몰리던 백돌은 축머리에 있던 백돌과 연결되어 탈출하게 된다. 동시에, 축을 몰던 흑돌들은 오히려 백에게 양단수를 당할 약점이 노출되어 매우 곤란해진다.

축으로 몰리는 돌이 도망가는 길에 놓여 축을 방해하는 상대편 돌을 시초아타리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는 축머리와 비슷한 개념으로 사용된다. 만약 흑이 백을 축으로 몰 때, 백의 도주 경로에 백돌(시초아타리)이 있다면, 흑이 계속 몰아가더라도 백은 시초아타리 돌에 연결되어 탈출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흑은 더 이상 백을 단수로 몰 수 없게 되며, 오히려 자신의 돌에 양단수와 같은 약점만 남아 형세가 크게 불리해진다. 이런 상황을 두고 "흑은 시초가 나쁘다" 또는 "백이 시초가 좋다"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따라서 축을 모는 쪽이나 몰리는 쪽 모두 축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상황에서는 시초아타리의 유무와 위치를 신중하게 살펴야 한다. 시초아타리와 같은 방해하는 돌이 없고 단순히 바둑판의 변 쪽으로 몰리는 축이라면, 일반적으로 몰리는 쪽이 잡히게 된다.

시초아타리의 존재 여부는 정석 선택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소목에 한 칸 높이로 걸쳐오는 정석 진행 중 하나에서 시초아타리의 유불리가 선택을 가를 수 있다. 만약 특정 위치에 백돌이 놓여 있어 관련 축이 백에게 유리한 상황(백의 시초아타리가 좋은 위치에 있는 경우)이라면, 백은 흑의 약점을 노리는 강한 수(예: 특정 지점에 붙이는 수)를 둘 수 있다. 흑이 무리하게 끊으려 하면 백은 축을 활용하여 유리하게 이끌 수 있으므로, 흑은 늘어두는 등 다른 방식으로 대응해야 한다. 반대로 백에게 축이 불리한 상황이라면, 백은 위와 같은 강한 수를 두기 어렵고, 대신 두 점을 잡히는 등의 다소 불만족스러운 결과를 감수해야 할 수도 있다.

3. 2. 축머리의 활용

자신의 돌이 으로 몰린 쪽이 축머리를 이용하여 좋은 자리를 먼저 차지하는 경우가 있다.

예시를 통해 살펴보자. 첫 번째 그림에서 흑 1로 백 Δ 두 점이 단수에 걸렸다. 만약 백이 축을 피해 달아나려고 하면, 흑은 다시 단수를 치면서 백 돌들을 축으로 몰아갈 수 있다.

이 상황에서 백은 축으로 잡히는 대신, 두 번째 그림처럼 백 2로 우상귀 흑 진영에 걸침 수를 둔다. 이 백 2의 수는 단순히 걸침의 의미만 있는 것이 아니라, 동시에 좌하귀 백 Δ 두 점이 축으로 몰릴 때의 축머리 역할도 하게 된다.

만약 흑이 백 2의 축머리를 무시하고 손을 빼 다른 곳에 둔다면, 세 번째 그림처럼 백은 축머리 방향으로 돌을 움직여 좌하귀의 백 Δ 두 점을 살려나갈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되면 흑은 백 두 점을 잡지 못하고 오히려 공격하던 돌들이 약해질 수 있다.

따라서 흑은 어쩔 수 없이 네 번째 그림처럼 흑 3으로 백 Δ 두 점을 잡아야 한다. 그러면 백은 기다렸다는 듯이 백 4로 다시 우상귀에 걸침수를 두어, 우상귀 흑 모양을 압박하면서 이득을 취하는 모양이 된다. 즉, 백은 축으로 잡힐 돌을 이용하여 선수로 우상귀에 두 번이나 좋은 자리를 차지하는 효과를 얻은 것이다.

이처럼 과 축머리를 이용한 전술바둑 실전에서 자주 등장하며, 형세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4. 다양한 축의 형태

은 일반적으로 돌들이 계단 모양으로 연속해서 단수에 몰리는 형태를 떠올리기 쉽지만, 반드시 이러한 형태로만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상황에 따라서는 복잡하게 얽힌 돌들 사이에서도 연속적인 단수를 통해 상대 돌을 잡아내는 경우가 발생하며, 이 역시 축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돌이축과 같이 상대 돌을 희생시키며 축으로 모는 형태도 존재한다.

4. 1. 변형된 축

백돌이 축으로 몰릴 때, 도망가는 길목에 미리 놓여 있는 백돌(축머리)이 있는 경우를 시초아타리라고 한다. 이 축머리 때문에 흑이 계속해서 단수를 칠 수 없게 되어 백돌이 연결되어 탈출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흑이 백돌을 축으로 몰아가는 상황에서 백의 탈출 경로에 백돌(축머리)이 놓여 있다면, 흑이 계속 단수를 쳐도 결국 백돌은 축머리에 연결되어 살아나가게 된다. 이렇게 되면 흑은 축으로 잡으려던 돌을 놓치고, 오히려 흑 진영에 양단수와 같은 약점이 남아 형세가 크게 불리해질 수 있다. 이런 상황을 "흑은 시초가 나쁘다" 또는 "백이 시초가 좋다"고 표현하기도 한다.

따라서 축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국면에서는, 돌을 쫓는 쪽(흑)이나 쫓기는 쪽(백) 모두 시초아타리가 되는 돌의 유무와 위치를 신중하게 살펴야 한다. 만약 축머리가 없다면, 축으로 몰리는 돌은 바둑판의 가장자리(변)로 몰리더라도 결국 잡히게 된다.

시초아타리의 유무는 정석 선택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소목에 한 칸 높이로 걸쳐 오는 정석 진행 중, 만약 귀 쪽에 백돌이 미리 배치되어 있어 시초가 백에게 유리하다면, 백은 특정 지점에 붙여가는 강수를 둘 수 있다. 흑이 젖혀 반발하더라도 백이 끊는 수가 성립하여 백이 유리한 싸움을 이끌 수 있다. 이 경우 흑은 늘어 두는 등 다른 대응책을 찾아야 한다. 반대로 시초가 백에게 불리하다면, 백이 무리하게 끊으려 할 경우 오히려 백 두 점이 잡혀 불리한 결과를 맞게 된다.

단수가 연속되어 상대 돌을 잡는 것을 이라고 하는데, 이것이 반드시 반듯한 계단 모양으로만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때로는 복잡하게 얽힌 상황에서도 연속적인 단수를 통해 상대 돌을 잡아내는 경우가 있으며, 이 역시 축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잡한 수순 끝에 흑이 백 두 점을 연속적인 단수로 몰아 잡는 형태도 존재한다.

또한, 회돌이축이나 시보리, 마구리와 같이 상대방의 돌을 희생시키며 자신의 모양을 정비하거나 상대 돌을 제압하는 기술(이를 빙빙 돌리기라고도 함)도 축과 관련된 응용 기술로 볼 수 있다.

5. 축과 관련된 바둑 용어

'''축머리'''는 축으로 몰리는 돌이 도망가는 길목에 미리 놓여 있는 자신의 돌을 의미한다. 일본어 용어인 シチョウアタリ|시초아타리일본어라고도 부른다.

축머리가 있으면 축으로 몰던 돌은 더 이상 단수를 칠 수 없게 되어, 몰리던 돌은 축머리 돌과 연결되어 탈출하게 된다. 예를 들어, 백돌이 축으로 몰리는 상황에서 도망가는 경로에 백돌(축머리)이 있다면, 흑은 더 이상 백을 축으로 잡을 수 없다. 오히려 축을 몰던 흑에게 쌍방 아타리와 같은 약점이 남아 형세가 불리해질 수 있다. 바둑에서는 이런 상황을 "축머리가 좋다/나쁘다" 또는 "시초가 좋다/나쁘다"라고 표현한다.

따라서 축을 모는 쪽이나 몰리는 쪽 모두 축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면, 축머리의 유무와 위치를 신중하게 살펴야 한다. 축머리처럼 축을 방해하는 돌이 없이 단순히 변이나 중앙으로 몰리는 축은 결국 몰리는 쪽이 잡히게 된다.

축머리의 유무는 정석 선택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소목에 한 칸 높이로 걸쳐오는 정석의 한 형태에서, 특정 위치에 백돌이 놓여 있고 축머리가 백에게 유리하다면, 백은 상대 돌에 붙이는 강력한 수를 둘 수 있다. 흑이 젖혀 오더라도 백은 끊어서 축으로 잡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흑은 축을 피하기 위해 늘어두는 등 다른 수단을 강구해야 한다. 반대로 축머리가 백에게 불리하다면, 백이 같은 곳에 붙이는 수는 성립하지 않는다. 흑이 젖혀 끊었을 때 백돌이 축으로 잡히게 되어 백이 불리한 결과가 된다.

6. 축과 관련된 사건

2000년 본인방전 도전기 제1국에서 축과 관련된 유명한 사건이 발생했다. 당시 본인방이었던 조선진 9단과 도전자 왕밍완 9단의 대국이었다. 중반전에 접어든 국면에서 백을 잡은 왕밍완 9단이 을 착각하여 중앙의 돌을 공짜로 잡히는 큰 실수를 저질렀다. 이로 인해 왕밍완 9단은 59수 만에 돌을 거두었고, 이틀간 진행될 예정이었던 대국이 하루 만에 끝나는 진기록을 세웠다. 59수는 타이틀전 사상 최단 수 기록이다. 그러나 왕밍완 9단은 이후 대국에서 만회하여 최종적으로 본인방 타이틀을 획득했다.

7. 진롱

'''진롱'''(珍瓏)은 특정 바둑 국면에서 의 수순을 사용하여 지정된 돌을 잡는 사활 문제이다. "축으로 쫓는" 것 외에는 문제 제작에 제약이 없기 때문에, 초반 형태나 최종 그림으로 문자나 형상을 그린 작품도 발표되고 있다.

기사인 나카야마 노리유키 6단이 많은 진롱 문제를 발표했으며, 특히 최종 형태가 하트 모양이 되는 문제가 잘 알려져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Ladder http://senseis.xmp.n[...] 2008-02-15
[2] 서적
[3] 서적
[4] 논문 Computer Go 2002-01
[5] 논문 Mastering the game of Go without human knowledge https://discovery.uc[...] 2017-10-19
[6] 논문 Mastering the game of Go with deep neural networks and tree search 2016-01-28
[7] 간행물 Accelerating Self-Play Learning in G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