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위대 (러시아 제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러시아 제국의 친위대는 차르 표트르 1세가 창설한 프레오브라젠스키 및 세묘노프스키 보병 연대를 시작으로, 황실을 호위하고 러시아 군대의 정예 부대로 발전했다. 1905년 혁명 진압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으며, 1917년 2월 혁명 당시에는 병사들의 이탈로 인해 차르 정권 붕괴에 기여했다. 10월 혁명에서는 볼셰비키에 가담하여 겨울 궁전 공격에 참여하기도 했다. 친위대는 보병, 기병, 포병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부대마다 독특한 선발 기준과 계급 체계를 가지고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 제국의 친위대 - 제3친위 핀란드 소총대대
제3친위 핀란드 소총대대는 1812년 핀란드 대공국 군대의 일부로 창설되어 러시아 황실 근위대로 승격되었으며, 여러 전쟁에 참전했으나 1905년 징병제 폐지로 해산되었다. - 1917년 폐지 - 러시아 제국 육군
러시아 제국 육군은 표트르 대제 시기 창설되어 유럽 주요 열강으로 성장했지만, 제1차 세계 대전 중 러시아 혁명으로 해체되었다. - 1917년 폐지 - 내셔널 하키 협회
내셔널 하키 협회는 1909년부터 1917년까지 존속한 캐나다의 프로 아이스하키 리그로, 동부 캐나다 하키 협회 분열 후 창립되어 스탠리 컵을 놓고 경쟁하며 혁신적인 변화를 시도했으나, 제1차 세계 대전과 내부 갈등으로 해체되었고, 현재 NHL의 기원이 되었다.
친위대 (러시아 제국)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명칭 | 라이프-그바르디야 (Лейб-гвардия) |
로마자 표기 | Leibe-gvardiya |
영어 명칭 | Life Guard |
소속 | 러시아 제국군 |
복무 기간 | 1683년–1917년 |
종류 | 육군 항공 포병 기병 기마 포병 황실 근위대 보병 |
규모 | 사단 |
본부 | 해당 없음 |
지휘관 | 해당 없음 |
기념일 | 해당 없음 |
표어 | 해당 없음 |
행진곡 | 해당 없음 |
충성 대상 | 전 러시아의 황제 |
참여 전쟁 | 해당 없음 |
2. 역사
표트르 대제에 의해 창설된 러시아 제국 친위대는 1905년 혁명과 1917년 러시아 혁명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1905년 혁명 당시 황제 근위대는 피의 일요일 사건에서 시위대를 진압하고, 모스크바 봉기를 진압하는 등 차르 정권 유지를 위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4] 그러나 1906년 6월에는 프레오브라젠스키 연대 1개 대대가 반란을 일으키기도 했다.[4]
1917년 2월 혁명 초기에는 일부 근위대가 시위대에 발포하기도 했지만, 곧 볼린스키 연대를 시작으로 다수의 근위대 연대가 혁명에 가담하면서 차르 정권 붕괴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6] 10월 혁명에서는 파블롭스키 연대가 볼셰비키에 가담하여 겨울 궁전 공격에 참여하는 등 혁명 세력의 주요 전력이 되었다.[7]
2. 1. 창설 배경
표트르 1세(후에 "표트르 대제"로 알려짐)는 1680년대 "장난감 군대"를 기반으로 제국 근위대의 핵심 부대인 프레오브라젠스키 및 세묘노프스키 보병 연대를 창설했다.[1] 1700년 나르바 전투에서 스웨덴에게 패배한 후, 표트르 1세는 러시아 군대의 전문화를 위해 이 두 연대를 기반으로 친위대를 강화했다. 이는 1700-1721년 대북방 전쟁 초기에 일어난 일이다.[2] 표트르 1세는 스트렐치에 대한 불신(어린 시절 봉기와 스트렐치 봉기를 겪으며 생긴 트라우마) 때문에 친위대를 강화했다.1730년, 안나 여제는 다른 근위 연대(특히 프레오브라젠스키)에 대한 불신으로 이즈마일로프스키 연대를 창설했다(그녀의 이전 영지인 쿠를란트와 세미갈리아 공국에서 모집). 이는 권력 상실에 대한 그녀의 편집증 때문이었다. 이즈마일로프스키 연대는 안나 여제 통치 기간 동안 공식적인 궁궐 경비대가 되었다.
"라이브"라는 용어는 엘리자베타 여제(1741-1762) 통치 기간에 그녀의 즉위를 도운 친위 연대(특히 프레오브라젠스키)로 구성된 라이브 중대를 창설하면서 사용되었다.[3]
2. 2. 발전 과정
차르 표트르 1세(후에 "표트르 대제"로 알려짐)는 1680년대 그의 소위 "장난감 군대"의 일부로 프레오브라젠스키 및 세묘노프스키 보병 연대를 창설하여 제국 근위대의 핵심 부대를 만들었다.[1] 1700년 나르바 전투에서 스웨덴에게 끔찍한 패배를 당한 후, 표트르 1세는 러시아 군대의 전문화를 위해 이 두 연대를 기반으로 했다. 이는 1700-1721년 대북방 전쟁의 초기 단계에서 일어난 일이다.[2] 그는 또한 어린 시절 봉기로 인해 트라우마를 겪었고, 스트렐치 봉기 당시에도 여러 차례 반란을 일으킨 스트렐치에 대한 불신을 가지고 있었다.1730년, 여제 안나 (재위 1730-1740)는 다른 근위 연대(특히 프레오브라젠스키)에 대한 불신으로 이즈마일로프스키 연대를 창설했다(그녀의 이전 영지인 쿠를란트와 세미갈리아 공국에서 모집). 이는 권력 상실에 대한 그녀의 편집증의 결과였다. 이즈마일로프스키 연대는 안나 여제 통치 기간 동안 공식적인 궁궐 경비대가 되었다.
"라이브"라는 용어는 여제 엘리자베타 (1741-1762) 통치 기간에 그녀를 왕위에 오르는 데 도움을 준 친위 연대 (특히 프레오브라젠스키)로 구성된 라이브 중대를 창설하면서 사용되었다.[3]
2. 3. 1905년 혁명
황제 근위대는 1905년 혁명 진압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으며, 특히 1905년 1월 22일 (피의 일요일)에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4] 셈요노프스키 연대는 이후 모스크바에서 발생한 광범위한 폭동을 진압했다.[4] 그러나 1906년 6월에 프레오브라젠스키 연대 1개 대대가 반란을 일으켰다.[4]2. 4. 1917년 러시아 혁명
1917년 2월 혁명 당시, 상트페테르부르크 주둔군은 황실 근위대 소속 99,000명의 병력을 포함하고 있었다. 이들은 신병과 동부 전선에서 복무한 황실 근위대 연대 베테랑의 혼합으로 구성된 예비 대대였다. 근위대 사병은 여전히 농촌 지역에서 주로 모집되었지만, 1905년 혁명 당시와는 달리 더 이상 차르 전제 정치를 맹목적으로 지지하지 않았다. 예비 부대 장교의 약 90%는 전시 임관되었으며, 군사적 경험이 부족하고 때로는 정치 개혁에 공감하는 이들이었다.[5] 상트페테르부르크 병력의 전반적인 사기와 지휘는 좋지 않았지만, 여전히 역사적인 연대의 지위를 누리고 있었다.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폭동이 일어난 초기에 세묘노프스키 연대, 파블롭스키 연대, 볼린스키 연대는 장교의 명령에 따라 시위 군중에게 발포했다. 그러나 2월 27일, 볼린스키 연대를 시작으로 세묘노프스키 연대, 모스크바 연대, 이즈마일로프스키 연대가 대규모로 혁명에 가담했다. 일부 장교는 살해되었다. 이틀 안에 수도에서 약 66,700명의 근위병이 탈영하거나 혁명에 가담한 것으로 추정된다.[6] 황실 근위대 부대의 이러한 대규모 이탈은 차르 정권의 종말을 알렸다.
1917년 10월 혁명 당시, 나폴레옹 전쟁에서 활약했던 파블롭스키 연대는 가장 먼저 반란을 일으켜 볼셰비키에 합류한 연대 중 하나였으며, 이후 겨울 궁전 공격에 참여했다.[7] 1917년 10월에도 이전 황실 근위대의 상당 부분이 역사적인 명칭을 유지하며 존재했지만, 이들의 역할은 정치화된 공화주의 군인으로 바뀌었다. 파블롭스키 연대 외에 세묘노프스키 연대와 이즈마일로프스키 연대도 혁명의 중요한 시기에 볼셰비키에 합류했다.[8]
3. 편제
1914년 러시아 제국 친위대의 편제는 크게 상트페테르부르크 군관구 소속 친위군단과 바르샤바 군관구 주둔 제23육군단 소속 부대로 나뉘었다. 1917년 기준 직속 근위대로는 궁전 척탄병 중대, 친위 예비 기병 연대, 친위 야전 헌병 기병대, 황제 친위 코사크 호위대, 황제의 철도 연대가 있었다.
3. 1. 상트페테르부르크 군관구

1914년 당시 러시아 제국의 친위대 중 상트페테르부르크 군관구에 소속된 부대는 다음과 같다.
'''친위군단''' - 본부: 상트페테르부르크 밀리오나야
- '''제1친위보병사단''' - 본부: 상트페테르부르크 폰탄카
- 제1여단: 친위 프레오브라젠스키 연대, 친위 세묘놉스키 연대
- 제2여단: 친위 이즈마일롭스키 연대, 친위엽병연대
- 제1친위포병여단
- '''제2친위보병사단''' - 본부: 상트페테르부르크 폰탄카
- 제1여단: 친위 모스크바 연대, 친위척탄병연대
- 제2여단: 친위 파블롭스키 연대, 친위 핀란드 연대
- 제2친위포병여단
- '''제1친위기병사단''' - 본부: 상트페테르부르크 폰탄카
- 제1여단: 마리아 테오도로브나 황후 폐하의 친위기사연대, 친위기마연대
- 제2여단: 황제 폐하의 친위흉갑기병연대, 마리아 테오도로브나 황후 폐하의 친위흉갑기병연대
- 제3여단: 황제 폐하의 친위 카자크 연대, 황태자 전하의 친위 아타만 연대, 친위혼성 카자크 연대, 제1우랄 백인대, 제2오렌부르크 백인대, 제3혼성백인대, 제4아무르 백인대
- 제1친위기병사단 포병여단
- '''제2친위기병사단''' - 본부: 상트페테르부르크 폰탄카
- 제1여단: 친위기마척탄병연대, 알렉산드라 테오도로브나 황후 폐하의 친위창기병연대
- 제2여단: 친위용기병연대, 황제 폐하의 친위검기병연대
- 제2친위기병사단 포병여단
- '''친위소총여단''' - 본부: 상트페테르부르크 폰탄카
- 황제 폐하의 제1친위소총연대
- 제2황궁황궁소총연대
- 황제 폐하의 제3친위소총연대
- 제4황족친위소총연대
- 친위소총여단 포병대대
- 친위기마포병대
- 친위곡사포대대
- 친위공병대대
- 친위항공중대
친위군단 소속이 아닌 친위대로는 친위보충기병연대와 친위야전헌병대대가 있었다.
3. 2. 바르샤바 군관구

바르샤바 군관구에 주둔했으며 바르샤바에 본부를 둔 제23육군단 소속 부대는 다음과 같다.[1]
부대 | 구성 |
---|---|
제3친위보병사단 | |
제2보병사단 | |
독립친위기병여단 | 황제 폐하의 창기병연대, 그로드노 검기병연대 |
기타 | 제3친위기마포병포대, 제23곡사포대대, 제9공병대대 |
4. 계급
(Мушкетер, фузилер, гренадер и т.д.)
(Драгун, гусар, кирасир, казак и т.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