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트르 1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표트르 1세는 1672년부터 1725년까지 러시아를 통치한 차르로, 러시아를 서구화하고 근대화하는 데 헌신했다. 그는 1700년 스웨덴과의 대북방전쟁에서 승리하여 발트 해 연안 지역을 확보하고, 상트페테르부르크를 건설하여 수도를 이전했다. 표트르는 군사, 행정, 경제,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개혁을 추진했으며, 강력한 중앙 집권 체제를 구축했다. 그의 통치는 긍정적, 부정적 평가가 공존하며, 러시아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두 번 결혼하여 여러 자녀를 두었으며, 주요 업적으로는 해군 창설, 산업 육성, 서구식 교육 도입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표트르 1세 - 아브람 페드로비치 간니발
아브람 페트로비치 간니발은 표트르 대제의 양자이자 총애를 받던 러시아 제국의 군사이자 공학자로, 아프리카 출신 노예에서 러시아 귀족으로 성공하여 소수자 성공의 상징이며 러시아 대문호 알렉산드르 푸시킨의 외증조부이다. - 표트르 1세 - 페테르 1세섬
페테르 1세 섬은 남극 대륙 엘즈워스 랜드 해안에서 450km 떨어진 화산섬으로, 노르웨이가 영유권을 주장하며, 1929년 상륙 후 1931년 노르웨이 주권 하에 선포되었고, 154km²의 면적에 빙하로 덮여 있으며, 남극 조약의 적용을 받는다. - 1672년 출생 - 마쓰다이라 지카사다 (마쓰다이라 향 마쓰다이라가)
마쓰다이라 지카사다는 마쓰다이라 향 마쓰다이라 가문 출신으로, 마쓰다이라 노부카즈의 양자가 되어 가문을 상속받아 마쓰다이라 종가의 수장이 되었으며, 1713년 사망 후 아들 마쓰다이라 노부토시가 뒤를 이었다. - 1672년 출생 - 모리 나가나오
모리 나가나오는 에도 시대의 다이묘로, 쓰야마 번주 모리 나가쓰구의 아들이며, 쓰야마 번의 가독 계승 문제로 사이가와라 번 초대 번주가 된 후 아카호 번으로 이봉되어 재정 악화 극복을 위해 노력했고, 사위이자 양자인 모리 나가타카가 그의 뒤를 이었다. - 전러시아의 황제 - 알렉산드르 1세
알렉산드르 1세는 1801년 러시아 제국 황제로 즉위하여 초기 자유주의 개혁을 추진하고 나폴레옹 전쟁 승리와 빈 체제 형성에 기여했으나, 말년에는 보수적 정책으로 전환하며 자유주의와 반동 사이에서 복잡한 통치를 보였다. - 전러시아의 황제 - 파벨 1세
파벨 1세는 표트르 3세와 예카테리나 2세 사이에서 태어나 러시아 제국의 황제가 되었으나, 어머니와의 불화, 강경한 프랑스 혁명 대응, 변덕스러운 외교 정책, 군사 개혁, 그리고 귀족들의 불만으로 1801년 암살당했다.
표트르 1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표트르 1세 |
러시아어 표기 | Пётр I Алексеевич |
로마자 표기 | Pyotr I Alekseyevich |
별칭 | 표트르 알렉세예프 신 미하일로프 (Pyotr Alekseyev syn Mikhaylov) 표트르 미하일로프 (Pyotr Mikhaylov) |
출생일 | 1672년 6월 9일 |
출생지 | 모스크바, 러시아 차르국 |
사망일 | 1725년 2월 8일 |
사망지 | 상트페테르부르크, 러시아 제국 |
매장지 | 상트페테르부르크, 성 베드로-바울 대성당 |
![]() | |
종교 | 러시아 정교회 |
통치 | |
작위 | 러시아 황제 |
재위 기간 | 1721년 11월 2일 – 1725년 2월 8일 |
이전 군주 | 전러시아 차르로서의 자신 |
다음 군주 | 예카테리나 1세 |
작위 (차르) | 전러시아 차르 |
차르 재위 기간 | 1682년 5월 7일 – 1721년 11월 2일 |
차르 이전 군주 | 표도르 3세 |
차르 다음 군주 | 러시아 황제로서의 자신 |
대관식 | 1682년 6월 25일 |
공동 군주 | 이반 5세 (1682–1696) |
섭정 | 소피야 알렉세예브나 (1682–1689) |
가문 | |
왕가 | 로마노프 가문 |
아버지 | 알렉세이 |
어머니 | 나탈리야 나리시키나 |
결혼과 자녀 | |
배우자 | 예브도키야 로푸히나 (1689년 결혼, 1698년 이혼) 예카테리나 1세 (1707년 결혼) |
자녀 | 알렉세이 페트로비치 안나 페트로브나 옐리자베타 나탈리야 페트로브나 |
군사 경력 | |
소속 | 러시아 차르국 러시아 제국 |
군대 | 표트르 1세 군대 러시아 제국군 |
참전 전투 | 러시아-튀르크 전쟁 아조프 원정 대북방 전쟁 잉그리아 전역 노테보리 공성전 니엔샨츠 공성전 나르바 공성전 그로드노 전투 레샤야 전투 폴타바 전투 비보르크 공성전 에스토니아와 리보니아 항복 프루트 강 전역 헬싱키 전투 강구트 해전 페르시아 원정 인치케 강 전투 데르벤트 전투 라슈트 점령 바쿠 공성전 |
기타 | |
업적 | 러시아의 서구화 추진 |
기념 | 표트르 대제의 날 (2월 8일) |
새해 변경 | 1월 1일을 새해로 지정 |
참고 | 쿤스트카메라 설립 서방으로의 창문 (표트르 대제가 이탈리아 방문 후 널리 사용된 문구) |
2. 생애
표트르 1세는 1672년 모스크바에서 차르 알렉세이 미하일로비치와 그의 두 번째 부인 나탈리아 나르이시키나 사이에서 태어났다. 1676년 아버지 알렉세이가 사망하고 이복형 표도르 3세가 즉위했으나, 1682년 사망했다.[92] 표트르는 총대주교와 스트렐치의 지지를 받아 즉위했으나, 이복형 이반 5세 역시 이반의 외척인 밀로슬라프스키 가문과 누이 소피아의 지원을 받고 있었다.
즉위 직후 밀로슬라프스키 가문의 선동으로 반란이 발생하여 크렘린에 난입, 나르이시킨 가문의 유력자들이 살해되었다.[93] 이로 인해 이반 5세가 차르로 세워지고 표트르는 공동 통치자로 강등되었다. 이반의 이복누이 소피아가 섭정으로서 실권을 장악했다.
표트르는 어머니와 함께 모스크바 교외의 프레오브라젠스코예로 거처를 옮겨 의례 때만 크렘린을 방문했다. 표트르의 교육은 니키타 조토프가 담당했다.[94] 소년 시절 표트르는 근처 외국인 마을을 자주 드나들며 많은 외국인들과 교류했다.[95] 또한, 장난감 군대를 편성하여 전쟁 놀이에 열중했다.[96][95] 레포르트와 멘시코프를 측근으로 등용한 것도 이 시기이다.[95] 1689년 16세가 된 표트르는 어머니의 권유로 예브도키야 로푸히나와 결혼했지만,[97] 그녀를 사랑하지 않았고, 후에 불행한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바실리 폴리츠인 공이 실권을 장악한 소피아의 섭정 정부는 진보적인 정책을 실시하여 대체로 성공적으로 통치했다.[98][99] 그러나 러시아-터키 전쟁의 일환으로 크림 칸국에 대해 1687년과 1689년에 실시된 크림 원정이 실패하면서 불만이 고조되었고,[100] 표트르가 성장하자 나르이시킨 가문 등 지지 세력은 그의 친정을 바랐고 소피아의 섭정 정부와 대립했다. 표트르는 한때 성 삼위일체 세르기우스 수도원으로 피신해야 했다. 1689년 9월, 넬친스크 조약 체결로 소피아는 관료, 군인, 교회의 지지를 잃었고, 표트르에게 정권을 넘겨주었다. 폴리츠인은 유배되었고 소피아는 노보데비치 수녀원에 유폐되었다.[101]
표트르는 처음에는 국정을 어머니 나탈리아를 비롯한 나르이시킨 일족에게 맡기고 외국인 마을을 방문하거나 군사 훈련에 열중하고, 또한 친구들과 어울리며 시간을 보냈다.[102] 1694년 어머니가 사망하자 표트르는 친정을 시작했다. 1696년 이반 5세가 사망하자 단독 통치를 시작했다.
1689년 러시아 차르국이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에서 패배하면서 귀족층이 소피아 정권에 대한 지지를 철회하자, 표트르는 소년병들을 이끌고 쿠데타를 일으켜 소피아를 정교회 수녀원에 유배보내고 국사를 장악하게 된다.[101] 1695년 오스만 제국과의 아조프 전쟁에서 표트르는 포병으로 참전, 함대 건설의 필요성을 느껴 빠른 속도로 함선을 건조하고 해군을 조직하여 1696년 아조프해를 함락시켰다.[9] 같은 해 형 이반 5세가 죽자 표트르는 러시아 차르국의 유일한 전제군주가 되었다.[9]
표트르 1세는 약 43년간 통치하며 러시아를 근대화하기 위한 광범위한 개혁을 추진했다.[13] 그는 러시아군을 현대적인 방식으로 재편성하고, 러시아 해군을 창설하여 러시아를 해양 강국으로 만들고자 했다. 1698년, 대사절단을 이끌고 서유럽을 순방하며 선진 문물을 적극적으로 수용했다. 귀국 후 서구화 정책을 강력하게 추진, 유럽식 의복 착용과 수염을 자르도록 강요했다.[36]
역법을 개정하여 새해 첫날을 9월 1일에서 1월 1일로 변경하고, 기년법을 세계 창조 기원에서 그리스도 탄생 기원으로 바꾸었다.[128] 키릴 문자를 간소화하고 아라비아 숫자를 도입했으며, 민간 문자를 사용하도록 했다.[43]
1711년 통치 상원을 설치하고, 1718년에는 9개의 참의회 제도를 도입했다. 지방 행정 구역을 개편하고, 1722년에는 관등표를 제정하여 관료 제도를 확립했다.[130]
경제 발전을 위해 광산업과 목재 산업을 중심으로 제조업을 육성하고, 베르그 특권을 제정하여 광산 개발을 장려했다. 데미도프 가문은 서유럽으로 철을 수출한 최초의 러시아 수출업체가 되었다. 러시아 정교회에 대한 국가 통제를 강화, 1721년에는 총대주교직을 폐지하고 성 시노드를 설치하여 교회를 국가 기관의 통제하에 두었다.
1703년, 네바 강 하구에 상트페테르부르크 건설을 시작, 백해의 아르한겔스크를 대체하는 새로운 무역항이자 발트 해 무역의 중심지로 계획되었다.[135] 1712년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천도했다.
1695년 흑해로 진출하기 위해 아조프 원정을 감행, 1696년 아조프를 함락시키고 흑해 진출의 교두보를 마련했다.[108]
1700년 스웨덴의 칼 12세에 대항해 덴마크, 폴란드와 동맹, 대북방전쟁을 시작, 1709년 폴타바 전투에서 스웨덴 군을 크게 격파했다. 1721년 니스타드 조약이 체결되면서 대북방전쟁은 러시아의 승리로 막을 내렸다. 러시아는 핀란드를 제외한 발트해 연안 대부분 지역을 획득했다.
1722년 사파비 왕조 페르시아 제국을 공격하여 카스피해 연안 영토를 획득, 오스만 제국과도 콘스탄티노폴리스 조약을 체결하여 중앙아시아 지역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려 했다.
표트르 1세는 두 명의 부인에게서 15명의 자녀를 두었으나, 대부분 유아기에 사망하고 알렉세이 페트로비치 (황태자), 안나 페트로브나, 엘리자베타 페트로브나 3명만이 성인이 되었다.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유독시아 로푸히나 사이에서 | |||
알렉세이 페트로비치 (황태자) | 1690년 2월 18일 | 1718년 6월 26일 (28세) | 1711년 결혼,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의 샤를로테 크리스티네; 자녀 표트르 2세 |
알렉산데르 페트로비치 | 1691년 10월 13일 | 1692년 5월 14일 (7개월) | |
파벨 페트로비치 | 1693년 | 1693년 | |
예카테리나 1세 사이에서 | |||
페테르 페트로비치 | 1704년 겨울 | 1707년 | 부모의 공식 결혼 전에 태어나고 사망함 |
파벨 페트로비치 | 1705년 10월 | 1707년 | 부모의 공식 결혼 전에 태어나고 사망함 |
예카테리나 페트로브나 | 1707년 2월 7일 | 1708년 8월 7일 | 부모의 공식 결혼 전에 태어나고 사망함 |
안나 페트로브나 | 1708년 1월 27일 | 1728년 5월 15일 | 1725년 결혼, 홀슈타인-고토르프 공작 카를 프리드리히; 자녀 표트르 3세 (러시아). |
엘리자베타 페트로브나 | 1709년 12월 29일 | 1762년 1월 5일 | 1742년 추정 결혼, 알렉세이 라주모프스키; 자녀 없음 |
마리아 나탈리아 페트로브나 | 1713년 3월 20일 | 1715년 5월 17일 | 리가에서 출생 |
마르가리타 페트로브나 | 1714년 9월 19일 | 1715년 6월 7일 | |
페테르 페트로비치 (1715-1719) | 1715년 11월 9일 (율리우스력) | 1719년 5월 6일 | |
파벨 페트로비치 | 1717년 1월 13일 | 1717년 1월 14일 | 베젤에서 |
나탈리아 페트로브나 (러시아 대공녀) | 1718년 8월 31일 | 1725년 3월 15일 | |
페테르 페트로비치 | 1723년 10월 7일 | 1723년 10월 7일 | |
파벨 페트로비치 | 1724년 | 1724년 |
만년에 표트르는 상트페테르부르크 건설에 몰두, 1703년부터 건설되기 시작했다. 토목 공사에 지친 민중들의 반란이 일어나자, 표트르는 비밀경찰을 통해 많은 반대자들을 처형했다. 반란에 가담한 알렉세이 페트로비치 황태자는 1718년 고문 후유증으로 옥중에서 죽었다.[2]
제위는 알렉세이의 아들 표트르(뒷날의 표트르 2세)가 상속받아야 했으나, 표트르는 예카테리나를 제위 계승자로 책봉했다. 1724년 12월, 표트르는 폐렴에 걸려 다음해 2월 8일 사망했다. 황후 예카테리나가 제위를 계승하여 예카테리나 1세로 즉위했다.[3]
2. 1. 초기
표트르는 이즈마일로보 저택에서 자랐으며, 어린 시절부터 니키타 조토프, 패트릭 고든, 폴 메네시우스 등에게 오락궁전에서 교육을 받았다.[94] 1676년 아버지 알렉세이가 사망하자 이복형 표도르 3세가 즉위했으나, 1682년 사망했다. 이 기간 동안 정부는 알렉세이의 친구이자 나르이시킨 가문의 정치적 수장이었던 아르타몬 마트베예프가 운영했다.표도르 3세가 후사 없이 사망하면서, 알렉세이 1세의 첫 번째 부인 가문인 밀로슬랍스키 가문과 두 번째 부인 가문인 나르이시킨 가문 사이에 왕위 계승 분쟁이 발생했다. 이반 5세는 정신이 약하고 시력이 좋지 않았기에 보야르 두마(러시아 귀족 의회)는 10살의 표트르를 차르로, 그의 어머니를 섭정으로 선택했다.
1682년 소피아는 스트렐치(러시아 엘리트 군사 부대)의 반란을 이끌었다. 이 과정에서 표트르의 친척과 친구들이 살해되었고, 표트르는 이러한 정치적 폭력 행위를 목격했다. 스트렐치는 소피아, 밀로슬랍스키 가문, 그리고 그들의 동맹국들이 표트르와 이반을 공동 차르로 선포하고 이반을 연장자로 추대할 수 있도록 했다. 소피아는 두 통치자의 미성년 시절 동안 섭정으로 활동하며 7년 동안 독재자로 통치했다.
1682년부터 1689년까지 표트르와 그의 어머니는 프레오브라젠스코예로 추방되었다. 16세 때 그는 영국 배를 발견하고 복원하여 항해하는 법을 배웠다. 그는 육분의를 받았지만 사용법을 몰랐고, 해시계에 매료되어 외국인 마을에서 외국 전문가를 찾기 시작했다. 앤드류 비니우스와 친구가 되어 네덜란드어를 배웠고, 프란스 티머만과 카르스텐 브란트라는 두 명의 네덜란드 목수도 있었다. 표트르는 산술, 기하학, 군사 과학(요새)을 공부했다. 그는 음악 교육에는 관심이 없었지만 불꽃놀이와 북 치는 것을 좋아했다.
표트르는 페레슬라블-잘레스키에서 조선과 플레셰예보 호에서 항해를 하는 등의 취미에 참여했고, 장난감 군대와 모의 전투를 벌였다. 1689년 에우독시아 로푸히나와 결혼했으나, 이 결혼은 실패했고, 10년 후 표트르는 그의 아내를 수녀가 되도록 강요하여 결혼 생활에서 벗어났다.
1689년 여름, 표트르는 이복 누이 소피아로부터 권력을 장악할 계획을 세웠다. 소피아의 입지는 크림 원정 두 차례의 실패로 약화되었다. 소피아는 그의 계획을 알고 스트렐치의 일부 지도자들과 공모했는데, 그들은 끊임없이 혼란과 불화를 일으켰다. 스트렐치의 다른 사람들로부터 경고를 받은 표트르는 한밤중에 트로이체-세르기예바 라브라 수도원으로 도망쳤다. 그는 거기서 추종자들을 모았다. 소피아는 결국 폐위되었고, 표트르 1세와 이반 5세는 계속해서 공동 차르로 활동했다. 표트르는 소피아를 수녀원에 들어가게 강요했고, 그녀는 자신의 이름과 왕족으로서의 지위를 포기했다.
표트르는 독일인 거주지의 단골 손님이었으며, 거기서 안나와 빌렘 몬스를 만났다. 1694년 어머니 나탈리아가 사망하면서, 22세의 표트르는 독립적인 군주가 되었다. 이반 5세는 공동 통치자였지만, 1696년 이반이 사망하면서 표트르는 유일한 통치자가 되었다.
표트르는 당시로서는 매우 키가 컸고, 키가 였다고 알려져 있다. 그는 "두 번째 골리앗" 또는 삼손으로 여겨졌다.[10] 생시몽은 1717년에 그를 "키가 크고, 체격이 좋고, 날씬하며... 어리둥절하면서도 사나운 표정을 가지고 있다"고 묘사했다. 표트르는 눈에 띄는 얼굴 경련이 있었고, 경부 근육 경련을 앓았을 가능성이 있다.[11]
2. 1. 1. 출생과 성장
표트르 1세는 1672년 6월 9일 모스크바에서 차르 알렉세이 미하일로비치와 그의 두 번째 부인 나탈리아 나르이시키나 사이에서 태어났다. 1676년 아버지 알렉세이가 사망하고 이복형 표도르 3세가 즉위했으나, 1682년 사망했다. 표트르는 총대주교와 스트렐치의 지지를 받아 즉위했으나, 이복형 이반 5세 역시 이반의 외척인 밀로슬라프스키 가문과 누이 소피아의 지원을 받고 있었다. [92]즉위 직후 미로슬라프스키 가문의 선동으로 가 발생하여 크렘린에 난입, 나르이시킨 가문의 유력자들을 살해했다.[93] 이로 인해 이반 5세가 차르로 세워지고 표트르는 공동 통치자로 강등되었다. 이반의 이복누이 소피아가 섭정으로서 실권을 장악했다.
표트르는 어머니와 함께 모스크바 교외의 프레오브라젠스코예로 거처를 옮겨 의례 때만 크렘린을 방문했다. 표트르의 교육자는 였다.[94] 소년 시절 표트르는 근처 외국인 마을을 자주 드나들며 많은 외국인들과 교류했다.[95] 또한, 를 편성하여 전쟁 놀이에 열중했다.[96][95] 레포르트와 멘시코프를 측근으로 등용한 것도 이 시기이다.[95] 1689년 16세가 된 표트르는 어머니의 권유로 예브도키야 로푸히나와 결혼했지만[97], 그녀를 사랑하지 않았고, 후에 불행한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바실리 폴리츠인 공이 실권을 장악한 소피아의 섭정 정부는 진보적인 정책을 실시하여 대체로 성공적으로 통치했다.[98][99] 그러나 러시아-터키 전쟁의 일환으로 크림 칸국에 대해 1687년과 1689년에 실시된 크림 원정이 실패하면서 불만이 고조되었고,[100] 표트르가 성장하자 나르이시킨 가문 등 지지 세력은 그의 친정을 바랐고 소피아의 섭정 정부와 대립했다. 표트르는 한때 성 삼위일체 세르기우스 수도원으로 피신해야 했다. 1689년 9월, 넬친스크 조약 체결로 소피아는 관료, 군인, 교회의 지지를 잃었고, 표트르에게 정권을 넘겨주었다. 폴리츠인은 유배되었고 소피아는 노보데비치 수녀원에 유폐되었다.[101]
표트르는 처음에는 국정을 어머니 나탈리아를 비롯한 나르이시킨 일족에게 맡기고 외국인 마을을 방문하거나 군사 훈련에 열중하고, 또한 친구들과 어울리며 시간을 보냈다.[102] 1694년 어머니가 사망하자 표트르는 친정을 시작했다. 1696년 이반 5세가 사망하자 단독 통치를 시작했다.
2. 1. 2. 정치적 야인시대
1672년 표트르는 알렉세이 미하일로비치 차르와 그의 두 번째 황후인 나탈리야 키릴로브나 나리시키나 사이에서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어린 시절 아버지를 여읜 그는 이복형 표도르 3세가 일찍 죽자 정신지체 장애를 가진 둘째 형 이반 5세 대신 귀족과 동방 정교회의 지지를 얻어 차르에 올랐다. 그러나 이복누이 소피야 공주가 주도한 쿠데타로 실권을 잃고 소년기와 청년기를 크렘린 밖 외인촌에서 지내야 했다.[92]1682년 표도르 3세가 사망하면서 왕위 계승 분쟁이 발생했다. 이반 5세는 밀로슬랍스키 가문의 지원을 받았지만, 보야르 두마(러시아 귀족 의회)는 표트르를 차르로, 그의 어머니를 섭정으로 선택했다. 그러나 로 인해 표트르의 친척들이 살해되었고, 소피아, 이반의 일족인 밀로슬랍스키 가문과 그들의 동맹은 표트르와 이반을 공동 차르로 선포하고 이반을 연장자로 추대했다. 소피아는 7년 동안 섭정으로 활동하며 권력을 행사했다.[93]
표트르는 프레오브라젠스코예로 추방되어 니키타 조토프 등에게 교육을 받았다.[94] 그는 외국인 마을을 자주 드나들며 외국인들과 교류했고, 를 편성해 전쟁 놀이에 열중했다.[96][95] 레포르트와 멘시코프를 측근으로 등용한 것도 이 시기였다.[95]
1689년 표트르는 예브도키야 로푸히나와 결혼했지만, 결혼 생활은 실패했다. 같은 해, 소피아의 입지는 크림 원정 실패로 약화되었고, 표트르는 소피아로부터 권력을 장악할 계획을 세웠다. 소피아는 결국 폐위되었고, 표트르 1세와 이반 5세는 공동 차르로 활동했다. 표트르는 소피아를 수녀원에 들어가게 했다.[101]
표트르는 처음에는 국정을 어머니에게 맡겼으나, 1694년 어머니가 사망하면서 친정을 시작했다.[102] 1696년 이반 5세가 사망하면서 표트르는 유일한 통치자가 되었다.
2. 1. 3. 전제 군주가 되다
1689년 러시아 차르국이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에서 패배하면서 귀족층이 소피아 정권에 대한 지지를 철회하자, 표트르는 소년병들을 이끌고 쿠데타를 일으켜 소피아를 정교회 수녀원에 유배보내고 국사를 장악하게 된다.[101] 1695년 오스만 제국과의 아조프 전쟁에서 표트르는 포병으로 참전, 함대 건설의 필요성을 느껴 빠른 속도로 함선을 건조하고 해군을 조직하여 1696년 아조프해를 함락시켰다.[9] 같은 해 형 이반 5세가 죽자 표트르는 러시아 차르국의 유일한 전제군주가 되었다.[9]표트르는 이즈마일로보 저택에서 자랐으며, 어린 시절부터 니키타 조토프, 패트릭 고든, 폴 메네시우스 등에게 교육을 받았다. 1676년 아버지 알렉세이 사망 후, 형 표도르 3세가 통치했으나, 1682년 표도르 3세가 사망하면서 왕위 계승 분쟁이 발생했다. 이반 5세와 표트르 1세는 공동 차르로 즉위했고, 소피아가 섭정으로 권력을 행사했다.
1682년부터 1689년까지 표트르와 그의 어머니는 프레오브라젠스코예로 추방되었다. 16세 때 영국 배를 발견하고 항해하는 법을 배웠으며, 외국인 마을에서 외국 전문가를 찾기 시작했다. 앤드류 비니우스와 친구가 되어 네덜란드어를 배웠고, 프란스 티머만과 카르스텐 브란트라는 두 명의 네덜란드 목수도 있었다. 산술, 기하학, 군사 과학(요새)을 공부했으며, 불꽃놀이와 북 치는 것을 좋아했다.
표트르는 페레슬라블-잘레스키에서 조선과 플레셰예보 호에서 항해를 하는 등의 취미에 참여했고, 장난감 군대와 모의 전투를 벌였다. 1689년 에우독시아 로푸히나와 결혼했으나 실패했고, 10년 후 아내를 수녀가 되도록 강요했다.
1689년 여름, 표트르는 소피아로부터 권력을 장악할 계획을 세웠다. 소피아의 입지는 크림 원정 실패로 약화되었다. 표트르는 트로이체-세르기예바 라브라 수도원으로 도망쳐 추종자들을 모았다. 소피아는 폐위되었고, 표트르 1세와 이반 5세는 공동 차르로 활동했다. 표트르는 소피아를 수녀원에 들어가게 강요했다.
1694년 어머니 나탈리아 사망 후, 22세의 표트르는 독립적인 군주가 되었다. 이반 5세는 공동 통치자였지만, 1696년 이반이 사망하면서 표트르는 유일한 통치자가 되었다.
2. 2. 통치와 개혁
표트르 1세는 약 43년간 통치하며 러시아를 근대화하기 위한 광범위한 개혁을 추진했다.[13] 그는 젊은 시절 프로테스탄트적 삶의 방식에 영향을 받아 개혁주의 철학을 형성했다. 그는 러시아 국민을 교육과 계몽의 대상으로 보았으며, 국가를 통해 사회를 발전시켜야 한다고 믿었다.[12]표트르는 군주의 의무를 강조하며, 신민을 돌보고 국가의 이익을 우선시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는 러시아를 서구 국가들과 같은 강국으로 만들고자 했으며, 점진적인 개혁을 통해 이를 실현하려 했다. 또한, 국가 이익을 위해서는 군주가 비도덕적인 행위를 할 수도 있다고 믿었다.[12]
표트르는 포병으로 시작하여 제독까지 군 복무를 수행하며, 신민들에게 모범을 보이고자 했다.[12] 그는 러시아군을 현대적인 방식으로 재편성하고, 러시아 해군을 창설하여 러시아를 해양 강국으로 만들고자 했다. 이를 위해 1695년과 1696년 두 차례에 걸쳐 아조프 원정을 감행하여 아조프 해로의 진출로를 확보했다.
1698년, 표트르는 대사절단을 이끌고 서유럽을 순방하며 선진 문물을 적극적으로 수용했다. 그는 유럽의 관습이 러시아 전통보다 우월하다고 인식하고, 귀국 후 서구화 정책을 강력하게 추진했다. 모든 신하와 관리들에게 유럽식 의복을 입도록 명령하고, 긴 수염을 자르게 했으며, 수염을 기르려면 수염세를 내도록 했다.[36]
또한, 역법을 개정하여 새해 첫날을 9월 1일에서 1월 1일로 변경하고, 기년법을 세계 창조 기원에서 그리스도 탄생 기원으로 바꾸었다.[128] 키릴 문자를 간소화하고 아라비아 숫자를 도입했으며, 민간 문자를 사용하도록 했다.[43]
행정 개혁에도 힘써, 1711년 통치 상원을 설치하고, 1718년에는 9개의 참의회 제도를 도입했다. 지방 행정 구역을 개편하고, 1722년에는 관등표를 제정하여 관료 제도를 확립했다.[130]
경제 발전을 위해 산업화 노력을 시작했다. 광산업과 목재 산업을 중심으로 제조업을 육성하고, 베르그 특권을 제정하여 광산 개발을 장려했다. 제조업자와 장인에게는 세금 및 징집 면제 혜택을 주었다. 데미도프 가문은 서유럽으로 철을 수출한 최초의 러시아 수출업체가 되었다.
표트르는 러시아 정교회에 대한 국가 통제를 강화했다. 1700년 이후 모스크바 총대주교좌를 공석으로 두고, 1721년에는 총대주교직을 폐지하고 성 시노드를 설치하여 교회를 국가 기관의 통제하에 두었다.
1703년, 표트르는 네바 강 하구에 새로운 항구 도시 상트페테르부르크 건설을 시작했다. 이 도시는 백해의 아르한겔스크를 대체하는 새로운 무역항이자 발트 해 무역의 중심지로 계획되었다.[135] 1712년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천도한 후, 대귀족, 상인, 장인들을 이주시켜 도시를 발전시켰다.
2. 2. 1. 서유럽 순방 (대사절단)



표트르 대제는 오스만 제국에 맞서기 위해 유럽 국가들과의 동맹을 추진했다. 1697년 3월, 그는 "대사절단"을 조직하여 18개월간 서유럽을 순방했다.[15] 표트르 대제는 100년 만에 러시아를 떠난 최초의 차르였다.[15] 그는 '표트르 미하일로프'라는 가명을 사용했지만, 큰 키 때문에 사람들을 완전히 속이지는 못했다.
표트르는 프로이센에서 포병 기술을 배우고, 네덜란드에서는 조선 기술을 익혔으며, 영국에서는 수학과 기하학을 공부했다.[18] 그는 해부학과 응용과학에도 관심을 가졌다.
리가에서 스웨덴 사령관 에릭 달베르크는 표트르 대제가 요새를 시찰하는 것을 막았다.[16] 쾨니히스베르크에서 차르는 포병 기술자에게 두 달 동안 수업을 받았다.[17] 1697년 8월 18일, 표트르 대제는 엠메리히 암 라인에서 배를 빌려 자안담에 도착했다.
표트르는 자안담에서 풍차, 제조업, 조선업을 공부했지만, 일주일 만에 떠났다.[19] 그는 암스테르담으로 가서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조선소에서 4개월간 일하며 ''피터와 폴''호 건조를 도왔다. 그는 네덜란드의 배 건축공들이 설계도 없이 눈대중으로 작업하는 것에 불만을 느꼈다.
표트르는 니콜라스 윗센의 도움으로 프레드릭 루이슈를 방문하여 나비를 잡고 보존하는 법을 배웠다.[21] 얀 반 데어 하이덴에게서 소방 호스에 대해 배우고, 안토니 반 레벤후크에게서는 "뱀장어 관찰기"를 받았다.[24]
그러나 당시 유럽 군주들은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에 더 관심이 많았기 때문에, 표트르 대제의 반오스만 동맹 확대는 실패했다.[115]
2. 2. 2. 서유럽화 정책
표트르는 오스만 제국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외국과의 동맹을 강화하고자 서유럽에 사절단을 파견했다. 젊은 귀족들을 포함시켜 서유럽 기술을 배우게 했으며,[109] 자신도 '표트르 미하일로프'라는 가명으로 합류했다. 프로이센에서는 포병 부사관으로 위장해 대포 조작 기술을, 네덜란드에서는 목수로 위장해 선박 건조 기술을, 영국에서는 수학과 기하학을 배웠다. 해부학과 응용과학에도 관심을 보였다.칭기즈 칸의 몽골 제국은 13세기(1237~1240년) 러시아를 포함한 동유럽을 정복했다. 킵차크 칸국으로 이어진 이 지배는 타타르의 멍에라 불리며 240년간 지속되었다. 17세기 표트르 1세 시대에도 몽골 제국 지배의 잔재가 남아 있었고, 표트르는 러시아의 서유럽화를 중시했다. 서유럽보다 발전이 늦은 러시아를 근대화하고자 했다. 귀국 후 여성들에게 서유럽식 짧은 치마를 입게 하고, 무도회에서 술을 마시게 했다. 동양과 청나라의 영향으로 긴 수염을 기르는 사람에게는 수염세를 부과했다.[126] 프로이센을 모델로 상설 행정 기구(12행정원, 군무성, 해군성 등)를 만들고, 관등표를 제정했으며, 성문법전을 만들었다. 서구 학문을 도입하고 키릴 문자를 간소화했으며, 학술원을 세워 학문을 장려했다. 젊은이들을 유럽으로 유학 보내고, 유럽인을 초빙하여 유럽 문화와 기술을 도입했다.[130]
표트르 대제는 약 43년간 통치하며 러시아 근대화를 위한 광범위한 개혁을 실시했다.[13] 러시아군을 현대화하고 해양 강국으로 만들고자 했다. 국내 반발에도 불구하고, 스트렐치(Streltsy), 바시키르(Bashkirs), 아스트라한(Astrakhan) 주민들의 반란과 부라빈 봉기(Bulavin Rebellion)를 진압했다.
표트르는 가족을 유럽 왕족과 결혼시키려 했다. 조카 안나 이바노브나를 쿠를란트 공작 프리드리히 빌헬름과 결혼시켰고, 이를 통해 새 수도 상트페테르부르크를 선보였다. 이탈리아와 독일 건축가들을 고용하여 설계를 맡겼다. 해상 진출을 위해 노력했다. 당시 유일한 진출구는 아르한겔스크의 백해였다. 발트해는 스웨덴, 흑해와 카스피해는 오스만 제국과 사파비 제국이 통제하고 있었다. 흑해와 발트해 접근을 위한 전쟁으로 금속 수요가 증가했다. 표트르는 흑해 장악을 위해 타타르인을 축출하려 했다. 폴란드-리투아니아 연합과의 협정으로 키예프를 할양받고, 크림 칸국과 전쟁을 벌였다. 주요 목표는 아조프 요새 점령이었다. 1695년 아조프 원정은 실패했지만, 1696년 7월 아조프를 점령했다.[14]
1698년 표트르는 측근, 통역, 시계 제작자, 요리사, 사제, 나팔수, 병사, 난쟁이, 원숭이와 함께 빅토리아 엠뱅크먼트에 도착했다. 노퍽 스트리트 21번지에 머물면서 여러 인사를 만나고, 초상화를 그리게 했다. 의회 회의를 지켜보고, 왕립 조폐국을 방문했다.[27] 존 페리 선장과 함께 모의 해전을 관람하고, 함대 사열에 참석했다. 왕립 학회 회원인 존 에블린의 집에 머물렀고, 그리니치 천문대에서 망원경 사용법을 배웠다. 윌리엄 3세는 러시아에서 담배 무역 독점권을 영국 상인들에게 주는 대가로 표트르에게 범선을 선물했다.[34] 1698년 4월 말, 시계 제작법과 관 제작법을 배우고 러시아로 돌아갔다.
이후 라이프치히, 드레스덴으로 이동하여 폴란드 왕비 크리스티아네 에베르하르디네를 만났다. 드레스덴 국립 미술관을 방문하고, 쾨니히슈타인 요새, 프라하, 빈을 방문하여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레오폴트 1세를 알현했다. 라바 루스카에서 아우구스트 2세와 이야기를 나누었다. 6월에 스트렐치 반란 소식으로 방문이 중단되었다. 패트릭 고든 장군이 반란을 진압했고, 표트르는 반란군에게 무자비하게 대처했다.[35] 서구 방문은 표트르에게 유럽 관습이 러시아 전통보다 우월하다는 인식을 심어주었다. 그는 모든 신하와 관리들에게 유럽식 의복을 입도록 명령했고, 긴 수염을 자르게 하여 보야르와 구교도들에게 불만을 샀다.[36] 수염을 기르려는 보야르는 매년 100루블의 수염세를 내야 했다.[37]
- -
1698년, 표트르는 보리스 셰레메체프를 몰타에 파견하여 말타 기사단의 훈련과 능력, 함대를 관찰하게 했다.[38] 1698년 9월 12일, 타간로그에 러시아 최초의 러시아 해군 기지를 설립했다. 1699년, 새해 축하일을 9월 1일에서 1월 1일로 변경했다. 전통적으로 연도는 세계 창조부터 계산되었지만, 표트르의 개혁 이후로는 그리스도 탄생부터 계산하게 되었다.[128] 1699년 르포르 사망 후, 멘시코프가 최측근이 되었다. 1700년, 표트르는 새로운 총대주교 선출을 막았다. 수도원 수를 줄이고, 수도사가 30명 미만인 수도원을 학교나 교회로 개조했다.[39] 그는 통화 시스템의 기초로 십진법을 사용하는 통화 개혁을 실시했다(1698–1704).
표트르는 외국 전문가를 유치하고, 외과 교육 기관을 설립했다. 1701년, 모스크바 수학 및 항해학교가 설립되어 해군 장교, 측량사, 기술자, 포병을 교육했다.[40] 1700년, 얀 테싱은 러시아에 책, 지도, 판화를 인쇄하고 수입하는 독점권을 얻었다.[41] 1701년 그는 표도르 폴리카르포프-올로프를 모스크바 인쇄소의 책임자로 임명했다. 1707년, 네덜란드에서 완비된 인쇄소를 매입했다.[42] 표트르는 키릴 문자를 아라비아 숫자로(1705–1710), 키릴 문자 글꼴을 민간 문자로 대체했다(1708–1710).[43]
1708년,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가 고문이 되었다. 12월, 러시아는 8개 주(''주 (러시아)'')로 나뉘었다.[39] 마트베이 페트로비치 가가린은 시베리아의 초대 주지사였다.[2] 1711년, 통치 상원을 설립했다.[45] 보야르 두마를 폐지하고 10명의 상원 의원으로 구성된 상원을 설립했다. 상원은 사법, 재정, 행정 업무를 감독하는 최고 국가 기관이었다. 오베르-프로쿠라토르는 통치자와 상원 사이의 연결 고리 역할을 했다.
1701년, 1705년, 1712년에 수카레프 탑에 공학 학교를 설립하는 법령을 발표했다.[40] 1714년, 의무 교육을 요구하는 법령을 발표했는데, 러시아 귀족, 정부 서기, 하급 관리의 10세에서 15세 사이의 모든 자녀가 기본 산술, 삼각법, 기하학을 배우고 시험을 치러야 한다고 명시했다.
로버트 어스킨이 궁정 약제사장이 되었고, 요한 다니엘 슈마허는 쿤스트카메라의 서기 겸 사서로 임명되었다. 여름 정원에 국가 최초의 과학 도서관이 개관했다. 아프테카르스키 섬의 개발을 명령했다.[46] 고틀리브 쇼버는 온천을 조사하여 황 매장량을 발견했고, 사마라주에서 개발을 위한 공장을 설립했다. 1721년에 조선소 페트로자보드와 페트로드보레츠 시계 공장이 설립되었다. 표트르 시대에 약 3,500개의 새로운 단어(독일어, 프랑스어, 네덜란드어, 영어, 이탈리아어, 스웨덴어 출신)가 러시아어로 유입되었는데, 그중 약 4분의 1은 선박 및 해군 용어였다.[47]
표트르의 개혁으로 산업화 노력이 시작되었다. 러시아 제조업과 주요 수출품은 광산업과 목재 산업이었다. 1719년, 광부의 특권을 법으로 제정하여 모든 계급의 대표가 광석을 찾고 제련소를 건설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베르그 특권이 제정되었다. 제조업체와 장인은 국가 세금과 징집에서 면제되었고, 그들의 집은 군대 주둔지에서 면제되었다. 이 법은 공장 소유권의 상속을 보장하고, 산업 활동을 국가적으로 중요한 문제로 선포하고, 지역 당국이 그들의 업무에 간섭하는 것을 막았다. 광산 대학을 설립하고, 광산 및 야금 산업과 지역 행정을 관리했다. 데미도프 가문은 철을 서유럽으로 수출한 최초의 러시아 수출업체가 되었다. 1721년, 귀족 계급에 관계없이 공장주가 농노를 살 수 있도록 허용하는 법령이 발표되었다.
1716년 1월, 표트르는 발트 해 지역을 여행하며 평화 협상과 해상 무역로 보호 방안을 논의했다. 리가, 쾨니히스베르크, 단치히를 방문했다. 그의 조카 예카테리나 이바노브나는 메클렌부르크슈베린 공작과 결혼했다. 비스마르를 포위 공격한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의 지원을 받았다. 연합 함대를 이끌고 코펜하겐으로 항해했다. 비텐베르크에서는 루터가 살았던 수도원을 방문했다. 5월에는 바트 피르몬트에서 라이프니츠를 만났다.[51]
12월 초, 암스테르담에 도착하여 니콜라스 비첸을 방문했다. 프레데릭 루이스, 레비누스 빈센트, 알베르투스 세바의 해부학 및 식물표본 수집품을 구입했다. 마리아 시빌라 메리안 등의 그림을 쿤스트카메라를 위해, 렘브란트의 "다윗과 요나단"을 페테르호프 궁전을 위해 구입했다. 새벽 5시에 헤르만 부어하베에게 받아들여져 라이덴 식물원을 보았다. 4월 1717년에 오스트리아 네덜란드, 됭케르크, 칼레로 여행을 계속했다. 파리에서는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 회원이 되고자 요청했으며, 의회, 소르본, 몽테뉴 부인을 방문했다. 생클루 궁전, 베르사유의 쁘띠 트리아농, 퐁텐블로 궁전, 스파를 거쳐 마스트리흐트로 여행했다. 8월 15일 프랑스와 프로이센과의 조약에 참석하기 위해 암스테르담으로 돌아갔다.[53] 1717년 9월 초 베를린으로 향했다. 10월에 상트페테르부르크로 돌아왔다.[42] 1719년에 신 홀란드 섬이 조성되었다.
러시아 해군은 강력하여 러시아가 스웨덴에 침투할 수 있었다. 칼 12세는 항복을 거부했고, 1718년 전투에서 사망한 후에야 평화가 가능해졌다. 그렌감 전투 이후, 스웨덴은 1720년까지 러시아를 제외한 모든 강대국과 평화를 맺었다. 1721년, 뉘스타드 조약으로 대북방 전쟁이 끝났다. 러시아는 인그리아, 에스토니아, 리보니아, 카렐리아의 상당 부분을 획득했다. 대신 러시아는 200만 리크스달러를 지불하고 핀란드의 대부분을 할양했다.
표트르는 비국교도들에게 관심을 가지고 퀘이커교도와 멘노파 교인들의 모임에 참석했다. 기적을 믿지 않았고, 열여덟 살 때 모든 농담, 모든 술 취한 어리석은 자들과 광대들의 시노드[57]를 설립하여 정교회와 가톨릭교회를 조롱했다. 1695년 1월, 전통적인 러시아 정교회의 주현절 의식에 참여하기를 거부했고, 종종 모든 농담, 모든 술 취한 어리석은 자들과 광대들의 시노드의 행사 일정을 교회 행사와 충돌하도록 잡았다.[58]
표트르는 러시아 정교회 신앙으로 자랐지만, 정부의 통제 아래 있던 교회의 위계질서에 대해서는 낮게 평가했다. 교회의 전통적인 지도자는 모스크바 총대주교였다. 1700년, 그 직책이 공석이 되자 대체 인물을 임명하기를 거부하고, 총대주교의 보좌에게 직책의 의무를 수행하도록 허용했다. 필라렛(1619~1633)과 니콘(1652~1666)의 경우처럼, 총대주교가 차르보다 우월한 권력을 행사하는 것을 용납할 수 없었다. 알렉산드르 네프스키 수도원은 1710년부터 1712년 사이에 건설되었고, 성 베드로와 바울 대성당은 1712년부터 1733년 사이에 건설되었다. 1716년 경건주의자이자 천문학자인 테오판 프로코포비치를 수도로 초청했다. 1721년의 「교회 규정」은 아우구스트 헤르만 프랑케의 사상을 기반으로 한다. 표트르 대제의 교회 개혁은 총대주교직을 폐지하고, 검찰관의 통제하에 있는 성 시노드로 대체했다.
1721년, 표트르는 프로코포비치의 조언에 따라 성 시노드를 10명의 성직자로 구성된 의회로 설계했다. 표트르는 러시아 남성이 50세 이전에 수도원에 들어갈 수 없다는 법을 시행했다.[59]
1697년 3월부터 1698년 8월까지 표트르는 약 250명의 사절단을 구성하여 유럽에 파견했고, 자신도 표트르 미하일로프라는 가명으로 사절단 일원이 되었다. 이 사절단의 목적은 군사 및 과학 기술 등 유럽 문명을 흡수하고, 오스만 제국에 대한 군사 동맹을 타진하는 것이었다.[109]
주로 네덜란드 연방 공화국(네덜란드)의 암스테르담(4개월 반)과 잉글랜드 왕국의 런던(3개월)에 장기 체류했고, 브란덴부르크-프로이센의 쾨니히스베르크, 작센 선제후령의 드레스덴, 합스부르크 제국의 빈에도 들렀다. 잉글랜드 국왕 겸 네덜란드 총독 윌리엄 3세, 작센 선제후 겸 폴란드-리투아니아 공화국 국왕 아우구스트 2세, 신성 로마 황제 레오폴트 1세와 회담을 가졌다.
암스테르담에서는 조선 기술 습득에 전념하여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소유의 조선소에서 직접 조선 기술자로 일했다.[112] 병원, 박물관, 식물원을 시찰하고, 치과 치료와 인체 해부를 참관했다. 특히 치과 치료에 강한 관심을 보였고, 기본적인 발치술을 배우고 발치 기구를 사들였으며 귀국 후에는 신하들의 충치를 마취 없이 뽑는 것을 취미로 삼았다.[113] 런던에서는 왕립 해군 조선소에 다니고, 천문대, 왕립 학회, 대학, 무기고 등을 방문했다. 또한 귀족원 본회의와 영국 해군의 함대 훈련도 참관했다.
표트르는 많은 상품과 무기를 사들였고, 1000명의 군사 및 기술 전문가를 고용하여 그 지식을 러시아인들에게 가르치게 했다.[114] 그러나 군사 동맹 제의는 당시 서유럽의 관심이 오스만 제국보다 임박한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에 집중되어 있었기 때문에 실패했다.[115]
표트르는 어린 시절부터 군사훈련에 열중하여 근위군의 핵심이 되는 연대를 조직하였다.[122] 초기부터 해군을 창설하여 1696년 함대로 아조프를 함락시켰고, 해군에 힘썼다. 1700년 나르바 전투에서의 패배는 러시아 육해군의 장비와 훈련 부족을 절감하게 하였다. 해군성과 포병학교를 설립하고, 소총, 대포, 군함의 증산을 진행했다. 1705년에는 종신형 징병제도를 도입하여 신설 군대의 병사들은 서구식 훈련을 받았다.[123]
1698년 본국에 귀환하자 서구화 개혁의 시작을 알리듯 대귀족들의 수염을 깎게 하고, 수염에 세금을 부과하였다. 신하와 관리들에게도 서구식 정장을 의무화하였고, 1700년에는 역법을 개정하여 천지개벽 기원에서 기독교 기원(서력/서기)으로 바꾸고, 새해를 9월 1일에서 1월 1일로 변경하였다. 1702년에는 궁정 개혁에 착수하여 여성 황족들이 따랐던 엄격한 행동 제한을 폐지하고 궁정 행사 참석을 명령했다.
행정 개혁으로, 스웨덴을 비롯한 유럽 여러 나라를 모델로 정비되었다.[129] 중앙 정부에서는 1711년 원로원이 설치되었다. 1718년에는 행정 구역이 개혁되어 역할에 따라 나눈 9개의 참의회 제도로 재편되었다. 지방 행정에서는 1708년 국내를 8개의 도(県)로 나누었으나, 1719년에 45개의 주(州)로 세분하여 통치하였다. 1722년에는 관등표를 제정하여 국가 관료를 문관과 무관으로 나누어 14등급으로 평가하고 관료 제도를 확립하였다.[130]
경제 정책에도 적극적이었으며, 관영 공장 설립과 산업 보호 육성 정책도 채택되었다. 오랜 대규모 전쟁과 새로운 수도 건설을 위한 막대한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다양한 물품에 세금을 부과하였다. 효율적인 인두세 제도가 1718년부터 시행되었다. 무거운 세금 부담과 조직 개혁은 일반 백성들의 반발을 불러일으켰고, 돈 코사크 군과 농민 봉기 등의 반란이 잇달았다.[131]
귀족과 교회에 대해서는 개혁을 통해 차르와 국가에 대한 복종을 요구하였다.
귀족에 대해서는 작위 제도가 도입되어, 오래된 대귀족의 칭호는 폐지되었다. 1714년에는 영토의 분할 상속 제도를 금지하고 장자 상속 제도로 전환시켰기 때문에, 장남 이외의 귀족 자녀들은 생계를 위해 군이나 정부에서 근무하는 것을 사실상 강요받았다.[133] 국가 공무원은 관등표에 따라 3종 14등급으로 분류되었다. 국가 봉사를 위해서는 교육이 필수적이었고, 그들을 위해 실업학교 등 다양한 교육 기관이 설립되었다.
러시아 정교회에 대해서도 국가에 의한 관리를 철저히 하였다. 잉글랜드 국교회의 제도를 본뜬 것으로 생각된다. 1700년 이후 모스크바 총대주교좌는 공석으로 남았고, 교회가 가지고 있던 면세 특권도 박탈되었다. 1720년에는 총대주교좌 폐지에 나서 교회를 성무회의원이라는 국가의 세속 기관의 관할 아래 두었다.
1703년 잉그리아 지방을 점령하자 네바 강 하구의 델타 지대에 항구 도시 건설을 시작했다. 표트르는 이 도시에 "성 베드로의 도시"를 뜻하는 상트페테르부르크(Санкт-Петербург)라는 독일어 이름을 붙였다. 표트르는 베드로(Петр)의 러시아어 형태이며, 이 도시 이름은 사실상 자신의 이름을 딴 것이었다. 이 도시는 백해의 아르한겔스크를 대체하는 새로운 무역항으로, 발트해 무역 루트의 중계 지점 역할을 기대받았다.[135] 그러나 이 일대는 습지였고, 지반이 약해 홍수도 빈번했기 때문에, 연간 수만 명의 노동력과 막대한 양의 돌을 동원하여 대규모 기초 공사를 진행했다.[136] 1712년 공사가 완료되자 표트르는 이 도시로 천도하고, 대귀족과 부유한 상인, 장인들을 이주시켰다. 1714년에는 인구 3만 4천 명, 그 10년 후에는 7만 명에 달하며 수도로서의 위용을 갖추어 갔다.[138]
2. 3. 전쟁
표트르 1세는 해상 진출을 위해 노력했다. 당시 러시아의 유일한 항구는 아르한겔스크였으나, 백해에 위치하여 겨울에는 얼어붙는다는 단점이 있었다. 남쪽의 흑해와 카스피해는 각각 오스만 제국과 사파비 왕조가 통제하고 있었고, 북쪽의 발트해는 스웨덴이 장악하고 있었다.1695년 표트르는 흑해로 진출하기 위해 돈강 하구의 아조프를 공격하는 아조프 원정을 감행했다. 표트르 자신도 포병 하사관으로 참전했으나, 오스만 해군의 방해로 아조프 요새 함락에는 실패했다.[105]
이후 표트르는 해군 육성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보로네시에 조선소를 건설, 단 5개월 만에 갤리선과 폐쇄선 27척, 평저선 약 1300척으로 구성된 함대를 건조했다.[106] 이것이 러시아 해군의 시초이다.[107] 1696년 재개된 아조프 원정에서 표트르는 직접 갤리선을 타고 참전, 러시아군의 수륙 합동 작전으로 아조프를 함락시키고 흑해 진출의 교두보를 마련했다.[108] 그러나 아조프해는 흑해의 일부에 불과했고, 흑해 전체를 장악하기 위해서는 오스만 제국과의 추가적인 전쟁이 불가피했다.
1699년, 표트르는 폴란드의 아우구스트 2세, 덴마크-노르웨이의 프레데리크 4세와 반스웨덴 동맹(북방 동맹)을 결성하고 발트해 진출을 모색했다. 1700년 대북방전쟁이 발발하자, 콘스탄티노폴리스 조약으로 러시아-튀르키예 전쟁을 종결짓고 스웨덴과의 전쟁에 돌입했다. 그러나 나르바 전투에서 카를 12세가 이끄는 스웨덴군에게 대패했다.
1708년 카를 12세가 러시아를 침공하고 우크라이나 코사크의 수장 이반 마제파와 동맹을 맺었으나, 1709년 폴타바 전투에서 표트르는 겨울 장군과 초토화 전술을 활용하여 스웨덴군을 격파했다. 카를 12세는 오스만 제국으로 도피했고, 표트르는 이 기회를 틈타 친러 성향의 아우구스트 2세를 폴란드 왕위에 복귀시키고 카렐리야와 리보니아를 점령했다.
1718년 스웨덴과 휴전 협상을 시작했으나, 카를 12세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협상은 중단되었다.[118] 발트해 연안을 장악한 표트르는 스웨덴 본토를 직접 공격하며 압박을 가했다. 비록 러시아군의 스웨덴 본토 공격은 저지되었으나, 이는 스웨덴에게 큰 압박이 되었다.[119] 결국 1721년 니스타드 조약이 체결되면서 대북방전쟁은 러시아의 승리로 막을 내렸다. 러시아는 핀란드를 제외한 발트해 연안 대부분 지역을 획득했다.
1722년에는 조지아의 카르틀리 왕국과 동맹을 맺고 사파비 왕조 페르시아 제국을 공격하여 카스피해 연안 영토를 획득하는 상트페테르부르크 조약을 체결했다. 또한 오스만 제국과도 콘스탄티노폴리스 조약을 체결하여 중앙아시아 지역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려 했다.
2. 3. 1.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
표트르 1세는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에서 승리하여 아조프를 획득하였으나, 이후에도 오스만 제국과의 관계는 긴장 상태를 유지했다. 1717년 알렉산드르 베코비치 체르카스키가 이끄는 러시아 군대가 히바 칸국을 공격했으나, 전멸하는 참패를 당했다.[109]1722년, 표트르 1세는 약화된 사파비 왕조 페르시아의 상황을 이용하여 러시아-페르시아 전쟁을 일으켰다. 이 전쟁은 "표트르 대제의 페르시아 원정"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카프카스와 카스피해 지역에서 러시아의 영향력을 크게 확대하고 오스만 제국의 영토 확장을 저지하는 데 기여했다. 러시아는 데르벤트, 시르반, 길란, 마잔다란, 바쿠, 아스트라바드 등 여러 영토를 획득했다. 그러나 이 영토들은 12년 후 나디르 샤가 이끄는 페르시아에 의해 레슈트 조약과 간자 조약을 통해 반환되었으며, 이는 오스만 제국에 대한 러시아-페르시아 동맹의 결과였다.[115]
2. 3. 2. 스웨덴과의 대결 (대북방 전쟁)
발트해로 진출하고자 했던 표트르는 1700년 스웨덴의 칼 12세에 대항해 덴마크, 폴란드와 동맹을 맺고 대북방전쟁을 시작했다. 전쟁 초기 나르바 전투에서 칼 12세가 이끄는 스웨덴 군에게 크게 패했지만, 표트르는 군을 재정비하여 다시 스웨덴에 도전했다. 1709년 폴타바 전투에서 칼 12세가 지휘하던 스웨덴 군을 크게 격파했다. 칼 12세는 오스만 제국으로 도주하여 동맹을 맺었고, 1710년 오스만 제국은 러시아 차르국에 선전포고를 했다.
표트르는 1711년 오스만 제국의 도전에 맞서기 위해 남쪽으로 병력을 이동시켰다. 그러나 왈라키아(루마니아), 세르비아, 몰다비아 등의 지원을 받지 못하고 프루트 강변에서 오스만군에게 포위되어 항복했다. 아조프와 흑해 함대를 넘겨주고, 칼 12세는 무사히 고국으로 돌아갈 수 있었다.
칼 12세는 전쟁을 10여년이나 계속했지만, 표트르는 상트페테르부르크와 조선소에 강력하고 현대적인 해군을 조직했다. 1719년 당시 ‘해상의 왕자’라고 불리던 국가도 두려워할 정도였다. 표트르는 이 함대로 1714년 항코 해전에서 스웨덴 함대를 격파하고 핀란드를 강타, 스웨덴 본국으로 진군했다. 1718년 칼 12세가 후사 없이 전사했고, 프레드리크 1세는 러시아에 강화를 요청해 1721년 대북방전쟁은 러시아의 승리로 끝났다. 스웨덴을 정복한 결과 고대 노브고로드 공화국의 영토를 회복했고 발트 해 연안에서 강대국으로 자리매김했다. 이를 발판으로 유럽 여러 나라와의 관계를 공고히 했으며, 러시아 차르국은 러시아 제국으로 선포되었다. 표트르는 임페라토르(황제) 칭호를 받았다.
2. 3. 3. 페르시아 원정
1722년, 존 벨은 표트르 1세와 함께 카스피해 근처 데르벤트 도시로의 군사 원정에 동행했다. 한때 강력했던 남쪽의 페르시아 사파비 왕조는 심각한 쇠퇴기에 있었다. 표트르는 유리한 상황을 이용하여 1722-1723년 러시아-페르시아 전쟁을 시작했는데, 이 전쟁은 "표트르 대제의 페르시아 원정"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카프카스와 카스피해 지역에서 러시아의 영향력을 크게 증가시켰고, 오스만 제국이 이 지역에서 영토를 확장하는 것을 막았다.[13] 카프카스와 페르시아 북부 본토에서 많은 주와 도시를 점령하는 상당한 성공을 거둔 후, 사파비 왕조는 러시아에 데르벤트, 시르반, 길란, 마잔다란, 바쿠, 아스트라바드를 포함한 영토를 넘겨줄 수밖에 없었다. 12년 안에 모든 영토는 나디르 샤가 이끄는 페르시아에 레슈트 조약, 간자 조약의 일부로, 그리고 오스만 제국에 대한 러시아-페르시아 동맹의 결과로 반환되었는데, 오스만 제국은 양국 모두의 공통된 적이었다.[13]2. 4. 만년
표트르 1세는 두 명의 부인에게서 15명의 자녀를 두었으나, 대부분 유아기에 사망하고 알렉세이 페트로비치 (황태자), 안나 페트로브나, 엘리자베타 페트로브나 3명만이 성인이 되었다. 첫 번째 부인 유독시아 로푸히나와의 사이에서는 아들 알렉세이 페트로비치 (황태자)를 포함한 3명의 자녀를 두었고, 두 번째 부인 예카테리나 1세와의 사이에서는 안나 페트로브나, 엘리자베타 페트로브나를 포함한 12명의 자녀를 두었다.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유독시아 로푸히나 사이에서 | |||
알렉세이 페트로비치 (황태자) | 1690년 2월 18일 | 1718년 6월 26일 (28세) | 1711년 결혼,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의 샤를로테 크리스티네; 자녀 표트르 2세 |
알렉산데르 페트로비치 | 1691년 10월 13일 | 1692년 5월 14일 (7개월) | |
파벨 페트로비치 | 1693년 | 1693년 | |
예카테리나 1세 사이에서 | |||
페테르 페트로비치 | 1704년 겨울 | 1707년 | 부모의 공식 결혼 전에 태어나고 사망함 |
파벨 페트로비치 | 1705년 10월 | 1707년 | 부모의 공식 결혼 전에 태어나고 사망함 |
예카테리나 페트로브나 | 1707년 2월 7일 | 1708년 8월 7일 | 부모의 공식 결혼 전에 태어나고 사망함 |
안나 페트로브나 | 1708년 1월 27일 | 1728년 5월 15일 | 1725년 결혼, 홀슈타인-고토르프 공작 카를 프리드리히; 자녀 표트르 3세 (러시아). |
엘리자베타 페트로브나 | 1709년 12월 29일 | 1762년 1월 5일 | 1742년 추정 결혼, 알렉세이 라주모프스키; 자녀 없음 |
마리아 나탈리아 페트로브나 | 1713년 3월 20일 | 1715년 5월 17일 | 리가에서 출생 |
마르가리타 페트로브나 | 1714년 9월 19일 | 1715년 6월 7일 | |
페테르 페트로비치 (1715-1719) | 1715년 11월 9일 (율리우스력) | 1719년 5월 6일 | |
파벨 페트로비치 | 1717년 1월 13일 | 1717년 1월 14일 | 베젤에서 |
나탈리아 페트로브나 (러시아 대공녀) | 1718년 8월 31일 | 1725년 3월 15일 | |
페테르 페트로비치 | 1723년 10월 7일 | 1723년 10월 7일 | |
파벨 페트로비치 | 1724년 | 1724년 |
표트르 1세는 1703년 잉그리아 지방을 점령하고 네바 강 하구에 상트페테르부르크 건설을 시작했다.[135] 이 도시는 백해의 아르한겔스크를 대체하는 새로운 무역항이자 발트해 무역의 중심지로 계획되었다.[135] 습지였던 이 지역의 건설을 위해 연간 수만 명의 노동력과 막대한 양의 돌이 동원되었다.[136][137] 1712년 공사가 완료되자 표트르는 천도를 단행하고 귀족, 상인, 장인들을 이주시켰다.[138]
2. 4. 1. 상트페테르부르크 건설
1703년 표트르 1세는 북방 전쟁의 결과로 획득한 발트해 연안의 불모지에 상트페테르부르크 건설을 시작했다.[26] 바닷가의 황량한 불모지에 건설되는 도시라 건설이 어려웠으나, 표트르는 옛 수도 모스크바를 벗어나 어느 나라에도 뒤지지 않는 화려한 수도를 건설하기를 원하여 많은 인명과 물자의 손실을 감수하면서 수도 건설을 진행했다.2. 4. 2. 철권 통치와 권력 승계
만년에 표트르는 새 수도 상트페테르부르크 건설에 몰두하였다. 상트페테르부르크는 북방 전쟁의 결과로 획득한 발트해 연안의 불모지에 1703년부터 건설되기 시작했다. 바닷가의 황량한 불모지에 건설되는 도시라 건설이 어려웠으나, 표트르는 옛 수도 모스크바를 벗어나 어느 나라에도 뒤지지 않는 화려한 수도를 건설하기를 원하여 많은 인명과 물자의 손실을 감수하면서 수도 건설을 진행했다.토목 공사에 지친 민중들의 마음이 사나워져서 반란이 일어나자, 표트르는 비밀경찰을 통해 많은 반대자들을 처형했다. 반란에 가담한 자들 중에는 표트르 황제의 외아들 알렉세이 페트로비치 황태자도 포함되어 있었다. 알렉세이 페트로비치 황태자는 아버지 표트르 황제가 러시아의 정신을 서유럽에 팔아넘긴다고 생각해 암살하려다 발각되자 빈을 거쳐 나폴리로 망명했다. 하지만 표트르가 보낸 사신의 거짓말에 속아 귀국하여, 재판을 받고 황태자직을 박탈당했으며 1718년 고문 후유증으로 옥중에서 죽었다.[2]
제위는 알렉세이의 아들 표트르(뒷날의 표트르 2세)가 상속받아야 했으나, 그가 너무 어리다는 이유로 표트르는 두 번째 황후 예카테리나를 제위 계승자로 책봉했다. 그러나 이는 여성의 제위 계승권을 부인하는 러시아 전통에도 맞지 않았고, 예카테리나 황후의 혈통(발트해 지방의 독일계 평민)도 문제가 되었으나 표트르는 강권으로 이를 밀어붙였다. 그러던 중 1724년 12월, 상트페테르부르크 건설 현장을 배를 타고 순시하던 표트르는 한 병사가 물에 빠진 것을 보고 그를 구하려고 친히 물에 뛰어들었다가 폐렴에 걸린 것이 원인이 되어 다음해 2월 8일 사망했다. 황후 예카테리나가 제위를 계승하여 예카테리나 1세로 즉위했다.[3]
표트르 1세는 두 명의 부인 사이에서 15명의 자녀를 두었는데, 유독시아 로푸히나와의 사이에서 3명, 예카테리나 1세와의 사이에서 12명을 두었다. 여기에는 '파벨'이라는 이름의 아들 4명과 '페테르'라는 이름의 아들 3명이 포함되어 있었으나 모두 유아기에 사망했다. 성인이 된 자녀는 알렉세이 페트로비치, 안나 페트로브나, 엘리자베타 페트로브나 3명뿐이었다. 손주는 알렉세이를 통해 표트르 2세와 나탈리아 대공녀, 안나를 통해 표트르 3세 등 단 3명뿐이었다.[4]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유독시아 로푸히나 사이에서 | |||
알렉세이 페트로비치 (황태자) | 1690년 2월 18일 | 1718년 6월 26일 (28세) | 1711년 결혼,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의 샤를로테 크리스티네; 자녀 표트르 2세 |
알렉산데르 페트로비치 | 1691년 10월 13일 | 1692년 5월 14일 (7개월) | |
파벨 페트로비치 | 1693년 | 1693년 | |
예카테리나 1세 사이에서 | |||
페테르 페트로비치 | 1704년 겨울 | 1707년 | 부모의 공식 결혼 전에 태어나고 사망함 |
파벨 페트로비치 | 1705년 10월 | 1707년 | 부모의 공식 결혼 전에 태어나고 사망함 |
예카테리나 페트로브나 | 1707년 2월 7일 | 1708년 8월 7일 | 부모의 공식 결혼 전에 태어나고 사망함 |
안나 페트로브나 | 1708년 1월 27일 | 1728년 5월 15일 | 1725년 결혼, 홀슈타인-고토르프 공작 카를 프리드리히; 자녀 표트르 3세 (러시아). |
엘리자베타 페트로브나 | 1709년 12월 29일 | 1762년 1월 5일 | 1742년 추정 결혼, 알렉세이 라주모프스키; 자녀 없음 |
마리아 나탈리아 페트로브나 | 1713년 3월 20일 | 1715년 5월 17일 | 리가에서 출생 |
마르가리타 페트로브나 | 1714년 9월 19일 | 1715년 6월 7일 | |
페테르 페트로비치 (1715-1719) | 1715년 11월 9일 (율리우스력) | 1719년 5월 6일 | |
파벨 페트로비치 | 1717년 1월 13일 | 1717년 1월 14일 | 베젤에서 |
나탈리아 페트로브나 (러시아 대공녀) | 1718년 8월 31일 | 1725년 3월 15일 | |
페테르 페트로비치 | 1723년 10월 7일 | 1723년 10월 7일 | |
파벨 페트로비치 | 1724년 | 1724년 |
표트르 1세에 대한 평가는 엇갈린다. 긍정적 평가와 부정적 평가가 공존하며, 시대와 관점에 따라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3. 평가
표트르 1세는 스스로를 뛰어난 외과의사이자 치과의사라고 생각했다. 병에 걸린 측근들은 황제가 수술 도구를 들고 나타나는 것을 두려워했으며,[150] 그의 사후에는 그가 뽑은 신하들의 이빨이 가득 담긴 자루가 발견되기도 했다.[151] 그는 대북방 전쟁의 라이벌이었던 칼 12세의 사망 소식에 경의를 표하며 묵념하기도 했다.[152]
표트르 대제의 유산은 러시아 지식인들 사이에서 항상 주요 관심사였다. 그의 개혁이 사회적으로 국가를 분열시키고 정신적으로 약화시켰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리아사놉스키는 신/적그리스도, 교육자/무지한 자, 러시아 위대함의 건축가/국가 문화의 파괴자, 조국의 아버지/평범한 사람들의 재앙 등 흑백 이미지의 "역설적인 이분법"을 지적한다.[12] 구교도는 달력 변경과 인두세 때문에 그를 적그리스도로 여겼다. 반면, 볼테르는 1759년 전기를 통해 표트르 1세를 계몽주의적 인물로 묘사했고, 알렉산더 푸시킨은 1833년 시 "청동 기마상"에서 창조주 신과 같은 강력한 이미지를 부여했다.[65][66][67] 19세기 중반 슬라보필들은 표트르의 서구화를 비난했다.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영어은 "그가 러시아와 서구 국가들 사이의 격차를 완전히 메우지는 못했지만, 국민 경제와 무역, 교육, 과학, 문화, 외교 정책 발전에 상당한 진전을 이루었다. 러시아는 유럽의 강대국이 되었다."라고 평가한다.[75]
역사 서술에서 문화적 전환은 외교, 경제, 헌법 문제를 축소했지만, 건축(페트린 바로크)과 복장 등에서 표트르의 새로운 문화적 역할이 발견되었다. 제임스 크래크래프트는 표트르의 군사, 해군, 정부, 교육, 건축, 언어 등 내부 개혁을 포함하는 페트린 혁명이 본질적으로 문화 혁명이었으며, 러시아 제국의 기본 헌법과 발전에 심대한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한다.[76] 수세기 동안 러시아 시각 문화를 특징지었던 성인들의 상징적 표현은 사실적인 초상화로 바뀌었다.[47]
3. 1. 긍정적 평가
표트르 1세는 러시아를 서구화하고 근대화한 개혁 군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다. 그는 러시아를 유럽의 강대국으로 만들기 위해 경제, 사회, 정치, 군사 등 다방면에 걸쳐 광범위한 개혁을 추진했다.[72]
젊은 시절 표트르 1세는 프로테스탄트적 가치관의 영향을 받아 실용주의적 개혁 철학을 형성했다.[12] 그는 국가를 이상적인 도구로 여기고, 국민을 교육하고 발전시켜 사회 전체에 유용한 존재로 만드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12] 그는 군주의 의무를 강조하며, 백성을 돌보고 국가의 이익을 우선시해야 한다고 믿었다.[12]
표트르 1세는 최하위 계급부터 시작하여 해군 복무를 수행하며, 끊임없는 노력과 용감한 행동으로 신민들에게 모범을 보였다.[12] 그는 "한 손에는 칼을, 다른 한 손에는 깃펜을 잡도록 강요받았다"라는 비유처럼, 군사적 능력과 학문적 소양을 겸비한 지도자였다.[12]
표트르 1세는 203cm의 장신에 뛰어난 근력과 손재주를 가진 인물이었다.[148] 그는 은접시를 돌돌 말아 관으로 만들 수 있을 정도의 괴력을 소유했으며,[148] 뗏목, 의자, 식기 등 다양한 물건을 직접 만들 정도로 손재주가 뛰어났다.[89][150] 그는 14가지 기술을 습득하고, 새로운 기술을 빠르게 배우는 등 다재다능한 면모를 보였다.[89][150]
표트르 1세는 스스로를 뛰어난 외과의사이자 치과의사라고 생각했으며, 실제로 신하들의 이를 뽑기도 했다.[150][151] 그의 사후에는 그가 뽑은 신하들의 이빨이 담긴 자루가 발견되기도 했다.[151]
대북방 전쟁의 라이벌이었던 칼 12세의 사망 소식에 표트르 1세는 경의를 표하며 묵념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152]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은 표트르 1세가 국민 경제, 무역, 교육, 과학, 문화, 외교 정책 발전에 상당한 진전을 이루었으며, 러시아를 유럽의 주요 강대국으로 만들었다고 평가한다.[75]
3. 2. 부정적 평가
표트르 1세의 유산은 러시아 지식인들 사이에서 항상 주요 관심사였다. 표트르 1세는 때때로 평가받는 것보다 훨씬 복잡한 인물로 여겨진다. 일부는 그의 개혁이 사회적으로 국가를 분열시키고 정신적으로 약화시켰다고 믿는다.[12] 리아사놉스키는 신/적그리스도, 교육자/무지한 자, 러시아 위대함의 건축가/국가 문화의 파괴자, 조국의 아버지/평범한 사람들의 재앙 등 흑백 이미지의 "역설적인 이분법"을 지적한다. 구교도에게 그는 달력 변경과 인두세 때문에 적그리스도로 여겨졌다.
서구 작가들과 정치 분석가들은 표트르 대제의 "증언" 또는 비밀 유언을 이야기했는데, 이는 콘스탄티노플, 아프가니스탄, 인도 정복을 통한 세계 지배를 위한 러시아의 대악행 계획을 드러낸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이는 1812년 러시아 침공을 시작했을 때 나폴레옹의 명령으로 파리에서 위조된 것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외교 정책계에서 인용되고 있다.[68]
공산주의자들은 마지막 로마노프들을 처형했고, 미하일 포크로프스키와 같은 역사학자들은 전체 왕조에 대해 강력하게 부정적인 견해를 제시했다. 그러나 스탈린은 표트르가 국가, 전시, 외교, 산업, 고등 교육 및 정부 행정을 강화한 것을 칭찬했다. 스탈린은 1928년에 "서구의 더 발전된 국가들과 씨름해야 했던 표트르 대제가 군대를 공급하고 국가 방어를 강화하기 위해 공장에서 열심히 일을 벌일 때, 이것은 후진성의 틀에서 벗어나려는 독창적인 시도였다"고 썼다.[69] 결과적으로 소비에트 역사학은 긍정적인 업적과 평범한 사람들을 억압한 부정적인 요소 모두를 강조한다.[70]
1991년 공산주의 몰락 이후 러시아와 서구의 학자들과 일반 대중은 표트르와 그의 러시아 역사상의 역할에 대해 새로운 관심을 기울였다. 그의 통치는 이제 러시아 제국 과거의 결정적인 형성 사건으로 여겨진다. 그가 전제 정치 국가를 강화했는지, 아니면 차르 정권이 작은 관료제를 감안할 때 충분히 국가주의적이지 않았는지와 같은 많은 새로운 아이디어가 등장했다.
역사가 Y. 보다르스키는 1993년에 표트르가 "국가를 가속화된 경제, 정치 및 사회 발전의 길로 이끌지 않았고, 여러 단계를 거쳐 '도약'을 강요하지 않았다... 오히려 이러한 행동은 러시아의 진보에 최대한 제동을 걸고 1세기 반 동안 억제하는 조건을 만들었다!"고 말했다.[73] 스탈린이 칭찬했던 전제 권력은 예브게니 아니시모프에게는 책임으로 보였는데, 그는 표트르가 "행정 명령 시스템의 창시자이자 스탈린의 진정한 조상"이라고 불평했다.[74]
3. 3. 더불어민주당 관점에서의 평가
표트르 1세는 젊은 시절 프로테스탄트적 삶의 방식을 받아들여 개혁주의 철학을 형성하였다. 그는 러시아 국민을 무지하고 게으르다고 여겼으며, 국가의 역할을 통해 폭력과 공포를 통해서라도 교육하고 사회에 유용한 신민으로 변화시켜야 한다고 생각했다.[12]
표트르 1세는 군주의 의무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신민을 돌보고, 보호하며, 그들의 이익을 위해 일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는 러시아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여겼으며, 러시아를 서구 국가들과 같은 강국으로 만드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그는 점진적인 개혁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믿었으며, 이를 위해 독재자의 의지가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또한, 국가 이익을 위해서는 살인, 폭력, 위조, 기만도 허용될 수 있다고 믿었다.[12]
그는 최하위 계급에서 시작하여 해군 복무를 수행하면서 끊임없는 노력과 용감한 행동으로 신민들에게 모범을 보이고, 조국에 대한 봉사에 헌신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12] 그는 "한 오른손으로 칼과 깃펜을 잡도록 강요받았다"라고 표현할 정도로 헌신적인 모습을 보였다.
4. 유산
표트르 1세는 경쟁과 개인적 성공을 중시하는 프로테스탄트적 가치관을 받아들여 자신의 개혁주의 철학을 형성하였다. 그는 러시아 국민을 게으르고 무지하며, 아이와 같다고 여겼다. 하지만, 국가의 사회적 역할을 높이 평가하여, 폭력과 공포를 통해서라도 사람들을 교육하고, 의식 있고, 법을 준수하는 유용한 신민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고 믿었다.[12]
그는 군주의 의무를 강조하며 군주는 신민을 돌보고, 적들로부터 보호하며, 그들의 이익을 위해 일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특히 러시아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여겼으며, 러시아를 서구 국가들과 같은 강국으로 만드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점진적인 개혁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믿었으며, 국가 이익을 위해서는 살인, 폭력, 기만도 허용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12]
표트르는 최하위 계급부터 시작하여 해군 복무를 수행하며, 끊임없는 노력과 용감한 행동으로 신민들에게 모범을 보였다.[12] 그는 조국에 대한 봉사와 의무 수행에 헌신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표트르 1세의 유산은 러시아 지식인들 사이에서 항상 주요 관심사였다. 그는 복잡한 인물로 평가되는데, 일부에서는 그의 개혁이 사회적으로 국가를 분열시키고 정신적으로 약화시켰다고 비판한다. 리아사놉스키는 표트르에 대한 흑백 이미지의 "역설적인 이분법"을 지적하며, 신/적그리스도, 교육자/무지한 자, 러시아 위대함의 건축가/국가 문화의 파괴자 등으로 묘사된다고 말한다. 구교도들은 달력 변경과 인두세 때문에 그를 적그리스도로 여겼다. 반면, 표트르는 자신을 다윗왕이나 노아에 비유하기도 했다. 그의 장례식에서 프로코포비치는 그를 모세와 솔로몬에 비유했다.[10]
볼테르는 1759년 전기를 통해 표트르 1세를 계몽주의적 인물로 묘사했고, 알렉산더 푸시킨은 1833년 시 "청동 기마상"에서 창조주 신의 강력한 이미지를 보여주었다.[65][66][67] 19세기 중반 슬라보필들은 표트르의 서구화를 비난했다.
서구 작가들과 정치 분석가들은 표트르 대제의 "증언" 또는 비밀 유언을 언급하며, 콘스탄티노플, 아프가니스탄, 인도 정복을 통한 세계 지배 계획을 담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는 1812년 러시아 침공 당시 나폴레옹의 명령으로 위조된 것이었다.[68]
공산주의자들은 로마노프 왕조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제시했지만, 스탈린은 표트르가 국가, 전시, 외교, 산업, 고등 교육 및 정부 행정을 강화한 점을 칭찬했다.[69] 소비에트 역사학은 긍정적인 업적과 함께 평범한 사람들을 억압한 부정적인 요소도 강조한다.[70]
1991년 공산주의 몰락 이후, 표트르와 그의 역할에 대한 새로운 관심이 높아졌다. 그의 통치는 러시아 제국 과거의 결정적인 사건으로 여겨지며, 전제 정치 국가 강화 여부, 현대화 모델 등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71]
표트르 1세는 경제, 사회, 정치, 행정, 교육, 군사 등 광범위한 개혁을 통해 러시아의 전통주의와 종교 지배를 종식시키고 서구화를 시작했다. 교육 세속화, 효율적인 행정 조직, 기술 향상, 산업 경제 확립, 군대 현대화, 강력한 해군 확립 등이 그의 노력에 포함된다.[72]
역사가 Y. 보다르스키는 1993년에 표트르가 국가 발전을 가속화하지 못하고 오히려 1세기 반 동안 억제하는 조건을 만들었다고 비판했다.[73] 예브게니 아니시모프는 표트르를 "행정 명령 시스템의 창시자이자 스탈린의 진정한 조상"이라고 비판했다.[74] 그러나 1678년부터 1710년까지 인구는 2배 증가했다.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에 따르면, 표트르는 러시아와 서구 국가들 사이의 격차를 완전히 메우지는 못했지만, 경제, 무역, 교육, 과학, 문화, 외교 정책 발전에 상당한 진전을 이루었다. 러시아는 유럽 문제 해결에 중요한 강대국이 되었으며, 그의 내부 개혁은 이전의 어떤 혁신가도 예상할 수 없었던 수준의 진전을 이루었다.[75]
역사 서술에서 문화적 전환이 외교, 경제, 헌법 문제를 축소했지만, 건축(페트린 바로크)과 복장 등에서 표트르의 새로운 문화적 역할이 발견되었다. 제임스 크래크래프트는 표트르 혁명이 군사, 해군, 정부, 교육, 건축, 언어 등 다양한 내부 개혁을 포함하며, 본질적으로 문화 혁명이었고 러시아 제국의 기본 헌법과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한다.[76]
수세기 동안 러시아 시각 문화를 특징지었던 성인들의 상징적 표현은 사실적인 초상화로 대체되었다.[47]
5. 자녀
표트르 1세는 두 번 결혼했다. 첫 번째 부인은 예브도키야 로푸히나로, 1689년에 결혼했지만 1698년에 이혼당하고 수도원에 유폐되었다. 두 사람 사이에는 세 명의 아들이 태어났다.[145]
사진 | 이름 | 생일 | 사망 | 기타 |
---|---|---|---|---|
![]() | 알렉세이 페트로비치 황태자 | 1690년 2월 18일 | 1718년 6월 26일 | 황태자, 아버지 표트르 1세에 의해 처형됨 |
알렉산드르 페트로비치 | 1691년 10월 13일 | 1692년 5월 14일 | 요절 | |
파벨 페트로비치 | 1693년 | 1693년 | 요절 |
두 번째 부인은 예카테리나 1세로, 원래 이름은 마르타 스캅론스카야이다. 두 사람은 1707년에 비밀리에 결혼했고, 1712년에 정식으로 결혼했다. 표트르 1세가 사망할 때까지 6남 6녀를 두었다.[145]
사진 | 이름 | 생일 | 사망 | 기타 |
---|---|---|---|---|
표트르 페트로비치 | 1704년 | 유년기에 사망 | 요절 | |
파벨 페트로비치 | 1705년 | 유년기에 사망 | 요절 | |
예카테리나 페트로브나 | 1706년 | 1708년 | 요절 | |
![]() | 안나 페트로브나 | 1708년 1월 27일 | 1728년 5월 15일 | 홀슈타인고토르프 공작 카를 프리드리히와 결혼, 표트르 3세의 어머니 |
![]() | 옐리자베타 페트로브나 | 1709년 12월 18일 | 1762년 1월 5일 | 후일 러시아 여제, 미혼 |
마리아 페트로브나 | 1713년 3월 20일 | 1715년 5월 27일 | 요절 | |
마르가리타 페트로브나 | 1714년 9월 19일 | 1715년 6월 7일 | 요절 | |
표트르 페트로비치 | 1715년 11월 15일 | 1719년 4월 19일 | 요절 | |
파벨 페트로비치 | 1717년 1월 13일 | 1717년 1월 14일 | 요절 | |
![]() | 나탈리야 페트로브나 | 1718년 8월 31일 | 1725년 3월 15일 | 요절 |
표트르 페트로비치 | 1723년 10월 7일 | 1723년 10월 7일 | 요절 | |
파벨 페트로비치 | 1724년 | 1724년 | 요절 |
첫 번째 부인과의 사이에서는 장남 알렉세이 페트로비치 황태자만이 성인이 되었으나, 알렉세이는 아버지 표트르 1세에 의해 처형되었다. 두 번째 부인과의 사이에서는 안나 페트로브나와 옐리자베타 페트로브나만이 성인이 되었으며, 옐리자베타는 훗날 러시아의 여제가 되었다.[145]
참조
[1]
서적
Crime and Punishment in Early Modern Russia. New Studies in European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
[2]
학술지
Следствие по делу князя М. П. Гагарина в контексте развития системы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го контроля в первой четверти XVIII века
https://www.nauka-di[...]
2023-10-07
[3]
웹사이트
Peter the Great ordered to establish January 1st as the New Year's Day countrywide
https://www.prlib.ru[...]
2024-05-07
[4]
웹사이트
Peter the Great and the New Year in Russia
https://brewminate.c[...]
2024-05-07
[5]
서적
The Petrine Revolution in Russian Architecture By James Cracraft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6]
서적
Cultures of Forgery: Making Nations, Making Selv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
[7]
서적
De Kunstkamera van Peter de Grote. De Hollandse inbreng, gereconstrueerd uit brieven van Albert Seba en Johann Daniel Schumacher uit de jaren 1711–1752
Verloren
2006
[8]
웹사이트
Museums of the Moscow Kremlin: ARMOURY CHAMBER
https://armoury-cham[...]
2024-12-08
[9]
서적
The Petrine Instauration: Religion, Esotericism and Science at the Court of Peter the Great, 1689–1725
https://www.academia[...]
2015
[10]
웹아카이브
Prokopovich's Funeral Sermon on Peter I
https://web.archive.[...]
[11]
웹사이트
Peter the Great
https://history.hano[...]
2024-05-07
[12]
웹사이트
Пётр I
https://bigenc.ru/c/[...]
2023-06-16
[13]
서적
The Reforms of Peter the Great: Progress Through Violence in Russia
Routledge
2015
[14]
웹아카이브
The History of Peter the Great, Emperor of Russia: To which is Prefixed a Short General History of the Country from the Rise of that Monarchy: and an Account of the Author's Life. Vol. I
https://archive.org/[...]
[15]
웹사이트
Peter the Great
https://www.rmg.co.u[...]
[16]
웹사이트
Briefly about the Great Embassy of Peter the Great – History 2024
https://vogueindustr[...]
2024-05-07
[17]
웹사이트
The Grand Embassy of Peter the Great
https://www.worldhis[...]
2024-05-07
[18]
서적
Peter the Great
2006
[19]
웹사이트
Peter the Great: Part 1 of 3 (The Carpenter Czar)
http://www.radioneth[...]
2020-10-28
[20]
웹사이트
Tsaar Peter de Grote bezoekt Zaandam
https://onh.nl/verha[...]
2024-05-07
[21]
서적
Tsaar Peter de Grote en zijn Amsterdamse vrienden
1996
[22]
웹사이트
Tsaar Peter de Grote in Utrecht in 1697 en 1717
https://oud-utrecht.[...]
2024-05-07
[23]
웹사이트
11 dingen die je nog niet wist over Tsaar Peter de Grote
https://onh.nl/verha[...]
2024-05-07
[24]
웹사이트
Visited by Tsar Peter the Great of Russia
https://lensonleeuwe[...]
[25]
웹사이트
'Tsar Peter the Great was on extremely bad terms with the Dutch regents'
https://www.rug.nl/n[...]
2013-05-22
[26]
서적
Peter the Great Through British Eyes: Perceptions and Representations of the Tsar Since 1698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27]
웹아카이브
Newton and Russia : the early influence, 1698–1796
https://archive.org/[...]
2002
[28]
서적
Newton and Russia
Harvard University Press
2013
[29]
웹사이트
Peter the Great
https://www.royalmin[...]
2024-05-07
[30]
간행물
[31]
웹사이트
Halley and Peter the Great
https://halleyslog.w[...]
2024-05-07
[32]
웹사이트
Peter the Great trashed here
https://www.shadyold[...]
2024-05-07
[33]
서적
Passages from the Life and Writings of William Penn
1882
[34]
웹사이트
Peter the Great's favourite yacht found in the Baltic Sea
https://itboat.com/n[...]
2024-05-07
[35]
서적
1755
[36]
웹사이트
Russia as an Empire
http://english.mn.ru[...]
2008-03-21
[37]
서적
Peter the Great
http://www.gutenberg[...]
Project Gutenberg online edition
1902
[38]
웹사이트
Russian Grand Priory – Timeline
http://www2.prestel.[...]
2008-02-09
[39]
웹사이트
The Reforms of Peter the Great
https://www.worldhis[...]
2024-05-07
[40]
웹사이트
Глава вторая. ОБРАЗОВАНИЕ. Кутузов. Лидия Леонидовна Ивченко
https://sv-scena.ru/[...]
[41]
웹사이트
Monopolie
https://www.amsterda[...]
2024-05-07
[42]
간행물
Verblijf van tsaar Peter de Grote en tsarina Catharina 1 op hofstede Hout en Duynzigt/Vredenhof – Petersburg in Nederhorst
[43]
웹사이트
Пётр I
https://bigenc.ru/c/[...]
2024-05-07
[44]
웹사이트
Cornelis de Bruijns Reizen Over Moskovie, Reizen over Moskovie, Cornelis de Bruyn
https://www.dbnl.org[...]
2024-05-07
[45]
웹사이트
10 Major Accomplishments of Peter the Great | Learnodo Newtonic
https://learnodo-new[...]
2023-02-21
[46]
웹사이트
Home court pharmacy: Famous buildings – Петербург 24
https://petersburg24[...]
2024-05-07
[47]
웹사이트
Russia's Cultural Revolution
https://archive.nyti[...]
2024-05-07
[48]
웹사이트
Peter I (Peter the Great) & Solovki
http://www.solovki.c[...]
[49]
서적
E.V. Anisimov, 2002, p. 56.
[50]
서적
Blood of Others: Stalin's Crimean Atrocity and the Poetics of Solidarity
http://worldcat.org/[...]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22
[51]
서적
Leibniz, a biography
1985
[52]
서적
The visits of Peter the Great to the United Provinces in 1697–1698 and 1716–1717
1969
[53]
웹사이트
The 1717 Convention of Amsterdam, a treaty marking the alliance and reciprocal guarantees between France, Russia and Prussia (15.08.1717)
https://www.diplomat[...]
[54]
서적
Лакиер А. Б. §66. Надписи вокруг печати. Соответствие их с государевым титулом. // Русская геральдика. – СПб., 1855.
[55]
서적
(in Russian) E.V. Anisimov (1985) Податная реформа Петра I. The tax reform of Peter I: Introduction of the poll tax in Russia (1718–1728)
[56]
서적
Originalanekdoten von Peter dem Grossen: aus dem Munde angesehener Personen zu Moskau und Petersburg vernommen, und der Vergessenheit entrissen
J.G.I. Breitkopf
1785
[57]
서적
Peter the Great: His Life and World
Ballantine Books
1981
[58]
논문
The Epiphany Ceremony of the Russian Court in the Sixteenth and Seventeenth Centuries
Blackwell Publishing on behalf of The Editors and Board of Trustees of the Russian Review
1990-01
[59]
서적
James Cracraft, ''The church reform of Peter the Great'' (1971).
[60]
서적
Lindsey Hughes, ''Russia in the Age of Peter the Great'' (1998) pp. 332–56.
[61]
웹사이트
Peter the Great with a Black Page Mardefelt, Gustaff B. Mardefeld, Gustav von (Baron) V&A Explore The Collections
https://collections.[...]
2023-08-07
[62]
서적
''Peter the Great: A Life From Beginning to''. Hourly History. 2018.
[63]
서적
A. Gordon (1755), pp. 308–309
[64]
서적
[[Petre P. Panaitescu]], Dimitrie Cantemir. Viața și opera, col. Biblioteca Istorică, vol. III, Ed. Academiei RPR, București, 1958, p. 141.
[65]
서적
Nicholas Riasanovsky, ''The Image of Peter the Great in Russian History and Thought'' (1985) pp. 57, 84, 279, 283.
[66]
웹사이트
Voltaire and Peter the Great
https://www.historyt[...]
History Today
1968
[67]
웹사이트
Cursing at the Whirlwind: The Old Testament Landscape of The Bronze Horseman
https://hum.michaelk[...]
Pushkin Review
2014
[68]
웹사이트
Russophobia and the 'Testament' of Peter the Great, 1812–1980
http://www.academia.[...]
Slavic Review
1985
[69]
서적
Lindsey Hughes, ''Russia in the Age of Peter the Great'' (1998) p 464.
[70]
서적
Riasanovsky, p. 305.
[71]
서적
2001
[72]
웹사이트
10 Major Accomplishments of Peter the Great
https://learnodo-new[...]
2023-07-14
[73]
서적
[74]
서적
[75]
웹사이트
Peter I
https://www.britanni[...]
Encyclopaedia Britannica
2023-06-29
[76]
논문
The Russian Empire as Cultural Construct
2010
[77]
웹사이트
Peter I at Krasnaya Gorka Lighting a Fire on the Shore to Signal to his Sinking Ships
https://rusmuseumvrm[...]
2024-01-07
[78]
서적
The Image of Peter the Great in Russian History and Thought
1985
[79]
논문
"'What manner of man did we lose?': Death-bed images of Peter the Great"
2008
[80]
서적
The Theatre in Soviet Russia
Oxford U.P.
1957
[81]
웹사이트
Tsar, Peter the Great: The Gamblers
http://www.bbc.co.uk[...]
2020-05-08
[82]
웹사이트
Tsar, Peter the Great: Queen of Spades
http://www.bbc.co.uk[...]
2020-05-08
[83]
웹사이트
The Great (2020)
https://www.imdb.com[...]
2022-09-25
[84]
웹사이트
Civilization 6 Leader and Civilization Breakdown – Montezuma to Shaka
https://gamerant.com[...]
2020-12-15
[85]
웹사이트
Последний царь: о чём забыли создатели документального фильма о Петре I
https://www.forbes.r[...]
2023-01-16
[86]
웹사이트
Peter I emperor of Russia
https://www.britanni[...]
2021-04-29
[87]
서적
1978
[88]
기타
[89]
서적
1981
[90]
서적
1975
[91]
기타
[92]
서적
1992
[93]
서적
1992
[94]
서적
1992
[95]
서적
1992
[96]
서적
1978
[97]
서적
1992
[98]
서적
1978
[99]
서적
1992
[100]
서적
1992
[101]
서적
1992
[102]
서적
1992
[103]
서적
1992
[104]
서적
1992
[105]
서적
1992
[106]
서적
[107]
서적
[108]
서적
[109]
서적
[110]
서적
[111]
서적
[112]
서적
[113]
서적
[114]
서적
[115]
서적
[116]
서적
[117]
서적
[118]
서적
[119]
서적
[120]
서적
[121]
서적
[122]
서적
[123]
서적
[124]
서적
[125]
서적
[126]
서적
[127]
서적
[128]
서적
[129]
서적
[130]
서적
[131]
서적
[132]
서적
[133]
서적
[134]
서적
[135]
서적
[136]
서적
[137]
서적
[138]
서적
[139]
서적
[140]
서적
[141]
서적
[142]
서적
[143]
서적
[144]
서적
名画で読み解くロマノフ家12の物語
光文社
[145]
서적
[146]
서적
[147]
서적
[148]
서적
[149]
서적
[150]
서적
[151]
서적
[152]
서적
[153]
서적
[154]
서적
[155]
서적
[156]
뉴스
プーチン氏、ピョートル1世に敬意 領土回復の任務「現在と共通」
https://jp.reuters.c[...]
로이터
2022-06-10
[157]
웹사이트
(2720) Pyotr Pervyj = 1965 UN1 = 1972 RV3
https://minorplanetc[...]
MPC
2021-09-30
[158]
웹사이트
올시네마
올시네마 #추가 정보 필요
[159]
웹사이트
프로그램 타임머신 {{!}} NHK 아카이브
https://www.nhk.or.j[...]
2019-09-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