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누리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누리어는 주로 차드 분지 저지대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카메룬, 차드, 니제르, 나이지리아, 수단, 리비아 등에서 화자가 있다. 나이지리아에서는 보르노주와 요베주를 중심으로 사용되며, 중앙 카누리어, 만가 카누리어 등 여러 방언이 존재한다. 카누리어는 아랍 문자와 라틴 문자로 표기되며, 구비 문학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차드호 - 응귀그미
응귀그미는 딜리아 보소 어귀에 위치한 과거 차드호 해안 지역으로, 건조한 기후를 띄며 월별 기후 정보와 최고·최저 기온 기록이 존재한다. - 차드호 - 샤리강
샤리강은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에서 발원하여 차드를 거쳐 차드호로 흘러 들어가며, 차드호 유입량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어업 지원, 민족 분포 경계 역할, 람사르 습지 포함 등 다양한 특징을 지닌 강이다. - 카메룬의 언어 - 프랑스어
프랑스어는 프랑스를 포함한 전 세계 29개국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는 로망스어군 언어로, 속라틴어가 갈리아어 및 프랑크어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으며 국제기구 공용어로서 외교 무대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고 현재 문화, 경제, 교육, 특히 아프리카에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 카메룬의 언어 - 영어
영어는 앵글로색슨족의 언어에서 유래하여 잉글랜드에서 발전한 서게르만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대영제국과 미국의 영향으로 세계적으로 널리 쓰이며 국제적인 의사소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니제르의 언어 - 프랑스어
프랑스어는 프랑스를 포함한 전 세계 29개국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는 로망스어군 언어로, 속라틴어가 갈리아어 및 프랑크어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으며 국제기구 공용어로서 외교 무대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고 현재 문화, 경제, 교육, 특히 아프리카에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 니제르의 언어 - 투아레그어군
투아레그어군은 북아프리카 지역에서 사용되며, 타마하크어, 타마셰크어, 타마제크어, 타웰레메트어 등을 포함하는 베르베르어군의 언어 집합이다.
카누리어 | |
---|---|
지도 정보 | |
![]() | |
언어 정보 | |
이름 | 카누리어 |
사용 지역 | 카메룬, 차드, 니제르, 나이지리아 |
사용 민족 | 카누리족, 카넴부족 |
사용자 수 | 963만 1천 명 |
사용 시기 | 1993년–2021년 |
문자 | 로마자, 아랍 문자 (아자미 문자) |
어족 | 나일사하라어족? |
어파 | 사하라어파 |
하위 어파 | 서부 사하라어파 |
ISO 639-1 | kr |
ISO 639-2 | kau |
ISO 639-3 | kau |
Glottolog | kanu1279 |
Glottolog 이름 | 카누리-카넴부 |
Linguasphere | 02-AAA-a (+카넴부 02-AAA-b) |
카누리어 방언 | |
중앙 카누리어 | knc |
망가 카누리어 | kby |
투마리 카누리어 | krt |
빌마 카누리어 | bms |
카넴부어 | kbl |
고대 카넴부어 | txj |
2. 역사
21세기 초, 주요 방언인 만가 카누리어와 예르와 카누리어(베리베리어라고도 불리지만 화자들은 경멸적인 표현으로 여김)를 사용하는 사람은 중앙아프리카에 약 970만 명이었다.[4] 카누리어는 닐로사하라어족의 서부 사하라어파에 속한다. 카누리어는 1000년 동안 차드호 지역을 지배했던 카넴과 보르누 제국의 언어이다.
21세기 초, 주요 방언인 만가 카누리어와 예르와 카누리어(베리베리어라고도 불리지만 화자들은 경멸적인 표현으로 여김)를 사용하는 사람은 중앙아프리카에 약 970만 명이었다.[4] 카누리어는 닐로사하라어족의 서부 사하라 아어파에 속하며, 1000년 동안 차드호 지역을 지배했던 카넴과 보르누 제국의 언어였다.
《Ethnologue》는 카누리어를 여러 언어로 분류하지만, 많은 언어학자들(예: Cyffer 1998)은 이들을 단일 언어의 방언으로 간주한다. 처음 세 가지는 카누리족이 사용하며, 그들 스스로도 자신들의 언어 방언으로 여긴다.
카누리어는 전통적으로 지역 lingua franca였지만, 최근 수십 년 동안 사용이 감소했다. 대부분의 모어 화자는 두 번째 언어로 하우사어 또는 아랍어를 사용한다.
3. 사용 지역
전통적으로 지역 링구아 프랑카였지만, 최근 수십 년 동안 사용이 감소했다. 대부분의 모어 화자는 두 번째 언어로 하우사어 또는 아랍어를 사용한다.
카누리어는 주로 차드 분지 저지대에서 사용되며, 카메룬, 차드, 니제르, 나이지리아, 수단, 리비아에 화자가 있다.[7]국가 지역 주요 도시 및 마을 나이지리아 보르노주, 요베주, 지가와주, 곰베주, 바우치주 마이두구리, 다마투루, 하데지아, 아코, 두쿠, 크와미, 카노, 카두나, 구사우, 조스, 라피아 니제르 디파 지역, 진데르 지역, 아가데즈 지역 진데르, 디파, 응귀그미, 빌마 차드 (보르노주 국경 지역)
나이지리아 중부 지역에서는 카누리족을 보통 바레-바리(Bare-Bari) 또는 베리베리(Beriberi)라고 부른다. 중앙 카누리어(Central Kanuri)는 예르와(Yerwa) 카누리어로도 알려져 있으며, 보르노주, 요베주, 곰베주에 거주하는 카누리족의 주요 언어이고, 나이지리아에서는 일반적으로 '카누리어(Kanuri)'로 불린다. 만가 카누리어(Manga Kanuri)는 요베주, 지가와주, 바우치주에 거주하는 카누리족의 주요 언어이며, 일반적으로 '만가(Manga)', '망가리(Mangari)', '망가와(Mangawa)'로 불린다. 이들은 중앙 카누리어 화자들에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인 '카누리어(Kanuri)'와는 구별된다. 차드와의 국경에 있는 보르노주에서는 카넴부어도 사용된다.
니제르에서 카누리어 사용 지역은 남동쪽의 디파 지역과 진데르 지역으로 구성된다. 아가데즈 지역의 일부 지역에서도 카누리어가 사용된다. 진데르 지역의 주요 방언은 망가어이다. 디파 지역의 주요 방언은 투마리어 또는 카네무어이며, 카네무어는 소수가 사용한다. 아가데즈 지역의 주요 방언은 빌마어이다. 중앙 카누리어는 소수 방언이며, 일반적으로 바레-바리어 또는 베리베리어라고 불린다.
4. 하위 방언
17세기 꾸란 주석에 나타나는 방언은 구 카네무어로 알려져 있다. 종교적 낭송과 주석의 맥락에서, 이의 고풍스러운 후손 언어가 여전히 사용되는데, 이를 타르주모어라고 부른다.
5. 음운학
카누리어의 모음은 다음과 같다.
전설 모음 | 중설 모음 | 후설 모음 | |
---|---|---|---|
고모음 | i | u | |
중고모음 | e | o | |
중모음 | ə | ||
중저모음 | ʌ | ||
저모음 | a |
- 는 의 이음으로 나타난다.
5. 1. 자음
양순음 | 순치음 | 치경음 | 후치경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성문음 | |
---|---|---|---|---|---|---|---|
파열음 | (p) b | t d | k ɡ | ʔ | |||
파찰음 | t͡ʃ d͡ʒ | ||||||
마찰음 | (ɸ β) | f | s z | ʃ | (ɣ) | h | |
비음 | m | n | (ŋ) | ||||
설측음 | l | (ɭ) | |||||
전동음 | r | ||||||
접근음 | w | j |
- 전비음화된 유성 파열음 /mb, nd, ŋɡ/가 존재할 수도 있지만, 음소론적으로 간주되는지 여부는 알려지지 않았다.
- /p/ 음은 주로 다른 무성 파열음 뒤에 오는 /b/의 이음으로 나타난다. 또한 /f/와 자유 변이를 일으킬 수도 있지만, 표준 카누리 정서법에는 여전히 표기된다.[8]
- 무성 마찰음 [ɸ]는 후설 모음 /o, u/ 앞에 올 때 /f/의 이음으로 나타난다. 유성 마찰음 [β]는 자음 사이에 올 때 /b/의 이음으로 나타난다. 유성 마찰음 [ɣ]는 중앙 모음 사이에 자음 사이에 올 때 /ɡ/의 이음으로 나타난다.
- 후설 측음 ɭ|und은 /l/이 /i/ 뒤에 올 때 들린다.
- ŋ|und은 연구개 파열음 앞에 올 때 /n/의 이음으로 나타난다. 종종 파열음이 생략되거나 잘못 들리기 때문에 주로 [ŋ] 비음만 들린다.[9]
5. 2. 모음
- ɨ는 ə의 동소변이음으로 들린다.
6. 문자
카누리어는 적어도 400년 이상 아자미 문자(아랍 문자)를 사용하여 주로 종교적 또는 궁정적인 맥락에서 기록되어 왔다.[10] 최근에는 수정된 라틴 문자로도 기록되고 있다. 1965년에 출판된 요한복음은 로마자와 아랍 문자로 제작되었다.
나이지리아에서는 표준 카누리 정자법(Standard Kanuri Orthography)이 카누리 연구소(Kanuri Research Unit)와 카누리어 위원회(Kanuri Language Board)에 의해 개발되었다. 마이두구리 방언을 기반으로 한 이 정자법의 구체화는 보르노(Borno)의 와지리(Waziri)인 아바 사디크(Abba Sadiq)가 의장을 맡은 카누리어 위원회의 정자법 위원회에 의해 수행되었다. 1975년 나이지리아 마이두구리에서 카누리어 위원회에 의해 공식적으로 승인되었다.[11]
사용된 문자:[12]
a b c d e ǝ f g h i j k l m n ny o p r ɍ s sh t u w y z.
단수 | 복수 | |
---|---|---|
1인칭 | wú, ú|우, 우kr | àndí|안디kr |
2인칭 | ní|니kr | nàndí, nàyí|난디, 나이kr |
3인칭 | tí|티kr | tàndí, tàyí|탄디, 타이kr |
7. 구비 문학
1854년, 지기스문트 쾰레(Sigismund Koelle)는 카누리어(Kanuri)와 영어 번역으로 된 텍스트를 담은 《아프리카 원주민 문학 또는 카누리어 또는 보르누어의 속담, 이야기, 우화 및 역사적 단편(African Native Literature, or Proverbs, Tales, Fables, and Historical Fragments in the Kanuri or Bornu Language)》[14]을 출판했다. 이 책은 속담,[15] 이야기와 우화,[16] 그리고 역사적 단편[17]을 다루고 있다. 쾰레는 영어 번역에서 꾀돌이 동물인 아프리카 줄무늬땅다람쥐 ''kə̀nyérì''를 족제비로 잘못 식별했다.
리처드 프랜시스 버튼(Richard Francis Burton)은 그의 저서 《서아프리카의 기지와 지혜(Wit and Wisdom from West Africa)》에서 쾰레가 보고한 속담들을 일부 포함했다.[18] 다음은 그 속담들 중 일부이다.
- "''Angalte silman gani karga, kalalan karga.''" "지혜는 눈에 있는 것이 아니라 머리에 있다." (#5)
- "''Tama sugo diniabe.''" "희망은 세상의 기둥이다." (#16)
- "''Ago fugubete, komande genya, ngudo dabu kuruguamai tsurui bago.''" "미래에 대해서는 목이 긴 새조차 볼 수 없고, 오직 주님만이 아신다." (#32)
- "''Bulturo dinia watsi tsabalan.''" "하이에나가 가는 동안 낮이 되었다 (즉, 그 사람의 힘은 목표를 달성하기 전에 꺾였다)." (#41)
- "''Ngurtu kamawunga da tsogo tilon kotsena, kamawun gurtuga sila tsogo tilon kotsena.''" "하마는 코끼리보다 한 바구니의 살이 더 많고, 코끼리는 하마보다 한 바구니의 뼈가 더 많다." (#78)
참조
[1]
논문
Standardisation Tendencies in Kanuri and Hausa Ajami Writings
https://doi.org/10.1[...]
De Gruyter
[2]
웹사이트
Kanuri Studies Association
http://www.kanuri.ne[...]
2004-01-01
[3]
서적
The Linguistics Student’s Handbook
Edinburgh
[4]
웹사이트
Kanuri language
https://www.britanni[...]
[5]
웹사이트
Kanuri: Bornu's most dominant culture
https://www.pulse.ng[...]
2021-11-15
[6]
웹사이트
Learn Kanuri Free: 2 Online Kanuri Courses
https://www.liveling[...]
[7]
서적
The Kanuri Language: A Reference Grammar
University of Wisconsin
[8]
서적
The Kanuri Language: A Reference Grammar
University of Wisconsin
[9]
서적
A sketch of Kanuri
Köln: Rüdiger Köppe Verlag.
[10]
웹사이트
Kanuri Studies Association
http://www.kanuri.ne[...]
2004-01-01
[11]
서적
Dictionary of the Kanuri language
[12]
웹사이트
alphabet kanuri — arrété 213-99 de la République du Niger
http://www.sciences.[...]
[13]
웹사이트
Microsoft Word - Manga dictionary Unicode.doc
http://www.rogerblen[...]
[14]
서적
African Native Literature, or Proverbs, Tales, Fables, and Historical Fragments in the Kanuri or Bornu Language
https://archive.org/[...]
[15]
서적
African Native Literature, or Proverbs, Tales, Fables, and Historical Fragments in the Kanuri or Bornu Language
https://archive.org/[...]
[16]
서적
African Native Literature, or Proverbs, Tales, Fables, and Historical Fragments in the Kanuri or Bornu Language
https://archive.org/[...]
[17]
서적
African Native Literature, or Proverbs, Tales, Fables, and Historical Fragments in the Kanuri or Bornu Language
https://archive.org/[...]
[18]
서적
Wit and Wisdom from West Africa
https://archive.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