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리칼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리칼라는 촐라 왕조의 통치자로, "불에 탄 다리를 가진 사람"이라는 뜻을 지닌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화재 사고로 인해 다리에 화상을 입은 경험이 있다. 그는 벤니 전투에서 판디아 왕조와 체라 왕조를 격파하고, 스리랑카를 정복하여 싱할라족을 동원해 카베리 강에 댐을 건설하는 등 군사적 업적을 세웠다. 카리칼라는 또한 칼라나이 댐(그랜드 아니컷)을 건설했는데, 이 댐은 오늘날까지 사용되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수자원 시설 중 하나로 여겨진다. 그는 시바 신을 숭배했으며, 그의 후손을 자처하는 다양한 왕조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촐라 국왕 - 일람쳇첸니
일람쳇첸니는 촐라 왕조의 통치자이며, 마우리아 왕조의 남부 인도 제국 확장에 저항하고 체라 및 판디아 왕조를 지배했다.
카리칼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칭호 | 페루발라탄 |
칭호 | 티루마발라반 |
칭호 | 파라케사리 (산스크리트어) |
통치 | |
전임자 | 일람체첸니 |
후임자 | 네둔킬리와 날란킬리 |
가족 | |
배우자 | 낭구르 출신의 벨리르 공주 |
자녀 | 날란킬리 네둔킬리 마발라탄 |
아버지 | 일람체첸니 |
기타 정보 | |
언어 | (타밀어) |
언어(타밀어) | கரிகால் |
참전 | 베니 전투(130년) |
재위 기간 | 120년 ~ 210년 |
2. 초기 생애
카리칼라는 일람세체니의 아들이었다.[7] 카리칼라라는 이름은 "불에 탄 다리를 가진 사람"을 의미하는 것으로 여겨지며, 그의 어린 시절에 있었던 화재 사고를 기억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일부 학자들은 ''카리''와 ''칼란''이 "코끼리 살해자"를 의미하는 타밀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카리칼라 촐라는 벤니 전투에서 판디아 왕조와 체라 왕조의 연합군을 상대로 승리하였다.[8][9] 이 전투에서 체라 왕 우티얀 체랄라탄은 등에 부상을 입고 단식 자살하였다.[11][12] 벤니 전투는 카리칼라의 통치 기반을 확립하고 패권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분수령이 되었다. 벤니는 현재 코빌벤니로 알려져 있으며, 탄자부르에서 25km 떨어진 니담망갈람 근처에 위치해 있다.
''포루나르라루파타이''는 이 사건의 기원 전설을 다음과 같이 묘사한다. 우라이유르(티루치라팔리)의 왕 일람세체니는 아룬두르 출신의 벨리르 공주와 결혼했고, 그녀는 임신하여 카리칼라를 낳았다. 일람세체니는 얼마 지나지 않아 죽었다. 카리칼라는 어렸기 때문에 왕위 계승권을 간과했고, 국내에 정치적 혼란이 있었다. 카리칼라는 추방되었다. 정상이 회복되자 촐라 대신들은 왕자를 찾기 위해 왕실 코끼리를 보냈다. 코끼리는 카루부르(현대 타밀나두의 카루르)에 숨어 있는 왕자를 발견했다. 그의 정치적 반대자들은 그를 체포하여 감옥에 가두었다. 그날 밤 감옥에 불이 붙었다. 카리칼라는 불에서 탈출했고, 그의 삼촌 이르-피타르-탈라이얀의 도움을 받아 적들을 물리쳤다. 카리칼라의 다리는 불에 탔고, 그 때문에 카리칼라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옛 상감 시대의 비문과 마야바람 근처 파라살루르에 있는 고대 사원 사바 사원의 스탈라 푸라남에는 카리칼 발라반이 음모가들의 암살 계획을 피하기 위해 8년 동안 베다 및 아가마 사스트라 강사로 위장하여 그곳에 머물렀다는 내용이 전해진다.
카리칼라를 찬양하며 쓰여진 ''파티나팔라이'' 또한 이 사건을 묘사하지만, 불에 탄 다리에 대한 우화는 언급하지 않는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 한때, 울창한 숲에서 어린 호랑이 새끼가 사냥꾼들에게 붙잡혀 나무 우리에 갇혔다. 안에서 조용히 자라면서 발톱이 날카로워지고 몸에 힘과 목적이 채워졌다. 갇혀 있었지만 바깥 세상을 지켜보며 포획자들의 일상을 배웠다. 어느 날, 근처에 있는 거대한 코끼리가 깊은 구덩이 안에서 몸부림치고 있었다. 코끼리는 거대한 코를 사용하여 함정의 가장자리를 밀어내면서 둑을 무너뜨리고 스스로 풀려났다. 호랑이는 그 생물의 끈기와 방법에 영감을 받아 주의 깊게 지켜보았다. 자신도 풀려나기로 결심한 호랑이는 때를 기다렸다. 우리 구조의 약점을 연구하고 경비병들이 방심할 때를 기다렸다. 그러다가 강력한 발톱으로 날카롭게 긁어 나무 막대기를 찢어 버리고 경비병들을 당황하게 했다. 새롭게 얻은 힘과 기술로 그들을 제압하고 정글로 뛰어들어 자유를 되찾고 자신의 정당한 영역에서 번성했다.
3. 군사적 업적
이후 카리칼라는 바카이파란탈라이 전투에서 9명의 소규모 족장 연합을 물리쳤다.[13] 또한 스리랑카를 정복하고 싱할라 전쟁 포로들을 동원하여 카베리 강에 대규모 제방을 건설하였다. ''파티나팔라이''는 카리칼라 군대가 적의 영토에서 일으킨 파괴를 묘사하며, 판디아의 힘이 꺾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카리칼라는 팔라바 왕 트리로차나 팔라바와 싸워 톤다이만다람을 정복하고 남부 텔루구 지역을 차지하였다.[14] 칸치푸람 전투에서 패배한 팔라바 왕은 수도를 스리칼라하스티로 옮겼다.[14] 카리칼라는 트리로차나 팔라바에게 카베리 강을 따라 홍수 방둑을 건설하도록 명령했지만, 팔라바 왕이 복종하지 않자 전쟁을 선포하여 승리하고 텔루구 지역을 점령하였다.[14] 이후 숲을 파괴하고 마을을 건설하였는데, 그 중 하나가 포타피 마을이다.[14]
3. 1. 벤니 전투
《포루나라루파다이》에 따르면, 카리칼라 촐라는 벤니 전투에서 큰 싸움을 벌였고, 그곳에서 판디아 왕조와 체라 왕조의 왕 우티얀 체랄라탄이 패배를 겪었다.[8][9] 이 전투로 이어진 상황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지만, 이 전투가 카리칼라의 경력에 있어서 전환점을 마련했다는 점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는데, 그는 이 전투에서 자신에게 대항하여 형성된 강력한 동맹의 기세를 꺾었다.[10] 판디아와 체라의 두 왕 외에도 11명의 소규모 족장들이 이 전투에서 반대편에 서서 카리칼라에게 패배했다.[11][12] 전투에서 등에 부상을 입은 체라 왕은 단식 자살했다. 벤니는 카리칼라의 경력에 있어서 분수령이 되었고, 그를 그의 왕위에 굳건히 세웠으며 세 명의 왕들 사이에서 어떤 종류의 패권을 확보했다. 벤니는 또한 벤니파란달라이로 알려져 있으며 현재는 코빌벤니로 알려져 있고, 탄자부르에서 25km 떨어진 니담망갈람 근처에 위치해 있다.
3. 2. 스리랑카 원정
벤니 전투 이후, 카리칼라는 군사력을 행사할 기회를 가졌다. 그는 바카이파란탈라이 전투에서 9명의 소규모 족장 연합을 물리쳤다. 카리칼라 시대의 시인 파라나르는 그의 시 ''아하나누루''에서 이 사건을 언급했지만, 분쟁의 원인에 대한 정보는 제공하지 않았다.[13] 전설에 따르면 카리칼라는 스리랑카(실론) 전체를 정복한 몇 안 되는 촐라 왕조의 왕 중 한 명이었다. 대규모 제방은 그가 싱할라 왕국을 정복한 후에 건설되었으며, 그는 싱할라 전쟁 포로들을 사용하여 산에서 카베리 강 강바닥으로 돌을 옮기는 고된 작업을 수행했다. ''파티나팔라이''는 또한 카리칼라 군대가 적의 영토에서 일으킨 파괴를 묘사하며, 이러한 분쟁의 결과로 "북부인과 서부인은 의기소침해졌고… 그의 붉어진 분노는 판디아의 힘을 꺾었다…"라고 덧붙인다.
3. 3. 톤다이나두 정복
많은 촌락 기록과 안드라에서 발견된 텔루구 초다 비문에 따르면, 카리칼라는 트리로차나 팔라바 또는 무칸티 팔라바 또는 무칸티 카두베티라는 팔라바 왕과 싸워 톤다이만다람을 정복하고 남부 텔루구 지역을 팔라바 왕에게 넘겨준 것으로 보인다.[14] 칸치푸람을 수도로 삼았던 팔라바 왕은 칸치 전투에서 패배한 후 수도를 스리칼라하스티로 옮겼다.[14] 비문에는 또한 카리칼라가 트리로차나 팔라바에게 카베리 강을 따라 홍수 방둑을 건설하는 것을 돕도록 명령했다는 내용이 있다.[14] 그러나 칼라하스티에서 통치하던 팔라바 왕은 이에 복종하지 않았고, 카리칼라는 그를 상대로 전쟁을 선포했다.[14] 카리칼라는 전투에서 승리하고 텔루구 지역을 점령했다.[14] 당시 남부 안드라는 경작에 적합하지 않은 큰 숲으로 덮여 있었다.[14] 그래서 카리칼라는 숲을 파괴하고 많은 마을을 세웠다.[14] 그중 하나가 포타피 마을인데, 가장 중요한 마을이었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전체 지역이 포타피 나두라는 이름을 얻었다.[14] 트리로차나 팔라바와 달리 카리칼라 초라는 브라만뿐만 아니라 경작자에게도 토지를 기증했다.[14]
4. 칼라나이 댐(그랜드 아니컷) 건설
반카나시카 티사 통치 시대에 카리칼라는 대군을 이끌고 섬을 침략하여 12,000명의 싱할라족 남성을 포로로 잡아 카베리 강 댐 건설 노역에 동원했다.[15]
후기 촐라 왕들은 카베리 강둑을 따라 제방을 건설한 것이 카리칼라의 업적이라고 했다.[9][11][16][17] 카리칼라가 카베리 강둑을 높였다는 사실은 텔루구 촐라의 레나두 군주 에리갈-무투라주 푸냐쿠마라의 말레파두 판(7세기 CE)에도 언급되어 있는데, 그는 카리칼라의 후손임을 주장하며 "카루나 – 사로루하 비히타 – 빌로차나 – 팔라바 – 트리로차나 프라무카 킬라프리트비스바라 카리타 카베리 티라"(그의 연꽃 발에 의해 세 번째 눈이 멀게 된 팔라바 트리로차나를 비롯한 모든 종속 왕들이 카베리 강둑을 건설하게 한 자)라고 묘사했다.
그랜드 아나이컷(칼라나이)은 카리칼라가 건설했다.[19] 이는 오늘날까지 사용되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물길 전환 또는 수자원 규제 시설 중 하나로 여겨진다.[20] 칼라나이는 카베리 강 본류를 가로지르는 329m 길이, 20m 너비의 다듬지 않은 돌로 된 거대한 댐이다.[21] 티루바두투라이의 후기 촐라 기록에는 파라케사리 카리칼라 촐라가 카베리 강둑을 높인 사건이 언급되어 있다.[22][23]
5. 종교적 업적
카리칼라는 바차, 마가다, 아반티카의 북부 왕국을 정복한 후 타밀 땅으로 돌아와 현재의 코임바토르에 있는 노얄 강가에 위치한 페루르 파테스와라르 사원에서 시바 신을 숭배했다. 그는 시바 신의 열렬한 숭배자였으며, 100개의 금 항아리를 통해 사원의 쿰바비셰캄(정화 의식)을 수행했다고 전해진다. '''페루르 푸라남'''이라는 유명한 문헌은 카치야파 무니바르에 의해 타밀어로 사원의 기원에 대해 쓰여졌다.
6. 카리칼라 촐라 기념관
카리칼라 촐란 마니만다팜(기념관)은 그랜드 아니컷을 건설한 카리칼라 왕을 기리기 위해 세워졌다. 촐라 건축 양식으로 설계된 이 건물은 2100만인도 루피의 비용으로 건설되었다. 이 건물에는 카리칼라 왕의 청동상이 있다.[25][26]
7. 카리칼라 촐라의 후손
문헌, 금석문 증거, 동판 비문에 따르면, 카리칼라 촐라의 후손을 자처한 다양한 왕조는 다음과 같으며, 일부는 초기 촐라의 수도였던 우라이유르의 군주라는 칭호를 사용했다.
왕조 | 통치 지역 | 통치 기간 |
---|---|---|
제국 촐라 | 남인도, 스리랑카, 동남아시아 | 848년 ~ 1279년 [29] |
카카티야 왕조 | 안드라, 텔랑가나 | 1163년 ~ 1323년 [30][31] |
니두갈 촐라 | 카르나타카 일부 | 12세기 ~ 14세기 [32] |
레나티 촐라 | 라야라시마 | 5세기 ~ 8세기 [33] |
포타피 촐라 | 라야라시마 | 8세기 ~ 9세기 |
코니데나 촐라 | 카마나두 | 950년 ~ 1300년 |
난누루 촐라 | 파카나두 지역 | |
넬로르 촐라 | 남부 안드라 | 1100년 ~ 1350년 |
쿤두루 촐라 | 텔랑가나 지역 | 1080년 ~ 1260년 |
에루바 촐라 | 라자문드리 지역 | 1120년 ~ 1330년 [34] |
안드라의 카푸 (카스트)는 카리칼라의 후손이라고 주장하는 텔루구 촐라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카리칼라 박툴루는 안드라의 카스트로 센군타르라고도 불리며, 카리칼라 촐라를 자신들의 영웅으로 여긴다.
참조
[1]
서적
History of Ancient India
Motilal Banarsidass
[2]
서적
Studies in Cōḷa history and administration
University of Madras
[3]
서적
Art and culture of Tamil Nadu
Sundeep Prakashan
[4]
서적
Indian Antiquary, Volume 38
[5]
서적
Andhra Pradesh district gazetteers, Volume 16
Printed by the Director of Print. and Stationery at the Govt. Secretariat Press; [copies can be had from: Govt. Publication Bureau, Andhra Pradesh]
[6]
간행물
Epigraphia Indica
1911–1912
[7]
문서
Purananuru
[8]
서적
A History of South India: From Prehistoric Times to the Fall of Vijayanagar
[9]
문서
See Majumdar
[10]
문서
See Tripathi
[11]
문서
See Kulke and Rothermund
[12]
서적
Studies in the History of the Sangam Age
Kalinga Publications
[13]
문서
See Nilakanta Sastri, A History of South India
[14]
서적
Trilochana Pallava And Karikala Chola
V. Ramaswamy Sastrulu & Sons
[15]
서적
Walking to Kataragama
https://books.google[...]
International Centre for Ethnic Studies
[16]
문서
History of ancient India
[17]
문서
Proceedings of the Indian History Congress, Volume 39
[18]
서적
History and Culture of the Indian People, Volume 03, The Classical Age p.265
https://archive.org/[...]
Bharatiya Vidya Bhavan
1970
[19]
서적
Water Resources System Operation: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Water and Environment
https://books.google[...]
Allied Publishers
[20]
웹사이트
"This is the oldest stone water-diversion or water-regulator structure in the world"
http://www.hindunet.[...]
2007-05-27
[21]
웹사이트
Cauvery River – Britannica Online Encyclopedia
http://www.britannic[...]
2024-01-11
[22]
서적
History of Ancient India
Motilal Banarsidass
[23]
서적
Studies in Cōḷa history and administration
University of Madras
[24]
웹사이트
Arulmigu Patteeswarar Swamy Temple - History
http://www.perurpatt[...]
2016-12-14
[25]
뉴스
Karikalan cholan memorial inaugurated
http://timesofindia.[...]
2016-09-14
[26]
뉴스
Karikalan Manimandapam ready for inauguration
http://www.thehindu.[...]
2016-09-14
[27]
서적
A History of South India: From Prehistoric Times to the Fall of Vijayanagar
[28]
문서
The Śilappadikāram by V. R. Ramachandra Dikshitar
[29]
서적
A Textbook of Medieval Indian History
Primus Books
[30]
서적
Ancient Indian History and Civilization
https://books.google[...]
New Age International, 1999
1999
[31]
서적
The History Of Andhra Country 1000 A D 1500 A D
https://archive.org/[...]
[32]
서적
The Cholas of Nidugal a Study
https://archive.org/[...]
Karnatak University
1993
[33]
서적
Andhra Pradesh district gazetteers, Volume 1
Printed by the Director of Print. and Stationery at the Govt. Secretariat Press; [copies can be had from: Govt. Publication Bureau, Andhra Pradesh]
[34]
서적
The History Of Andhra Country 1000 A D 1500 A D
https://archive.org/[...]
[35]
문서
Purananuru
[36]
서적
A History of South Indi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