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마라사우루스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마라사우루스과는 1877년 에드워드 드링커 코프에 의해 명명된 용각류 공룡 분류군이다. 카마라사우루스과에 속하는 유일한 확실한 속은 카마라사우루스이며, 이 속에는 4종이 포함된다. 카마라사우루스과는 일반적으로 마크로나리아에 속하며, 마크로나리아는 네오사우로포다의 주요 분기 중 하나이다. 카마라사우루스과는 두개골, 축 골격, 부속 골격의 특징적인 골격적 특징으로 정의된다. 후기 쥐라기 동안 로라시아 대륙에 제한된 분포를 보였으며, 북아메리카의 모리슨 층에서 가장 많은 표본이 발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쥐라기의 공룡 - 아파토사우루스
    아파토사우루스는 북아메리카 쥐라기 후기 지층에서 발견된 거대한 용각류 공룡으로, 긴 목과 채찍 모양의 꼬리를 특징으로 하며 초식 생활을 했고, 브론토사우루스와의 분류 논쟁이 있었다.
  • 쥐라기의 공룡 - 카르노사우루스하목
    카르노사우루스하목은 대형 육식 공룡을 포함하는 분류군으로 여겨졌으나 다계통군으로 밝혀졌고, 현대 분지학적 분석은 알로사우루스상과를 포함하는 알로사우루스에 더 가까운 공룡으로 정의한다.
  • 1877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캄프소사우루스
    캄프소사우루스는 백악기 후기부터 팔레오세에 북아메리카와 유럽에 서식한 코리스토데라목 파충류로, 긴 주둥이와 유선형 몸체를 가진 수생 생물이며 1877년 코프에 의해 발견되었고 7종이 알려져 있다.
  • 1877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스테고사우루스
    스테고사우루스는 쥐라기 후기에 살았던 초식 공룡으로, 등에 두 줄로 솟은 골판과 꼬리 끝의 골침이 특징이며, 골판 배열과 기능, 꼬리 가시 용도에 대한 논쟁이 있고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미쳐 콜로라도주의 상징 공룡으로 지정되기도 했다.
  • 용각하목 - 오메이사우루스
    오메이사우루스는 중국 쓰촨성에서 발견된 용각류 공룡의 한 속으로, 쯔궁 지역에서 많은 화석이 발견되었으며 마멘키사우루스과에 속한다.
  • 용각하목 - 니게르사우루스
    니제르사우루스는 백악기 전기에 현재의 니제르 지역에 살았던 레바키사우루스과 용각류 공룡으로, 특이한 치아 구조와 짧은 목을 가지며 독특한 먹이 섭취 방식으로 인해 연구 대상이 되고 있다.
카마라사우루스과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카마라사우루스과
학명Camarasauridae
명명자Cope, 1877
모식속카마라사우루스
모식속 명명자Cope, 1877
이명모로사우루스과 (Morosauridae) Marsh, 1882
화석 범위쥐라기 후기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조룡강
상목공룡상목
용반목
아목용각아목
하목용각하목
미분류 (소목)대비류
하위 분류
다샨푸사우루스 (Dashanpusaurus)
로리나사우루스 (Lourinhasaurus)
벨루사우루스 (Bellusaurus)
오플로사우루스? (Oplosaurus)
카마라사우루스 (Camarasaurus)
카테토사우루스 (Cathetosaurus)
테우엘체사우루스 (Tehuelchesaurus)

2. 분류

카마라사우루스과는 1877년 에드워드 드링커 코프가 명명했다. 기준 속은 ''카마라사우루스''이며, ''카마라사우루스 수프레무스''와 ''살타사우루스 로리카투스''보다 가까운 모든 종을 포함하는 분류군으로 정의된다.

카마라사우루스과에 속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유일한 분류군은 ''카마라사우루스''이다. 여기에는 ''C. 그란디스'', ''C. 렌투스'', ''C. 루이시'', ''C. 수프레무스'' 4종이 포함된다.

2. 1. 계통 발생학적 관계

카마라사우루스과는 일반적으로 마크로나리아에 속하는 것으로 여겨지며, 마크로나리아는 네오사우로포다의 두 주요 분기 중 하나이다. 마크로나리아 내에서 카마라사우루스과는 티타노사우루스형류 외부의 기저 위치를 차지한다. 하지만 일부 연구에서는 카마라사우루스과가 네오사우로포다 밖에 위치한다고 밝혀졌다.

2. 2. 구성원

논란의 여지 없이 카마라사우루스과에 속하는 유효한 속으로 간주되는 유일한 분류군은 ''카마라사우루스''이다. ''C. 그란디스'', ''C. 렌투스'', ''C. 루이시'', 그리고 ''C. 수프레무스''의 4종이 이에 포함된다. ''C. 루이시''는 별도의 속인 ''카테토사우루스''를 나타낼 수 있다.

이전에 ''카마라사우루스''로 분류되었던 ''로우리냐사우루스''는 대부분 카마라사우루스과로 간주되지만, 기저 유사우로포드로 여겨지기도 한다. 영국의 초기 백악기에서 발견된 ''오플로사우루스''는 카마라사우루스과로 제안되었지만, 이빨만 알려져 있어 유사우로포다 내에서의 위치를 결정하기 어렵다. 아르헨티나의 후기 쥐라기에서 발견된 ''테후엘체사우루스''는 일부 연구에서 카마라사우루스과로 여겨졌지만, ''오메이사우루스''와의 밀접한 관계, 투리아사우리아에서의 위치, 또는 카마라사우루스과가 아닌 기저 마크로라니아로 간주되는 등 다양한 계통 발생학적 위치가 제안되었다.

어린 개체 유해만 알려진 ''벨루사우루스''는 카마라사우루스과일 수 있지만, 기저 마크로라니아, 투리아사우르 또는 마멘키사우루스과로도 간주되었다.

2. 2. 1. 과거 구성원

1970년, 로드니 스틸은 디플로도쿠스상과와 티타노사우루스류를 제외한, 당시 알려진 모든 용각류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의 카마라사우루스과를 제시했다. 1990년, 존 S. 맥킨토시는 카마라사우루스과를 두 개의 아과로 구성된 것으로 간주했다. 카마라사우루스아과는 ''카마라사우루스'', ''아라고사우루스'', ''유헬로푸스'', ''톈산고사우루스''를 포함하고, 오피스토코엘리카우디아아과는 ''오피스토코엘리카우디아''와 ''콘드로스테오사우루스''를 포함했다. 중국 중기 쥐라기에 살았던 ''다샨푸사우루스''는 원래 카마라사우루스과로 기재되었지만, 계통 분석을 통해 기초적인 마크로나리아로 밝혀졌다.[4]

3. 특징

카마라사우루스과는 몇 가지 골격적 특징으로 정의된다. 두개골에서는 두개골 장축 길이의 약 40%에 해당하는 바깥콧구멍 직경, 아치형 콧구멍 사이 막대, 콧구멍 앞쪽의 짧은 주둥이, 위턱 선반 등이 있다.[5] 축 골격에서는 목뼈의 편평한 배쪽 면, 가운데 및 뒤쪽 등뼈의 신경 가시의 삼각형 돌출부, 앞쪽 흉부 갈비뼈의 오목한 뒤쪽 표면, 꼬리 앞쪽 척추 전체의 바깥 혈관궁 등이 포함된다.[5][6] 부속 골격은 두 개의 손목뼈로 감소, 요골에 비해 긴 중수골, 꼬인 좌골 줄기 등으로 식별할 수 있다.[2][6]

4. 고생물지리학

대략적으로 말해, 카마라사우루스과는 후기 쥐라기 동안 로라시아 대륙에 제한된 분포를 보였다.[5] 현재 인정되는 대부분의 카마라사우루스과 표본은 북아메리카의 모리슨 층에서 발견되었지만, 아프리카의 텐다구루 층에서 발견된 일부 표본이 ''카마라사우루스'' 속에 속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밀접하게 관련된 ''루리냐사우루스''는 포르투갈에서 발견되었다.[7][8][9]

참조

[1] 논문 The phylogenetic taxonomy of Diplodocoidea (Dinosauria: Sauropoda) Museum of Paleontology,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2005
[2] 서적 The dinosauria Univ of California Press 1990
[3] 간행물 Sauropod habits and habitats 1975-02
[4] 간행물 Re-examination of ''Dashanpusaurus dongi'' (Sauropoda: Macronaria) supports an early Middle Jurassic global distribution of neosauropod dinosaurs 2022-11-14
[5] 간행물 The evolutionary history of sauropod dinosaurs http://doc.rero.ch/r[...] 1995-09-29
[6] 논문 Early evolution and higher-level phylogeny of sauropod dinosaurs 1998
[7] 논문 Haplocanthosaurus (Saurischia: Sauropoda) from the lower Morrison Formation (Upper Jurassic) near Snowmass, Colorado 2014
[8] 서적 Paleontology and Geology of the Upper Jurassic Morrison Formation: Bulletin 36 New Mexico Museum of Natural History and Science 2006
[9] 논문 Sauropod dinosaurs from the Central Zambezi Valley, Zimbabwe, and the age of the Kadzi Formation 1987
[10] 논문 A new sauropod from the Lower Jurassic of Huili, Sichuan, China 2010
[11] 간행물 A Gigantic, Exceptionally Complete Titanosaurian Sauropod Dinosaur from Southern Patagonia, Argentina http://dx.doi.org/10[...] 2014-09-04
[12] 논문 Cathetosaurus as a valid sauropod genus and comparisons with Camarasaurus 2013
[13] 논문 Phylogenetic reassessment of Lourinhasaurus alenquerensis, a basal Macronaria (Sauropoda) from the Upper Jurassic of Portugal 2014
[14] 논문 Dinosaurs and other fossil vertebrates from the Late Jurassic and Early Cretaceous of the Galve area, NE Spain 2007
[15] 논문 An unusual new neosauropod dinosaur from the lower cretaceous hastings beds group of East Sussex, England 2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