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지미에시 노바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지미에시 노바크는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폴란드 포즈난에 거주하며 아프리카를 여행한 폴란드인이다. 1931년부터 1936년까지 자전거, 도보, 말, 배, 낙타를 이용하여 리비아에서 남아프리카 공화국 아굴라스 곶까지 약 40,000km를 혼자 여행했다. 그의 아프리카 여행 사진은 1962년 앨범으로, 여행기는 2000년에 책으로 출판되었다. 노바크는 여행 중 건강이 악화되어 폐렴으로 사망했지만, 그의 업적은 기념 명판과 기념비로 기려지고 있으며, 저서들은 여러 언어로 번역 출판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폴란드의 여행 작가 - 조지프 콘래드
조지프 콘래드는 폴란드 출신의 영국 소설가로, 해양을 배경으로 인간의 심리와 제국주의 등을 탐구하며 《어둠의 심연》 등의 작품을 통해 20세기 영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폴란드의 여행 작가 - 리샤르트 카푸시친스키
리샤르트 카푸시친스키는 폴란드의 저널리스트, 작가, 시인, 사진작가로, 제3세계를 취재하며 전쟁, 혁명, 빈곤 등 사회 현상을 기록하고 문학적 르포르타주라는 새로운 장르를 개척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 폴란드의 사진가 - 데이비드 시모어
폴란드 태생의 사진기자 데이비드 시모어(침)는 매그넘 포토스 공동 설립자로서, 스페인 내전, 2차 세계대전, 유니세프 의뢰 촬영 등을 통해 전쟁의 참상과 난민 아동의 고통을 기록하고 사진 저널리즘 발전에 기여했으며, 그의 작품은 현대 다큐멘터리 사진에 영향을 주고 있다. - 폴란드의 사진가 - 스타니스와프 이그나치 비트키에비치
스타니스와프 이그나치 비트키에비치는 '비트카치'라는 애칭으로 알려진 폴란드의 아방가르드 예술가이자 이론가로, 회화, 희곡, 소설, 철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사회 혁명과 외세 침략에 대한 두려움을 부조리하게 표현했다. - 폴란드의 작가 - 얀 코하노프스키
얀 코하노프스키는 폴란드 르네상스 시대의 인문주의자이자 시인으로, 폴란드 문학 발전에 크게 기여했으며, 주요 작품으로 《만가》 등이 있다. - 폴란드의 작가 - 체스와프 미워시
체스와프 미워시는 폴란드 출신의 시인이자 수필가, 소설가, 번역가로, 전쟁와 전체주의 경험을 바탕으로 인간의 자유와 존엄성, 역사와 개인의 관계, 도덕적 선택의 중요성을 다룬 작품으로 1980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하며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다.
| 카지미에시 노바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본명 | 카지미에시 노바크 |
| 출생일 | 1897년 1월 11일 |
| 출생지 | 스트리이, 오스트리아령 폴란드 (현재 우크라이나) |
| 사망일 | 1937년 10월 13일 |
| 사망지 | 포즈난, 폴란드 |
| 국적 | 폴란드인 |
| 직업 | 여행가, 통신원, 기자, 사진가 |
2. 생애
폴란드의 탐험가이자 작가, 사진가이다. 스트리(현재 우크라이나)에서 태어났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포즈난에 정착하여 살았다.
그는 자전거 여행가로 잘 알려져 있으며, 아프리카 탐험 이전에도 여러 차례 자전거 여행을 다녔다. 1925년부터 1930년까지 총 네 차례에 걸쳐 자전거로 유럽과 북아프리카, 폴란드 국내를 여행했다.[6] 이러한 경험은 그의 대표적인 업적인 아프리카 횡단의 밑거름이 되었다.
1931년부터 1936년까지 5년 동안 아프리카 대륙을 홀로 탐험했으며, 이는 그의 가장 큰 업적으로 평가받는다. 이 여정 동안 그는 40000km에 달하는 거리를 이동했다.
그러나 아프리카 여행의 여파로 건강이 악화되어 포즈난으로 돌아온 후 폐렴으로 사망했다. 사후 그의 아프리카 여행 경험과 기록은 책과 사진 앨범으로 출판되어 널리 알려졌으며, 그의 업적을 기리는 활동도 이어지고 있다.[1][2][3][4][5][7][8][9] 2011년에는 그의 초기 폴란드 여행을 다룬 책 Polska Kazimierza Nowaka. Przewodnik rowerzystypol(카지미에시 노바크의 폴란드. 자전거 여행 가이드북)가 출판되기도 했다.[6]
2. 1. 아프리카 여행 (1931년 ~ 1936년)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포즈난에 거주하던 노바크는 1931년부터 1936년까지 5년에 걸쳐 아프리카 대륙을 홀로 탐험했다. 그는 주로 자전거를 이용했지만, 때로는 도보, 말, 배, 낙타 등 다양한 수단을 활용하여 리비아에서 출발해 대륙 남단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아굴라스 곶까지 도달한 뒤, 다시 북상하여 알제리까지 총 40000km에 달하는 거리를 이동했다. 하지만 이 고된 여정은 그의 건강을 심각하게 악화시켰다. 여행으로 인한 극심한 신체 쇠약과 말라리아 감염, 그리고 다리 수술 후유증이 겹쳐 결국 폐렴으로 포즈난에서 사망했다.

그가 아프리카 여행 중 촬영한 사진들은 1962년 폴란드에서 Przez Czarny Lądpol (검은 대륙을 가로질러)라는 제목의 앨범으로 처음 소개되었다. 이 앨범은 그의 딸 엘쥐비에타 노바크-글리셰프스카가 편집했으며, 사진 선정 과정에는 얀 체카노프스키와 예르지 로트 교수가 자문으로 참여했다.[1]
노바크의 상세한 여행기는 2000년에 이르러서야 Rowerem i pieszo przez Czarny Lądpol (자전거와 도보로 어두운 대륙을 가로질러)라는 제목의 책으로 정식 출판되었다. 폴란드의 저명한 리포터 리샤르트 카푸시친스키는 2006년 이 책에 대해 "정말 예외적인 책"이라고 극찬하며 다음과 같이 평가했다.
> 그 내용과 작가의 개성이 책을 매우 매력적으로 만든다. 따라서 더 많은 관심과 더 넓은 인정을 받아야 마땅하다. 이 놀라운 이야기는 내가 강연이나 토론, 국제 문제 해설 등에서 항상 언급하는 소재이다. 나는 이 책이 폴란드 르포 문학의 고전 반열에 오르기를 진심으로 바란다.[2]
내셔널 지오그래픽 트래블러의 폴란드어판 역시 "카지미에시 노바크는 의심할 여지 없이 여행 르포의 대가"라고 평가했다.[3]
이 책은 2013년에 7번째 확장판(폴란드어)이 출간되었으며, 이후 2014년에는 Kerékpárral és gyalog a fekete földrészen áthun라는 제목으로 헝가리어로 번역되었고[5], 2017년에는 Across The Dark Continent. Bicycle Diaries from Africa, 1931–1936eng라는 제목으로 영어권 독자들에게도 소개되었다.
또한, 노바크가 아프리카 여행 중 아내에게 보낸 편지들을 모은 책 Kochana Maryś! Listy z Afrykipol (사랑하는 마리시에게! 아프리카에서 온 편지들)가 2014년부터 출간되기 시작하여 2015년, 2016년에 걸쳐 3권이 나왔고[7][8], 마지막 4권은 2022년에 출판되었다.[9]
2006년 11월 25일, 노바크가 아프리카 여행을 시작하고 마쳤던 포즈난 중앙역 홀에서는 리샤르트 카푸시친스키가 직접 참석하여 노바크를 기리는 기념 명판 제막식을 가졌다.[4] 포즈난에는 그의 업적을 기리는 기념비도 세워져 있다.
2. 2. 귀환과 사망
아프리카 여행 이후 폴란드 포즈난으로 돌아왔으나, 여행으로 인한 신체 쇠약, 말라리아, 다리 수술의 후유증으로 폐렴을 앓다가 사망했다.사후 그의 업적은 재조명받기 시작했다. 그의 아프리카 여행 사진은 1962년 폴란드에서 Przez Czarny Lądpl(검은 대륙을 가로질러)라는 제목의 앨범으로 처음 출판되었다. 이 책은 노바크의 딸 엘쥐비에타 노바크-글리셰프스카가 편집했으며, 사진 선정에는 얀 체카노프스키와 예르지 로트 교수가 참여했다.[1]
카지미에시 노바크의 여행기는 2000년에 Rowerem i pieszo przez Czarny Lądpl(자전거와 도보로 어두운 대륙을 가로질러)라는 제목의 책으로 출판되었다. 폴란드의 유명 리포터 리샤르트 카푸시친스키는 2006년 이 책에 대해 "정말 예외적인 책"이라며 극찬했다.
> 그 내용과 작가의 개성은 그것을 매력적으로 만든다. 따라서 더 많은 관심과 더 넓은 인정을 받아야 한다. 이 놀라운 이야기는 내 강연, 토론 및 국제 문제에 대한 해설에서 항상 등장한다. 나는 그것이 폴란드 르포의 고전 반열에 오르기를 열렬히 바란다.[2]
내셔널 지오그래픽 트래블러 (폴란드어판) 역시 "카지미에시 노바크는 의심할 여지 없이 여행 르포의 대가"라고 평가했다.[3]
2006년 11월 25일, 노바크가 여행을 시작하고 마쳤던 포즈난 중앙역 홀에서 리샤르트 카푸시친스키는 노바크를 기리는 기념 명판 제막식에 참여했다.[4]
2013년에는 여행기의 7번째 확장판 폴란드어판이 출판되었다. 이후 2014년에는 헝가리어로 번역되었고(Kerékpárral és gyalog a fekete földrészen áthu)[5], 2017년에는 영어로도 번역되었다(Across The Dark Continent. Bicycle Diaries from Africa, 1931–1936영어).
노바크의 다른 여정을 다룬 책들도 출판되었다. 2011년 야체크 Y. 우차크는 노바크의 전기 Polska Kazimierza Nowaka. Przewodnik rowerzystypl(카지미에시 노바크의 폴란드. 자전거 여행 가이드북)를 썼다.[6] 이 책은 노바크가 1925년부터 1930년까지 자전거로 유럽과 북아프리카, 폴란드 등을 여행하며 방문했던 장소들을 다루고 있다.
또한, 아프리카 여행 중 아내에게 보낸 노바크의 편지들이 Kochana Maryś! Listy z Afrykipl(사랑하는 마리시에게! 아프리카에서 온 편지)라는 제목으로 2014년부터 2022년까지 총 4권에 걸쳐 출판되었다.[7][8][9]
3. 저서 및 출판물
카지미에시 노바크가 남긴 아프리카 여행 기록과 사진들은 그의 사후 여러 형태로 출판되었다. 대표적인 출판물로는 1962년에 나온 사진 앨범 ''Przez Czarny Ląd''(검은 대륙을 가로질러)[1]와 2000년에 출간되어 큰 호응을 얻은 여행기 ''Rowerem i pieszo przez Czarny Ląd''(어두운 대륙을 가로질러)[2][3]가 있다. 이 외에도 그의 다른 여행들을 다룬 전기[6]나 아프리카에서 아내에게 보낸 편지를 엮은 책[7][8][9] 등도 출판되었다.
3. 1. ''Przez Czarny Ląd'' (검은 대륙을 가로질러, 1962년)
카지미에시 노바크의 아프리카 여행 사진은 1962년 폴란드에서 ''Przez Czarny Ląd''(검은 대륙을 가로질러)라는 제목의 앨범으로 출판되었다. 이 책은 노바크의 딸 엘쥐비에타 노바크-글리셰프스카가 편집했으며, 사진 선정 과정에는 얀 체카노프스키와 예르지 로트 교수가 자문으로 참여했다.[1]3. 2. ''Rowerem i pieszo przez Czarny Ląd'' (어두운 대륙을 가로질러, 2000년)
카지미에시 노바크의 아프리카 여행기는 2000년에 Rowerem i pieszo przez Czarny Ląd|로베렘 이 피에쇼 프셰즈 차르니 론트pol(어두운 대륙을 가로질러)라는 제목의 책으로 처음 출판되었다. 폴란드의 저명한 리포터 리샤르트 카푸시친스키는 2006년 이 책에 대해 "정말 예외적인 책"이라며 극찬했다. 그는 "그 내용과 작가의 개성이 그것을 매력적으로 만든다. 따라서 더 많은 관심과 더 넓은 인정을 받아야 한다. 이 놀라운 이야기는 내 강연, 토론 및 국제 문제에 대한 해설에서 항상 등장한다. 나는 그것이 폴란드 르포의 고전 반열에 오르기를 열렬히 바란다."라고 덧붙였다.[2]내셔널 지오그래픽 트래블러의 폴란드어판 역시 "카지미에시 노바크는 의심할 여지 없이 여행 르포의 대가"라고 평가했다.[3]
이 책은 2013년에 7번째 확장판 폴란드어판이 출판되었으며, 이후 다른 언어로도 번역되었다. 2014년에는 헝가리어로 번역되었고(Kerékpárral és gyalog a fekete földrészen áthun)[5], 2017년에는 Across The Dark Continent. Bicycle Diaries from Africa, 1931–1936eng라는 제목으로 영어 번역본이 출간되었다.
3. 3. 기타 출판물
그의 아프리카 여행 사진은 1962년 폴란드에서 앨범 Przez Czarny Ląd|프셰스 차르니 론트pol(검은 대륙을 가로질러)에 실렸다. 이 책은 노바크의 딸 엘쥐비에타 노바크-글리셰프스카가 편집했으며, 사진 선정에는 얀 체카노프스키와 예르지 로트 교수가 자문했다.[1]카지미에시 노바크의 여행기는 2000년에 Rowerem i pieszo przez Czarny Ląd|로베렘 이 피에쇼 프셰스 차르니 론트pol(자전거와 도보로 어두운 대륙을 가로질러)라는 제목의 책으로 처음 출판되었다. 폴란드의 유명 리포터 리샤르트 카푸시친스키는 2006년 이 책에 대해 "정말 예외적인 책"이라고 평가하며 다음과 같이 덧붙였다.
> 그 내용과 작가의 개성이 책을 매력적으로 만든다. 따라서 더 많은 관심과 더 넓은 인정을 받아야 한다. 이 놀라운 이야기는 내 강연, 토론 및 국제 문제에 대한 해설에서 항상 등장한다. 나는 이 책이 폴란드 르포의 고전 반열에 오르기를 열렬히 바란다.[2]
내셔널 지오그래픽 트래블러(폴란드어판) 역시 "카지미에시 노바크는 의심할 여지 없이 여행 르포의 대가"라고 평가했다.[3]
2006년 11월 25일, 노바크가 여행을 시작하고 마친 포즈난 중앙역 홀에서 리샤르트 카푸시친스키는 노바크를 기리는 기념 명판을 공개했다.[4]
2011년에는 야체크 Y. 우차크가 노바크의 전기 Polska Kazimierza Nowaka. Przewodnik rowerzysty|폴스카 카지미에자 노바카. 프셰보드니크 로베지스티pol(카지미에시 노바크의 폴란드. 자전거 여행 가이드북)를 썼다.[6] 이 책은 노바크가 1925년부터 1930년까지 자전거로 네 차례 여행하며 방문했던 폴란드의 장소들을 묘사한다. 해당 여행은 다음과 같다.
2013년에는 여행기 Rowerem i pieszo przez Czarny Lądpol의 7번째 확장판 폴란드어판이 출판되었다. 이후 2014년에는 Kerékpárral és gyalog a fekete földrészen át|케레크파르럴 에시 저로그 어 페케테 푈드레센 아트hun라는 제목으로 헝가리어 번역판이[5], 2017년에는 Across The Dark Continent. Bicycle Diaries from Africa, 1931–1936eng라는 제목으로 영어 번역판이 출간되었다.
또한, 아프리카 여행 중 아내에게 보낸 노바크의 편지 모음집 Kochana Maryś! Listy z Afryki|코하나 마리시! 리스티 스 아프리키pol(사랑하는 마리시에게! 아프리카에서 온 편지)가 폴란드에서 출판되었다. 1권은 2014년에, 2권은 2015년에, 3권은 2016년에 출판되었으며[7][8], 마지막 4권은 2022년에 출판되었다.[9]
4. 평가 및 유산
카지미에시 노바크는 1931년부터 1936년까지 아프리카 대륙을 자전거, 도보, 말, 배, 낙타 등을 이용하여 홀로 40000km를 여행한 폴란드의 탐험가이자 작가이다. 그는 여행으로 인한 신체 쇠약, 말라리아, 다리 수술 후유증 등으로 폐렴을 앓아 포즈난에서 사망했지만[1], 그의 특별한 여정과 기록은 사후에 중요한 유산으로 남게 되었다.
노바크의 아프리카 여행 기록은 그의 사후 수십 년이 지나 책으로 엮여 출판되면서 비로소 널리 알려지기 시작했다. 특히 폴란드의 저명한 르포 작가 리샤르트 카푸시친스키는 노바크의 여행기 Rowerem i pieszo przez Czarny Ląd|로베렘 이 피에쇼 프셰즈 차르니 론트pol(자전거와 도보로 어두운 대륙을 가로질러)에 대해 2006년 "정말 예외적인 책"이라고 평가하며 다음과 같이 극찬했다.
> 그 내용과 작가의 개성이 그것을 매력적으로 만든다. 따라서 더 많은 관심과 더 넓은 인정을 받아야 한다. 이 놀라운 이야기는 내 강연, 토론 및 국제 문제에 대한 해설에서 항상 등장한다. 나는 그것이 폴란드 르포의 고전 반열에 오르기를 열렬히 바란다.[2]
내셔널 지오그래픽 트래블러(폴란드어판) 역시 "카지미에시 노바크는 의심할 여지 없이 여행 르포의 대가"라고 평가하며 그의 업적을 높이 인정했다.[3]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노바크가 여행을 시작하고 마쳤던 포즈난 중앙역에는 기념 명판이 설치되었으며[4], 그의 삶과 다른 여행들을 조명하는 전기[6] 및 아내에게 보낸 편지 모음집[7][8][9] 등이 출간되면서 그의 유산은 계속해서 재조명되고 있다.
4. 1. 기념 명판 및 기념비
2006년 11월 25일, 카지미에시 노바크가 여행을 시작하고 마쳤던 포즈난 중앙역 홀에서 폴란드의 유명 리포터 리샤르트 카푸시친스키가 노바크를 기리는 기념 명판을 공개했다.[4]4. 2. 번역 출간
카지미에시 노바크의 아프리카 여행 사진은 1962년 폴란드에서 앨범 Przez Czarny Ląd|프셰즈 차르니 론트pol(검은 대륙을 가로질러)에 처음 게재되었다. 이 책은 노바크의 딸 엘쥐비에타 노바크-글리셰프스카가 편집했으며, 사진 선정에는 얀 체카노프스키와 예르지 로트 교수가 자문을 맡았다.[1]그의 여행기는 2000년에 이르러서야 Rowerem i pieszo przez Czarny Ląd|로베렘 이 피에쇼 프셰즈 차르니 론트pol(자전거와 도보로 어두운 대륙을 가로질러)라는 제목의 책으로 처음 묶여 출판되었다. 폴란드의 유명 르포 작가 리샤르트 카푸시친스키는 2006년 이 책에 대해 "정말 예외적인 책"이라며 극찬했다.
> 그 내용과 작가의 개성이 이 책을 매력적으로 만든다. 따라서 더 많은 관심과 더 넓은 인정을 받아야 한다. 이 놀라운 이야기는 내 강연, 토론 및 국제 문제에 대한 해설에서 항상 등장한다. 나는 이 책이 폴란드 르포의 고전 반열에 오르기를 열렬히 바란다.[2]
내셔널 지오그래픽 트래블러 (폴란드어판) 역시 "카지미에시 노바크는 의심할 여지 없이 여행 르포의 대가"라고 평가했다.[3]
이 책은 이후 다른 언어로도 번역되었다. 2014년에는 Kerékpárral és gyalog a fekete földrészen át|케레크파르럴 에시 절로거 페케테 푈드레센 아트hun라는 제목으로 헝가리어 번역본이 출간되었고[5], 2017년에는 Across The Dark Continent. Bicycle Diaries from Africa, 1931–1936eng라는 제목으로 영어 번역본이 출간되었다.
또한 노바크가 아프리카 여행 중 아내에게 보낸 편지들도 모아져 출판되었다. 2014년 폴란드에서 Kochana Maryś! Listy z Afryki|코하나 마리시! 리스티 스 아프리키pol라는 제목으로 1권이 출판되었고, 이후 2권(2015년), 3권(2016년)[7][8], 마지막 권(2022년)이 차례로 출간되었다.[9]
참조
[1]
서적
Przez Czarny Ląd
Wiedza Powszechna
1962
[2]
서적
Across the Dark Continent. Bicycle Diaries from Africa 1931–1936
Sorus
2017
[3]
간행물
Recenzja książki "Rowerem i pieszo przez Czarny Ląd"
http://kazimierznowa[...]
2016-11-17
[4]
서적
Rowerem i pieszo przez czarny ląd
Sorus, Poznań
[5]
서적
Kerékpárral és gyalog a fekete földrészen át
http://www.publikon.[...]
Publikon
2016-11-14
[6]
서적
Polska Kazimierza Nowaka
http://www.sorus.pl/[...]
Sorus
2016-11-14
[7]
서적
Kochana Maryś! Listy z Afryki – tom I, II i III
http://www.sorus.pl/[...]
Sorus
2016-11-14
[8]
웹사이트
Listy z Afryki do żony (Letters from Africa to wife)
http://kazimierznowa[...]
2016-11-14
[9]
웹사이트
KOCHANA MARYŚ! Listy z Afryki. Tom IV {{!}} Wydawnictwo Sorus
https://sorus.pl/pro[...]
2024-11-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