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샤르트 카푸시친스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샤르트 카푸시친스키는 벨라루스 출신의 저널리스트이자 작가로, 제2차 세계 대전 중의 경험을 거쳐 공산주의에 대한 환멸을 느끼고 해외 특파원으로 활동하며 혁명과 쿠데타가 빈번한 현장을 취재했다. 그는 아프리카, 아시아, 라틴 아메리카 등지를 누비며 27번의 혁명과 쿠데타를 목격하고, 40번 투옥, 4번의 사형 선고를 받았으며, 1980년대에는 폴란드 민주화 운동을 지지했다. 그의 작품은 문학적 르포르타주로 평가받으며, 《황제》, 《흑단》, 《제국》 등이 대표적이다. 그는 한국인 학자 구도 사치오와의 교류를 통해 작품이 한국 사회에 소개되었으며, 진보 진영에서 제3세계에 대한 그의 관심과 비판적 시각을 높이 평가했다. 그의 보도 내용의 진실성에 대한 논란과 비판도 있었지만, 20세기 후반을 대표하는 저널리스트이자 작가로 평가받으며 다양한 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폴란드의 여행 작가 - 조지프 콘래드
조지프 콘래드는 폴란드 출신의 영국 소설가로, 해양을 배경으로 인간의 심리와 제국주의 등을 탐구하며 《어둠의 심연》 등의 작품을 통해 20세기 영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폴란드의 여행 작가 - 카지미에시 노바크
카지미에시 노바크는 1931년부터 1936년까지 자전거, 도보, 말, 배, 낙타를 이용하여 리비아에서 남아프리카 공화국 아굴라스 곶까지 약 40,000km를 혼자 여행한 폴란드인이다. - 브레스트주 출신 - 하임 바이츠만
하임 바이츠만은 러시아 제국 출신 화학자이자 시오니스트 운동가, 이스라엘의 초대 대통령으로서, 아세톤 대량 생산 기술 개발로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연합군 승리에 기여하고 밸푸어 선언을 이끌었으며, 시오니즘 운동을 통해 이스라엘 건국에 헌신, 초대 대통령으로서 국가 기틀을 다지는 데 기여했다. - 브레스트주 출신 - 표트라 크라체우스키
표트라 크라체우스키는 벨라루스의 역사, 문화, 민족 정체성에 대한 깊은 관심을 바탕으로 '과거와 현재의 벨라루스', '벨라루스 책의 역사', '벨라루스 인민 공화국의 위임', '스카리나와 독립' 등의 저작물을 남긴 벨라루스 작가이며 역사 드라마 '라그네다'를 집필했다.
리샤르트 카푸시친스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932년 3월 4일 |
출생지 | 핀스크, 폴란드 |
사망일 | 2007년 1월 23일 (74세) |
사망지 | 바르샤바, 폴란드 |
국적 | 폴란드 |
직업 | 시인, 언론인 |
학력 | 바르샤바 대학교 |
묘지 | 포옹스키 군인 묘지 |
수상 | |
수상 | 폴란드 재건 훈장 (1997년) 한자 동맹 괴테상 (1999년) 아스투리아스 공상 (2003년) |
서명 | |
![]() |
2. 생애
리샤르트 카푸시친스키는 1932년 폴란드 동부 핀스크(현재 벨라루스)에서 교사 부부의 아들로 태어났다. 가난한 환경에서 성장했으며, 이후 아프리카에서 생활하면서 "음식이 부족하고 모두 맨발이었기 때문에" 편안함을 느꼈다고 회고했다.[5]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나치 독일과 소련의 점령을 모두 경험하며 어려운 유년 시절을 보냈다. 1940년 어머니와 함께 바르샤바 근처 시에라쿠프로 피난을 갔다가, 오트보츠크를 거쳐 1945년 바르샤바에 정착했다.
스타니스와프 스타시츠 김나지움에서 교육받은 후, 1948년 공산주의 청년 단체인 ZMP에 가입하여 활동했다. 1950년 바르샤바 대학교에 입학하여 역사학을 전공했으며, 1952년 의사 알리샤 미엘차레크와 결혼하여 딸 조피아를 낳았다. 대학 시절 PZPR 당원으로 활동했으나, 1956년 포즈난 6월 사건과 1956년 헝가리 혁명 등을 겪으며 공산주의에 대한 환멸을 느끼고 탈스탈린화 경향에 동조했다.[11][12]
1950년 ZMP 기관지인 《스탄다르 M워디치》에서 기자 생활을 시작했다. 1955년 노바 후타 건설 현장의 비인간적인 노동 및 생활 조건을 비판하는 기사를 발표하여 금십자 훈장을 받았다. 1956년 인도를 시작으로 중국, 아프가니스탄 등 해외 특파원으로 활동하며 본격적인 저널리스트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특히 인도에서는 사전의 도움을 받아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를 읽으며 영어를 배우기 시작했다.[14]
1958년 《스탄다르 M워디치》를 떠나 폴란드 통신사에서 일하기 시작했고, 곧이어 주간지 《폴리티카》에서도 활동했다(1962년까지). 1960년대에는 폴란드 통신사 특파원으로 가나, 다호메이 공화국, 니제르 등 아프리카 50개국을 취재하며, 27번의 혁명과 쿠데타를 목격하고, 40번 투옥되었으며, 4번의 사형 선고를 받는 등 격동의 현장을 직접 체험했다.[19] 1961년 콩고 공화국에서 보도 활동을 했으며, 1962년부터 1965년까지는 다르에스살람과 나이로비에서 거주하며 아프리카 여러 나라를 여행했다. 1965년에는 세네갈과 모리타니를 방문하기도 했다.
1967년에는 코카서스와 남아메리카에서 외신 특파원으로 일했으며, 1969년 온두라스 전쟁을 취재했다. 또한 체 게바라의 《엘 디아리오 델 체 엔 볼리비아》를 번역하고 편집하기도 했다.[21] 1972년 폴란드로 돌아와 잡지 《콘티넨티》와 《쿨투라》에서 일했다. 1975년 앙골라와 에티오피아를 방문했으며, 1979년에는 이란 혁명을 취재했다.
1980년 그단스크 파업을 목격했고,[23][24] 1989년부터 1992년까지 소련의 유럽 및 아시아 지역을 여행하며 소련의 해체를 목격했다. 1994년 베를린에서 독일 학술 교류 서비스 장학금을 받았다.
2007년 1월 23일 바르샤바에서 심장 수술 후 사망했다.[5]
2. 1. 한국과의 인연
카푸시친스키는 1957년 일본을 방문했을 때 한국인 학자 구도 사치오(工藤幸雄)와 교류하였다. 구도 사치오는 카푸시친스키의 대표작 《제국》, 《흑단》 등을 한국어로 번역하였다.[55]3. 주요 작품 및 활동
카푸시친스키는 1960년대 초부터 정교한 서술 기법, 인물의 심리 묘사, 풍부한 양식화와 은유를 사용하고, 지각된 세상을 해석하는 수단으로서 특이한 이미지를 활용하는 문학적 기교가 돋보이는 책들을 출판했다.[29] 대표작 ''황제''는 에티오피아 하이레 셀라시에의 시대착오적인 정권 몰락 과정을 다루며, 폴란드 국민들에게 특별한 의미를 지녔고, 1983년 영어 번역본 출판 후 서방 세계에 그의 명성을 확립했다.[29] 1987년에는 연극으로 각색되어 런던 로열 코트 극장에서 상연되었다.
그는 다양한 세계와 사람들, 그리고 그들의 책에서 발견한 인간성에 매료되었다. 각 여행 전 몇 달 동안 독서하며 문학을 통해 먼저 외국에 접근했고, 만나는 사람들의 말을 경청하고 마주한 장면들의 숨겨진 의미를 "읽는" 능력이 있었다. 앙골라, 탄자니아, 러시아 등 다양한 장소에서 벌어진 사건들을 역사적 변혁의 은유로 표현했다.
이러한 경향은 카푸시친스키를 뛰어난 사상가로 만들었으며, ''라피다리움'' 시리즈는 리포터의 관찰을 세상, 사람, 고통에 대한 철학적 성찰로 형성하는 기록이다. 그는 가난하고, 희생당하고, 타락한 사람들에게 큰 연민을 느꼈다.
카푸시친스키는 자신의 작품을 "문학적 르포"[30], ''르포르타주 작가주의''[31]라 불렀고, 영어권에서는 "마법적 저널리즘"(마법적 사실주의에 반대)으로 특징짓기도 한다.[32][33][34][35] 그는 "작가의 상상력이 부족한 불쌍한 리포터"라고 자신을 소개했다.[50]
헤로도토스를 위대한 리포터이자 스승으로 여겼으며, ''헤로도토스와 함께 한 여행''을 통해 헤로도토스의 ''역사''가 시대를 초월한 르포의 걸작임을 보여주었다. 쿠르치오 말라파르테, 멜키오르 바니코비치, 크사베리 프루시진스키, 프란치셰크 길을 문학적 모델이자 선구자로 여겼다.[16][38][39][40][41] 그의 작품은 J. M. 코에체 작품과 유사성이 있는데, 두 작가 모두 "증인의 책임" 이론에 영향을 받았다고 여겨진다.[43]
조지프 콘래드와 비교되기도 하며, 콘래드를 문학적 영감 중 하나로 꼽았다.[44][47] 닐 애슈슨은 그를 문학 르포의 아버지 에곤 에르빈 키슈에 비유했고,[48] 카푸시친스키 역시 키슈를 르포의 고전으로 칭찬했다.[31] 키슈와 카푸시친스키는 "저널리즘적 객관성"을 믿지 않았고, 카푸시친스키는 객관성이란 글 쓰는 사람 양심의 문제라고 말했다.[49]
1986년부터 폴란드에서 시인으로도 알려졌으며,[61] 2007년에는 그의 시가 영어로 처음 번역된 "나는 돌을 썼다"(I Wrote Stone)가 출판되었다.
9/11 테러 원인이 복잡하여 분석이 어렵다고 보면서도, "문명의 충돌"에서 핵심 요소를 설명했고, "문명의 충돌" 이론을 미국의 세계관으로 보고 비판했다.[58]
주요 작품은 다음과 같다.
- ''또 다른 하루''(''Jeszcze dzień życia'') (1976)
- ''축구 전쟁''(''Wojna futbolowa'') (1978)
- ''황제: 독재자의 몰락''(''Cesarz'') (1978)
- ''샤의 샤''(''Szachinszach'') (1982)
- ''제국''(''Imperium'') (1993)
- ''태양의 그림자''(''Heban'') (1998)
- ''다문화 세계에서 우리의 책임'' (''Powinności obywatela świata wielokulturowego'') (2002)
- ''헤로도토스와의 여행''(''Podróże z Herodotem'') (2007)
- ''타자와의 만남: 21세기의 도전야기엘론 대학교 제36회 폴란드어 및 문화 학교 개강 강연, 2005년 7월 5일'' (''Spotkanie z Innym jako wyzwanie XXI wieku: wykład z okazji otwarcia 36. Szkoły Języka i Kultury Polskiej Uniwersytetu Jagiellońskiego'') (2005)
- ''빙산 내부'' (''Wewnątrz góry lodowej''; ''태양의 그림자''에서 발췌) (2007)
- ''나는 돌을 썼다: 리샤르트 카푸시친스키의 시 선집'' (2007)
- ''코브라의 심장'' (''태양의 그림자''에서 발췌) (2007)
- ''그 다른 사람'' (''Ten Inny'') (2008)
- ''나의 아침 산책'' (''Spacer poranny'') (2009)
- ''시집'' (''Wiersze zebrane'') (2012)
3. 1. 초기 활동 (폴란드 국내)
1945년 가족과 함께 바르샤바에 정착한 카푸시친스키는 스타니스와프 스타시츠 김나지움에서 학업을 이어갔다. 학창 시절 그는 아마추어 권투 선수(밴텀급)이자 축구 선수로 활동했다.[7] 1948년에는 공산주의 청소년 단체인 ZMP에 가입하여 하위 직책을 맡기도 했다.[8]1950년 6월 김나지움을 졸업하고 ZMP의 기관지였던 전국 신문 ''스탄다르 M워디치''에서 기자 생활을 시작했다. 같은 해 10월 바르샤바 대학교 (폴란드어학과)에 입학했고, 1951년에는 역사학과로 전과했다. 대학교 재학 중이던 1951년 8월, 동독에서 열린 청년 축제에 참가했는데, 이는 그의 첫 해외 여행이었다.[9] 1952년에는 의사 알리샤 미엘차레크와 결혼하여 1953년에 딸 조피아를 얻었다.[10]
1955년 6월 바르샤바 대학교를 졸업한 그는 같은 해 9월, 크라쿠프 도시권 노바 후타 건설 현장의 비인간적인 노동 및 생활 조건을 폭로하는 기사를 발표하여 금십자 훈장을 받았다.[11]
1958년 ''스탄다르 M워디치''를 떠나 폴란드 통신사에서 일하기 시작했으며, 얼마 후 주간지 ''폴리티카''에 합류하여 1962년까지 근무했다. ''폴리티카''에서 활동한 결과물은 1962년 출간된 ''부쉬 포 폴스쿠''(Busz po polsku)에 담겨 있다. 이 책은 "폴란드 황야"로 묘사되는 소외된 지역과 사람들의 삶을 다룬 르포르타주로, 카푸시친스키의 초기 문학적 경향을 보여준다.[15]
3. 2. 해외 특파원 활동 (아프리카, 아시아, 라틴 아메리카)
카푸시친스키는 1950년대 후반부터 폴란드 통신사(PAP) 특파원으로 활동하며 아프리카, 아시아, 라틴 아메리카 등 세계 각지를 취재했다.[93] 그는 1961년 콩고 내전, 1969년 온두라스와 엘살바도르 간의 '축구 전쟁', 1975년 앙골라 내전, 1979년 이란 혁명 등 주요 분쟁과 혁명 현장을 직접 발로 뛰며 생생한 기록을 남겼다.[94]1963년 출간된 《검은 별들》(Czarne gwiazdy)에서는 가나의 콰메 은크루마와 콩고민주공화국의 파트리스 루뭄바 등 아프리카 지도자들의 독립 투쟁을 다루었다. 1970년 《왜 카를 폰 슈프레티가 죽었는가》(Dlaczego zginął Karl von Spreti)에서는 과테말라의 정치 상황과 독일 외교관 암살 사건을 분석했다. 1975년 《어깨에 소총을 든 그리스도》(Chrystus z karabinem na ramieniu)에서는 아프리카, 라틴 아메리카, 중동의 게릴라 운동을 조명했다.
1978년에 출간된 《축구 전쟁》(Wojna futbolowa)은 온두라스와 엘살바도르 간의 전쟁을 다룬 르포르타주로, 전쟁의 비극성과 부조리함을 생생하게 묘사하여 국제적인 주목을 받았다. 같은 해 출간된 《황제》(Cesarz)는 에티오피아 황제 하일레 셀라시에의 몰락 과정을 다룬 작품으로, 카푸시친스키의 대표작 중 하나로 꼽힌다. 이 작품은 권력의 부패와 허망함을 문학적으로 형상화하여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96]
1982년 《샤힌샤》(Szachinszach)는 이란 혁명과 팔레비 왕조의 몰락을 다룬 작품이다. 1998년 《흑단》(Heban)은 아프리카에 대한 카푸시친스키의 오랜 경험과 통찰을 담은 작품으로, 아프리카의 다양한 문화와 역사, 사회 문제를 깊이 있게 다루었다. 2004년 《헤로도토스와의 여행》(Podróże z Herodotem)은 고대 그리스 역사가 헤로도토스의 《역사》를 읽으며 세계를 여행하는 카푸시친스키의 경험과 사색을 담은 작품이다.
3. 3. 소련 및 동유럽 취재
카푸시친스키는 1967년 소련으로 건너가 중앙아시아와 코카서스 지역을 취재했다. 1989년 소련 붕괴 이후 동유럽과 러시아의 변화를 취재하며 1993년 《제국(Imperium)》을 출간했다. 이 작품은 소련 제국의 붕괴 과정을 다룬 역작으로 평가받는다.[56][57]3. 4. 문학적 르포르타주
카푸시친스키는 단순한 사실 보도를 넘어 문학적인 글쓰기를 통해 사건의 본질과 인간의 보편적인 모습을 탐구했다. 1960년대 초부터 정교한 서술 기법, 인물의 심리 묘사, 풍부한 양식화와 은유를 사용했으며, 특히 특이한 이미지를 통해 세상을 해석하는 문학적 기교가 돋보이는 책들을 출판했다.[29] 그의 대표작 중 하나인 ''황제''는 에티오피아에서 하이레 셀라시에의 시대착오적인 정권이 몰락하는 과정을 다루는데, 이 책은 폴란드 국민들에게 특별한 의미를 지녔으며, 서방 세계에 그의 명성을 확립하는 계기가 되었다.[29]그는 자신이 마주한 장면들의 숨겨진 의미를 "읽는" 능력이 있었으며, 앙골라, 탄자니아, 러시아 등 다양한 장소에서 벌어진 사건들을 역사적 변혁의 은유로 표현했다. 이러한 경향은 카푸시친스키를 뛰어난 사상가로 만들었으며, 그는 가난하고, 희생당하고, 타락한 사람들에게 큰 연민을 느꼈다.
카푸시친스키는 자신의 작품을 "문학적 르포"[30] 또는 "작가주의 르포르타주"라고 불렀으며,[31] 영어권에서는 그의 장르를 마법적 사실주의에 빗대어 "마법적 저널리즘"이라고 칭하기도 한다.[32][33][34][35] 그는 종종 자신을 "작가의 상상력이 부족한 불쌍한 리포터"라고 소개했다.[50]
그는 고대 그리스 역사가 헤로도토스를 위대한 리포터이자 스승으로 여겼으며, ''헤로도토스와 함께 한 여행''이라는 책을 통해 헤로도토스의 ''역사''가 시대를 초월한 르포의 걸작임을 보여주었다. 또한 쿠르치오 말라파르테, 멜키오르 바니코비치, 크사베리 프루시진스키, 프란치셰크 길 등을 자신의 문학적 모델이자 스타일적 선구자로 여겼다.[16][38][39][40][41] 카푸시친스키의 작품은 J. M. 코에체의 작품과 유사성이 있다는 평가를 받는데, 두 작가 모두 "증인의 책임" 이론에 영향을 받았다고 여겨진다.[43]
카푸시친스키는 조지프 콘래드와 비교되기도 하는데, 그는 콘래드를 자신의 문학적 영감 중 하나로 꼽았다.[44][47] 닐 애슈슨은 그를 문학 르포의 아버지로 여겨지는 에곤 에르빈 키슈에 비유했으며,[48] 카푸시친스키 역시 키슈를 르포의 고전으로 칭찬했다.[31] 키슈와 카푸시친스키는 모두 "저널리즘적 객관성"을 믿지 않았으며, 카푸시친스키는 객관성이란 글을 쓰는 사람의 양심의 문제라고 말했다.[49]
4. 논란과 비판
카푸시친스키의 작품은 때때로 사실과 허구의 경계가 모호하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특히 2010년 출간된 아르투르 도모슬라프스키의 전기 《Kapuściński Non-Fiction》은 카푸시친스키가 자신의 경험을 과장하거나 허구적인 요소를 섞어 썼다는 의혹을 제기하여 논란을 일으켰다. 카푸시친스키의 미망인 알리치아 카푸시친스카는 도모슬라프스키의 책에 대해 명예훼손 소송을 제기했으나, 폴란드 법원은 이를 기각했다.[140]
2007년 5월 27일, 뉴스위크는 카푸시친스키가 1965년부터 1972년 또는 1977년까지 폴란드 인민 공화국의 첩보 기관과 협력 관계에 있었다고 보도했다. 이전에도 국가기억원은 카푸시친스키가 방문한 국가나 만났던 인물에 대한 분석을 실시했다.[140]
하지만 그의 아내 알리치아 카푸시친스카는 남편이 당시 폴란드의 첩보 기관인 내무부 정보부(SB)에 외부 협력자로서 명목상 소속되는 것 자체에는 전혀 개의치 않았다고 말했다. 외국으로 나가 활동하는 언론인이라면 잠재적인 의미에서 정보 제공자로서의 활동에 관여하는 것은 어느 곳에서나 흔한 일이기 때문이라고 남편은 말했다고 한다.[141]
5. 평가 및 유산
살만 루슈디는 카푸시친스키에 대해 "저널리즘과 예술의 훌륭한 융합"을 이루어 냈다고 평가하며, "결코 표현될 수 없는 전쟁의 실상"에 독자들이 다가갈 수 있게 했다고 썼다.[1] 그는 여러 차례 노벨 문학상 후보로 거론되었지만, 수상은 하지 못했다.[1]
카푸시친스키는 자신의 저작이 "세상에 대한 관심을 가질 충분한 젊은 마음을 가진 모든 사람들을 위해" 쓴 것이라고 말했다.[1] 그의 작품은 냉전, 독재자, 혁명 등 현대사의 굵직한 사건들을 다루면서, 미국과 소련이 세계에 미친 영향에 대해 다른 시각을 제시한다.[1]
세계 언론은 카푸시친스키가 사망했을 때, 그를 "'현대 저널리즘의 마이스터'", "'세상'의 해설가'", "'세계에서 가장 위대한 보도 기자'", "'현대의 헤로도토스'", "'제3세계에 대한 연대기 작가'" 등으로 칭송했다.[1]
5. 1. 한국 사회에 미친 영향
카푸시친스키의 저작들은 한국 사회, 특히 진보 진영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제3세계에 대한 관심과 개발도상국 현실에 대한 비판적 시각은 한국 사회의 문제점을 성찰하는 계기가 되었다.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진보 진영은 그의 작품을 통해 한국 사회의 불평등, 권위주의, 사회적 약자에 대한 차별 등의 문제를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대안적인 사회 모델을 모색하는 데 활용하기도 한다.참조
[1]
뉴스
Ryszard Kapuscinski, Polish Writer of Shimmering Allegories and News, Dies at 74
https://www.nytimes.[...]
2007-01-24
[2]
웹사이트
Terzani pisał do niego Maestro
http://wyborcza.pl/1[...]
2011-11-13
[3]
뉴스
El sentido de la vida es cruzar fronteras
http://www.elpais.co[...]
2011-11-13
[4]
웹사이트
Ryszard Kapuscinski: Simplemente un Maestro
http://www.lemondedi[...]
2014-01-04
[5]
뉴스
Polish chronicler of Third World Kapuscinski dies
http://uk.reuters.co[...]
2014-01-03
[6]
서적
Ryszard Kapuściński. Biografia pisarza
Znak, Kraków
2008
[7]
웹사이트
Biografia Ryszarda Kapuscinski
http://wyborcza.pl/k[...]
2011-11-13
[8]
뉴스
Bill Buford, "An Interview with Ryszard Kapuścińsk
http://www.granta.co[...]
Granta.com
2011-11-13
[9]
웹사이트
Osobliwa skrytość Ryszarda Kapuścińskiego (The Remarkable Reticence of Ryszard Kapuściński)
http://rzeczpospolit[...]
2011-11-13
[10]
문서
Nie żyje Alicja Kapuścińska. Miała 89 lat
https://wydarzenia.i[...]
[11]
웹사이트
Rysiek dobry i mądry (Good and Wise Ricky)
http://wyborcza.pl/k[...]
2011-11-13
[12]
문서
[13]
문서
[14]
웹사이트
Biografia Ryszarda Kapuscinski
http://wyborcza.pl/k[...]
2011-11-13
[15]
문서
[16]
문서
"Antyciała: z Ryszardem Kapuścińskim rozmawia Andrzej Skworz" (Antibodies: An Interview with Ryszard Kapuściński Conducted by A. Skworz)
https://web.archive.[...]
[17]
웹사이트
The Soccer Wars (excerpt from jacket)
http://www.granta.co[...]
2011-11-13
[18]
웹사이트
Kapuściński's "official" biography on the ''Kapuściński.info'' Internet portal
http://kapuscinski.i[...]
Kapuscinski.info
2011-11-13
[19]
간행물
Fellow Travelers
http://www.time.com/[...]
2011-11-13
[20]
문서
[21]
서적
Dziennik z Boliwii Che Guevara
Wydawnictwo Książka i Wiedza, Warsaw
1970
[22]
웹사이트
Andrzej Wajda
https://culture.pl/e[...]
culture.pl
2013-01-10
[23]
저널
Ze studentami rozmawia Ryszard Kapuściński
http://www.encyklope[...]
2014-05-19
[24]
문서
Who Allowed Journalists Here
http://kapuscinski.i[...]
Independent Publishing House NOWA
1985
[25]
웹사이트
Arena: Kapuściński
http://www.bbc.co.uk[...]
BBC Four
2014-10-15
[26]
뉴스
Obituary: Ryszard Kapuściński
https://www.theguard[...]
2007-01-25
[27]
웹사이트
Leven & werken: Ryszard Kapuściński (Paul Scheffer speaks with Ryszard Kapuściński)
http://www.npogeschi[...]
VPRO
2014-10-15
[28]
서적
Encountering the Other
Universitas, Kraków
2007
[29]
웹사이트
Institute of Books
http://www.instytutk[...]
Instytutksiazki.pl
2013-08-18
[30]
뉴스
Fact, Fiction and Kapuscinski
http://thelede.blogs[...]
2011-11-13
[31]
서적
Autoportret reportera
Kraków, Znak
2003
[32]
간행물
Magic Journalism
http://www.nybooks.c[...]
2011-11-13
[33]
백과사전
Ryszard Kapuscinski
http://www.litencyc.[...]
Northwestern University
2011-11-13
[34]
문서
[35]
웹사이트
Kapuściński, More Magical than Real
http://www.newstates[...]
2011-11-13
[36]
웹사이트
Information on the website dedicated to Tiziano Terzani
http://terzanitizian[...]
[37]
웹사이트
Artur Domosławski, "Kapu uczy latynosów" (Kapu Teaches the Latinos)
http://wyborcza.pl/k[...]
2011-11-13
[38]
웹사이트
Tomasz Łubieński (b. 1938), "Uczeń Kapuścińskiego?" (Kapuściński's Pupil?)
http://wyborcza.pl/1[...]
Gazeta Wyborcza
2010-03-03
[39]
웹사이트
Zawód: dziennikarz (Profession: Journalist)
http://www.tygodnik.[...]
2011-11-13
[40]
문서
Autoportret reportera
http://chomikuj.pl/V[...]
Kraków, Znak
2003
[41]
웹사이트
El polaco que denunciaba todos los crímenes
http://kapuscinski.e[...]
2014-07-21
[42]
서적
Literary Reportage: Between and Beyond Art and Fact
Amsterdam, John Benjamins Pub. Co.
2004-2006
[43]
웹사이트
Coetzee i Kapuściński{{emdash}}próba zestawienia afrykańskich motywów twórczości
http://kapuscinski.i[...]
2011-03-18
[44]
뉴스
Poland's Loss: Poland's Giant of Reportage is Dead
https://www.economis[...]
2011-11-13
[45]
웹사이트
African Bullets & Honey, the literary blog of the writer
http://bulletsandhon[...]
Bulletsandhoney.wordpress.com
2011-11-13
[46]
웹사이트
Misguided Tour
http://www.villagevo[...]
2011-11-13
[47]
뉴스
A Good Man in Africa
https://www.telegrap[...]
2011-11-13
[48]
간행물
In the Pit of History
http://www.nybooks.c[...]
Nybooks.com
2011-11-13
[49]
문서
[50]
뉴스
Melancholy defense of a fast-changing profession: A celebrated Polish journalist reflects on the future of the news
http://www.iadb.org/[...]
2014-01-23
[51]
서적
Autoportret reportera
http://www.znak.com.[...]
Kraków, Znak
2003
[52]
서적
Pisanie
http://czytelnik.pl/[...]
Warszawa, Czytelnik
2012
[53]
웹사이트
The reporter as poet: The Polish writer Ryszard Kapuscinski may be one of our last great foreign correspondents in whose reports morality, philosophy and poetry exist side by side with fact. Now something of a media star, he joins the modern historians with a new book about the end of the Soviet Union - Arts and Entertainment - The Independent
https://www.independ[...]
2023-06-28
[54]
서적
Ryszard Kapuściński z Afryki
Bielsko-Biała, Wydawnictwo Buffi
2000
[55]
서적
Ze świata
Kraków, Społeczny Instytut Wydawniczy Znak
2008
[56]
웹사이트
Publishers' info
http://www.znak.com.[...]
Znak.com.pl
2011-11-13
[57]
서적
Publishers' info
http://www.znak.com.[...]
Znak.com.pl
2011-11-13
[58]
웹사이트
Ryszard Kapuściński, "Zderzenie cywilizacji" (The Clash of Civilisations), an interview
http://chomikuj.pl/V[...]
Chomikuj.pl
2011-11-13
[59]
간행물
Remembrance: Ryszard Kapuscinski
http://www.thenation[...]
2011-11-13
[60]
웹사이트
Entrevista con Ryszard Kapuscinski
http://www.letraslib[...]
2011-11-13
[61]
뉴스
[62]
웹사이트
Anders Bodegard o śmierci Ryszarda Kapuścińskiego
http://www.instytutk[...]
Instytut Książki
2011-11-13
[63]
뉴스
Kapuściński... the poet?
http://latimesblogs.[...]
Los Angeles Times Books
2018-06-28
[64]
웹사이트
Uczeń Kapuścińskiego? (Kapuściński's Pupil?)
http://wyborcza.pl/1[...]
2011-11-13
[65]
웹사이트
Bez
http://bolekczyta.fi[...]
Bolekczyta.filmaster.pl
2011-11-13
[66]
간행물
The Passenger
2007-10-01
[67]
뉴스
African Memoir: Bus Rides
https://www.economis[...]
2011-11-13
[68]
웹사이트
Światowi pisarze: Najczęściej tłumaczeni polscy autorzy współcześni w ostatniej dekadzie (World Writers: Most-Frequently Translated Contemporary Polish Authors in the Last Decade, 1990–2000)
http://archiwum.poli[...]
2011-11-13
[69]
간행물
Zum Tode Ryszard Kapuscinskis: Der beste Reporter der Welt
http://www.spiegel.d[...]
2007-01-24
[70]
웹사이트
Daniel Alarcón on War by Candlelight: A Conversation with Daniel Alarcón
http://www.harpercol[...]
HarperCollins
2011-11-13
[71]
뉴스
The Shadow of the Sun: Africa, a Mosaic of Mystery and Sorrow
https://www.nytimes.[...]
2011-11-13
[72]
서적
Fundamentalism in America: Millennialism, Identity, and Militant Religion
Edinburgh University Press
1999
[73]
뉴스
Ryszard Kapuściński nie żyje
Gazeta Wyborcza
2007-01-23
[74]
뉴스
Björn Wiman: Anna Politkovskajas minne vore värt ett Nobelpris
Dagens Nyheter
2010-10-07
[75]
뉴스
The Best Journalist in the World?
http://www.bbc.co.uk[...]
BBC
2007-01-25
[76]
뉴스
Ein Herodot für unsere Zeit
https://www.faz.net/[...]
2007-01-25
[77]
뉴스
Third World chronicler Kapuscinski dies
http://www.cnn.com/2[...]
CNN
2007-01-25
[78]
뉴스
Polnischer Autor Kapuscinski gestorben
http://www.spiegel.d[...]
2007-01-25
[79]
서적
Ryszard Kapuściński: The Empathetic Existentialist
Iowa State University Press
2002
[80]
웹사이트
Official announcement of the 2005 award of the Premio Elsa Morante (Sezione Culture D'Europa) to Kapuściński
http://www.premioels[...]
Premioelsamorante.it
2011-11-13
[81]
웹사이트
Official photo showing Kapuściński receiving the Feudo Di Maida prize
http://www.feudodima[...]
Feudodimaida.it
2011-11-13
[82]
웹사이트
Official citation for the 2000 Premio Internazionale Viareggio-Versilia
http://www.premiolet[...]
Premioletterarioviareggiorepaci.it
2011-11-13
[83]
웹사이트
Premio Creola a Kapuschinski
http://ricerca.repub[...]
2011-11-13
[84]
웹사이트
Premio Omegna: I vincitori del Premio Omegna dal 1995
http://www.isrn.it/l[...]
Istituto storico della Resistenza e della società contemporanea nel Novarese e nel Verbano Cusio Ossola
2011-11-13
[85]
웹사이트
Premio Grinzane per la Lettura a Kapuscinski: la motivazione
http://www.feltrinel[...]
Giangiacomo Feltrinelli Editore
2011-11-13
[86]
웹사이트
Kreisky-Preis-TrägerInnen 2003
http://www.renner-in[...]
The Renner Institut
2011-11-13
[87]
웹사이트
Lettre Ulysses Award Keynote Speech of 2003 (English version) on the official website for the Award
http://www.lettre-ul[...]
Lettre-ulysses-award.org
2011-11-13
[88]
웹사이트
Official notification of the Fondazione Premio Napoli listing Kapuściński as the recipient of the prize
http://www.premionap[...]
Premionapoli.it
2011-11-13
[89]
웹사이트
A Ryszard Kapuscinski il Premio Ilaria Alpi alla carriera
http://www.comunicla[...]
Faculty of Communications Science, Sapienza Università di Roma
2011-11-13
[90]
웹사이트
Official notification of the Ramon Llull University announcing the award of honorary doctorate to Kapuściński
http://www.url.edu/e[...]
Url.edu
2011-11-13
[91]
웹사이트
Official announcement by the University of Udine of the conferment of honorary degree on Kapuściński
http://qui.uniud.it/[...]
Qui.uniud.it
2011-11-13
[92]
뉴스
Nagroda im. Ryszarda Kapuścińskiego – Ryszard Kapuściński
http://www.kulturaln[...]
2014-01-03
[93]
웹사이트
At play in the bush of ghosts
http://www.richardwe[...]
Times Literary Supplement
2001-07-27
[94]
간행물
Defending Ryszard Kapuściński
http://www.slate.com[...]
2007-01-30
[95]
간행물
The lies of Ryszard Kapuściński—or, if you prefer, the "magical realism" of the now-departed master
http://www.slate.com[...]
2007-01-25
[96]
문서
"At play in the bush of ghosts" originally published as the "Tales of Mythical Africa" by the Times Literary Supplement
2001
[97]
문서
Beata Nowacka. About the author.
Wydawnictwo Uniwersytetu Śląskiego
2012
[98]
문서
Zygmunt Ziątek. About the author.
Wydawnictwo Znak
2008-11-07
[99]
서적
Ryszard Kapuściński. Biografia pisarza Beata Nowacka, Zygmunt Ziątek
https://www.znak.com[...]
Znak
2014-01-03
[100]
서적
Opere
http://www.librimond[...]
Mondadori
2014-07-21
[101]
웹사이트
Classics to enjoy: Meridiani
http://www.mondadori[...]
Mondadori
2014-07-21
[102]
문서
Kapuściński non-fiction
Świat książki
2010
[103]
뉴스
Poland's ace reporter Ryszard Kapuściński accused of fiction-writing.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com
2010-03-02
[104]
서적
Ryszard Kapuściński: A Life.
https://books.google[...]
Verso Books
2012
[105]
웹사이트
Ryszard Kapuściński was a great story-teller, not a liar
https://www.theguard[...]
2010-03-03
[106]
뉴스
Ryszard Kapuściński. Opinion. Bearing witness is a sacred trust.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com
2010-03-10
[107]
뉴스
Fact and fiction
https://www.ft.com/c[...]
2012-08-24
[108]
웹사이트
Publikacje
http://wydawnictwo.u[...]
Wydawnictwo Uniwersytetu Śląskiego
2013-01-14
[109]
문서
[110]
웹사이트
We know the verdict on the biography of Ryszard Kapuściński Polish Radio SA 27 May 2015
http://www.polskiera[...]
[111]
웹사이트
Kapuscinski-daughter-loses-case-against-her-fathers-biographer
http://www.thenews.p[...]
[112]
서적
Bilingual edition; tr. Michael Jacobs; Kraków, Fundacja Judaica/Centrum Kultury Żydowskiej, 2002. The 2001 Aleksander and Alicja Hertz Annual Memorial Lecture, No. 3.
[113]
웹사이트
Travels with Herodotus by Ryszard Kapuscinski
http://www.randomhou[...]
Random House
2011-11-13
[114]
서적
Bilingual edition; tr. Katarzyna Mroczkowska-Brand and William Brand; [[Kraków]], Towarzystwo Autorów i Wydawców Prac Naukowych Universitas, 2005.
[115]
문서
Encountering the Other: The Challenge for the Twenty-first Century by Ryszard Kapuściński. The opening lecture to the summer session at Jagiellonian University, in Krakow
http://www.digitalnp[...]
[116]
서적
I Wrote Stone: The Selected Poetry of Ryszard Kapuscinski
http://biblioasis.co[...]
Biblioasis
2018-06-28
[117]
서적
Publisher's listing on Verso Books of London
http://www.versobook[...]
Versobooks.com
2011-11-13
[118]
웹사이트
My Morning Walk by Ryszard Kapuscinski
http://culture.pl/en[...]
Culture.pl
2014-01-16
[119]
뉴스
Paseo matutino by Ryszard Kapuscinski
http://elpais.com/di[...]
2014-01-16
[120]
서적
Wiersze zebrane/Collected Poems
http://www.wydawnict[...]
UMCS and Polish-Canadian Publishing Fund
2018-06-28
[121]
웹사이트
EDIZIONI E/O | Catalogo | Il cinico non è adatto a questo mestiere
http://www.edizionie[...]
2014-01-23
[122]
문서
Published together with: [[Jarosław Mikołajewski]], ''Sentymentalny portret Ryszarda Kapuścińskiego'', [with] Ryszard Kapuściński, ''Zapiski szpitalne''; foreword by A. Kapuścińska ([[Kraków]], Wydawnictwo Literackie, 2008);
[123]
웹사이트
Kapuściński's quotes (in Polish) from the book "Kto tu wpuścił dziennikarzy"
http://kapuscinski.i[...]
[124]
웹사이트
Ryszard Kapuściński. Photobiography
http://www.veda.com.[...]
VEDA
2014-10-15
[125]
서적
Ryszard Kapuściński z daleka i z bliska
https://www.znak.com[...]
Znak
2018-07-02
[126]
문서
See a film ''L'Afrique vue par Ryszard Kapuściński'' (13:56)
[127]
문서
The film is attached as a DVD with the book ''Pisanie. Z Ryszardem Kapuścińskim rozmawia Marek Miller'', published in Poland in 2012
[128]
웹사이트
A Poet on the Front Line
http://www.kapuscins[...]
2014-07-21
[129]
웹사이트
A Poet on the Frontline
http://www.gabrielle[...]
2014-07-21
[130]
웹사이트
L'Afrique vue par Ryszard Kapuscinski
http://www.arte.tv/g[...]
2015-03-27
[131]
웹사이트
http://www.guardian.[...]
[132]
웹사이트
http://www.herald.ie[...]
[133]
웹사이트
http://www.guardian.[...]
[134]
서적
リシャルト・カプシチンスキ『黒檀』(工藤幸雄 / 阿部優子 / 武井摩利訳)河出書房新社、2010年 (池澤夏樹=個人編集 世界文学全集 III-02;ISBN 978-4-309-70966-6)、393-394頁。
[135]
뉴스
The Best Journalist in the World?
http://www.bbc.co.uk[...]
BBC
2007-01-25
[136]
뉴스
Der beste Reporter der Welt
http://www.spiegel.d[...]
2007-01-25
[137]
뉴스
Ein Herodot für unsere Zeit
http://www.faz.net/I[...]
2007-01-25
[138]
뉴스
Third World chronicler Kapuscinski dies
http://www.cnn.com/2[...]
CNN
2007-01-25
[139]
뉴스
Polnischer Autor Kapuscinski gestorben
http://www.spiegel.d[...]
2007-01-25
[140]
웹사이트
Kapuściński współpracował z SB (dziennik.pl)
http://www.dziennik.[...]
[141]
뉴스
Dziennik.pl: Wdowa po Kapuścińskim: Mąż nie był agentem SB
http://www.dziennik.[...]
[142]
웹사이트
Ryszard Kapuściński. Biografia pisarza Beata Nowacka, Zygmunt Ziątek
https://www.znak.com[...]
Znak
2014-01-03
[143]
웹사이트
Opere
http://www.librimond[...]
Mondadori
2014-07-21
[144]
웹사이트
Classics to enjoy: Meridiani
http://www.mondadori[...]
Mondadori
2014-07-21
[145]
문서
[146]
웹사이트
Publikacje
http://wydawnictwo.u[...]
Wydawnictwo Uniwersytetu Śląskiego
2014-01-03
[147]
문서
[148]
뉴스
Znamy wyrok w sprawie biografii o Ryszardzie Kapuścińskim
http://www.polskiera[...]
2017-08-28
[149]
뉴스
Kapuściński daughter loses case against her father's biographer
http://www.thenews.p[...]
2017-08-28
[150]
뉴스
Ryszard Kapuscinski, Polish Writer of Shimmering Allegories and News, Dies at 74
https://www.nytimes.[...]
2007-01-24
[151]
웹인용
Terzani pisał do niego Maestro
http://wyborcza.pl/1[...]
2011-11-13
[152]
뉴스
El sentido de la vida es cruzar fronteras
http://www.elpais.co[...]
2011-11-13
[153]
웹인용
Ryszard Kapuscinski: Simplemente un Maestro
http://www.lemondedi[...]
2014-01-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