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넬로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칸넬로니는 원통형 모양의 이탈리아 파스타 요리이다. 미국에서는 칸넬로니를 마니코티로 잘못 부르기도 하는데, 이탈리아에서 마니코티는 크레페의 일종으로 칸넬로니와는 다른 요리이다. 이탈리아어에서 칸넬로니는 복수형이지만, 영어에서는 단수로 취급하는 경우가 많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스타 - 스트란고치
- 파스타 - 마카로니
듀럼밀로 만든 튜브 형태의 파스타인 마카로니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높으며, 다양한 종류와 형태로 전 세계에서 활용되고 특히 마카로니 앤 치즈나 마카로니 샐러드 등으로 즐겨 먹는다. - 이탈리아 요리 - 피자
피자는 튀르키예 피데에서 유래하여 납작한 빵에 토핑을 얹어 구운 요리로, 이탈리아 나폴리에서 토마토와 치즈를 사용하여 현대적인 형태를 갖추었으며 세계적인 음식으로 발전했다. - 이탈리아 요리 - 젤라토
젤라토는 이탈리아 전통 수제 방식으로 만든 아이스크림으로, 낮은 공기 함량과 유지방 함량으로 인해 일반 아이스크림보다 밀도가 높고 칼로리가 낮으며, 16세기 이탈리아에서 기원하여 여러 인물의 기여와 기술 발전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고, 이탈리아에서는 수제 젤라토가 여전히 인기 있다.
칸넬로니 - [음식]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다른 이름 | Cannaciotti 칸나치오티 Manfriguli/Manfrigoli 만프리굴리/만프리골리 (발텔리나) Canneroni/Cannaroni 칸네로니/칸나로니 (나폴리) Cannoli 칸놀리 Crusetti 크루세티 (시칠리아) Canelons 카넬론스 (카탈루냐) |
국가 | 이탈리아 |
종류 | 파스타 |
요리 종류 | 구운 요리 |
제공 온도 | 따뜻하거나 뜨겁게 |
주재료 | 밀가루 (듀럼), 물 |
변형 | 마니코티 |
2. 종류
칸넬로니는 모양과 먹는 방법이 춘권과 다소 비슷하며[4], 이탈리아 요리에서는 소를 채워 소스를 얹어 굽는 것이 일반적이다. 미리 삶아야 하는 종류도 있지만, 소스와 소를 듬뿍 사용하면 삶지 않아도 되는 종류도 있다.
시금치와 리코타 치즈, 또는 다진 소고기를 채워 넣는 것이 인기 있으며, 토마토 소스를 바닥에, 베샤멜 소스를 위에 얹는 것이 전형적인 방법이다.
마니코티나 마니케라고 불리는 파스타는 칸넬로니와 거의 같지만, 우루과이나 아르헨티나에서는 파스타가 아닌 크레이프를 사용한다.
2. 1. 혼용
미국에서 칸넬로니는 마니코티로 잘못 불리기도 하는데, 이탈리아에서 "마니코티"는 정찬에서 저녁 식사 때 먹는 크레페의 일종으로 동그랗게 말린 파스타면과는 다르다.[5] 마니코티와 칸넬로니가 전통 요리가 아닐 경우에 혼용되어 쓰이기는 하지만, 전통 이탈리아 요리에서 칸넬로니는 크레페 전용 팬에서 조리하여 마니코티와 파스타와 함께 조리하여 먹는다. 이탈리아어로는 칸넬로니 자체가 복수형이지만, 영어에서는 단수로 취급하며 요리일 경우에는 그렇게 하는 경우가 더욱 빈번하다.2. 2. 명칭
미국에서 칸넬로니는 마니코티로 잘못 불리기도 하는데, 이탈리아에서 "마니코티"는 정찬에서 저녁 식사 때 먹는 크레페의 일종으로 동그랗게 말린 파스타면과는 다르다.[5] 마니코티와 칸넬로니가 전통 요리가 아닐 경우에는 혼용되어 쓰이기도 하지만, 전통 이탈리아 요리에서 칸넬로니는 크레페 전용 팬에서 조리하여 마니코티와 파스타와 함께 조리하여 먹는다. 이탈리아어로는 칸넬로니 자체가 복수형이지만, 영어에서는 단수로 취급하며 요리일 경우에는 그렇게 하는 경우가 더욱 빈번하다.3. 기타
칸넬로니는 춘권과 모양과 먹는 방법이 비슷하다.[4]
3. 1. 다른 나라의 칸넬로니
모양과 먹는 방법은 춘권과 다소 비슷하며[4], 이탈리아 요리에서는 소를 채워 소스를 얹어 구워 먹는 것이 일반적이다. 미리 삶아야 하는 종류의 칸넬로니도 있지만, 소스와 소를 듬뿍 사용하면 삶지 않아도 되는 종류도 있다.시금치와 리코타 치즈, 또는 다진 소고기를 채워 넣는 것이 인기 있는 먹는 방법이다. 토마토 소스를 바닥에, 베샤멜 소스를 위에 얹는 것이 전형적인 먹는 방법이다.
마니코티나 마니케라고 불리는 모양의 파스타는 거의 칸넬로니와 같다. 우루과이나 아르헨티나에서는 파스타가 아닌 크레이프를 사용한다.
참조
[1]
서적
Géométrie de la pasta
Marabout
[2]
웹사이트
Canelons
http://lameva.barcel[...]
lameva.barcelona.cat
2018-01-16
[3]
서적
Géométrie de la pasta
Marabout
[4]
웹사이트
バリラ カネロニ
http://www.nippn.co.[...]
2024-02-02
[5]
서적
The new food lover's companion
https://archive.org/[...]
Barron's Educational Seri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