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칼 스트러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칼 스트러스는 미국의 사진가이자 영화 촬영 감독으로, 1886년 뉴욕에서 태어나 1981년에 사망했다. 그는 사진을 전공하고 1900년대 초반 픽토리얼 사진 작가로 활동했으며, 1919년 할리우드로 진출하여 촬영 기사로 경력을 시작했다. 스트러스는 F.W. 무르나우의 《선라이즈: 두 인간의 노래》로 아카데미 촬영상을 수상했으며, 《지킬 박사와 하이드 씨》, 《독재자》, 《라임라이트》 등 여러 영화에 참여했다. 그는 또한 우표 수집에도 관심을 가졌으며, 특히 최초의 태평양 횡단 항공 우편 비행을 기념하는 봉투를 제작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카데미 촬영상 수상자 - 존 톨
    미국 출신 영화 촬영감독 존 톨은 《가을의 전설》과 《브레이브하트》로 아카데미 촬영상을 2년 연속 수상하고, 여러 유명 감독들과 협업하며 다양한 장르에서 뛰어난 촬영 실력을 인정받아 미국촬영감독협회 평생공로상을 수상하는 등 영화계에 큰 영향을 주었다.
  • 아카데미 촬영상 수상자 - 마우로 피오레
    마우로 피오레는 이탈리아 출신으로 미국에서 영화를 공부하고, 다양한 장르 영화의 촬영 감독으로 활동하며, 특히 안톤 후쿠아 감독과 협업했고, 영화 "아바타" 촬영으로 아카데미 촬영상을 수상한 촬영감독이다.
  • 미국의 촬영 감독 - 크리스토퍼 놀란
    크리스토퍼 놀란은 복잡한 플롯, 철학적 주제, 혁신적인 촬영 기법으로 유명하며 《메멘토》, 《다크 나이트》 3부작, 《인셉션》, 《인터스텔라》, 《덩케르크》, 《테넷》, 《오펜하이머》 등의 작품으로 작품성과 흥행성을 인정받은 영국과 미국의 영화 감독, 각본가, 제작자이다.
  • 미국의 촬영 감독 - 스티븐 소더버그
    1963년생 미국 영화 감독 스티븐 소더버그는 데뷔작 《섹스, 거짓말, 그리고 비디오테이프》로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을 수상하며 주목받은 후, 다양한 장르의 작품들을 통해 할리우드를 대표하는 거장으로 자리매김했다.
  • 1886년 출생 - 여운형
    여운형은 일제강점기와 해방 직후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독립운동 단체 활동, 임시정부 참여, 좌우합작을 통한 통일 노력으로 알려졌으나 해방 후 암살당했고 그의 삶과 죽음은 친일 논란과 암살 배후에 대한 논쟁을 낳고 있다.
  • 1886년 출생 - 오시마 히로시
    오시마 히로시는 일본 육군 중장으로, 주독일 대사로 활동하며 반 코민테른 조약 및 삼국 동맹 조약 체결에 기여했고, 독일의 전쟁 정보를 일본에 보고했으나 연합군에 의해 해독되었으며, A급 전범으로 기소되어 종신형을 선고받았다.
칼 스트러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사진작가 겸 영화 촬영 기사 칼 스트러스 (1912년), [[클래런스 화이트]] 촬영
사진작가 겸 영화 촬영 기사 칼 스트러스 (1912년), 클래런스 화이트 촬영
본명Karl F. Struss
직업영화 촬영 기사
소속A.S.C.
출생과 사망
출생일1886년 11월 30일
출생지뉴욕 시, 미국
사망일1981년 12월 15일
사망지산타모니카, 캘리포니아, 미국
묻힌 곳우드론 묘지, 뉴욕 브롱스
학력
학교컬럼비아 대학교
수상
수상 내역아카데미 촬영상
1928년 선라이즈 (공동 수상 찰스 로셔)

2. 생애와 경력

칼 스트러스는 1886년 뉴욕시에서 태어났다.[1] 고등학교 시절 질병으로 인해 학교를 그만두고 아버지 헨리가 운영하는 Seybel & Struss 보닛 와이어 공장에서 일했다.[1][21] 1908년부터 클래런스 H. 화이트의 컬럼비아 대학교 교사 대학 야간 예술 사진 강좌를 수강하며 사진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1912년에 학업을 마쳤다.[2] 그는 학업 초기에 카메라 렌즈의 특성을 탐구했으며, 1909년에는 소프트 포커스 렌즈인 스트러스 픽토리얼 렌즈로 특허를 받으려 했다.[3] 이 렌즈는 당시 픽토리얼 사진 작가들에게 인기가 있었으며, 1916년 영화 산업에 도입된 최초의 소프트 포커스 렌즈였다.[8]

1910년, 앨프레드 스티글리츠는 알브라이트 미술관 국제 픽토리얼 사진 전시회에서 스트러스의 픽토리얼 작품 12점을 선정하여 사진계의 주목을 받았다.[8] 이 전시회는 사진을 순수 예술로 승격시킨 포토-세션의 마지막 전시회였다.[8] 1911년 4월, 뉴어크 미술관의 "예술가의 손에서 카메라가 하는 일" 전시회에 그의 작품이 포함되면서 스트러스의 명성은 더욱 확고해졌다.[4] 클래런스 H. 화이트가 부재중일 때 스트러스는 뉴욕시의 풍경을 주제로 한 개인전을 조직하고 1912년 여름에 화이트의 강좌를 가르치도록 교사 대학에서 초청받았다.[4]

1912년, 스트러스는 스티글리츠의 초청을 받아 포토-세션에 합류했고, 그의 사진은 단체의 잡지인 ''Camera Work''에 게재되었다.[5] 1913년, 스트러스는 에드워드 딕슨, 클래런스 H. 화이트, 앨빈 랭던 코번, 폴 앤더슨과 함께 자신들의 출판물인 ''Platinum Print''를 시작했다.[5] 1914년, 그는 가족 사업에서 사임하고 클래런스 화이트의 이전 스튜디오 공간을 사용하면서 전문 사진 작가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했다.[5]

코번의 제안으로 스트러스는 런던의 왕립 사진 협회 연례 전시회의 미국 초청 부문에 작품을 출품하여 1920년대까지 이어질 전시 관행을 시작했다.[6] 그는 또한 피츠버그 국립 사진 예술 살롱, 필라델피아 백화점 와나메이커스가 주최하는 연례 사진 전시회 등 사진 클럽 및 기타 협회에서 주최하는 수많은 전시회에 참여했다.[7] 스트러스는 전시회와 특별 의뢰를 계속하면서 ''보그'', ''베니티 페어'', ''하퍼스 바자''를 포함한 잡지들을 위한 상업 사진을 제작했다.[8] 그러나 그는 자신이 ''패션'' 사진을 찍는 것은 아니라고 단호하게 주장했다.[9]

그의 사진 활동은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중단되었다. 1917년, 그는 징병에 등록한 후 사진을 통해 군 복무를 하기 위해 입대했다.[9] 그는 항공 사진술을 가르치기 위해 훈련받았지만, 군 정보부에서 스트러스의 독일 연관성에 대한 조사를 시작하면서 그의 계급이 중사에서 이병으로 강등되었다.[10] 그는 원래 육군 항공 학교에서 가르치기 위해 갔던 뉴욕주 이타카에서 일정 기간 구금된 후 포트 리븐워스로 이송되어 교도관으로 복무한 후 기록 보관원으로 일했다.[10] 후자의 역할에서 그는 다시 사진을 찍어 수감자들을 기록했다. 전쟁이 끝나갈 무렵, 그는 반미주의 소문에서 자신의 기록을 지우기 위해 지원하여 사병 계급으로 장교 훈련 캠프에 합격했다.[11]

스트러스는 결국 명예 제대를 받았지만, 군사 조사 이후 많은 전문적인 관계가 단절되면서 뉴욕에서 이전 역할을 재개하는 것을 꺼렸을 것이다.[12] 1919년 제대 후, 그는 로스앤젤레스로 이주하여 세실 B. 데밀과 촬영 기사로 계약을 맺었다.[13]

Philatelic cover made by Struss for one leg of the inaugural 1937 flights extending PanAm's airmail service from the US West Coast beyond Manila, to Hong Kong and Macau (return leg).
스트러스가 제작한 우표 수집용 봉투. 1937년 팬암(PanAm)의 미국 서부 해안에서 마닐라를 거쳐 홍콩과 마카오까지의 항공 우편 서비스 개시 기념 비행의 일부 구간을 위해 제작되었다.


사진 작가이자 촬영 기사로서의 활동 외에도 스트러스는 우표 수집에 큰 관심을 갖고 있었으며, 특히 최초의 태평양 횡단 항공 우편 비행에 집중했다.[20] 그는 1935년 11월 22일 샌프란시스코에서 호놀룰루를 거쳐 마닐라까지의 초기 항공 우편 비행과 1937년 4월부터 마닐라에서 홍콩과 마카오로의 서비스 연장 첫 비행 모두에 대한 기념 봉투를 만들었다.[20]

2. 1. 초기 생애 및 사진작가 활동 (1886년 ~ 1919년)

칼 스트러스는 1886년 뉴욕시에서 태어났다.[1] 고등학교 시절 질병으로 인해 학교를 그만두고 아버지 헨리가 운영하는 Seybel & Struss 보닛 와이어 공장에서 일했다.[1][21] 1908년부터 클래런스 H. 화이트의 컬럼비아 대학교 교사 대학 야간 예술 사진 강좌를 수강하며 사진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1912년에 학업을 마쳤다.[2] 그는 학업 초기에 카메라 렌즈의 특성을 탐구했으며, 1909년에는 소프트 포커스 렌즈인 스트러스 픽토리얼 렌즈로 특허를 받으려 했다.[3] 이 렌즈는 당시 픽토리얼 사진 작가들에게 인기가 있었으며, 1916년 영화 산업에 도입된 최초의 소프트 포커스 렌즈였다.[8]

1910년, 앨프레드 스티글리츠는 알브라이트 미술관 국제 픽토리얼 사진 전시회에서 스트러스의 픽토리얼 작품 12점을 선정하여 사진계의 주목을 받았다.[8] 이 전시회는 사진을 순수 예술로 승격시킨 포토-세션의 마지막 전시회였다.[8] 1911년 4월, 뉴어크 미술관의 "예술가의 손에서 카메라가 하는 일" 전시회에 그의 작품이 포함되면서 스트러스의 명성은 더욱 확고해졌다.[4] 클래런스 화이트가 부재중일 때 스트러스는 뉴욕시의 풍경을 주제로 한 개인전을 조직하고 1912년 여름에 화이트의 강좌를 가르치도록 교사 대학에서 초청받았다.[4]

1912년, 스트러스는 스티글리츠의 초청을 받아 포토-세션에 합류했고, 그의 사진은 단체의 잡지인 ''Camera Work''에 게재되었다.[5] 1913년, 스트러스는 에드워드 딕슨, 클래런스 화이트, 앨빈 랭던 코번, 폴 앤더슨과 함께 자신들의 출판물인 ''Platinum Print''를 시작했다.[5] 1914년, 그는 가족 사업에서 사임하고 클래런스 화이트의 이전 스튜디오 공간을 사용하면서 전문 사진 작가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했다.[5]

코번의 제안으로 스트러스는 런던의 왕립 사진 협회 연례 전시회의 미국 초청 부문에 작품을 출품하여 1920년대까지 이어질 전시 관행을 시작했다.[6] 그는 또한 피츠버그 국립 사진 예술 살롱, 필라델피아 백화점 와나메이커스가 주최하는 연례 사진 전시회 등 사진 클럽 및 기타 협회에서 주최하는 수많은 전시회에 참여했다.[7] 스트러스는 전시회와 특별 의뢰를 계속하면서 ''보그'', ''베니티 페어'', ''하퍼스 바자''를 포함한 잡지들을 위한 상업 사진을 제작했다.[8] 그러나 그는 자신이 ''패션'' 사진을 찍는 것은 아니라고 단호하게 주장했다.[9]

그의 사진 활동은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중단되었다. 1917년, 그는 징병에 등록한 후 사진을 통해 군 복무를 하기 위해 입대했다.[9] 그는 항공 사진술을 가르치기 위해 훈련받았지만, 군 정보부에서 스트러스의 독일 연관성에 대한 조사를 시작하면서 그의 계급이 중사에서 이병으로 강등되었다.[10] 그는 원래 육군 항공 학교에서 가르치기 위해 갔던 뉴욕주 이타카에서 일정 기간 구금된 후 포트 리븐워스로 이송되어 교도관으로 복무한 후 기록 보관원으로 일했다.[10] 후자의 역할에서 그는 다시 사진을 찍어 수감자들을 기록했다. 전쟁이 끝나갈 무렵, 그는 반미주의 소문에서 자신의 기록을 지우기 위해 지원하여 사병 계급으로 장교 훈련 캠프에 합격했다.[11]

스트러스는 결국 명예 제대를 받았지만, 군사 조사 이후 많은 전문적인 관계가 단절되면서 뉴욕에서 이전 역할을 재개하는 것을 꺼렸을 것이다.[12] 1919년 제대 후, 그는 로스앤젤레스로 이주하여 세실 B. 데밀과 촬영 기사로 계약을 맺었다.[13]

사진 작가이자 촬영 기사로서의 활동 외에도 스트러스는 우표 수집에 큰 관심을 갖고 있었으며, 특히 최초의 태평양 횡단 항공 우편 비행에 집중했다.[20] 그는 1935년 11월 22일 샌프란시스코에서 호놀룰루를 거쳐 마닐라까지의 초기 항공 우편 비행과 1937년 4월부터 마닐라에서 홍콩과 마카오로의 서비스 연장 첫 비행 모두에 대한 기념 봉투를 만들었다.[20]

2. 2.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1917년 ~ 1919년)

2. 3. 할리우드 진출과 촬영 감독 활동 (1919년 ~ 1981년)

칼 스트러스는 1919년 제대 후 로스앤젤레스로 이주하여 세실 B. 데밀과 촬영 기사 계약을 맺고 할리우드 영화계에 진출했다.[13] 그는 글로리아 스완슨 주연의 ''For Better, For Worse''(1919)와 ''Male and Female''에 참여하며 스튜디오와 2년 계약을 체결했다.[13] 1920년대에는 ''벤허''와 F.W. 무르나우의 ''선라이즈: 두 인간의 노래'' 등의 영화 촬영에 참여했다.[15] 1927년 유나이티드 아티스츠와 계약하여 D.W. 그리피스와 함께 ''사랑의 북소리''를, 메리 픽포드의 첫 번째 유성 영화인 ''Coquette''를 촬영했다.[15] 그는 "루페 라이트"와 벨 앤드 하웰 카메라를 위한 새로운 브래킷 시스템을 개발하는 등 카메라 기술에 대한 실험을 지속했다.[16]

1931년부터 1945년까지 파라마운트에서 촬영 기사로 일하며 메이 웨스트, 빙 크로스비, 도로시 라무어 등이 출연하는 다양한 영화를 촬영했다.[17] 1934년에는 ''American Cinematographer''에 "사진 모더니즘과 촬영 기사"라는 글을 기고하기도 했다.[18] 미국 촬영 기사 협회 회원이자 영화 예술 아카데미 창립 멤버였던 스트러스는[18] 1949년부터 프리랜서로 활동하며 "스테레오 시네마토그래피" 분야의 초기 지지자 중 한 명이 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3-D 영화 작업은 이탈리아에서 진행되었고, 미국에서 3-D로 개봉된 작품은 없었다.

스트러스는 영화 촬영 외에도 사진 작가로서도 활동했는데, 1921년 초에는 영화 스튜디오와는 별도로 캘리포니아를 배경으로 한 픽토리얼 풍경을 포함한 자신의 사진 작업에 도움을 준 에텔 월과 결혼했다.[14] 그는 보그, 베니티 페어, 하퍼스 바자 등 잡지를 위한 상업 사진도 제작했다.[8]

사진 작가이자 촬영 감독으로 활동하는 동안, 스트러스는 우표 수집, 특히 최초의 태평양 횡단 항공 우편 비행에 관심을 가졌다.[20] 1935년 11월 22일 샌프란시스코에서 호놀룰루를 거쳐 마닐라까지의 초기 항공 우편 비행과 1937년 4월 마닐라에서 홍콩과 마카오로의 서비스 연장 첫 비행을 기념하는 봉투를 만들기도 했다.[20]

스트러스는 『지킬 박사와 하이드 씨』(1932)로 아카데미 촬영상 후보에 올랐으며, 『독재자』와 『라임라이트』에서는 찰리 채플린과 함께 작업했다. 1981년 사망했다.

그의 사진 아카이브(전시 프린트, 영화 스틸, 네거티브, 서류 등 총 3피트 분량)는 텍사스주 포트워스에 있는 아몬 카터 미국 미술관에서 열람할 수 있다.[19]

2. 4. 후기 활동 (1949년 ~ 1981년)

칼 스트러스는 1949년 프리랜서로 전향하여 "스테레오 시네마토그래피" 분야에서 활동하며 3-D 영화의 초기 지지자 중 한 명이 되었다.[17] 그러나 그가 참여한 대부분의 3-D 영화는 이탈리아에서 제작되었고, 미국에서는 3-D로 개봉되지 않았다.[17]

사진 작가이자 촬영 기사로서의 활동 외에도, 스트러스는 우표 수집, 특히 최초의 태평양 횡단 항공 우편 비행에 큰 관심을 가졌다.[20] 1935년 11월 22일 샌프란시스코에서 호놀룰루를 거쳐 마닐라까지, 그리고 1937년 4월 마닐라에서 홍콩과 마카오로의 서비스 연장 첫 비행을 기념하는 봉투를 제작하기도 했다.[20]

스트러스는 1931년부터 1945년까지 파라마운트에서 촬영 기사로 일하며 메이 웨스트, 빙 크로스비, 도로시 라무어 등이 출연하는 다양한 영화를 작업했다.[17] 『지킬 박사와 하이드 씨』(1932년)로 아카데미 촬영상에 노미네이트되었고, 『독재자』와 『라임라이트』에서는 찰리 채플린과 함께 작업했다.[21] 스트러스는 1981년에 사망했다.

그의 사진 아카이브(전시 프린트, 영화 스틸, 네거티브, 서류 등 총 3피트 분량)는 텍사스주 포트워스의 아몬 카터 미국 미술관에서 열람할 수 있다.[19]

3. 수상 경력

칼 스트러스는 영화 경력 동안 아카데미 촬영상 후보에 네 번 지명되었다. 그는 1929년 F.W. 무르나우의 영화 ''선라이즈: 두 사람의 노래''로 찰스 로셔와 함께 처음이자 유일하게 수상했다. 그는 1932년 ''지킬 박사와 하이드'', 1934년 ''십자가의 표적''으로, 그리고 1942년 윌프레드 M. 클라인, A.S.C. 및 윌리엄 E. 스나이더, A.S.C.와 함께 ''남해의 알로마''로 다시 후보에 올랐다.

4. 참여 작품

칼 스트러스는 다음과 같은 영화 작품에 참여했다.


  • 금지된 열매(1921)
  • 토요일 밤(1922)
  • 가시와 오렌지 꽃 (1922)
  • 부자들의 아내 (1922)
  • 시어머니 (1923)
  • 가난한 남자들의 아내 (1923)
  • 할리우드의 전설 (1924)
  • 벤허(1925)
  • 선라이즈: 두 인간의 노래(1927)
  • 남녀의 전쟁(1928)
  • 포장도로의 여인 (1929)
  • 코케트(1929)
  • 말괄량이 길들이기(1929)
  • 에이브러햄 링컨(1930)
  • 스키피(1931)
  • 지킬 박사와 하이드 씨(1931)
  • 십자가의 표적(1932)
  • 잃어버린 영혼의 섬(1932)
  • 템플 데이크의 이야기 (1933)
  • 어느 일요일 오후(1933)
  • 네 명의 겁에 질린 사람들 (1934)
  • 나인티스의 벨 (1934)
  • 행복을 찾아서(1934)
  • 고잉 투 타운 (1935)
  • 매일이 휴일(1937)
  • 제노비아(1939)
  •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1939)
  • 위대한 독재자 (1940)
  • 공포 속으로의 여행(1943)
  • 프렌치맨 크릭(1944)
  • 원더 맨(1945)
  • 서스펜스(1946)
  • 천국은 아무도 모른다(1947)
  • 로켓쉽 X-M(1950)
  • 제시 제임스의 귀환 (1950)
  • 레이디 포세스드 (1952)
  • 라임라이트(1952)
  • 모호크(1956)
  • 크로노스(1957)
  • 그녀는 악마(1957)
  • 플라이(1958)

5. 기타 활동

6. 유산

참조

[1] 서적 New York to Hollywood, The Photography of Karl Struss https://archive.org/[...] Amon Carter Museum
[2] 문서 New York to Hollywood
[3] 문서 New York to Hollywood
[4] 문서 New York to Hollywood
[5] 문서 New York to Hollywood
[6] 문서 New York to Hollywood
[7] 문서 New York to Hollywood
[8] 서적 Struss, Karl Fischer American National Biography
[9] 문서 New York to Hollywood
[10] 문서 New York to Hollywood
[11] 문서 New York to Hollywood
[12] 문서 New York to Hollywood
[13] 문서 New York to Hollywood
[14] 문서 New York to Hollywood
[15] 문서 New York to Hollywood
[16] 문서 New York to Hollywood
[17] 문서 New York to Hollywood
[18] 간행물 Karl Struss MacMillan Publishing Co.
[19] 웹사이트 Amon Carter Museum Library & Archives http://www.cartermus[...]
[20] 문서 Covers in the personal collection of Colin Talcroft.
[21] 웹인용 New York to Hollywood, The Photography of Karl Struss Amon Carter Museum 2023-12-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