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상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칼상어는 최대 2.5m까지 자라는 담수성 어류로, 중국 양쯔강 등에서 서식하며, 수생 식물, 무척추동물, 작은 물고기를 먹이로 한다. 20세기 후반부터 개체 수가 급격히 감소하여 심각한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남획, 댐 건설, 서식지 파괴, 오염 등이 개체 수 감소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1970년대부터 인공 번식 노력이 이루어져 왔으며, 2024년에는 80만 마리 이상의 개체가 양쯔강에 방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69년 기재된 물고기 - 가시고기
가시고기는 주요 주제에 대한 정보가 없어 도입부를 작성할 수 없다. - 1869년 기재된 물고기 - 야레
- 댐 건설로 인한 절멸위기종 - 철갑상어
중국철갑상어는 철갑상어과에 속하는 대형 회유성 어류로, 뾰족한 주둥이와 아래쪽 입이 특징이며, 서식지 파괴와 환경 오염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 중국 정부의 보호를 받고 있고 과거 진미로 여겨졌으며 한반도와 일본에서도 발견된다. - 댐 건설로 인한 절멸위기종 - 바이지
바이지, 즉 양쯔강돌고래는 인간 활동으로 멸종된 최초의 고래목 동물로 추정되지만, 멸종 선언 이후에도 목격담이 보고되어 IUCN 레드 리스트에서 절멸위급종으로 분류되어 소수 개체의 생존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 철갑상어과 - 철갑상어류
몸이 원통형이고 굳비늘을 가진 철갑상어류는 연골 골격과 척삭 유지 등 원시적인 특징을 지니며, 큰 크기와 장수에도 불구하고 낮은 번식률로 남획에 취약하여 멸종 위기에 놓여 보호받고 캐비아 생산을 위해 양식된다. - 철갑상어과 - 큰철갑상어
큰철갑상어는 세계에서 가장 큰 담수어 중 하나로, 카스피해, 흑해, 아조프해와 연결된 강에서 서식하며 질 좋은 캐비아 생산으로 남획되어 심각한 위기종으로 보호받고 있다.
칼상어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Acipenser dabryanus |
명명자 | Duméril, 1869 |
이명 | Sinosturio dabryanus (Duméril 1869) |
생물학적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아문 | 척추동물아문 |
강 | 조기어강 |
아강 | 연질어아강 |
목 | 철갑상어목 |
과 | 철갑상어과 |
아과 | 철갑상어아과 |
속 | 철갑상어속 |
종 | 칼상어 (A. dabryanus) |
보존 상태 | |
IUCN 적색 목록 | 멸종 위기 (EW) |
CITES | 부록 II |
기타 정보 | |
서식지 | 양쯔강 |
2. 외형
이 철갑상어는 길이가 2.5m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보통 훨씬 작다.[8] 몸통은 위쪽이 푸른 회색이고 배는 황백색이며, 다섯 줄의 골판이 있다. 머리는 삼각형이고 주둥이는 길며 입은 아래쪽에 위치한다. 두 쌍의 수염이 있다.[9]
칼상어는 모래와 진흙이 있는, 물의 흐름이 느린 강에서 서식한다.[9] 수생 식물, 무척추동물, 작은 물고기를 먹는다. 민물을 떠나지 않는 담수성 어류이며, 이동 습성이 있다.[9] 주로 3월과 4월, 때로는 11월과 12월경에 상류 양쯔강에서 산란한다. 수컷은 매년 산란하지만, 대부분의 암컷은 매년 산란하지 않는다. 암컷은 57,000개에서 102,000개의 알을 낳는다.[9]
칼상어는 한때 양쯔강에서 흔히 볼 수 있었던 물고기였다.[9] 20세기 후반부터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하여 현재는 심각한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주요 강과 더 큰 지류 및 강에 연결된 일부 호수에서도 발견되었으나, 20세기 후반에는 하류에서 지역 멸종되었고 쓰촨성 상류 지역으로 제한되었다.
3. 생태
4. 보존 상태
4. 1. 위협 요인
칼상어의 주요 위협 요인으로는 남획, 댐 건설 (특히 거저우바 댐과 싼샤 댐), 서식지 단편화 및 황폐화, 수질 오염 등이 있다. 강 근처의 토지 개발 및 산림 벌채 증가로 인한 폐수 및 지표수 유출 증가도 심각한 문제이다.[1] 과거에는 황하 유역에서도 발견되었으나, 1960년대 이후로는 발견되지 않고 있다.[6][7]
4. 2. 보존 노력
1970년대부터 칼상어를 인공적으로 번식시키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수천 마리의 개체가 양쯔강 유역에 방류되었지만, 자연 번식에는 성공하지 못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개체 방류는 이 종의 멸종을 막는 유일한 노력이 될 수 있다.[1]
2024년 6월 7일, 중국 쓰리 고지 공사는 사육된 80만 마리 이상의 개체를 이빈시 양쯔강에 방류했으며, 향후 대량 방류를 통해 지속적으로 번식시킬 계획이다.[10]
참조
[1]
간행물
"''Acipenser dabryanus''"
2022
[2]
웹사이트
Appendices | CITES
https://cites.org/en[...]
CITES Secretariat
[3]
웹사이트
Acipenseridae
http://www.fishbase.[...]
2017-05-18
[4]
웹사이트
Acipenseridae
http://deeplyfish.co[...]
2017-05-18
[5]
논문
Biology and life history of Dabry's sturgeon, ''Acipenser dabryanus'', in the Yangtze River.
https://link.springe[...]
[6]
학술지
Fish assemblage changes over half a century in the Yellow River, China
[7]
서적
Fishes of the Yellow River and Beyond
The Sueichan Press
[8]
웹사이트
"''Acipenser dabryanus''."
http://www.fishbase.[...]
[9]
논문
Threatened fishes of the world: ''Acipenser dabryanus'' Duméril, 1869.
http://brosse.sebast[...]
[10]
뉴스
China releases over 800,000 endangered sturgeon into Yangtze River-Xinhua
https://english.news[...]
2024-09-03
[11]
간행물
"''Acipenser dabryanus''"
2022
[12]
웹사이트
"''Acipenser dabryanus''."
http://www.fishbas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