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페오나토 수다메리카노 데 캄페오네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캄페오나토 수다메리카노 데 캄페오네스는 1948년 칠레에서 개최된 남아메리카 최초의 클럽 대항전으로,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의 전신으로 인정받는다. 아르헨티나, 볼리비아, 브라질, 칠레, 에콰도르, 페루, 우루과이의 각 리그 우승팀 또는 준우승팀이 참가했으며, 브라질의 CR 바스쿠 다 가마가 우승을 차지했다. 이 대회는 유럽의 UEFA 챔피언스 리그 창설에도 영감을 주었으며, CONMEBOL과 FIFA는 이 대회를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의 전신으로 공식 인정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8년 2월 - 1948년 체코슬로바키아 쿠데타
1948년 체코슬로바키아 쿠데타는 1948년 2월 체코슬로바키아에서 공산당이 권력을 장악한 사건으로, 냉전의 상징이 되었고 서방 세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948년 2월 - 2·7 사건
2·7 사건은 1948년 남조선노동당 주도하에 미군정 저항과 단독 정부 수립 반대를 기치로 한반도 전역에서 약 200만 명이 참여한 대규모 파업 및 시위로, 많은 사상자와 투옥자를 낳고 제주 4·3 사건의 배경이 되었다. - 1948년 3월 - 브뤼셀 조약
브뤼셀 조약은 냉전 초기 소련의 위협과 부흥하는 독일에 대비하여 벨기에, 프랑스, 룩셈부르크, 네덜란드, 영국 5개국이 체결한 상호방위 조약으로, 서유럽 연합(WEU)으로 발전 후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출범으로 역할이 축소되어 종료되었다. - 1948년 3월 - 북조선로동당 제2차 대회
북조선로동당 제2차 대회는 1948년 3월에 개최되어 당의 주요 정책 방향과 간부 인선을 결정하고 김일성의 사업 보고 발표와 국내파 비판, 그리고 김두봉의 당 위원장 재선출이 이루어졌다.
캄페오나토 수다메리카노 데 캄페오네스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대회 명칭 | 남미 클럽 챔피언십 |
다른 명칭 | 캄페오나토 수다메리카노 데 캄페오네스 (Campeonato Sudamericano de Campeones) 캄페오나투 술아메리카누 드 캄페옹이스 (Campeonato Sul-Americano de Campeões) |
개최 연도 | 1948년 |
개최 기간 | 1948년 2월 11일 ~ 1948년 3월 14일 |
개최지 | 산티아고, 칠레 |
참가 팀 수 | 7개 팀 (7개국) |
총 경기 수 | 21 |
총 득점 | 75 |
결과 | |
우승 팀 | 바스쿠 다 가마 |
준우승 팀 | 리버 플레이트 |
최다 득점자 | 로베르토 카파렐리(7골) |
기타 정보 | |
이전 대회 | 해당 사항 없음 (첫 대회) |
다음 대회 | 1960년 |
![]() |
2. 대회 배경
코파 알다오 및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의 역사도 참조하십시오.
캄페오나토 수다메리카노 데 캄페오네스는 각국 리그 우승 팀을 초청하는 것을 원칙으로 했다. 당시 전국 리그가 없던 국가에서는 주요 도시 리그 우승 팀이나 국가대표팀을 구성하는 팀을 초청했다.[11]
1910년대 초부터 아르헨티나와 우루과이 클럽들은 각 국가의 최고 국가 리그 챔피언들이 참가하는 토너먼트인 코파 리오 데 라 플라타를 다투었다. 이 대회의 큰 성공은 대륙간 대회를 구상하는 데 기여했다.
1929년, 나시오날의 수뇌부인 로베르토 에스필과 호세 우세라 베르무데스는 남미 축구 연맹(CONMEBOL) 각국 챔피언 간의 대회를 구상했다. 지리적 분포와 거리를 분석한 후, 에스필은 1946년에 각국의 준우승 클럽도 포함하는 프로젝트를 구상했다. 그러나 1930년대 말에 처음으로 이 구상을 계획하고 실현한 것은 콜로콜로 회장 돈 로빈슨 알바레즈 마린이었다.[27][28] 1948년, 남미 연맹 회장 돈 루이스 발렌수엘라는 마침내 코파 데 캄페오네스(챔피언스 컵)을 향해 움직였다. 이는 남아메리카 챔피언 클럽을 결정하기 위해 열린 최초의 토너먼트였다.[5][7][8]
3. 참가 팀
이 대회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팀은 개최국인 콜로-콜로,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가 있던 리버 플레이트, 아틸리오 가르시아가 있던 나시오날, 그리고 바스쿠 다 가마였다.[34] 이들은 각각 칠레,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브라질을 대표하는 팀들이었다.
3. 1. 참가팀 목록
국가 | 팀 | 출전 자격 |
---|---|---|
리버 플레이트 | 1947년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우승 팀 | |
리토랄 | 1947년 라파스 리그 우승 팀 | |
바스쿠 다 가마 | 1947년 리우데자네이루 리그 우승 팀 | |
콜로-콜로 | 1947년 칠레 프리메라 디비시온 우승 팀, 개최국 | |
에멜레크 | 1946년 과야킬 리그 우승 팀 | |
데포르티보 무니시팔 | 1947년 페루 프리메라 디비시온 준우승 팀[11] | |
나시오날 | 1947년 우루과이 프리메라 디비시온 우승 팀 |
페루의 경우, 1947년 페루 프리메라 디비시온 우승 팀인 아틀레티코 찰라코가 참가를 거절하여 준우승 팀인 데포르티보 무니시팔이 대신 참가하였다.[11]
당시, 브라질, 볼리비아, 에콰도르에는 전국 리그가 없었기 때문에, 각 지역 리그 우승팀이 참가했다.
4. 경기 결과
1948년 2월 11일부터 3월 17일까지 칠레 산티아고에서 총 21경기가 개최되었다.[12][13] 각 팀별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바스쿠 다 가마 | 6 | 4 | 2 | 0 | 12 | 3 | +9 | 10 |
리버 플레이트 | 6 | 4 | 1 | 1 | 12 | 4 | +8 | 9 |
나시오날 | 6 | 4 | 0 | 2 | 16 | 11 | +5 | 8 |
데포르티보 무니시팔 | 6 | 3 | 0 | 3 | 12 | 11 | +1 | 6 |
콜로-콜로 | 6 | 2 | 2 | 2 | 11 | 11 | 0 | 6 |
리토랄 | 6 | 1 | 0 | 5 | 9 | 18 | -9 | 2 |
에멜레크 | 6 | 0 | 1 | 5 | 4 | 18 | -14 | 1 |
4. 1. 경기 결과 요약
다음은 1948년 2월 11일부터 3월 17일까지 칠레 산티아고에서 개최된 캄페오나토 수다메리카노 데 캄페오네스 토너먼트의 모든 경기 결과 요약이다.[12][13]경기일 | 팀 1 | 점수 | 팀 2 | 득점 (팀 1) | 득점 (팀 2) | 경기장 | 관중 수 | 주심 |
---|---|---|---|---|---|---|---|---|
2월 11일 | 콜로-콜로 | 2-2 | 에멜렉 | 아란다, 바렐라 | 히메네스, 예페스 | 국립 경기장, 산티아고 | ~70,000 | 노벨 발렌티니 (우루과이) |
2월 14일 | 바스쿠 다 가마 | 2-1 | 리토랄 | 레레 | 산도발 | 국립 경기장, 산티아고 | ~50,000 | C. 리슨 (칠레) |
2월 14일 | 나시오날 | 3-2 | 데포르티보 무니시팔 | W. 고메스, J. 가르시아 | 카바다, 구스만 | 국립 경기장, 산티아고 | ~50,000 | 에두아르도 포르테 (아르헨티나) |
2월 18일 | 리버 플레이트 | 4-0 | 에멜렉 | 마르티네스, 루스토 | 국립 경기장, 산티아고 | ~70,000 | 노벨 발렌티니 (우루과이) | |
2월 18일 | 바스쿠 다 가마 | 4-1 | 나시오날 | 아데미르, 마네카, 다닐루, 프리아카 | W. 고메스 | 국립 경기장, 산티아고 | ~70,000 | H. 마드리드 (칠레) |
2월 21일 | 리버 플레이트 | 2-0 | 데포르티보 무니시팔 | 루스토, 라브루나 | 국립 경기장, 산티아고 | ~49,000 | 노벨 발렌티니 (우루과이) | |
2월 21일 | 콜로-콜로 | 4-2 | 리토랄 | 로페스, 사엔스 | 카파렐리 | 국립 경기장, 산티아고 | ~49,000 | A. 다 가마 (브라질) |
2월 25일 | 나시오날 | 3-1 | 리토랄 | A. 가르시아, 올란디 | 로드리게스 | 국립 경기장, 산티아고 | 17,223 | 에두아르도 포르테 (아르헨티나) |
2월 25일 | 바스쿠 다 가마 | 4-0 | 데포르티보 무니시팔 | 레레, 프리아카, 이스마엘 | 국립 경기장, 산티아고 | 17,223 | J. 화이트 (칠레) | |
2월 28일 | 바스쿠 다 가마 | 1-0 | 에멜렉 | 이스마엘 | 국립 경기장, 산티아고 | H. 마드리드 (칠레) | ||
2월 28일 | 데포르티보 무니시팔 | 3-1 | 콜로-콜로 | 모스케라, 토레스 | 바렐라 | 국립 경기장, 산티아고 | A. 다 가마 (브라질) | |
3월 4일 | 리토랄 | 3-1 | 에멜렉 | 카파렐리 | 멘도사 | 국립 경기장, 산티아고 | J. 화이트 (칠레) | |
3월 4일 | 나시오날 | 3-0 | 리버 플레이트 | A. 가르시아, 카스트로, 올란디 | 국립 경기장, 산티아고 | C. 파레데스 (볼리비아) | ||
3월 7일 | 데포르티보 무니시팔 | 4-0 | 에멜렉 | 모스케라, 드라고, 페랄레스 | 국립 경기장, 산티아고 | J. 화이트 (칠레) | ||
3월 7일 | 콜로-콜로 | 1-1 | 바스쿠 다 가마 | 파리아스 | 프리아카 | 국립 경기장, 산티아고 | C. 파레데스 (볼리비아) | |
3월 10일 | 리버 플레이트 | 5-1 | 리토랄 | 디 스테파노, 모레노, 루스토 | 카파렐리 | 국립 경기장, 산티아고 | J. 화이트 (칠레) | |
3월 10일 | 콜로-콜로 | 3-2 | 나시오날 | 로르카, 로페스, 페날로자 | A. 가르시아, W. 고메스 | 국립 경기장, 산티아고 | A. 다 가마 (브라질) | |
3월 14일 | 나시오날 | 4-1 | 에멜렉 | 감베타, A. 가르시아, 올란디 | 페르난데스 | 국립 경기장, 산티아고 | S. 부스타만테 (칠레) | |
3월 14일 | 바스쿠 다 가마 | 0-0 | 리버 플레이트 | 국립 경기장, 산티아고 | 노벨 발렌티니 (우루과이) | |||
3월 18일 | 데포르티보 무니시팔 | 3-1 | 리토랄 | 로페스, 토레스 | 카파렐리 | 국립 경기장, 산티아고 | J. 화이트 (칠레) | |
3월 18일 | 리버 플레이트 | 1-0 | 콜로-콜로 | 디 스테파노 | 국립 경기장, 산티아고 | L. 페르난데스 (우루과이) |
4. 2. 상세 경기 결과
다음은 1948년 캄페오나토 수다메리카노 데 캄페오네스에서 치러진 경기들의 상세 결과이다.[12][13]날짜 | 팀 1 | 득점 | 팀 2 | 경기장 | 관중 수 | 심판 |
---|---|---|---|---|---|---|
1948년 2월 11일 | 콜로-콜로 | 2 – 2 | 에멜레크 | 국립 경기장, 산티아고 | ~70,000 | 노벨 발렌티니 (우루과이) |
1948년 2월 14일 | 바스쿠 다 가마 | 2 – 1 | 리토랄 | 국립 경기장, 산티아고 | ~50,000 | C. 리슨 (칠레) |
1948년 2월 14일 | 나시오날 | 3 – 2 | 데포르티보 무니시팔 | 국립 경기장, 산티아고 | ~50,000 | 에두아르도 포르테 (아르헨티나) |
1948년 2월 18일 | 리버 플레이트 | 4 – 0 | 에멜레크 | 국립 경기장, 산티아고 | ~70,000 | 노벨 발렌티니 (우루과이) |
1948년 2월 18일 | 바스쿠 다 가마 | 4 – 1 | 나시오날 | 국립 경기장, 산티아고 | ~70,000 | H. 마드리드 (칠레) |
1948년 2월 21일 | 리버 플레이트 | 2 – 0 | 데포르티보 무니시팔 | 국립 경기장, 산티아고 | ~49,000 | 노벨 발렌티니 (우루과이) |
1948년 2월 21일 | 콜로-콜로 | 4 – 2 | 리토랄 | 국립 경기장, 산티아고 | ~49,000 | A. 다 가마 (브라질) |
1948년 2월 25일 | 나시오날 | 3 – 1 | 리토랄 | 국립 경기장, 산티아고 | 17,223 | 에두아르도 포르테 (아르헨티나) |
1948년 2월 25일 | 바스쿠 다 가마 | 4 – 0 | 데포르티보 무니시팔 | 국립 경기장, 산티아고 | 17,223 | J. 화이트 (칠레) |
1948년 2월 28일 | 바스쿠 다 가마 | 1 – 0 | 에멜레크 | 국립 경기장, 산티아고 | H. 마드리드 (칠레) | |
1948년 2월 28일 | 데포르티보 무니시팔 | 3 – 1 | 콜로-콜로 | 국립 경기장, 산티아고 | A. 다 가마 (브라질) | |
1948년 3월 4일 | 리토랄 | 3 – 1 | 에멜레크 | 국립 경기장, 산티아고 | J. 화이트 (칠레) | |
1948년 3월 4일 | 나시오날 | 3 – 0 | 리버 플레이트 | 국립 경기장, 산티아고 | C. 파레데스 (볼리비아) | |
1948년 3월 7일 | 데포르티보 무니시팔 | 4 – 0 | 에멜레크 | 국립 경기장, 산티아고 | J. 화이트 (칠레) | |
1948년 3월 7일 | 콜로-콜로 | 1 – 1 | 바스쿠 다 가마 | 국립 경기장, 산티아고 | C. 파레데스 (볼리비아) | |
1948년 3월 10일 | 리버 플레이트 | 5 – 1 | 리토랄 | 국립 경기장, 산티아고 | J. 화이트 (칠레) | |
1948년 3월 10일 | 콜로-콜로 | 3 – 2 | 나시오날 | 국립 경기장, 산티아고 | A. 다 가마 (브라질) | |
1948년 3월 14일 | 나시오날 | 4 – 1 | 에멜레크 | 국립 경기장, 산티아고 | S. 부스타만테 (칠레) | |
1948년 3월 14일 | 바스쿠 다 가마 | 0 – 0 | 리버 플레이트 | 국립 경기장, 산티아고 | 노벨 발렌티니 (우루과이) | |
1948년 3월 18일 | 데포르티보 무니시팔 | 3 – 1 | 리토랄 | 국립 경기장, 산티아고 | J. 화이트 (칠레) | |
1948년 3월 18일 | 리버 플레이트 | 1 – 0 | 콜로-콜로 | 국립 경기장, 산티아고 | L. 페르난데스 (우루과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