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스페이스 7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캐스페이스 7은 세포사멸의 실행자로 작용하는 캐스페이스 계열의 단백질이다. 캐스페이스 7은 지모겐 형태로 존재하며, 상류 캐스페이스에 의해 절단되어 활성화된 후 세포자살을 유도한다. 선택적 스플라이싱을 통해 4개의 전사 변이체가 생성되며, 캐스페이스 8, 서바이빈, XIAP 등과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간 10번 염색체상 유전자 - PTEN (유전자)
- 인간 10번 염색체상 유전자 - 베타-1 아드레날린 수용체
베타-1 아드레날린 수용체는 아드레날린과 노르아드레날린에 반응하며 심장 박동수 증가, 심근 수축력 강화, 레닌 분비 촉진 등 다양한 생리적 역할을 수행하고, Gs 단백질을 활성화하여 심근 세포 내 칼슘 농도를 증가시킨다. - EC 3.4.22 - 파파인
파파인은 파파야에서 추출되는 파파인 유사 단백질 분해 효소 계열의 효소로, 육류 연화, 세포 분리, 상처 관리 등에 사용되지만, 알레르기 반응과 같은 부작용으로 사용 중단 권고가 내려지기도 했다. - EC 3.4.22 - 캐스페이스 6
캐스페이스 6은 세포 자멸사에 관여하는 카스파제 효소로서, 면역 반응 조절, 신경 퇴행 질환, 세포 자멸사 실행 등 다양한 생리적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른 단백질과 상호 작용하고 선택적 스플라이싱을 통해 다양한 세포 과정에 관여한다.
캐스페이스 7 | |
---|---|
기본 정보 | |
유전자 기호 | CASP7 |
단백질 이름 | 캐스페이스-7 |
다른 명칭 | CMH-1 ICE-like apoptotic protease 3 LICE2 MCH3 |
식별자 | |
Entrez 유전자 | '841' |
OMIM | '601722' |
RefSeq | NM_001227 NM_033347 NM_033348 NM_033349 |
UniProt | P55210 |
다른 데이터 | |
염색체 | 10q25.3 |
OrthoMaM | OrthoMaM phylogenetic marker: CASP7 coding sequence |
2. 기능
캐스페이스 계열의 단백질인 캐스페이스 7은 세포사멸의 실행자로 나타났다.[11][2] 캐스페이스의 순차적 활성화는 세포자살 실행 단계의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11][2] 캐스페이스는 지모겐으로 존재하며, 상류 캐스페이스(캐스페이스 8, 캐스페이스 9)에 의해 단백질 분해 처리를 거쳐 이합체화되어 활성 효소를 형성한다.[11][2] 이 활성 효소는 헤테로 테트라머 형태를 띄며 크고 작은 2개의 서브 유닛을 갖는다.[11] 캐스페이스 7의 전구체는 캐스페이스 3, 캐스페이스 9, 캐스페이스 10에 의해 절단된다.[11][2] 이는 세포자살 자극 시 활성화되어 세포사멸을 유도한다.[11][2] 선택적 스플라이싱은 3개의 별개의 이소형을 암호화하는 4개의 전사 변이체를 생성한다.[11][2]
2. 1. 활성화 과정
캐스페이스 계열의 단백질인 캐스페이스 7은 세포사멸의 실행자이다.[11] 캐스페이스의 순차적 활성화는 세포자살 실행 단계의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11] 캐스페이스는 지모겐으로 존재하며, 상류 캐스페이스(캐스페이스 8, 캐스페이스 9)에 의해 단백질 분해 처리를 거쳐 이합체화되어 활성 효소를 형성한다.[11] 이 활성 효소는 헤테로 테트라머 형태를 띄며 크고 작은 2개의 서브 유닛을 갖는다.[11] 캐스페이스 7의 전구체는 캐스페이스 3, 캐스페이스 9, 캐스페이스 10에 의해 절단된다.[11] 이는 세포자살 자극 시 활성화되어 세포사멸을 유도한다.[11] 선택적 스플라이싱은 3개의 별개의 이소형을 암호화하는 4개의 전사 변이체를 생성한다.[11]2. 2. 세포자살 유도
캐스페이스 7은 캐스페이스 계열의 단백질로 세포사멸의 실행자로 나타났다.[11][2] 캐스페이스의 순차적 활성화는 세포자살의 실행 단계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11] 캐스페이스는 보존된 아스파르트산 잔기에서 상류 캐스페이스(캐스페이스 8, 캐스페이스 9)에 의해 단백질 분해 처리를 거쳐 이합체화되어 헤테로 테트라머 형태의 활성 효소를 형성하는 크고 작은 2개의 서브 유닛을 생성하는 지모겐으로 존재한다.[11] 이 캐스페이스의 전구체는 캐스페이스 3, 캐스페이스 9, 캐스페이스 10에 의해 절단된다.[11][2] 이는 세포자살 자극 시 활성화되어 세포사멸을 유도한다.[11] 선택적 스플라이싱은 3개의 별개의 이소형을 암호화하는 4개의 전사 변이체를 생성한다.[11][2]2. 3. 전사 변이체
캐스페이스 계열의 단백질인 캐스페이스 7은 세포사멸의 실행자로 나타났다.[11] 캐스페이스의 순차적 활성화는 세포자살의 실행 단계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11] 캐스페이스는 보존된 아스파르트산 잔기에서 상류 캐스페이스(캐스페이스 8, 캐스페이스 9)에 의해 단백질 분해 처리를 거쳐 이합체화되어 헤테로 테트라머 형태의 활성 효소를 형성하는 크고 작은 2개의 서브 유닛을 생성하는 지모겐으로 존재한다.[11] 이 캐스페이스의 전구체는 캐스페이스 3, 캐스페이스 9, 캐스페이스 10에 의해 절단된다.[11] 이는 세포자살 자극 시 활성화되어 세포사멸을 유도한다.[11] 선택적 스플라이싱은 3개의 별개의 이소형을 암호화하는 4개의 전사 변이체를 생성한다.[11]3. 상호작용
캐스페이스 7은 캐스페이스 8[12][13][3][4], 서바이빈[14][15][5][6], XIAP[16][17][18][19][7][8][9][10]와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1. 주요 상호작용 단백질
캐스페이스 7은 캐스페이스 8[12][13][3][4], 서바이빈[14][15][5][6], XIAP[16][17][18][19][7][8][9][10]와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참조
[1]
웹사이트
OrthoMaM phylogenetic marker: CASP7 coding sequence
https://web.archive.[...]
2009-12-20
[2]
웹사이트
Entrez Gene: CASP7 caspase 7, apoptosis-related cysteine peptidase
https://www.ncbi.nlm[...]
[3]
논문
Caspase-2 induces apoptosis by releasing proapoptotic proteins from mitochondria
2002-04
[4]
논문
Molecular ordering of the Fas-apoptotic pathway: the Fas/APO-1 protease Mch5 is a CrmA-inhibitable protease that activates multiple Ced-3/ICE-like cysteine proteases
1996-12
[5]
논문
IAP-family protein survivin inhibits caspase activity and apoptosis induced by Fas (CD95), Bax, caspases, and anticancer drugs
1998-12
[6]
논문
An anti-apoptotic protein human survivin is a direct inhibitor of caspase-3 and -7
2001-01
[7]
논문
Structural basis for the inhibition of caspase-3 by XIAP
2001-03
[8]
논문
The c-IAP-1 and c-IAP-2 proteins are direct inhibitors of specific caspases
1997-12
[9]
논문
X-linked IAP is a direct inhibitor of cell-death proteases
1997-07
[10]
논문
X-linked inhibitor of apoptosis protein (XIAP) inhibits caspase-3 and -7 in distinct modes
2001-07
[11]
웹인용
Entrez Gene: CASP7 caspase 7, apoptosis-related cysteine peptidase
https://www.ncbi.nlm[...]
[12]
저널
Caspase-2 induces apoptosis by releasing proapoptotic proteins from mitochondria
2002-04
[13]
저널
Molecular ordering of the Fas-apoptotic pathway: the Fas/APO-1 protease Mch5 is a CrmA-inhibitable protease that activates multiple Ced-3/ICE-like cysteine proteases
1996-12
[14]
저널
IAP-family protein survivin inhibits caspase activity and apoptosis induced by Fas (CD95), Bax, caspases, and anticancer drugs
1998-12
[15]
저널
An anti-apoptotic protein human survivin is a direct inhibitor of caspase-3 and -7
2001-01
[16]
저널
Structural basis for the inhibition of caspase-3 by XIAP
2001-03
[17]
저널
The c-IAP-1 and c-IAP-2 proteins are direct inhibitors of specific caspases
1997-12
[18]
저널
X-linked IAP is a direct inhibitor of cell-death proteases
1997-07
[19]
저널
X-linked inhibitor of apoptosis protein (XIAP) inhibits caspase-3 and -7 in distinct modes
2001-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