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캐스페이스 6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캐스페이스 6는 시스테인 프로테아제-아스파르트산 프로테아제 (카스파제) 계열의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이다. 세포자멸사 실행 단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카스파제 7, 8, 10에 의해 처리되거나 자체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 캐스페이스 6는 억제 해제를 통해 초기 면역 반응에 관여하며, 인터루킨 10의 발현을 감소시키고 IRAK-M을 억제하는 대식세포를 절단한다. 또한 헌팅턴병의 헌팅틴과 알츠하이머병의 아밀로이드 베타 전구체 단백질을 절단하여 신경 퇴행과 관련이 있다. 캐스페이스 8과 단백질 상호작용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EC 3.4.22 - 파파인
    파파인은 파파야에서 추출되는 파파인 유사 단백질 분해 효소 계열의 효소로, 육류 연화, 세포 분리, 상처 관리 등에 사용되지만, 알레르기 반응과 같은 부작용으로 사용 중단 권고가 내려지기도 했다.
  • EC 3.4.22 - 액티니딘
    액티니딘은 키위에서 발견된 단백질 분해 효소로, 과실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추정되며 육류 연화제, 치즈 제조, 소화 효소 등으로 활용되지만 키위 알레르기의 주요 원인 물질이기도 하다.
  • 인간 4번 염색체상 유전자 - 알파-시누클레인
    알파-시누클레인은 신경 조직에서 발견되는 시누클레인 단백질로, 시냅스 소포 조절, 도파민 조절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지만 응집되어 레비 소체를 형성하면 파킨슨병과 같은 시누클레인병증을 유발하며, 장-뇌 축을 통해 파킨슨병 발병에 영향을 미치고 유전자 돌연변이는 가족성 파킨슨병의 원인이 될 수 있다.
  • 인간 4번 염색체상 유전자 - 알코올 탈수소효소
    알코올 탈수소효소(ADH)는 알코올을 알데히드 또는 케톤으로 산화시키는 효소 그룹으로, 에탄올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알코올 발효, 카이랄 알코올 합성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캐스페이스 6
개요
캐스페이스-6의 3차원 구조
캐스페이스-6의 3차원 구조
유전자 기호CASP6
염색체13q14
온라인 데이터베이스GeneCards
OMIM
UniProt
식별
기호CASP6
다른 명칭MCH2
CASP-6
Mch2
NCBI 유전자'839'
앙상블'ENSG00000138794'
유니프로트'Q00521'
OMIM'601022'
RefSeqNM_001227078.1
NM_001227079.1
NM_001227080.1
NM_001227081.1
NM_003883.4
특징
염색체13q14
관련 질병
관련 질병알츠하이머병

2. 기능

캐스페이스 6는 시스테인 프로테아제-아스파르트산 프로테아제 (카스파제) 계열의 단백질을 암호화한다. 카스파제는 불활성 전구효소로 존재하며 단백질 분해 처리를 거쳐 활성 효소를 형성한다. 이 유전자의 선택적 스플라이싱은 서로 다른 이소폼을 암호화하는 두 가지 전사 변이체를 생성한다.[9]

2. 1. 세포자살에서의 역할

캐스페이스의 순차적 활성화는 세포자살 실행 단계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15][4] 캐스페이스 6는 캐스페이스 7, 캐스페이스 8, 캐스페이스 10에 의해 처리되며 캐스페이스 신호 전달에서 하위 효소로 기능한다. 또한 다른 캐스페이스 계열 구성원 없이 자체 처리를 할 수도 있다.[16][8]

캐스페이스 6는 초기 면역 반응에서 억제 해제를 통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면역 억제 사이토카인인 인터루킨 10의 발현을 감소시키고,[18][5] IRAK-M을 억제하는 대식세포를 절단한다.[19][6]

신경 퇴화와 관련하여 캐스페이스 6는 헌팅턴병의 헌팅틴(HTT)과 알츠하이머병의 아밀로이드 베타 전구체 단백질(APP)을 절단하여 단백질 응집을 초래한다.[20][7]

2. 1. 1. 활성화 기전

캐스페이스는 세포자살 과정에서 순차적으로 활성화되며, 이는 세포 사멸의 실행 단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15] 캐스페이스는 비활성 지모겐 형태로 존재하다가, 활성 효소를 형성하기 위해 이합체화되는 크고 작은 두 개의 서브 유닛으로 나뉘며, 이 과정에서 보존된 아스파르트 잔기에서 단백질 분해 처리를 거친다. 이 단백질(캐스페이스 6)은 캐스페이스 7, 캐스페이스 8, 캐스페이스 10에 의해 처리되며, 캐스페이스 신호 전달 과정에서 하위 효소로 기능한다. 또한, 캐스페이스 6는 다른 캐스페이스 계열 단백질 없이 스스로를 처리할 수 있다.[16] 이 유전자의 선택적 스플라이싱은 서로 다른 형태(이소폼)를 암호화하는 두 개의 전사 변이체를 생성한다.[17]

캐스페이스 6는 억제 해제를 통해 초기 면역 반응에 관여한다. 즉, 면역 억제 사이토카인인 인터루킨 10의 발현을 감소시키고, IRAK-M을 억제하는 대식세포를 절단한다.[18][19]

신경 퇴행과 관련하여, 캐스페이스 6는 헌팅턴병에서 헌팅틴(HTT)을 절단하고, 알츠하이머병에서 아밀로이드 베타 전구체 단백질(APP)을 절단한다.[20]

2. 1. 2. 기질 단백질

캐스페이스 6는 세포자살의 실행 단계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단백질이다.[15] 캐스페이스는 활성 효소를 형성하기 위해 이합체화되는 크고 작은 2개의 서브 유닛을 생성하기 위해 보존된 아스파르트 잔기에서 단백질 분해 처리를 겪는 비활성 지모겐으로 존재한다. 이 단백질은 캐스페이스 7, 캐스페이스 8, 캐스페이스 10에 의해 처리되며 캐스페이스 신호 전달에서 다운스트림 효소로 기능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캐스페이스 6는 캐스페이스 계열의 다른 구성원 없이 자체 처리를 거칠 수 있다.[16] 이 유전자의 선택적 스플라이싱은 서로 다른 이소폼을 암호화하는 두 개의 전사 변이체를 생성한다.[17]

캐스페이스 6는 억제 해제를 통해 초기 면역 반응에서 역할을 한다. 면역 억제 사이토카인인 인터루킨 10의 발현을 감소시키고 IRAK-M을 억제하는 대식세포를 절단한다.[18][19]

신경 퇴화와 관련하여 캐스페이스 6는 헌팅턴병의 헌팅틴(HTT)과 알츠하이머병의 아밀로이드 베타 전구체 단백질(APP)을 절단한다.[20]

2. 2. 면역 반응 조절

캐스페이스 6는 억제 해제를 통해 초기 면역 반응에 역할을 한다. 면역 억제 사이토카인인 인터루킨-10의 발현을 감소시키고[18][5] IRAK-M을 억제하는 대식세포를 절단한다.[19][6]

신경 퇴화와 관련하여 캐스페이스 6는 헌팅턴병의 HTT과 알츠하이머병의 APP를 절단한다.[20][7]

2. 3. 신경퇴행성 질환과의 관련성

캐스페이스 6는 헌팅턴병의 HTT와 알츠하이머병의 APP을 절단한다.[20] 신경 퇴행과 관련하여 캐스페이스 6는 헌팅턴병에서 HTT를 절단하고, 알츠하이머병에서 APP를 절단하며, 두 경우 모두 단백질 조각의 응집을 초래한다.[7]

3. 상호작용

캐스페이스 6은 상호작용을 통해 Caspase 8과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1][22][23][10][11][12]

참조

[1] 논문 Chromosomal localization of the human genes, CPP32, Mch2, Mch3, and Ich-1, involved in cellular apoptosis 1996-10
[2] 논문 Mch2, a new member of the apoptotic Ced-3/Ice cysteine protease gene family 1995-08
[3] 웹사이트 OrthoMaM phylogenetic marker: CASP6 coding sequence http://www.orthomam.[...] 2009-12-20
[4] 논문 Caspases: the executioners of apoptosis 1997-08-15
[5] 논문 Caspase-6 mediates resistance against Burkholderia pseudomallei infection and influences the expression of detrimental cytokines 2017-07-07
[6] 논문 Neutrophils Activate Alveolar Macrophages by Producing Caspase-6–Mediated Cleavage of IL-1 Receptor-Associated Kinase-M 2011-01-01
[7] 논문 Caspase-6 and neurodegeneration http://www.cell.com/[...] 2011-12-01
[8] 논문 Crystal structures of human caspase 6 reveal a new mechanism for intramolecular cleavage self-activation 2010-11
[9] 웹사이트 Entrez Gene: CASP6 caspase 6, apoptosis-related cysteine peptidase https://www.ncbi.nlm[...]
[10] 논문 Caspase-6 is the direct activator of caspase-8 in the cytochrome c-induced apoptosis pathway: absolute requirement for removal of caspase-6 prodomain 2002-10
[11] 논문 Caspase-2 induces apoptosis by releasing proapoptotic proteins from mitochondria 2002-04
[12] 논문 Molecular ordering of the Fas-apoptotic pathway: The Fas/APO-1 protease Mch5 is a CrmA-inhibitable protease that activates multiple Ced-3/ICE-like cysteine proteases 1996-12
[13] 논문 Chromosomal localization of the human genes, CPP32, Mch2, Mch3, and Ich-1, involved in cellular apoptosis 1996-10
[14] 논문 Mch2, a new member of the apoptotic Ced-3/Ice cysteine protease gene family 1995-08
[15] 논문 Caspases: the executioners of apoptosis 1997-08-15
[16] 논문 Crystal structures of human caspase 6 reveal a new mechanism for intramolecular cleavage self-activation 2010-11
[17] 웹인용 Entrez Gene: CASP6 caspase 6, apoptosis-related cysteine peptidase https://www.ncbi.nlm[...]
[18] 논문 Caspase-6 mediates resistance against Burkholderia pseudomallei infection and influences the expression of detrimental cytokines 2017-07-07
[19] 논문 Neutrophils Activate Alveolar Macrophages by Producing Caspase-6–Mediated Cleavage of IL-1 Receptor-Associated Kinase-M 2011-01-01
[20] 논문 Caspase-6 and neurodegeneration http://www.cell.com/[...] 2011-12-01
[21] 논문 Caspase-6 is the direct activator of caspase-8 in the cytochrome c-induced apoptosis pathway: absolute requirement for removal of caspase-6 prodomain 2002-10
[22] 논문 Caspase-2 induces apoptosis by releasing proapoptotic proteins from mitochondria 2002-04
[23] 논문 Molecular ordering of the Fas-apoptotic pathway: The Fas/APO-1 protease Mch5 is a CrmA-inhibitable protease that activates multiple Ced-3/ICE-like cysteine proteases 1996-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