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스페이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캐스페이스는 세포자멸사, 파이롭토시스, 염증 반응 등 다양한 생체 과정에 관여하는 단백질 분해 효소의 일종이다. 캐스페이스는 다세포 동물에 존재하며, 현재까지 14종이 발견되었다. 캐스페이스는 크게 세포자멸사 관련 캐스페이스, 염증 및 파이롭토시스 관련 캐스페이스, 기타 캐스페이스로 분류된다. 세포자멸사 관련 캐스페이스는 개시 캐스페이스와 실행 캐스페이스로 나뉘며, 세포자멸사 신호 전달 경로에 관여한다. 염증 및 파이롭토시스 관련 캐스페이스는 사이토카인 활성화를 통해 염증 유도에 작용하며, 파이롭토시스 유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단백질분해효소 - 파파인
파파인은 파파야에서 추출되는 파파인 유사 단백질 분해 효소 계열의 효소로, 육류 연화, 세포 분리, 상처 관리 등에 사용되지만, 알레르기 반응과 같은 부작용으로 사용 중단 권고가 내려지기도 했다. - 단백질분해효소 - 펩신
펩신은 테오도어 슈반이 발견한 최초의 효소 중 하나로, 위 주세포에서 펩시노젠 형태로 생성되어 위산에 의해 활성화되어 단백질을 분해하며, 산성 환경에서 가장 활발하게 작용하고 펩스타틴에 의해 억제되며, 다양한 산업 분야에 활용된다. - EC 3.4.22 - 파파인
파파인은 파파야에서 추출되는 파파인 유사 단백질 분해 효소 계열의 효소로, 육류 연화, 세포 분리, 상처 관리 등에 사용되지만, 알레르기 반응과 같은 부작용으로 사용 중단 권고가 내려지기도 했다. - EC 3.4.22 - 캐스페이스 6
캐스페이스 6은 세포 자멸사에 관여하는 카스파제 효소로서, 면역 반응 조절, 신경 퇴행 질환, 세포 자멸사 실행 등 다양한 생리적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른 단백질과 상호 작용하고 선택적 스플라이싱을 통해 다양한 세포 과정에 관여한다. - 세포예정사 - 사이토크롬 c
사이토크롬 c는 진핵생물의 미토콘드리아 내막에 존재하는 전자 전달계 구성 요소이자 세포자멸사 관여 단백질로서, 작은 크기와 보존된 서열 덕분에 분자 계통학 연구에 활용되며 항산화 효소 및 저준위 레이저 치료에서의 역할 등 다양한 응용 가능성이 제시된다. - 세포예정사 - 오토파지
오토파지는 세포 내 구성 성분을 분해 및 재활용하여 항상성을 유지하고, 영양 결핍 시 에너지와 물질을 공급하는 과정으로, 거대 자가포식, 미세 자가포식, 샤페론 매개 자가포식의 세 유형으로 나뉘며, 오스미 요시노리의 노벨상 수상 이후 질병 치료 표적으로 연구가 활발하다.
캐스페이스 | |
---|---|
기본 정보 | |
![]() | |
다른 이름 | Cysteine-aspartic acid protease cysteine aspartase cysteine-dependent aspartate-directed protease |
외부 데이터베이스 | 위키데이터: Q416615 Pfam: PF00656 InterPro: IPR002398 MEROPS: C14 PROSITE: PS50208 SCOP: 1ice TCDB: 3.D.1.1.1 |
식별 | |
기호 | Peptidase_C14 |
MEROPS | C14 |
기능 | |
기능 | 세포 사멸과 관련된 시스테인 프로테아제 세포자살 |
기타 | |
관련 질병 | 알츠하이머병 헌팅턴병 파킨슨병 |
2. 역사
하워드 로버트 호비츠는 세포자살에서 캐스페이스의 중요성을 처음으로 확립했으며, 예쁜꼬마선충의 발생 과정 중 일어나는 세포자살에 ''ced-3'' 유전자가 필요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1993년 호비츠와 그의 동료 위안쥔잉은 ''ced-3'' 유전자가 암호화하는 단백질이 포유류의 인터루킨 1 베타 전환 효소(ICE, 현재는 캐스페이스-1로 알려짐)와 유사한 성질을 가진 시스테인 단백질 분해효소라는 것을 발견했다. 당시 ICE는 유일하게 알려진 캐스페이스였다.[60] 이후 노랑초파리와 같은 다른 유기체에서도 캐스페이스가 확인되었다.
캐스페이스는 적절한 자극이 있을 때만 활성화되는 비활성 지모겐(프로캐스페이스) 형태로 합성된다. 이러한 번역 후 조절은 효소의 빠르고 엄격한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42]
1996년, 연구자들은 캐스페이스 명명법을 결정했다. 여러 실험실에서 동시에 특정 캐스페이스를 확인하면서 각각 다른 이름을 부여하는 경우가 많았다. 예를 들어, 캐스페이스-3는 CPP32, apopain, Yama 등으로 다양하게 알려졌다. 따라서 확인된 순서대로 캐스페이스에 번호를 매겼다.[61] ICE는 선충류 세포사멸 유전자 ''ced-3''과 유사하여 최초로 특성화된 포유동물 캐스페이스였지만, 이 효소의 주요 역할은 세포자살보다는 염증을 매개하는 것으로 보인다.
3. 구조 및 활성화
활성화는 프로캐스페이스의 이량체화 및 올리고머화를 수반하며, 이어서 작은 소단위와 큰 소단위로 절단된다. 크고 작은 소단위는 서로 결합하여 활성 헤테로다이머 캐스페이스를 형성한다. 활성 효소는 종종 생물학적 환경에서 헤테로테트라머로 존재하며, 프로 캐스페이스 이량체가 함께 절단되어 헤테로테트라머를 형성한다.[42]
3. 1. 구조
개시자 캐스페이스와 염증성 캐스페이스의 활성화는 이합체화에 의해 시작되며, 이합체화는 총체적으로 죽음의 접힘(Death fold)이라고 하는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모티프를 통해 어댑터 단백질에 결합함으로써 촉진된다. 죽음의 접힘은 프로 도메인으로 알려진 캐스페이스의 구조적 도메인에 위치하는데, 이는 죽음의 접힘을 포함하는 캐스페이스가 없는 것보다 더 크다. 내인성 개시자 캐스페이스와 염증성 캐스페이스의 프로 도메인은 캐스페이스 모집 도메인(CARD, '''Ca'''spase '''R'''ecruitment '''D'''omain)으로 알려진 단일 죽음의 접힘을 포함하는 반면, 외인성 개시자 캐스페이스의 프로 도메인은 죽음 효과기 도메인(DED, Death Effector Domain)으로 알려진 두 개의 죽음의 접힘을 포함한다.[43][44]
다단백질 복합체는 종종 캐스페이스 활성화 중에 형성된다.[45] 일부 활성화 다중 단백질 복합체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적절하게 이합체화되면 캐스페이스는 도메인 간 링커 영역에서 절단되어 크고 작은 서브 유닛을 형성한다. 이 절단은 활성 부위 루프가 효소 활동에 유리한 형태를 취하도록 한다.[46]
개시자 및 실행자 캐스페이스의 절단은 아래 표에 설명된 다양한 방법으로 발생한다.
구분 | 설명 | 이미지1 | 이미지2 |
---|---|---|---|
개시자 캐스페이스 (캐스페이스 8) | 개시자 프로캐스페이스는 다른 프로캐스페이스의 모집을 허용하는 프로 도메인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이후에 이합체화된다. 두 프로캐스페이스 분자는 자가 촉매 작용에 의해 절단된다. 이것은 프로 도메인의 제거와 큰 서브유닛과 작은 서브유닛 사이의 링커 영역의 절단으로 이어진다. 헤테로 테트라머가 형성된다. | ![]() | ![]() |
실행자 캐스페이스 (캐스페이스 3) | 실행자 캐스페이스는 구성적으로 동종이합체로 존재한다. 빨간색으로 나타난 절단은 개시자 캐스페이스가 실행자 캐스페이스를 절단하는 영역을 나타낸다. 결과적으로 각 캐스페이스 3의 작고 큰 서브 유닛이 연결되어 헤테로 테트라머가 된다.[47] | ![]() | ![]() |
검은 화살표(↓)는 활성화에 의해 절단되는 부위. p20 오른쪽 끝 근처의 노란색 원은 활성 중심의 시스테인 잔기. 괄호 안에 표시된 캐스페이스-11과 12는 사람에게서는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캐스페이스는 선충류에서 포유류에 이르기까지 다세포 동물에 존재하는 단백질이다. 포유류에서는 캐스페이스-1부터 캐스페이스-14까지 14종이 발견되었으며, 이들은 캐스페이스 패밀리라고 통칭된다.
캐스페이스 패밀리는 분자량 약 30,000~60,000 정도의 단백질이다. 이들은 모두, 세포 내에서는 먼저 효소 활성을 갖지 않는 불활성형 전구체(프로캐스페이스)로 합성된 후, 다른 프로테아제의 작용에 의해 절단된다. 즉 번역 후 변형을 거치는 단백질이다. 이 절단 부위는 모든 캐스페이스에 2곳 존재하며, 이 부위를 경계로 N단 측에서 프로도메인, p20, p10으로 불리는 3개의 영역으로 나뉜다. 이 중 p20과 p10이 캐스페이스의 단백질 분해 효소 활성을 담당하며, 이들이 절단된 후에 2개씩 회합된 것(헤테로 사량체)이 활성형 캐스페이스로 작용한다. 활성 중심의 시스테인 잔기는 p20의 C말단 근처에 존재한다. p20과 p10은 각각 캐스페이스 패밀리에 공통된 상동성이 높은 영역이다. 단, 캐스페이스의 종류에 따라 절단 시 인식하는 펩타이드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으며, 그 인식의 특이성은 높다. 예를 들어 캐스페이스-3은 DEVD, 캐스페이스-8은 IETD라는 아미노산 서열을 특이적으로 인식하여 마지막 아스파르트산(D) 부분에서 절단한다. 이 캐스케이드 반응의 시작은 각 캐스페이스에 대한 특이적 억제제에 의해 억제된다.
프로도메인은 캐스페이스의 종류마다 크게 다른 구조를 가지며, 개시 캐스페이스는 이펙터 캐스페이스보다 큰 프로도메인을 갖는다. 캐스페이스-9, -2, -1, -4는 CARD (caspase recruitment domain)라고 불리는 영역을, 캐스페이스-8, -10은 DED (death effector domain)라고 불리는 영역을 각각 프로도메인 안에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영역을 통해 다른 분자와 상호 작용함으로써 캐스페이스의 활성화 조절이 이루어진다. 다른 캐스페이스의 프로도메인의 기능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캐스페이스의 활성화 조절에 어떤 역할을 한다고 생각된다.
3. 2. 활성화
캐스페이스는 적절한 자극이 있을 때만 활성화되는 비활성 지모겐(프로캐스페이스, pro-caspase)으로 합성된다. 이러한 번역 후 조절은 효소의 빠르고 엄격한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42]활성화는 프로캐스페이스의 이량체화와 올리고머화를 수반하며, 이어서 작은 소단위 및 큰 소단위로 절단된다. 크고 작은 서브 유닛은 서로 결합하여 활성 헤테로다이머 캐스페이스를 형성한다. 활성 효소는 종종 생물학적 환경에서 헤테로테트라머로 존재하며, 프로 캐스페이스 이량체가 함께 절단되어 헤테로테트라머를 형성한다.[42]
개시자 캐스페이스와 염증성 캐스페이스의 활성화는 이합체화에 의해 시작되며, 이합체화는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모티프인 죽음의 접힘을 통해 어댑터 단백질에 결합함으로써 촉진된다. 죽음의 접힘은 프로 도메인으로 알려진 캐스페이스의 구조적 도메인에 위치하는데, 이는 죽음의 접힘을 포함하는 캐스페이스가 없는 것보다 더 크다. 내인성 개시자 캐스페이스와 염증성 캐스페이스의 프로 도메인은 캐스페이스 모집 도메인(CARD)으로 알려진 단일 죽음의 접힘을 포함하는 반면, 외인성 개시자 캐스페이스의 프로 도메인은 죽음 효과기 도메인(DED)으로 알려진 두 개의 죽음의 접힘을 포함한다.[43][44]
다단백질 복합체는 종종 캐스페이스 활성화 중에 형성된다.[45] 일부 활성화 다중 단백질 복합체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외인성 세포자살 동안의 죽음 유도 신호 전달 복합체 (DISC)
- 세포자살 동안의 아폽토좀
- 파이롭토시스 동안의 인플라소좀
적절하게 이합체화되면 캐스페이스는 도메인 간 링커 영역에서 절단되어 크고 작은 서브 유닛을 형성한다. 이 절단은 활성 부위 루프가 효소 활동에 유리한 형태를 취하도록 한다.[46]
개시자 및 실행자 캐스페이스의 절단은 아래 표에 설명된 다양한 방법으로 발생한다.
- 개시자 캐스페이스는 자동 단백질 분해로 절단되는 반면 실행자 캐스페이스는 개시자 캐스페이스에 의해 절단된다. 이 계층 구조는 세포 예정사 동안 증폭 연쇄 반응 또는 세포 구성 요소 분해를 위한 신호 전달을 허용한다.
개시자 캐스페이스 (캐스페이스 8) | ||
---|---|---|
실행자 캐스페이스 (캐스페이스 3) | [47] |
4. 기능적 분류
캐스페이스는 기능에 따라 세포자살, 파이롭토시스, 염증, 기타 역할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대부분의 캐스페이스는 세포 예정사에 관여하며, 크게 개시자(Initiator), 실행자(Executioner), 염증성(Inflammatory) 캐스페이스로 나뉜다.[37]
세포 예정사 | 캐스페이스 하위 종류 | 효소 | 유기체 |
---|---|---|---|
세포자살 | 개시자 | 캐스페이스 2 | 인간과 쥐 |
캐스페이스 8 | 인간과 쥐 | ||
캐스페이스 9 | 인간과 쥐 | ||
캐스페이스 10 | 인간[38] | ||
실행자 | 캐스페이스 3 | 인간과 쥐 | |
캐스페이스 6 | 인간과 쥐 | ||
캐스페이스 7 | 인간과 쥐 | ||
파이롭토시스 | 염증성 | 캐스페이스 1 | 인간과 쥐 |
캐스페이스 4 | 인간 | ||
캐스페이스 5 | 인간 | ||
캐스페이스 11 | 쥐 | ||
캐스페이스 12 | 쥐와 일부 인간 | ||
캐스페이스 13 | 소[40] | ||
기타 역할 | 기타 | 캐스페이스 14 | 인간과 쥐 |
세포자살 외에도 캐스페이스 8은 네크롭토시스(necroptosis)라고 하는 또 다른 형태의 세포 예정사를 억제하는 데에도 필요하다. 캐스페이스 14는 상피 세포 각질세포 분화에 관여하며 탈수 및 UVB 방사선으로부터 보호하는 표피 장벽을 형성할 수 있다.[41]
4. 1. 세포자살 관련 캐스페이스
세포자살은 면역 반응 유도를 피하기 위해 주변 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세포가 형태학적 변화를 겪는 세포 예정사의 한 형태이다. 이 때 세포는 수축하고 핵은 응축된다. 또한 세포골격이 무너지고 핵막이 분해되고 DNA 조각이 위로 올라간다. 이로 인해 세포 구성 요소가 세포 외 매체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포(bleb)라고 하는 자체 밀폐된 몸체를 형성하는 세포가 생성된다. 또한 세포막 인지질 함량이 변경되어 죽어가는 세포가 식세포 공격 및 제거에 더 취약해진다.[48]세포 자살 캐스페이스는 다음과 같이 하위 범주화된다.
개시자 캐스페이스가 활성화되면 연쇄 반응을 일으켜 다른 여러 실행자 캐스페이스를 활성화한다. 실행자캐스페이스는 600개 이상의 세포 성분을 분해하여 세포자살에 대한 형태학적 변화를 유도한다.[49]
세포자살 동안의 캐스페이스 신호 전달 경로는 다음과 같다.
- 내인성 세포자살 경로 : 세포 스트레스 동안 미토콘드리아 사이토크롬 c가 세포질로 방출된다. 이 분자는 개시자 캐스페이스 9를 모집하는 어댑터 단백질(APAF-1)에 CARD-CARD 상호작용을 통해 결합한다. 이것은 아폽토좀이라고 불리는 캐스페이스 활성화 다중 단백질 복합체의 형성으로 이어진다. 활성화되면 캐스페이스 9와 같은 개시자 캐스페이스는 다른 실행자 캐스페이스를 절단하고 활성화한다. 이것은 세포자살을 위한 세포 구성 요소의 분해로 이어진다.
- 외인성 세포자살 경로 : 또한 캐스페이스 신호 전달은 세포 표면 자살 수용체를 통해 세포 외 리간드에 의해 활성화된다. 이것은 프로 캐스페이스를 모집하고 활성화하는 다중 단백질 DISC(Death Inducing Signaling Complex)의 형성에 의해 수행된다. 예를 들어, Fas 리간드는 수용체의 세포 외 표면에서 FasR 수용체에 결합한다. 이것은 수용체의 세포질 꼬리에서 죽음 도메인을 활성화한다. 어댑터 단백질 FADD는 DED 도메인을 통해 프로 캐스페이스 8을 모집한다. 이 FasR, FADD 및 프로 케스페이스 8은 캐스페이스 8이 활성화되는 DISC를 형성한다. 이는 미토콘드리아 스트레스를 유도하여 고유 경로의 다운스트림 활성화 또는 세포 구성 요소를 분해하는 실행자 캐스페이스 (캐스페이스 3, 6, 7)의 직접적인 활성화로 이어진다.[50]

대부분의 캐스페이스는 프로그램 세포사멸에 관여한다. 다음 표에 요약되어 있다. 효소는 개시, 이행, 염증의 세 가지 유형으로 세분된다.[7]
프로그램 세포사멸 | 캐스페이스 유형 | 효소 | 생물체 |
---|---|---|---|
세포자멸사 | 개시 | 캐스페이스 2 | 인간과 쥐 |
캐스페이스 8 | 인간과 쥐 | ||
캐스페이스 9 | 인간과 쥐 | ||
캐스페이스 10 | 인간[8] | ||
이행 | 캐스페이스 3 | 인간과 쥐 | |
캐스페이스 6 | 인간과 쥐 | ||
캐스페이스 7 | 인간과 쥐 | ||
파이롭토시스 | 염증 | 캐스페이스 1 | 인간과 쥐 |
캐스페이스 4 | 인간 | ||
캐스페이스 5 | 인간 | ||
캐스페이스 11 | 쥐 | ||
캐스페이스 12 | 쥐와 일부 인간 | ||
캐스페이스 13 | 소[10] | ||
기타 역할 | 기타 | 캐스페이스 14 | 인간과 쥐 |
세포자멸사 외에도 캐스페이스 8은 네크롭토시스라고 하는 다른 형태의 프로그램 세포 사멸 억제에도 필요하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캐스페이스 14는 상피 세포 각질 세포 분화에 관여하며 탈수 및 UVB 방사선으로부터 보호하는 표피 장벽을 형성할 수 있다.[11]
4. 2. 염증 및 파이롭토시스 관련 캐스페이스
대부분의 캐스페이스는 프로그램 세포사멸에 관여한다. 효소는 개시, 이행, 염증의 세 가지 유형으로 세분된다.[37]
파이롭토시스는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프로그램된 세포 사멸의 한 형태이다. 이는 다른 유형의 세포자살과 형태학적으로 구별된다. 세포가 부풀어 오르고 파열되며 전 염증성 세포 내용물을 방출한다. 이것은 미생물 감염과 심장마비(심근경색증)를 포함한 다양한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 이루어진다.[51] 인간의 캐스페이스 1, 4, 5와 쥐의 캐스페이스 1, 11은 파이롭토시스에 의한 세포자살을 유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는 세포 내 및 세포 외 병원체의 수명과 증식 시간을 제한한다.
캐스페이스 1 활성화는 다양한 단백질에 의해 매개되어 광범위한 병원성 리간드를 감지할 수 있다. 캐스페이스 1 활성화의 일부 매개체는 NOD 유사 류신 풍부 반복 (NLR), AIM2 유사 수용체 (ALR), Pyrin, IFI16이 있다.[52]
이러한 단백질은 인플라마좀이라는 다중 단백질 활성화 복합체를 형성하여 캐스페이스 1 활성화를 허용한다. 예를 들어, NOD 유사 류신 풍부 반복 NLRP3는 세포에서 칼륨 이온 유출을 감지한다. 이 세포 이온 불균형은 NLRP3 분자의 올리고머화를 유도하여 NLRP3 인플라마좀이라는 다중 단백질 복합체를 형성한다. 프로 캐스페이스 1은 다른 프로 캐스페이스 분자와 근접하여 이합체화되고 자가 단백질 분해 절단을 겪는다.[53]
캐스페이스 1에 의한 파이롭토시스로 이어지는 일부 병원성 신호는 다음과 같다.
- 숙주 세포질의 DNA는 파이롭토시스를 유도하는 AIM2 유사 수용체에 결합한다.
- 세균의 유형 III 분비 시스템 장치는 NAIP (인간의 경우 1개, 쥐의 경우 4개)라고 하는 류신 풍부 반복 수용체와 같은 NOD에 결합한다.
인간의 캐스페이스 4, 5 및 쥐의 캐스페이스 11은 지질다당류 (LPS) 분자 (그람 음성 세균의 세포벽에서 발견됨)가 숙주 세포의 세포질에서 발견될 때 직접적인 파이롭토시스를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스페이스 4는 수용체 역할을 하며 인플라마좀 복합체 또는 캐스페이스 1 활성화 없이 단백질 분해로 활성화된다.[54]
파이롭토시스 캐스페이스의 중요한 다운스트림 기질은 가스더민 D (GSDMD)이다.[55]
염증은 조직 손상이나 세균 감염과 같은 유해한 자극으로 인한 중단 이후 항상성 상태를 복원하려는 유기체의 보호 작용이다.[56]
캐스페이스 1, 4, 5, 11은 염증성 캐스페이스로 간주된다.[57]
- 캐스페이스 1은 전 염증성 사이토카인 활성화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이들은 면역 세포에 대한 신호로 작용하고 손상된 부위에 대한 면역 세포 모집에 유리한 환경을 만든다. 따라서 캐스페이스 1은 선천적 면역 체계에서 근본적인 역할을 한다. 이 효소는 프로 IL-β 및 프로 IL-18과 같은 사이토카인을 처리하고 분비하는 역할을 한다.[58]
- 인간의 캐스페이스 4, 5 및 쥐의 캐스페이스 11은 그람 음성 세균에 풍부한 분자인 LPS에 결합하는 수용체로서 독특한 역할을 한다. 이는 캐스페이스 1을 활성화하여 IL-1β 및 IL-18 사이토카인의 처리 및 분비로 이어질 수 있다. 이 다운스트림 효과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또한 처리되지 않은 또 다른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로 이어진다. 이것을 프로 IL-1α라고 한다.[52] 사이토카인 분비를 돕는 염증성 캐스페이스 11 증거도 존재한다. 이는 IL-1β 분비를 차단하는 막 채널을 비활성화함으로써 이루어진다.[52]
- 또한 캐스페이스는 전사 수준에서 염증 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 인터페론, 종양 괴사 인자, 인터루킨 6, 인터루킨 8과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전사를 돕는 전사 인자인 핵인자 카파비의 전사를 촉진한다는 증거가 있다. 예를 들어, 캐스페이스 1은 캐스페이스 7을 활성화하여 폴리 (ADP) 리보스를 절단한다. 이는 핵인자 카파비 제어 유전자의 전사를 활성화한다.[59]
4. 3. 기타 캐스페이스
캐스페이스 14는 세포자살(아폽토시스) 외의 다른 역할도 수행한다. 캐스페이스 8은 네크롭토시스(necroptosis)라고 하는 또 다른 형태의 세포 예정사를 억제하는 데 필요하다.[41] 캐스페이스 14는 상피 세포 각질세포 분화에 관여하며 탈수 및 UVB 방사선으로부터 보호하는 표피 장벽을 형성할 수 있다.[41]참조
[1]
논문
Structure and mechanism of interleukin-1 beta converting enzyme
1994-07
[2]
논문
Differential modulation of endotoxin responsiveness by human caspase-12 polymorphisms
[3]
논문
Disruption of cellular homeostasis induces organelle stress and triggers apoptosis like cell-death pathways in malaria parasite
2015-07-02
[4]
논문
Old, new and emerging functions of caspases
2015-04-01
[5]
논문
The Molecular Perspective: Caspases
2000-10-01
[6]
논문
Caspase Functions in Cell Death and Disease
2013-04-01
[7]
논문
Caspases Connect Cell-Death Signaling to Organismal Homeostasis
2016-02-16
[8]
논문
Caspase-10 in Mouse or Not?
2006-06
[9]
논문
Caspase-11: arming the guards against bacterial infection
[10]
논문
Evidence That Caspase-13 Is Not a Human but a Bovine Gene
[11]
논문
Caspase-14 reveals its secrets
2008-02-11
[12]
논문
Death fold domain interaction in apoptosis
[13]
논문
Caspase function in programmed cell death
[14]
논문
Caspase Activation
2004-06-25
[15]
논문
Molecular mechanisms of caspase regulation during apoptosis
2004-11
[16]
논문
The active caspase-8 heterotetramer is formed at the CD95 DISC
2003-01-01
[17]
논문
Apoptosis: A Review of Programmed Cell Death
2007-06-01
[18]
논문
Caspase-1: The inflammasome and beyond
https://discovery.du[...]
2014-02-01
[19]
논문
Caspase crosstalk: integration of apoptotic and innate immune signalling pathways
2014-12
[20]
논문
Pyroptosis: host cell death and inflammation
[21]
논문
Gasdermin D is an executor of pyroptosis and required for interleukin-1β secretion
2015-12-01
[22]
논문
Antimicrobial inflammasomes: unified signalling against diverse bacterial pathogens
[23]
논문
The C. elegans cell death gene ced-3 encodes a protein similar to mammalian interleukin-1 beta-converting enzyme
[24]
논문
Human ICE/CED-3 Protease Nomenclature
[25]
논문
Ancestral State Reconstruction of the Apoptosis Machinery in the Common Ancestor of Eukaryotes
2018-04-27
[26]
문서
Evidence that caspase-13 is not a human but a bovine gene.
http://www.ncbi.nlm.[...]
[27]
문서
Caspase-14 protects against epidermal UVB photodamage and water loss.
http://www.ncbi.nlm.[...]
[28]
문서
Ceramides stimulate caspase-14 expression in human keratinocytes.
http://www.ncbi.nlm.[...]
[29]
문서
Regulation of caspase 14 expression in keratinocytes by inflammatory cytokines--a possible link between reduced skin barrier function and inflammation?
http://www.ncbi.nlm.[...]
[30]
문서
TRIF licenses caspase-11-dependent NLRP3 inflammasome activation by gram-negative bacteria.
http://www.ncbi.nlm.[...]
[31]
문서
Caspase-11 promotes the fusion of phagosomes harboring pathogenic bacteria with lysosomes by modulating actin polymerization.
http://www.ncbi.nlm.[...]
[32]
논문
Differential modulation of endotoxin responsiveness by human caspase-12 polymorphisms
[33]
논문
Disruption of cellular homeostasis induces organelle stress and triggers apoptosis like cell-death pathways in malaria parasite
2015-07-02
[34]
논문
Old, new and emerging functions of caspases
2015-04-01
[35]
논문
The Molecular Perspective: Caspases
2000-10-01
[36]
저널
Caspase Functions in Cell Death and Disease
2013-04-01
[37]
저널
Caspases Connect Cell-Death Signaling to Organismal Homeostasis
2016-02-16
[38]
저널
Caspase-10 in Mouse or Not?
2006-06
[39]
저널
Caspase-11: arming the guards against bacterial infection
[40]
저널
Evidence That Caspase-13 Is Not a Human but a Bovine Gene
[41]
저널
Caspase-14 reveals its secrets
2008-02-11
[42]
저널
Caspase Activation
2004-06-25
[43]
저널
Death fold domain interaction in apoptosis
[44]
저널
Caspase function in programmed cell death
[45]
저널
Caspase Activation
2004-06-25
[46]
저널
Molecular mechanisms of caspase regulation during apoptosis
2004-11
[47]
저널
The active caspase-8 heterotetramer is formed at the CD95 DISC
2003-01-01
[48]
저널
Apoptosis: A Review of Programmed Cell Death
2007-06-01
[49]
저널
Caspase-1: The inflammasome and beyond
https://discovery.du[...]
2014-02-01
[50]
저널
Caspase crosstalk: integration of apoptotic and innate immune signalling pathways
2014-12
[51]
저널
Pyroptosis: host cell death and inflammation
[52]
저널
Antimicrobial inflammasomes: unified signalling against diverse bacterial pathogens
[53]
저널
Antimicrobial inflammasomes: unified signalling against diverse bacterial pathogens
[54]
저널
Antimicrobial inflammasomes: unified signalling against diverse bacterial pathogens
[55]
저널
Gasdermin D is an executor of pyroptosis and required for interleukin-1β secretion
2015-12-01
[56]
저널
Caspase-1: The inflammasome and beyond
https://discovery.du[...]
2014-02-01
[57]
저널
Caspases Connect Cell-Death Signaling to Organismal Homeostasis
2016-02-16
[58]
저널
Antimicrobial inflammasomes: unified signalling against diverse bacterial pathogens
[59]
저널
Caspase-1: The inflammasome and beyond
https://discovery.du[...]
2014-02-01
[60]
저널
The C. elegans cell death gene ced-3 encodes a protein similar to mammalian interleukin-1 beta-converting enzyme
[61]
저널
Human ICE/CED-3 Protease Nomenclature
[62]
저널
Ancestral State Reconstruction of the Apoptosis Machinery in the Common Ancestor of Eukaryotes
2018-04-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