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시디 라일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캐시디 라일리는 미국의 프로레슬러이다. 1995년 데뷔하여 여러 인디 단체에서 활동했으며, 뮤직 시티 레슬링에서 태그팀 챔피언십을 획득했다. 이후 WCW에서 레슬러와 트레이너로 활동하다가, TNA 레슬링에서 핫샷츠라는 태그팀으로 활동했으며, 레이븐과 대립하기도 했다. WWE의 ECW와 OVW에서 활동했으며, 2011년 인디펜던트 서킷으로 복귀하여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남자 프로레슬러 - 더스티 로즈
더스티 로즈는 "아메리칸 드림"이라는 링네임으로 유명한 미국의 프로레슬링 선수이자 트레이너, 부커로, NWA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을 3회 지냈으며 은퇴 후 WWE에서 프로듀서와 각본가로 활동하며 2007년 WWE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미국의 남자 프로레슬러 - 셰인 맥마흔
미국의 사업가이자 프로레슬러인 셰인 맥마흔은 빈스 맥마흔과 린다 맥마흔의 아들이며, WWE에서 선수 및 경영진으로 활동하며 유러피언 챔피언십, 하드코어 챔피언십, 스맥다운 태그팀 챔피언십을 획득했고 WWE 월드컵에서 우승했으며, WWE 외에 유 온 디맨드 CEO, 인터내셔널 스포츠 매니지먼트 이사 등을 역임했다. - 1976년 출생 - 댄 보일
댄 보일은 캐나다 출신의 은퇴한 아이스하키 선수이며, 대학 아이스하키 선수 시절 여러 상을 수상하고 프로 선수로 활동하며 스탠리 컵 우승과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NHL 통산 1,093경기에 출전했다. - 1976년 출생 - 권김현영
권김현영은 여성주의 연구활동가로서, 여러 여성단체에서 활동하고 대학에서 여성학을 가르치며, 저서 출간, 방송 출연 등을 통해 미투 운동 등 사회 문제에 대한 견해를 밝히는 활동을 하고 있다. - 아일랜드계 미국인 - 린지 모건
린지 모건은 《제너럴 호스피털》의 크리스티나 데이비스, 《더 100》의 레이븐 레예스, 《워커》의 미키 라미레즈 역으로 알려진 미국의 배우로, 2013년 데이타임 에미상 드라마 시리즈 부문 신인 여배우상 후보에 올랐다. - 아일랜드계 미국인 - 미셸 오바마
미셸 오바마는 버락 오바마의 부인이자 2009년부터 2017년까지 미국의 퍼스트레이디로, 건강한 식습관 장려 캠페인을 펼쳤으며, 《나는 되고 있다》의 저자이다.
캐시디 라일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캐시디 제임스 라일리 |
출생일 | 1976년 11월 21일 |
출생지 | 루이지애나주 먼로 |
사망일 | 해당사항 없음 |
사망지 | 해당사항 없음 |
사망 원인 | 해당사항 없음 |
링네임 | 캐시디 매조 캐시디 오라일리 캐스 라일리 캐시디 제임스 캐시디 라일리 캐시디 캐시디 제임스 |
신장 | 180cm |
체중 | 93kg |
출신지 | 루이지애나주 뉴올리언스 |
트레이너 | 롤리 듀드 테리 테일러 토미 로저스 |
데뷔 | 1995년 |
은퇴 | 해당사항 없음 |
2. 프로레슬링 경력
캐시디 라일리는 6살 때 프로 레슬링 일러스트레이티드에서 압둘라 더 부처의 사진을 보고 프로레슬링에 관심을 가졌다. 댈러스에서 훈련을 받은 후 1995년 자신의 이름으로 데뷔, 미국 남부 인디펜던트 서킷에서 활동했다. 1999년 NWA 미시시피 헤비급 챔피언십, 에어 파리와 함께 MCW 태그팀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다.
2000년에는 월드 챔피언십 레슬링(WCW)과 인재 교환 프로그램을 통해 WCW에서 "R & B 시큐리티"의 일원으로 활동하며 빈스 루소와 에릭 비숍의 보디가드 역할을 수행했다. 2001년 WCW가 WWF에 인수될 때까지 활동했고, 2002년에는 WWE TV에 데뷔하여 레이븐에게 패했다.
2002년 체이스 스티븐스와 "핫샷츠" 태그팀을 결성, NWA:TNA와 계약했으나 곧 활동을 중단했다. 2004년 "캐시디 라일리"라는 이름으로 TNA에 복귀, 언더독 선역으로 활동하며 레이븐, 더스틴 로즈와 팀을 이루거나 대립했다.
2007년 ECW 브랜드에 복귀, WWE와 개발 계약을 맺고 오하이오 밸리 레슬링(OVW)에서 활동했다. K.C. 제임스와 함께 OVW 남부 태그 팀 챔피언십에서 여러 차례 우승했다. 2008년 WWE에서 방출된 후, 2011년부터 인디펜던트 서킷에서 활동을 재개했고, 2013년에는 TNA로 복귀하기도 했다.
2. 1. 초기 경력 (1995-2002)
오라일리는 6살 때 압둘라 더 부처의 피 묻은 사진을 ''프로 레슬링 일러스트레이티드''에서 본 후 레슬링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8살 때 어머니와 이모로부터 레슬링 타이츠를 크리스마스 선물로 받았다.댈러스의 프로모터인 롤리 듀드 밑에서 8개월 동안 훈련을 받았으며, 당시 듀드 밑에서 일하던 테리 테일러와 토미 로저스로부터 추가 훈련을 받았다. 1995년 자신의 이름으로 데뷔하여 테네시주 브라이튼에서 세드릭 크레인과 대결했다. 그 후 미국 남부 인디펜던트 서킷에서 레슬링을 시작했다.
NWA 미시시피 프로 레슬링 단체에서 활동하기 시작하여 1999년 6월 5일 미시시피주 그레나다에서 비어있던 NWA 미시시피 헤비급 챔피언십(NWA 서던 텔레비전 챔피언십으로도 지정)에서 빅 돈 브로디를 제거하고 배틀 로열에서 우승하며 타이틀을 획득했다. 11월 6일 미시시피주 찰스턴에서 리키 머독에게 패하기 전까지 4개월 넘게 타이틀을 보유했다.
NWA 미시시피 헤비급 챔피언으로 재임하는 동안 테네시주 내슈빌에 기반을 둔 ''뮤직 시티 레슬링'' 단체에서 활동했다. 에어 파리와 태그팀을 결성하여 8월 14일 애슐리 허드슨과 코리 윌리엄스를 꺾고 비어있던 MCW 태그팀 챔피언십(NWA 북미 태그팀 챔피언십으로도 지정)에서 우승했다. 12월 25일 마이크 라파다와 더 콜로라도 키드에게 패하기 전까지 타이틀을 보유했다. 파리스가 월드 챔피언십 레슬링(WCW)과 계약하면서 오라일리와 파리의 팀은 해체되었다.
버트 프렌티스의 ''USA 챔피언십 레슬링'' 단체에서 활동하기 시작했고, 2000년 WCW는 프렌티스와 인재 교환 프로그램을 시작하여 WCW 레슬러들이 내슈빌에서 훈련을 받고 프렌티스의 직원들이 WCW에서 활동하게 되었다. 2001년 3월 해당 단체가 WWF에 인수될 때까지 1년 반 동안 WCW에서 활동했다. 제임스 스톰, 크리스 해리스와 같은 레슬러들과 함께 "R & B 시큐리티"의 일원이었으며, 빈스 루소와 에릭 비숍의 보디가드로 활동했다. ''나이트로''와 ''썬더''에서 더 큰 스타들과 일방적인 대립을 벌였으며, ''월드와이드''와 ''새터데이 나이트''에서 서로 경기를 치렀다. 2000년 WCW 그레이트 아메리칸 배쉬 PPV에서 마이크 어썸과 DDP의 경기 오프닝 세그먼트에서 구급차 뒤편의 의료진으로 출연했다.
2002년 10월 ''선데이 나이트 히트''에서 WWE TV 데뷔를 하여 레이븐에게 패했다.
2. 2. Total Nonstop Action Wrestling (TNA) (2002-2007)
체이스 스티븐스와 "핫샷츠"라는 태그팀을 결성하여 내슈빌에서 활동하다가 2002년 7월 NWA:TNA와 계약했다.[4] 2002년 10월, 여행 문제로 TNA를 떠나 레슬링 활동을 중단했다.[4]
2004년, "캐시디 라일리"라는 이름으로 TNA에 복귀하여 언더독 선역으로 활동했다.[5] 2005년, 레이븐과 대립했고, 이후 더스틴 로즈와 우정을 쌓고 팀을 이루었다.[5] 라일리는 레이븐의 시그니처 "그런지" 스타일을 따라 하며 레이븐의 적들의 표적이 되었다.[6] TNA 새크리파이스 2005에서 제프 제럿이 레이븐에게 기타를 휘두르는 것을 막았다. 바운드 포 글로리에서 레이븐과 함께 링에 나타났으나 라이노에게 고어를 당했다. 래리 즈비츠코의 계략으로 레이븐이 TNA에서 방출되자, 링으로 달려와 항의했지만 레이븐의 만류로 경기장을 떠났다.
2. 3. World Wrestling Entertainment (WWE) (2007-2008)
2007년 1월, 캐시디 라일리라는 이름으로 ECW 브랜드에 복귀하여 마커스 코 본에게 패했다.[3] 이틀 후, WWE와 개발 계약을 맺고 오하이오 밸리 레슬링(OVW)에 합류했다.[3] 3월 20일, ECW에 다시 출연하여 스니츠키에게 패했다.[3] 이후, OVW/WWE 레슬러인 K.C. 제임스의 남동생인 카시디 제임스로 기믹을 변경했다.[3]2007년 6월 29일, 제임스 형제는 메이저 형제를 꺾고 OVW 남부 태그 팀 챔피언십을 획득했다.[3] 8월 1일 T.J. 달튼과 제민 올리벤시아 팀에게 타이틀을 잃었지만,[3] 8월 24일 핸디캡 매치에서 올리벤시아를 꺾고 타이틀을 되찾았다.[3] 9월 5일 스티브 레윙턴과 체트 더 제트에게 다시 타이틀을 잃은 후, 3주 만에 네 번째로 타이틀을 되찾았다.[3]
2008년 2월 4일, 다른 개발 선수 5명과 함께 WWE에서 방출되었다.[3]
2. 4. 인디펜던트 서킷 (2011-현재)
2011년, 오라일리는 인디펜던트 서킷에서 활동하며 레슬링계에 복귀했다. 그는 주로 테네시주에서 활동하고 있다. 현재는 루이지애나주에 기반을 둔 Bayou Independent Wrestling에서 활동하고 있다.2. 5. TNA 복귀 (2013)
2013년 3월, 오라일리는 토탈 논스톱 액션 레슬링으로 복귀하여 체이스 스티븐스와 재회했고, 3월 17일에는 맷 모건이 우승한 10인 건틀릿 배틀 로얄에 참가했다.[3] 다음 날 그는 스티븐스와 함께 에이시스 & 에이트의 개릿 비숍과 웨스 브리스코에게 패했다.[3]3. 주요 기술
- 피셔맨 DDT
- 슈퍼킥
- 저먼 수플렉스
- 핸드 스프링 백 엘보
- 슈팅 스타 프레스
- 스프링보드 문설트
- 스리퍼 홀드
4. 챔피언십 경력
단체 | 챔피언십 | 횟수 | 파트너 |
---|---|---|---|
얼터너티브 챔피언십 레슬링 | ACW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 1회 | |
바이유 인디펜던트 레슬링 | BIW 사우스 챔피언십 | 1회 | |
NWA 메인 이벤트 | NWA 북아메리카 태그팀 챔피언십 | 1회 | 에어 파리 |
링 워리어스 | 링 워리어스 글로벌 태그팀 챔피언십 | 1회 | 웨스 브리스코 |
오하이오 밸리 레슬링 | OVW 사우스 태그팀 챔피언십 | 4회 | K.C. 제임스[4] |
사우스 그레이티스트 레슬링 팬 | SGWF 텔레비전 챔피언십 | 1회 | [5] |
유나이티드 레슬링 페더레이션 | UWF 라이트헤비급 챔피언십 | 1회 | |
USA 챔피언십 레슬링 | USACW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 19회 | |
월드 레슬링 카운슬 | WWC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 | 1회 | 제임스 스톰[6] |
참조
[1]
웹사이트
O'Reilly profile
https://web.archive.[...]
2010-04-29
[2]
Youtube
WWE Heat October 27, 2002
[3]
웹사이트
WWE releases six developmental wrestlers including an ECW Original
http://www.gerweck.n[...]
2008-02-08
[4]
웹사이트
OVW Title Histories - OVW Southern Tag Team Championship
http://www.ovwrestli[...]
Ohio Valley Wrestling
2009-07-05
[5]
서적
Wrestling Title Histories
Archeus Communications
[6]
웹사이트
WWC World Tag Team Championships
http://www.wrestling[...]
2006-03-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