캘리포니아 대학교 법학대학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캘리포니아 대학교 법학대학원(UC Law SF)은 1878년 캘리포니아 주 대법원장이었던 세라누스 클린턴 헤이스팅스의 기부로 설립된 캘리포니아 대학교의 로스쿨이다. 샌프란시스코에 위치하며, 2022년까지 헤이스팅스 법학대학으로 불렸으나, 설립자의 과거 행적 논란으로 인해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UC Law SF는 법무박사(J.D.), 법학 석사(LL.M.) 학위 과정을 제공하며, 2023년 입학 경쟁률은 30.91%였다. 졸업생들은 변호사 시험에 응시하며, 다양한 분야로 진출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78년 개교 - 야마가타 대학
야마가타 대학은 1949년 야마가타현 내 구제 전문학교 통합으로 설립된 일본 국립 대학으로, 6개 학부와 연구 시설을 운영하며 지역사회 연계 및 국제 교류를 통해 지역 발전에 기여하는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한다. - 1878년 개교 - 크레이턴 대학교
크레이턴 대학교는 1878년 설립된 미국 네브래스카주 오마하에 위치한 사립 예수회 대학교이며, 다양한 단과대학과 스포츠팀을 갖추고 200개가 넘는 학생 단체가 운영되고 있다. - 샌프란시스코의 대학교 - FIDM 대학교
FIDM 대학교는 캘리포니아주에 위치한 패션, 엔터테인먼트, 미용, 경영 분야 사립 대학으로, 다양한 학위를 수여하며 혁신, 글로벌 영향력, 지속가능성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로스앤젤레스 캠퍼스에 FIDM 박물관을 운영한다. - 샌프란시스코의 대학교 - 샌프란시스코 주립 대학교
샌프란시스코 주립 대학교는 1899년 샌프란시스코 주립 사범학교로 설립되어 캘리포니아 주립 대학교 시스템에 속하며, 샌프란시스코를 중심으로 여러 분교를 운영하며 약 3만 명의 학생들에게 다양한 학위 과정을 제공하는 공립 종합대학교이다. - 캘리포니아 대학교 -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는 1868년 캘리포니아 주 헌법에 따라 설립된 공립 연구 중심 대학교로, 골드러시 이후 인구 증가에 따른 교육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설립되었으며, 20세기에는 원자폭탄 개발에 참여한 J. 로버트 오펜하이머를 비롯한 수많은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했고, 1960년대 자유 발언 운동의 중심지가 되기도 했다. - 캘리포니아 대학교 - 캘리포니아 대학교 데이비스
캘리포니아 대학교 데이비스는 1905년 농업 전문학교로 시작하여 1959년 독립된 종합대학으로 발전했으며, 농업, 생명과학 분야에 강점을 가진 연구 중심 대학이다.
캘리포니아 대학교 법학대학원 - [대학]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모토 | Fiat Justitia (정의가 실현되게 하라) |
종류 | 공립 법학대학원 |
설립 | 1878년 |
위치 | 샌프란시스코 |
국가 | 미국 |
좌표 | 37°46′50″N 122°24′55″W |
총장 겸 학장 | 데이비드 L. 페이그먼 |
학생 수 | 1,116명 (2023년) |
전임 교수진 | 70명 |
파트타임 교수진 | 209명 |
순위 | 82위 (2024년, 공동) |
변호사 시험 합격률 | 72.14% (2023년 첫 응시자) |
공식 웹사이트 | UC Law San Francisco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UC 헤이스팅스 법학대학원은 1878년 초대 캘리포니아 주 대법원장인 세라누스 클린턴 헤이스팅스가 캘리포니아 대학교에 자신의 이름을 딴 로스쿨을 설립하기 위해 10만달러를 기증하면서 시작되었다. 헤이스팅스는 로스쿨 설립 조건으로 샌프란시스코 법원 인접 위치, 로스쿨 예산의 주 의회 직접 지출을 요구했고, 이는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3]rp|44, 71–72쪽영어[4]
이후 파트타임 법학대학원으로 알려지기도 했으며,[10][12] 데이비드 E. 스노드그래스 학장 재임 시절 큰 변화를 겪었다.[1]
2017년, 설립자 세라너스 클린턴 헤이스팅스의 과거 행적 문제로 학교 명칭 변경 논의가 시작되었다.[19][20] 2022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법학대학, 샌프란시스코'''(UC Law SF)로 명칭이 변경되었다.[28]
2. 1. 설립
1878년, 캘리포니아 초대 대법원장인 세라너스 클린턴 헤이스팅스는 10만 달러를 기부하여 자신의 이름을 딴 법학대학원을 설립했다. 그는 1878년 3월 26일에 헤이스팅스 법학대학을 캘리포니아 대학교와 관련된 별도의 법인으로 설립하는 입법 행위를 마련했다.[3]rp|44, 71–72쪽영어[4] 이는 대학의 유기법 제8조와 호환성을 가지려는 의도였는데, 유기법 제8조는 섭정 위원회가 독립적인 자립형 전문 대학과 제휴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했다.[3]rp|44, 71–72쪽영어[5] 헤이스팅스가 이러한 방식으로 기부한 또 다른 이유는 자신의 기부에 특정 조건을 부과하고 싶었지만, "정책과 법에 따라 무상 기부는 반환 권한으로 제한될 수 없었기" 때문이다.[3]rp|81–82쪽영어헤이스팅스 법학대학의 공식적인 100주년 역사에 따르면, 설립자는 "자만심, 실수, 무지 또는 이 세 가지의 조합에서 비롯되었는지, 자신의 문제의 원인이었다."[3]rp|69쪽영어 설립자는 전문 지인들 중에서 헤이스팅스 이사회를 구성했지만, 적절한 법률 교육에는 법률 윤리 강좌가 포함되어야 하며 교양 교육 요소와 결합되어야 한다는 자신의 신념에 그들이 동의하는지 제대로 확인하지 못했다.[3]rp|62–66쪽영어 그는 매우 놀랍게도, 그들 모두는 법학대학의 유일한 목적이 직업 교육으로서 변호사 개업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라고 믿었다.[3]rp|67–68쪽영어 이러한 믿음은 법학대학 초기에 대부분의 강좌를 직접 가르친 초대 교수인 존 노턴 포메로이도 공유했다.[3]rp|67–68쪽영어 설립자는 변호사이기도 한 교양 있는 지식인을 교육하고자 했지만, 이사회는 단순히 변호사를 배출하길 원했다.[3]rp|67–68쪽영어
2. 2. 파트타임 법학대학원
헤이스팅스 법학대학은 어떤 이유로든 전일제 법학 프로그램에 참석할 수 없는, 파트타임으로 일하는 학생들을 가르치는 파트타임 교수진을 둔 "떠돌이 법학대학"으로 널리 인식되었다.[10][12] 헤이스팅스는 영구적인 캠퍼스가 없었기 때문에, 당시 법학대학의 필수적인 요소로 여겨지던 자체 법률 도서관을 건립할 수 없었고(컴퓨터 지원 법률 연구가 발명되기 전), 시의 공공 법률 도서관에 의존해야 했다.[10]2. 3. 전환기
데이비드 E. 스노드그래스 학장의 지도 아래 캘리포니아 대학교 법학대학원은 극적인 변화를 겪었다. 스노드그래스는 1940년부터 1963년까지 학장으로 재임하며, 캘리포니아와 전국에서 법학대학원의 위상을 높이기 위해 치열하게 싸운 "강력하고 솔직한 옹호자"였다.[1] 하버드 대학교 시절부터 친구였던 스노드그래스와 윌리엄 프로서의 우정 덕분에,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법학대학원(Boalt Hall)과의 냉담한 관계가 스노드그래스 학장 재임 기간 대부분 동안 우호적으로 유지될 수 있었다.[1] 스노드그래스는 법학대학원 명칭 변경을 공개적으로 지지했고, 프로서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법학대학원에 대한 입법 할당에 이의를 제기하지 않기로 동의했다.[1]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의 경제 성장 기간 동안, 스노드그래스는 G.I. Bill 참전용사들과 베이비붐 세대 사이에서 법조계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는 것을 활용할 수 있었다.[1] 캘리포니아 대학교 법학대학원은 유연한 파트타임 프로그램, 대부분의 교수를 차지하는 파트타임 강사 활용, 법정과 시립 도서관을 포함한 모든 공간에서 수업을 진행하는 관행, 그리고 단 2년의 대학 과정만 이수하면 입학이 가능한 관대한 입학 요건(1950년에는 3년으로 증가)을 통해 엘리트적이고 관료적인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법학대학원과는 달리 매우 빠르게 확장할 수 있었다.[1] 1941년 300명이었던 캘리포니아 대학교 법학대학원의 학생 수는 1946년 496명, 1949년 917명으로 폭발적으로 증가했다.[1]
스노드그래스는 마침내 캘리포니아 대학교 법학대학원에 영구적인 보금자리를 마련했다. 그는 주 의회로부터 145만달러의 예산을 확보했고, 캘리포니아 대학교 이사회로부터 30만달러의 추가 자금을 지원받아 1953년 3월 26일 법학대학원의 첫 번째 영구 건물을 완공했다.[1] 이 건물은 후에 건물을 세운 스노드그래스를 기려 스노드그래스 홀로 명명되었으며, 2020년 10월 철거되기 전까지 60년 이상 캘리포니아 대학교 법학대학원의 학문적 중심지 역할을 했다.[1]
2. 4. 명칭 변경
2017년 객원 교수 존 브리스코는 논평에서 학교 설립자 세라너스 클린턴 헤이스팅스가 "1850년대 인디언 사냥 원정을 기획하고 자금을 지원했으며" 토지 소유권 취득이 "정당한 청구인 학살에 의해 촉진되었다"고 설명하면서 "헤이스팅스 법학대학 명칭 변경을 위한 도덕적 근거"를 제시했다.[19][20]헤이스팅스에 대한 구체적인 혐의는 그가 1850년대 후반 캘리포니아 학살 기간 동안 그의 광대한 토지 소유지 또는 그 근처에 살았던 유키족을 학살하기 위해 그의 직원들이 이끄는 민병대를 조직했다는 것이다.[21] 여성과 어린이를 포함한 수백 명의 유키족이 1856–1859년 라운드 밸리 정착민 학살로 불리는 사건에서 살해되었다.[22]
2020년, 학교는 3년 동안 이 문제를 연구한 후, 학교 설립자가 강제 노동 수용소를 관리하고, 살인적인 "인디언 사냥"을 조직했으며, 캘리포니아주 멘도시노 카운티의 대부분의 아메리카 원주민을 살해한 학살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음을 확인했다. 그러나 데이비드 L. 파이그먼 총장이 이끈 위원회는 "대중의 혼란을 야기할 수 있고" "지원자 감소와 아마도 자선 및 동문 지원의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는 이유로 학교 이름을 변경하는 제안에 반대했다.[23] 2021년 10월 27일, 파이그먼은 "저나 대학에서는 명칭 변경에 반대하는 노력을 하지 않습니다… 그러한 변경은 캘리포니아 주 의회와 주지사 사무실의 조치가 필요합니다… 만약 명칭 변경이 회복 조치를 취하기 위해 대학이 해야 할 일이고 그러한 변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입법 조치가 있다면, 저는 그 과정에 참여할 것입니다."라며 자신의 입장을 명확히 했다.[24]
2021년 10월 말 ''뉴욕 타임스''는 유키족에 대한 S.C. 헤이스팅스의 학살 연루와 명칭 변경을 옹호하는 기사를 게재했다.[25] 그 기사는 전 샌프란시스코 시장이자 민주당의 실력자인 윌리 브라운을 포함한 동문들이 명칭 변경을 지지하도록 했다.[26] 2021년 11월 2일, 캘리포니아 대학교 헤이스팅스 법학대학 이사회는 만장일치로 세라너스 클린턴 헤이스팅스를 법학대학 이름에서 삭제하기로 투표했다.[27][25] 2022년 7월 27일, 이사회는 만장일치로 법학대학의 이름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법학대학, 샌프란시스코'''(UC Law SF)로 변경하기로 투표했다.[28] 명칭 변경 법안은 2022년 9월 23일 뉴섬 주지사에 의해 서명되었고, 2023년 1월 1일부터 발효되었다.[28][29]
2022년 10월 4일, 세라너스 클린턴 헤이스팅스의 후손들은 명칭 변경을 막기 위해 UC Law SF 이사들과 주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30] 원고들은 변호사 하르미트 딜론, 그레고리 마이클, 도로시 야마모토가 대리했다.[31][32] 이 소송은 1878년 캘리포니아 법이 세라너스 헤이스팅스와의 계약 조건을 포함하고 있다고 주장한다.[33] 샌프란시스코 크로니클과의 인터뷰에서 데이비드 카릴로(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법학부 교수이며 소송에 관여하지 않음)는 세라너스 클린턴 헤이스팅스와 주 간의 서명된 합의(입법부가 제정으로 부인할 수 없는 구속력 있는 계약일 수 있음)와 입법 행위(입법부가 나중에 수정하거나 폐지할 수 없음) 사이에는 차이점이 있다고 말했다.[33] 이 소송은 1878년 법이 구속력 있는 계약이 아니라는 판결에 따라 2024년 2월에 기각되었다.[34][35]
3. 위치
UC 로스쿨 SF 캠퍼스는 샌프란시스코 시빅 센터 근처에 위치한 4개의 주요 건물에 걸쳐 있다.
- 200 McAllister Street에는 학술 공간과 행정 사무실이 있고,[36]
- 333 Golden Gate Avenue에는 주로 강의실과 교수 사무실이 있다.
- 198 McAllister는 657개의 주거 유닛을 갖춘 14층 규모의 레지던스 단지이며,
- "더 타워"라고도 알려진 100 McAllister에는 대학교 사무실과 추가적인 학생 기숙사가 있으며,[37] 아르 데코 양식의 24층 "스카이 룸"이 있다.
캠퍼스는 Muni Metro와 베이 에어리어 래피드 트랜싯 시빅 센터/UN 플라자 역에서 도보 거리에 있다. 캠퍼스 반경 2블록 이내에는 미국 제9 연방 순회 법원, 캘리포니아 북부 연방 지방 법원, 캘리포니아 대법원, 캘리포니아 제1 항소 법원, 샌프란시스코 고등 법원, 샌프란시스코 시청, 유엔 광장 (및 연방 빌딩 부속 건물), 샌프란시스코 아시아 미술관, 샌프란시스코 공립 도서관 시스템의 메인 도서관이 있다.


4. 조직 및 구조
1878년, 캘리포니아 초대 대법원장인 세라너스 클린턴 헤이스팅스는 100000USD를 기부하여 법학대학원(후에 자신의 이름을 따서 명명)을 설립했다. 그는 1878년 3월 26일 헤이스팅스 법학대학을 캘리포니아 대학교와 관련된 별도의 법인으로 설립하는 법률을 제정했다.[3] 이는 대학의 유기법 제8조에 따라 섭정 위원회가 독립적인 자립형 전문 대학과 제휴할 수 있도록 한 조치였다.[3]pages|페이지영어=44, 71–72[4][5] 헤이스팅스가 이런 방식으로 기부한 또 다른 이유는 자신의 기부에 특정 조건을 부과하고 싶었지만, "정책과 법에 따라 무상 기부는 반환 권한으로 제한될 수 없었기" 때문이다.[3]
헤이스팅스 법학대학의 공식 역사에 따르면, 설립자는 "자만심, 실수, 무지 또는 이 세 가지의 조합에서 비롯되었는지, 자신의 문제의 원인이었다."[3] 그는 전문 지인들로 헤이스팅스 이사회를 구성했지만, 그들이 법률 윤리 강좌와 교양 교육을 포함하는 법률 교육을 해야 한다는 자신의 신념에 동의하는지 제대로 확인하지 않았다.[3] 놀랍게도 이들은 법학대학의 목적이 직업 교육으로서 변호사 개업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라고 믿었다.[3] 이 믿음은 법학대학 초기에 대부분의 강좌를 직접 가르친 존 노턴 포메로이도 공유했다.[3] 설립자는 변호사이기도 한 교양 있는 지식인을 교육하고자 했지만, 이사회는 단순히 변호사를 배출하길 원했다.[3] 이러한 근본적인 비전 차이는 조화가 불가능했고, 1882년 9월 설립자는 자신이 직접 선임한 이사회와 사이가 멀어졌다.[3] 그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섭정 위원회가 자신의 법학대학에 교양과 법률 윤리를 심어줄 더 나은 수단이라고 생각했고, 1883년 3월 헤이스팅스 법학대학을 캘리포니아 대학교로 직접 이전하고 그 운영 책임을 섭정 위원회에 부여하는 법률을 제정했다.[3]pages|페이지영어=78–80[6] 이는 유기법 제8조의 "제휴" 조항과 상충되었으므로, 1885년 3월 섭정 위원회와는 별도로 법학대학 자산을 보유할 형식적인 이사회를 만들었다 (섭정 위원회는 해당 자산을 계속 관리).[3]pages|페이지영어=81–82[7]
1883년의 법률에 따라 헤이스팅스 이사회는 회의를 중단했다.[3] 그러나 섭정 위원회가 이사회와 설립자 간의 분쟁에서 중립을 유지하기로 결정했고—1883년 또는 1885년 법률에 따라 어떠한 통제도 행사하려 하지 않았기 때문에—헤이스팅스는 1882년 9월부터 1885년 4월까지 운영 이사회의 감독을 받지 않는 기간을 거쳤다.[3]
1885년 4월 25일, 헤이스팅스 이사회는 이전 등록관이 사망했기 때문에 페리 키웬을 새로운 등록관으로 임명하기 위해 소집되었다.[3] 캘리포니아 법무장관 에드워드 C. 마셜은 세라너스 클린턴 헤이스팅스의 요청에 따라 퀘 워란토 영장을 발부하는 소송을 샌프란시스코 카운티 상급 법원에 제기하여 키웬의 임명에 이의를 제기했다.[3] 1886년 3월 30일, ''키웬 사건''에서 캘리포니아 대법원은 1879년 주 헌법 조항에 따라 1883년 및 1885년 법률이 위헌이라고 선언하여 키웬의 임명을 지지했다. 이 조항은 캘리포니아 대학교의 입법적 독립을 보장했다.[3]pages|페이지영어=84–85[8] 즉, 1879년 주 헌법의 비준은 캘리포니아 대학교를 규율하는 기존 법률을 수정할 수 있는 캘리포니아 주 의회의 권한을 박탈했다.[3] 이는 세라너스 클린턴 헤이스팅스가 자신이 설립한 법학대학의 미래를 형성하려 했던 마지막 시도였다. 헤이스팅스 법학대학은 그 이후로 섭정 위원회로부터의 독립을 유지해 왔다.[3] ''키웬 사건''의 아이러니는 캘리포니아 대학교를 보호하기 위한 헌법 조항이 대학이 최초의 법학대학을 통제하는 것을 막는 방식으로 적용되었다는 것이다.[3]
반면, "제휴 대학"—샌프란시스코의 의과대학, 치과대학, 간호대학, 약학대학—은 캘리포니아 대학교와 서면 계약을 통해 제휴했으며, 법원 판결에 의해 헌법적 중요성을 갖는 법률이 아니었다.[9] 20세기 초, 제휴 대학들은 캘리포니아 대학교 섭정 위원회가 캘리포니아 대학교 브랜드를 공유하지만 대학이 실제적인 통제를 할 수 없는 독립적인 실체의 존재에 내재된 문제를 인식하게 되면서 캘리포니아 대학교 총장 벤자민 아이드 휠러 임기 동안 섭정 위원회의 통제를 자발적으로 따르기로 동의했다.[9] 헤이스팅스가 독립적으로 남아 있는 동안, 제휴 대학들은 캘리포니아 대학교 총장과 섭정 위원회의 감독하에 서로, 그리고 버클리의 다른 캘리포니아 대학교 관료와 점차적으로 협력하기 시작하여 오늘날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프란시스코로 알려진 보건 과학 캠퍼스로 발전했다.[9]
UC 로스쿨 SF는 9명의 이사로 구성된 이사회에서 관리한다. UC 로스쿨 SF의 이사회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이사회와 독립적으로 존재하며 통제되지 않는다. 캘리포니아 법에 따라 이사 8명은 캘리포니아 주지사가 임명하며, 9번째 이사는 UC 로스쿨 SF 설립자 세라누스 클린턴 헤이스팅스의 직계 후손이어야 한다. 현재 이사회에서 활동하고 있는 헤이스팅스 가문 구성원은 클라스 H. 레벤하우프트이다.
UC 로스쿨 SF는 UC 이사회에서 분리되어 교육 및 재정 정책을 수립하는 데 광범위한 독립성을 부여받았다. 그러나 캘리포니아 교육 예산이 축소됨에 따라 UC 로스쿨 SF는 다른 UC 캠퍼스와 제한된 교육 자금을 놓고 경쟁해야 한다. UC 로스쿨 간의 경쟁에도 불구하고, UC 로스쿨 SF는 2009년 6월 캘리포니아 예산 위기로 인해 처음으로 1000만달러의 주정부 자금 삭감 가능성이 제기되기 전까지는 학급 규모를 줄이거나 다른 UC 로스쿨보다 등록금을 더 높이지 않고 전통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할 수 있었다.
며칠 후, 입법자들은 가혹한 예산 삭감을 거부하고 100만달러만 삭감하기로 합의하여 극심한 등록금 인상을 막았다.
캘리포니아 법에 따라, 정부가 UC 로스쿨 SF에 대한 자금 지원을 19세기 연간 7000USD 미만으로 삭감할 경우, 주 정부는 100000USD에 이자를 더하여 헤이스팅스 가문에 돌려줘야 한다. 마크 레노(Mark Leno, D-샌프란시스코) 주 상원의원은 거부된 1000만달러 예산 삭감으로 학교에 대한 주정부의 재정 지원이 중단되면 헤이스팅스 가문이 100000USD에 막대한 이자를 더하여 돌려받기 위한 값비싼 법정 싸움을 시작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5. 교육 과정
캘리포니아 대학교 법학대학원은 민사 소송, 형사법, 국제법, 공익법, 조세, 가족법, 지적 재산권 등 7개 분야에서 집중적인 학습이 가능한 3년제 법무박사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전통적인 3년 과정을 따르며, 1학년 때는 필수 과목과 선택 과목 1개를 수강한다. 2, 3학년 학생들은 모든 과목을 수강하거나 사법관 외부 실습, 인턴십, 사법 클리닉 또는 해외 유학으로 과목을 대체하거나 보충할 수 있다.[49]
외국 법학 프로그램을 졸업한 학생들을 위해 미국 법학 연구 분야의 1년제 LL.M. 학위도 제공한다. 캘리포니아 대학교 법학대학원은 1939년부터 미국 변호사 협회(ABA)의 인가를 받았으며,[49] UC 산타크루즈, U.C. 버클리,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프란시스코(UCSF 의과대학)와 공동 학위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학생들이 더 짧은 시간에 여러 학위를 취득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50][51][52]
또한, 법률 장학금을 장려하고 법조계의 윤리적 기준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코이프 기사단 지부를 두고 있으며,[53] 1900년 미국 법학대학 협회(AALS) 창립 멤버로 가입했고 1949년에 회원 자격을 갱신했다.[54]
5. 1. 입학
캘리포니아 대학교 법학대학원은 캘리포니아 주에서 법률 실무를 수행할 변호사를 양성하는 것을 주 목표로 하였고, 버클리 로스쿨은 법학 연구를 위한 학문 기관으로 설립되었다.[10]제2차 세계 대전 이후, G.I. Bill 참전 용사들과 베이비붐 세대의 법조계 관심 증가에 힘입어, 캘리포니아 대학교 법학대학원은 유연한 파트타임 프로그램, 파트타임 강사 활용, 그리고 상대적으로 완화된 입학 요건(1950년에 3년으로 강화)을 통해 빠르게 성장했다. 학생 수는 1941년 300명에서 1949년 917명으로 급증했다.[10]
2023년 입학생 기준, 캘리포니아 대학교 법학대학원(UC Law SF)의 합격률은 30.91%였으며, 합격자 중 29.54%가 등록했다. 평균 등록생의 LSAT 점수는 160점, 학부 GPA는 3.59였다.[42]
5. 2. 학위 프로그램
UC Law SF는 민사 소송, 형사법, 국제법, 공익법, 조세, 가족법, 지적 재산권 등 7개 분야에서 집중적인 학습이 가능한 3년제 법무박사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대부분의 법무박사 과정 학생들은 전통적인 3년 과정을 따른다. 1학년 동안 학생들은 필수 과목과 선택 과목 1개를 수강하며, 2, 3학년 학생들은 모든 과목을 수강하거나 사법관 외부 실습, 인턴십, 사법 클리닉 또는 해외 유학으로 과목을 대체하거나 보충할 수 있다. 또한, 외국 법학 프로그램을 졸업한 학생들을 위해 미국 법학 연구 분야의 1년제 LL.M. 학위도 제공한다. 1939년부터 미국 변호사 협회(ABA)의 인가를 받았다.[49]UC Law SF는 UC 산타크루즈의 응용 경제 및 금융 과학 석사 과정과 공동 학위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이 3+3 프로그램에서 학생들은 UC Law SF에서 법무박사 학위를, 산타크루즈에서 응용 경제 및 금융 석사 학위를 동시에 취득할 수 있다. 자격을 갖춘 학생들은 두 학위를 순차적으로 취득하는 것보다 짧은 시간에 두 학위를 모두 취득할 수 있다.[50] UC Law SF는 U.C. 버클리 하스 경영대학원과도 공동 학위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4년 과정을 마치면 버클리 MBA 학위와 UC Law SF 법학대학의 법무박사 학위를 취득할 수 있다.[51]
UC Law SF 법학대학과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프란시스코(UCSF 의과대학)은 공동 학위 프로그램을 시작했으며, 2011년부터 법학 석사(MSL) 및 법, 과학, 보건 정책 LL.M. 프로그램의 첫 졸업생들을 모집하기 시작했다. 학생들은 각 기관에서 학위 취득을 위한 과정을 수강할 수 있다.[52] 이 프로그램은 UCSF/UC Law SF 법, 과학 및 보건 정책 컨소시엄의 구성 요소이다.
UC Law SF는 법률 장학금을 장려하고 법조계의 윤리적 기준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전국 로스쿨 명예 학회인 코이프 기사단 지부를 두고 있다.[53] 1900년 미국 법학대학 협회(AALS) 창립 멤버로 가입했으며, 1949년에 회원 자격을 갱신했다.[54]
6. 졸업 후 진로
UC Law SF의 2019년 미국 변호사 협회(ABA) 공식 발표에 따르면, 2019년 졸업생의 70.6%가 졸업 후 9개월 내에 개인 변호사를 제외한 정규직, 장기 JD 필수 고용(예: 변호사)을 얻었다.[55] 로스쿨 투명성에 따르면 UC Law SF의 2019년 고용 부진 점수는 19.7%인데, 이는 졸업 후 9개월 시점에 실업 상태, 추가 학위 취득 중, 비전문직, 단기 또는 파트타임 직업에 종사하는 2019년 졸업생의 비율을 나타낸다.[56]
고용 상태 | 백분율 |
---|---|
변호사 자격증 필요 (정규직/장기) | 70.6 |
변호사 자격증 필요 (파트타임/단기) | 1.3 |
J.D. 어드밴티지 | 11.9 |
전문 직위 | 1.3 |
비전문 직위 | 0.6 |
고용 상태 불명 | 0.0 |
대학원 학위 정규 과정 | 1.9 |
실업 – 시작일 연기 | 0.6 |
실업 – 구직 안 함 | 1.3 |
실업 – 구직 중 | 5.5 |
고용 상태 불명 | 1.6 |
7. 변호사 시험 합격률
2023년 변호사 시험에서 캘리포니아 대학교 법학대학원 졸업생 중 처음 시험을 치른 응시자의 72.14%가 합격했다. 2년 이내에는 93.95%가 합격했다.[2] 2014년 기준 캘리포니아주 변호사 시험 합격률은 68%이다.
8. 학비
UC Law SF영어의 2024-2025학년도 총 비용(등록금, 수수료 및 생활비 포함)은 캘리포니아 거주자의 경우 57215USD, 비거주자의 경우 64703USD이다.[58] UC Law SF영어는 전액 장학금을 제공하지 않는다.[59]
9. 간행물
UC Law SF는 10개의 학술지와 3권의 도서를 간행하고 있다.[61][62]
9. 1. 학술지
UC Law SF의 가장 오래된 법학 저널은 1949년에 창간된 ''UC 로 저널''이다.[60] 두 번째로 오래된 저널은 1973년에 창간된 ''UC 로 헌법 분기별 저널''이다. UC Law SF의 증가하는 출판물을 관리하기 위해 1997년에 개설된 O'Brien 학술 출판 센터는 현재 10개의 UC Law SF 저널의 출판을 관리하고 있다.[61]- ''UC 로 저널''
- ''UC 로 헌법 분기별 저널''
- ''UC 로 통신 및 엔터테인먼트 법률 저널''
- ''UC 로 젠더 및 정의 저널''
- ''UC 로 국제법 검토''
- ''UC 로 인종 및 경제 정의 저널''
- ''UC 로 환경 저널''
- ''UC 로 과학 기술 저널''
- ''UC 로 비즈니스 저널''
- ''UC 로 범죄 및 처벌 저널''
9. 2. 도서
UC 로스쿨의 오'브라이언 센터는 다음 세 권의 책을 출판했다.[62]- 다니엘 쇼어의 ''우리에게 언론 특권을 주소서''
- 명예 로저 트레이너의 ''트레이너 리더: 에세이''
- 1973년 UC 로스쿨 이사회에서 의뢰한 UC 로스쿨의 100주년 기념 역사인 ''헤이스팅스 법학대학 - 첫 번째 세기''
10. 저명한 동문
UC Law SF의 저명한 졸업생은 다음과 같다.[63]
이름 | 설명 |
---|---|
마빈 뱁스터 | 전 캘리포니아주 대법원 부판사 |
댄 M. 버코비츠 | 미국 증권 거래 위원회의 법률 고문 |
리처드 브라이언 | 전 네바다 주지사 |
피터 벅스턴 (사망) | 역학자이자 터스키기 매독 연구 내부 고발자 |
캐롤 코리건 | 캘리포니아주 대법원 부판사 |
에드워드 다빌라 | 캘리포니아 북부 연방 지방 법원 판사 |
카멀라 해리스 | 제49대 부통령 |
그레그 자렛 | 폭스 뉴스 앵커 |
와일리 매뉴얼 | 전 캘리포니아주 대법원 부판사 (최초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판사) |
로렌스 J. 오닐 | U.S. District Court for the Eastern District of California의 선임 판사 |
칩 파샤얀 | 전 미국 하원 의원 |
재키 스파이어 | 전 미국 하원 의원 |
J. 크리스토퍼 스티븐스 (사망) | 리비아 주재 미국 대사 (2012년) |
리처드 탈하이머 | 더 샤퍼 이미지 설립자 (1977년 사업 시작 - 2008년 폐업) |
밥 마쓰이 | 전 미국 하원 의원 |
앤 베네먼 | 전 미국 농무부 장관 |
에드 케이스 | 전 미국 하원 의원 |
토마스 메제로 | 변호사 |
루이스 서커 | 작가 |
로버트 러스티그 | 의사, 작가 |
키도 사부로 | 변호사 |
참조
[1]
간행물
Best Law Schools: University of California College of the Law, San Francisco
https://www.usnews.c[...]
2024-05-02
[2]
웹사이트
University of California College of the Law, San Francisco - 2024 {{!}} Bar Passage
https://www.abarequi[...]
American Bar Association
2024-07-18
[3]
서적
Hastings College of the Law: The First Century
University of California Hastings College of the Law Press
1978
[4]
문서
Cal. Stats., 22nd sess., 1877–1878, ch. 351, §§ 1-15
https://books.google[...]
[5]
문서
Cal. Stats., 17th sess., 1867–1868, ch. 244, § 8
https://books.google[...]
[6]
문서
Cal. Stats., 25th sess., 1883, ch. 20, § 1
https://books.google[...]
[7]
문서
Cal. Stats., 26th extra sess., 1883-1884, ch. 157, § 1
https://books.google[...]
[8]
문서
People v. Kewen
https://books.google[...]
1886
[9]
서적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1868–1968
https://archive.org/[...]
McGraw-Hill
1970
[10]
서적
Law at Berkeley: The History of Boalt Hall
Institute of Governmental Studies Press
1997
[11]
웹사이트
AALS Member Schools
http://www.aals.org/[...]
2015-04-30
[12]
학술
David E. Snodgrass—Builder of Hastings
https://repository.u[...]
1963-08
[13]
학술
History of the Hastings College of Law
https://repository.u[...]
1953-04
[14]
웹사이트
California Education Code Section 92201
https://leginfo.legi[...]
[15]
학술
From the Oral History of J.A.C. Grant
https://heinonline.o[...]
2016
[16]
웹사이트
Chancellor and Dean David Faigman on the Groundbreaking at 198 McAllister Street
https://www.uchastin[...]
University of California, Hastings College of the Law
2020-11-13
[17]
뉴스
Hastings Faculty Is Anything But Retiring
Los Angeles Times
1982-12-14
[18]
웹사이트
The Era of The Sixty-Five Club
http://www.uchasting[...]
[19]
뉴스
He Unleashed a California Massacre: Should this School be named for him?
https://www.nytimes.[...]
2021-10-27
[20]
뉴스
The Moral Case for Renaming Hasting College of the Law
https://www.sfchroni[...]
San Francisco Chronicle
2017-07-08
[21]
서적
Murder State: California's Native American Genocide, 1846-1873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2012
[22]
학술
California's Yuki Indians: Defining Genocide in Native American History
https://www.jstor.or[...]
2008
[23]
뉴스
Hastings Law balks at name change despite founder's role in genocide
https://www.sfgate.c[...]
SFGate
2020-12-07
[24]
웹사이트
Addressing the Wrongs of Serranus Hastings
https://www.uchastin[...]
2021-10-27
[25]
뉴스
Hastings Law to Change Name Linked to Native Massacres
https://www.nytimes.[...]
2021-11-03
[26]
뉴스
Hastings Law to Change Name Linked to Native Massacres
https://www.nytimes.[...]
2021-11-03
[27]
웹사이트
California law school, named for a man who funded the killing of Native Americans, moves to change its name
https://www.cnn.com/[...]
2021-11-07
[28]
웹사이트
Chancellor & Dean David Faigman: Board of Directors Votes on New Name for the College
https://www.uchastin[...]
2022-07-27
[29]
뉴스
"It's official: UC Hastings is getting a new name that's free of racist ties – and a bit generic"
https://www.sfchroni[...]
2022-09-23
[30]
뉴스
Descendants of Serranus Hastings sue state and UC Hastings law school board to keep name, disputing link to racism
https://www.sfchroni[...]
2022-10-04
[31]
웹사이트
Serranus Hastings, victim of cancel culture? + Malia Cohen launches big ad buy
https://www.sacbee.c[...]
2022-10-05
[32]
문서
Civil complaint
https://2fxq9y25b9ub[...]
[33]
뉴스
UC Hastings' name change spawned a potential $1.7 billion lawsuit. Will it hold up in court?
https://www.sfchroni[...]
2022-10-11
[34]
뉴스
Lawsuit over UC Hastings name change is tossed
https://www.reuters.[...]
Reuters
[35]
뉴스
Judge tosses potential $1.7B lawsuit challenging removal of Hastings’ name from S.F. law school
https://www.sfchroni[...]
San Francisco Chronicle
[36]
간행물
Institutional Master Plan
http://www.uchasting[...]
Hastings College of the Law. EIP Associates
2004-03-01
[37]
간행물
Student Guidebook
http://www.uchasting[...]
UC Hastings, Student Services
[38]
웹사이트
UC Hastings Entering Public Safety Partnership with UCSF Police Department
https://www.uchastin[...]
2022-10-27
[39]
뉴스
Hastings Beats Back Budget Axe
The Recorder
2009-06-05
[40]
문서
California Education Code, 92212
http://law.justia.co[...]
[41]
뉴스
California legislators reject cuts to Cal Grants, Hastings law school
https://web.archive.[...]
2014-05-20
[42]
웹사이트
2022 Standard 509 Information Report - UC Law SF
https://www.abarequi[...]
American Bar Association
2023-12-28
[43]
웹사이트
America's Best Graduate Schools 2015, Law School Diversity Index
http://grad-schools.[...]
2015-04-09
[44]
뉴스
Best Schools for Diversity
https://bluetoad.com[...]
2024-07-04
[45]
뉴스
Best Schools for Law Firm Employment
https://bluetoad.com[...]
2024-07-04
[46]
뉴스
Best Schools for Public Service
https://bluetoad.com[...]
2024-07-04
[47]
뉴스
Moot Court Leaders
https://bluetoad.com[...]
2024-07-04
[48]
웹사이트
Law School Advocacy
https://web.archive.[...]
2011-05-11
[49]
웹사이트
ABA-Approved Law Schools by Year
http://www.americanb[...]
2011-04-20
[50]
웹사이트
JD/Masters in Applied Economics and Finance
https://www.uchastin[...]
2020-08-12
[51]
웹사이트
Concurrent Degree Programs
http://mba.haas.berk[...]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2014-12-09
[52]
웹사이트
UCSF/UC Hastings Consortium on Law, Science and Health Policy
http://www.ucconsort[...]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and University of California, Hastings College of the Law
2014-12-09
[53]
문서
Order of the Coif member schools
http://www.orderofth[...]
[54]
웹사이트
AALS Member Schools
https://web.archive.[...]
2011-05-01
[55]
웹사이트
ABA Disclosures
https://www.uchastin[...]
[56]
웹사이트
UC Hastings Profile
https://www.lstrepor[...]
[57]
웹사이트
Employment Summary for 2019 Graduates
https://www.uchastin[...]
[58]
웹사이트
Tuition & Costs
https://www.uclawsf.[...]
2024-09-05
[59]
웹사이트
UC Hastings 509 Report, 2018
https://www.uchastin[...]
[60]
웹사이트
About Hastings Law Journal
http://www.hastingsl[...]
2015-12-09
[61]
웹사이트
Journals
http://journals.ucha[...]
University of California, Hastings College of the Law
2015-12-09
[62]
웹사이트
Hastings Books
http://journals.ucha[...]
University of California, Hastings College of the Law
2015-12-09
[63]
간행물
Hastings Magazine - 2019, Gamechangers: A Special Issue Honoring Prominent Alumni Who Have Made Extraordinary Contributions to Their Fields
https://repository.u[...]
UC Hastings Law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