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케임브리지 공녀 메리 아델라이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케임브리지 공녀 메리 아델라이드는 1833년 하노버에서 태어난 영국의 왕족으로, 캠브리지 공작 아돌푸스와 헤센-카셀의 아우구스타 공주의 딸이었다. 그녀는 30세가 되어서 뷔르템베르크 왕가의 테크 공작 프란시스와 결혼하여 1남 3녀를 낳았다. 사치스러운 생활로 빚을 지어 해외에서 생활하다가 귀국 후 자선 활동에 헌신했으며, 딸 메리가 조지 5세와 결혼하는 것을 보지 못하고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테크케임브리지가 - 테크의 메리
    테크의 메리(1867-1953)는 요크 공작 조지의 부인이자 에드워드 8세와 조지 6세의 어머니로, 제1차 세계 대전 중 윈저 왕가 개명에 기여하고 에드워드 8세의 퇴위에 영향을 미쳤으며, 왕실 보석 수집과 관련된 일화 등으로 알려져 있다.
  • 테크케임브리지가 - 올버니 공녀 앨리스
    올버니 공녀 앨리스는 빅토리아 여왕의 증손녀로, 테크의 알렉산더 공자와 결혼하여 세 자녀를 두었으며, 남아프리카 연방과 캐나다에서 부총독 부인 및 총독으로 활동하다가 1981년에 사망했다.
  • 영국의 왕녀 - 영국 공주 마거릿
    조지 6세와 엘리자베스 왕후의 둘째 딸인 영국 공주 마거릿은 언니 엘리자베스와 함께 자라며 왕위 계승 서열 2위였고, 피터 타운젠드 대령과의 로맨스와 안토니 암스트롱-존스와의 결혼 및 이혼, 자선 활동 등으로 주목받았으며 2002년 사망했다.
  • 영국의 왕녀 - 프린세스 로열 샬럿
    조지 3세와 샬럿 왕비의 장녀인 프린세스 로열 샬럿은 유럽의 혼담 상대로, 뷔르템베르크의 프리드리히 공과 결혼하여 뷔르템베르크 왕비가 되었으며, 나폴레옹 전쟁 시기 망명 생활 후 왕대비로 여생을 보냈다.
  • 1897년 사망 - 알퐁스 도데
    알퐁스 도데는 프랑스의 소설가이자 극작가로, 프로방스 지방을 배경으로 한 《방앗간 편지》, 《아를의 여인》, 《타라스콩의 타르타랭》 등의 작품으로 유명하며, 현실적이면서도 서정적인 문체로 고향의 풍경과 사람들의 삶을 묘사했다.
  • 1897년 사망 - 프레드릭 프레스턴 루비지
    프레드릭 프레스턴 루비지는 리도 홀 개조와 유니온 현수교 설계, 몬트리올 법원, 퀘벡 시티 세관 등 다수의 주요 건축 및 토목 프로젝트를 수행한 캐나다의 건축가이자 토목 기술자이다.
케임브리지 공녀 메리 아델라이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메리 아델라이드, 테크 공작부인, 50대 초반
사진, 1885년경
본명메리 아델라이드 빌헬미나 엘리자베스
출생일1833년 11월 27일
출생지하노버, 하노버 왕국 독일 연방
사망일1897년 10월 27일
사망지화이트 로지, 리치먼드 파크, 서리 주, 영국
매장일1897년 11월 3일
매장지윈저 성, 성 조지 예배당 왕실 지하 납골당
메리 아델라이드의 서명
메리 아델라이드의 서명
가문
가문하노버 가
가족 관계
아버지케임브리지 공작 아돌푸스
어머니헤센-카셀의 아우구스타
배우자프란츠 폰 테크 공작(1866년 6월 12일 결혼)
자녀메리
아돌푸스 켐브리지
프란시스
알렉산더 켐브리지
작위
작위테크 공작 부인

2. 초기 생애

메리 아델라이드는 1833년 11월 27일 하노버 왕국 독일 연방에서 태어났다.[1] 아버지는 캠브리지 공작 아돌푸스로, 조지 3세와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의 샬롯의 막내 아들이었다.[1] 어머니는 헤센카셀의 아우구스타였으며, 헤센카셀의 프리드리히의 딸이었다.[1] 영국 군주의 남계 손녀로서, 메리 아델라이드는 ''전하(Royal Highness)''라는 경칭과 함께 영국 공주 칭호를 받았다.

어린 메리 아델라이드는 1834년 1월 9일 하노버의 캠브리지 하우스에서 캠브리지 공작의 채플린인 존 라일 우드 목사에 의해 세례를 받았다.[2] 대모이자 아버지의 고모인 헤센홈부르크의 엘리자베스가 유일하게 참석한 대부모였다.[2] 다른 대부모로는 윌리엄 4세와 애들레이드 여왕(아버지의 삼촌과 숙모), 글로스터와 에든버러 공작 부인 메리 공주(아버지의 고모), 헤센카셀의 마리(어머니의 고모), 헤센카셀의 마리 루이제 샤를로테 (어머니의 사촌)가 있었다.[2] 메리 아델라이드는 고모와 삼촌의 이름을 따서 메리 아델라이드 빌헬미나 엘리자베스라는 세례명을 받았다.

카미유 실비의 사진, 1860


메리 아델라이드는 어린 시절을 하노버에서 보냈으며, 아버지는 그곳에서 삼촌인 조지 4세와 윌리엄 4세를 대신하여 부왕 역할을 했다.[1]

1837년 윌리엄 4세가 사망하면서, 메리 아델라이드의 사촌인 빅토리아가 왕위에 올랐다.[3] 그러나 살리카법에 따라 부계 상속만 허용되었기 때문에 빅토리아는 하노버 왕위에는 오를 수 없었고, 대신 컴벌랜드 공작 에른스트 아우구스트에게 넘어갔다. 이로써 1세기 이상 지속되었던 영국과 하노버의 동군 연합은 종료되었다. 컴벌랜드 공작은 하노버 국왕으로 즉위하여 하노버로 이주했고, 메리 아델라이드의 아버지도 더 이상 하노버에 있을 필요가 없어 가족과 함께 런던으로 돌아와 켄싱턴 궁전에 거주하게 되었다.

3. 결혼과 가족

메리 아델라이드는 뚱뚱한 몸매와 적은 수입 때문에 30세가 넘도록 결혼하지 못했다. 사촌 빅토리아 여왕의 주선으로 뷔르템베르크 왕가 출신의 테크 공작 프란츠와 1866년 6월 12일 서리주 에 있는 세인트 앤 교회에서 결혼했다. 프란츠는 귀천상혼으로 왕위 계승권은 없었지만, 왕족 혈통을 가진 인물이었다.

메리 아델라이드는 남편의 지위 향상을 위해 빅토리아 여왕에게 ''전하(Royal Highness)'' 칭호를 요청했으나 거절당했다. 1887년 빅토리아 여왕 즉위 50주년 기념으로 프란츠에게 ''고귀함(Highness)'' 칭호가 부여되었다.

테크 공작 부부는 런던에 거주했는데, 메리 아델라이드가 의회 연금으로 연간 5000GBP를 받았고 왕실 업무를 수행했기 때문이다. 빅토리아 여왕은 추가 수입 요청은 거절했지만, 켄싱턴 궁전과 리치먼드 공원의 화이트 로지를 거처로 제공했다.[12]

메리 아델라이드와 프란츠 사이에는 1남 3녀가 태어났다. 장녀 빅토리아 메리는 훗날 조지 5세의 왕비가 되었다.

3. 1. 자녀

케임브리지 공녀 메리 아델라이드의 자녀[13]
사진이름출생사망비고
테크의 메리1867년 5월 26일1953년 3월 24일영국 조지 5세와 결혼, 5남 1녀
에드워드 8세, 조지 6세 포함
아돌푸스1868년 8월 13일1927년 10월 23일케임브리지 후작
마거릿 그로스베너와 결혼, 2남 2녀
프란시스1870년 1월 9일1910년 10월 22일자녀 없음
알렉산더1874년 4월 14일1957년 1월 16일애슬론 백작
올버니의 앨리스와 결혼, 2남 1녀


4. 해외 생활과 귀국

메리 아델라이드는 사치스러운 취향으로 파티, 비싼 음식, 옷, 해외 휴가 등 호화로운 생활을 했고, 이로 인해 부부는 넉넉하지 않은 수입에도 불구하고 빚을 지게 되었다. 1883년, 빚을 줄이기 위해 영국을 떠나 물가가 저렴한 해외에서 생활해야 했다.[3] 자녀들과 함께 이탈리아피렌체로 여행을 갔으며, 독일과 오스트리아의 친척 집에도 머물렀다. 처음에는 호엔슈타인 백작 부부라는 가명으로 여행했으나, 메리 아델라이드는 더 나은 대우를 받기 위해 왕족 신분을 밝혔다.

1885년, 테크 공작 일가는 영국으로 귀국하여 리치먼드 공원의 화이트 로지 저택에 거주했다.[3]

5. 자선 활동과 말년

1885년, 테크 가문은 자의적인 망명에서 돌아와 켄싱턴 궁전과 리치몬드 공원의 화이트 로지에서 계속 거주했다.[12] 메리 아델라이드는 버나도'스를 비롯한 여러 어린이 자선 단체의 후원자로 활동하며 자선 사업에 헌신했다.

1891년, 메리 아델라이드는 자신의 딸 테크의 빅토리아 메리 공주(메이)를 미래의 에드워드 7세인 웨일스 공의 아들과 결혼시키고자 했다. 빅토리아 여왕 역시 미래의 왕을 위해 영국 태생의 왕족 신부를 원했고, 메리 아델라이드의 딸은 이 조건에 부합했다. 빅토리아 여왕의 승인 하에 메이는 영국 왕위 계승 서열 2위였던 클라렌스 공작 앨버트 빅터와 약혼했다.[12] 그러나 앨버트 빅터는 약혼 6주 만에 갑작스럽게 사망했다. 빅토리아 여왕은 메리 공주를 아껴 클라렌스 공작의 동생이자 왕위 계승 서열 다음인 요크 공작 조지와 결혼하도록 주선했다. 이들은 1893년 7월 6일 세인트 제임스 궁전 채플 로열에서 결혼했다.[12]

메리 아델라이드는 딸이 웨일스 공비나 여왕이 되는 것을 보지 못하고 1897년 10월 27일 화이트 로지에서 응급 수술 후 사망했다.[15][16] 그녀는 1897년 11월 3일 윈저의 세인트 조지 예배당 왕실 묘에 안장되었다.[15]

리치몬드 공원 가장자리에 있는 킹스턴 베일의 메리 아델라이드 클로즈는 그녀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6. 직함


  • 1833년 11월 27일 - 1866년 6월 12일: 전하 케임브리지 공녀 메리 아델라이드
  • 1866년 6월 12일 - 1871년 12월 16일: 전하 테크 공녀[17] 또는 전하 메리 아델라이드 공녀 (테크 공녀)[18]
  • 1871년 12월 16일 - 1897년 10월 27일: 전하 테크 여공작[19]


영국 군주의 남자 후손의 딸로서, 메리 아델라이드는 출생 시 전하 케임브리지 공녀 메리 아델라이드라는 칭호를 받았다. 하노버 국왕의 남자 후손의 딸이기도 했던 메리 아델라이드 공녀는 하노버 공녀와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 여공작 칭호도 함께 지녔다.

케임브리지 공녀 메리 아델라이드의 문장

참조

[1] 뉴스 The other Princess of Cambridge http://www.hellomaga[...] Hello! 2013-07-20
[2] 간행물 London Gazette 1834-02-07
[3] 뉴스 A Queen of great courage https://news.google.[...] The Bulletin 2013-07-20
[4] 서적 A Stranger in The Hague: The Letters of Queen Sophie of the Netherlands to Lady Malet, 1842–1877 Duke University Press 1989
[5] 서적 Victoria: a Life Penguin Press HC 2014
[6] 웹사이트 Mary Adelaide, Princess http://www.oxforddnb[...] Oxford University Press 2014-10-28
[7] 서적 The Heir Apparent: a Life of Edward VII, the Playboy Prince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2014-10-31
[8] 간행물 Books: Royal Square https://content.time[...] Time 1960-02-22
[9] 서적 Royal Wills in Britain from 1509 to 2008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7
[10] 서적 A Stranger in The Hague: The Letters of Queen Sophie of the Netherlands to Lady Malet, 1842–1877 https://books.google[...] Duke University Press 1989
[11] 서적 Britain's Royal Families: The Complete Genealogy ''(revised edition)'' Random House 1996
[12] 뉴스 Queen Mary. Devotion to duty https://news.google.[...] The Sydney Morning Herald 2013-07-21
[13] 백과사전 Teck A & C Black 1920–2008
[14] 서적 A Right Royal Feast: Menus from Royal Weddings and History's Greatest Banquets 2011
[15] 웹사이트 Mary of Teck http://www.englishmo[...] English Monarchs 2013-07-20
[16] 웹사이트 White Lodge, Richmond Park https://www.richmond[...] 2023-03-30
[17] 간행물 London Gazette 1871-03-24
[18] 간행물 London Gazette 1870-04-19
[19] 간행물 London Gazette 1888-01-05
[20] 간행물 London Gazette 1878-01-04
[21] 간행물 London Gazette 1896-03-27
[22] 문서 現在の[[リッチモンド・アポン・テムズ区]]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