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노버 왕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노버 왕국은 1814년 빈 회의를 통해 성립된 왕국으로, 신성 로마 제국의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 공국에서 기원한다. 1692년 하노버 공 에른스트 아우구스트가 선제후가 되면서 하노버 선제후국이 성립되었고, 1714년 하노버 선제후 게오르크 1세가 영국 왕위에 오르면서 영국과 동군 연합을 이루었다. 나폴레옹 전쟁 중 프랑스와 프로이센 연합군에 점령되었다가, 1814년 왕국으로 승격되었다. 1837년 빅토리아 여왕의 즉위로 영국과의 동군 연합이 해소되었고, 1866년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에서 패배하여 프로이센에 병합되었다. 1946년에는 하노버 주가 재구성되었고, 니더작센 주 설립에 영향을 미쳤다. 하노버 왕국은 입헌 군주제였으며, 루터교를 국교로 삼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노버 왕국 - 괴팅겐 천문대
괴팅겐 천문대는 1802년 조지 3세의 지원으로 설립되어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를 초대 원장으로 천문학 연구의 중심지가 되었으며, 이후 현대적인 연구 시설로 재개발되었고, 20세기에는 저명한 천문학자들이 이끌었으며, 관측 환경 개선을 위해 부속 시설이 건설되기도 했고, 2009년부터는 리히텐베르크-콜레크 고급 연구소가 입주해 있다. - 하노버 왕국 - 윌리엄 4세
윌리엄 4세는 1765년에 태어나 1837년에 사망한 영국의 국왕으로, 해군에서 복무하고 노예제 폐지에 반대했으며, 1830년 즉위 후 1832년 개혁법을 통해 선거법 개정을 이루고 사회 개혁을 진행했으며, 영국과 하노버의 동군연합을 마지막으로 이끌었다. - 니더작센주의 역사 - 베스트팔렌 왕국
베스트팔렌 왕국은 1807년 나폴레옹 1세가 세운 프랑스 제국의 위성국으로 제롬 보나파르트가 통치하며 사회 개혁을 추진했으나 나폴레옹 전쟁으로 1813년 해체되었다. - 니더작센주의 역사 - 하노버주
하노버주는 프로이센 왕국의 주로서 6개의 지역이 관구로 재편성되어 형성되었으나, 니더작센 주의 관구 해체와 함께 2005년에 해체되었다. - 유럽의 옛 나라 - 나치 독일
나치 독일은 아돌프 히틀러의 나치당이 통치한 1933년부터 1945년까지의 독일을 가리키며, 극단적인 민족주의와 전체주의를 바탕으로 제2차 세계 대전을 일으키고 홀로코스트를 포함한 대량 학살과 인권 유린을 자행했다. - 유럽의 옛 나라 - 동로마 제국
동로마 제국은 로마 제국의 동부 지역을 계승하여 330년부터 1453년까지 존속했으며, 그리스-로마 문화와 기독교를 기반으로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켰고, 중세 유럽에 큰 영향을 미쳤다.
하노버 왕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 | |
![]() | |
일반 명칭 | 하노버 |
국가 모토 (번역) | 착수하고 완수하다 |
국가 | Heil dir, Hannover |
국가 (번역) | 하노버 만세 |
수도 | 하노버 |
공용어 | 독일어 저지 독일어 |
종교 | 개신교 (루터교, 칼뱅주의) 로마 가톨릭교회 |
현재 국가 | 독일 네덜란드 |
정치 | |
정치 체제 | 입헌 군주제 |
국왕 | 조지 3세 (1814–1820) 조지 4세 (1820–1830) 윌리엄 4세 (1830–1837)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1837–1851) 게오르크 5세 (1851–1866) |
재상 | 에른스트 추 뮌스터 (1814–1831) 게오르크 바크마이스터 (1865–1866) |
입법부 | 하노버 왕국 의회 |
역사 | |
존속 기간 | 1814년 – 1866년 |
이전 국가 | 하노버 선제후국 |
이후 국가 | 하노버 주 |
주요 사건 | 빈 회의 (1814년 10월 12일) 독일 혁명 (1848년 3월 13일)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 (1866년 6월 14일) 프라하 조약 (1866년 8월 23일) 프로이센에 합병 (1866년 9월 20일) |
지위 | 독일 연방의 국가, 영국과의 개인 연합 (1814–1837) |
경제 | |
통화 | 하노버 탈러 (1814–1857) 하노버 페어아인스탈러 (1857–1866) |
2. 역사
1692년 신성로마제국 황제 레오폴트 1세에 의하여 하노버 선제후령이 성립되었다. 1714년 영국의 앤 여왕이 사망하자 영국 왕위계승법에 따라 제임스 1세의 외손녀의 아들이었던 하노버 선제후 게오르크 1세가 영국의 조지 1세로 즉위하였다. 이때부터 하노버 선제후국은 영국과 동군연합 관계를 맺었다.
나폴레옹 전쟁 중인 1803년 하노버 선제후국은 프랑스와 프로이센 연합군에 의해 점령되어 멸망하였다. 1807년 틸지트 조약에 의해 프랑스가 프로이센으로부터 할양받은 영토와 합쳐 베스트팔렌 왕국이 되었고, 제롬 보나파르트가 지배하는 프랑스의 위성국이었다. 1813년 10월 러시아 코사크 군단이 이 지역을 탈환하면서 프랑스 지배는 끝났다. 뒤이어 라이프치히 전투로 나폴레옹이 몰락하였고, 라인 연방을 포함한 프랑스 위성국들은 붕괴하였다.
1814년 빈 회의에서 영국의 하노버 왕가가 하노버 선제후국을 재건하여 통치하기로 결정하였다. 그러나 신성로마제국이 이미 나폴레옹에 의해 해체되었으므로, 하노버 선제후국은 왕국으로 승격되어 부활하였다. 이에 따라 하노버 선제후였던 영국 국왕 조지 3세가 하노버 국왕으로 즉위하였다. 새로 재건된 하노버 왕국은 독일 연방 가맹국 중 4번째로 넓은 영토를 차지했으며, 북독일 지역에서는 프로이센 왕국에 이어 두 번째로 넓었다.[16]
1816년부터 1837년까지 케임브리지 공작 아돌퍼스 공이 하노버에서 영국 국왕을 대신하여 부왕 역할을 하였다. 1837년 영국에서 빅토리아 여왕이 즉위하자, 123년간 지속된 하노버 왕국과 영국의 동군연합은 끝났다. 하노버 왕국은 준 살리카 법을 따랐기에 빅토리아 여왕은 하노버 국왕으로 즉위하지 못하고, 숙부인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1세가 즉위하였다.
1866년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 발발 당시, 하노버 왕국은 중립을 지키려 했다. 그러나 6월 14일 하노버는 프로이센에 대항하여 독일 연방군을 동원하는 것에 찬성표를 던졌고, 이는 프로이센이 하노버에 전쟁을 선포하는 빌미가 되었다. 전쟁 결과 하노버 왕국은 프로이센에 병합되어 왕국 지위를 잃고 프로이센의 일부로 전락하였다. 1871년 프로이센이 독일 제국을 수립하면서 하노버 왕국의 옛 영토도 독일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
2. 1. 기원과 형성
1432년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 후령에서 분할된 칼렌베르크 후령은 신성 로마 제국의 영방 중 하나였다. 1635년 칼렌베르크 후령은 괴팅겐 후령과 함께 다시 볼펜뷔텔 후령에서 분할되었다. 1636년 수도가 파텐센에서 하노버로 이전되면서 하노버 공이라고 불리게 되었다.[16]1692년 하노버 공 에른스트 아우구스트가 선제후가 되면서 하노버 선제후국이 성립되었다.[16]
2. 2. 영국과의 동군연합
1714년 하노버 선제후 게오르크 1세 루트비히가 영국 왕 조지 1세로 즉위하면서 하노버는 영국과 동군연합 관계를 맺게 되었다.[16] 동군연합 기간 동안 하노버는 1705년 뤼네부르크 공국을 획득하고, 1719년에는 브레미슈-페르덴을 획득하며 세력을 확장했다.[16]1803년, 나폴레옹 전쟁 와중에 하노버 선제후국은 프랑스에 점령되었고, 1807년 베스트팔렌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16] 프랑스 점령 기간에도 조지 3세와 신하들은 런던에서 독자적인 외교를 계속했다.[16]
2. 3. 왕국 성립과 발전
1813년 코사크 군단이 하노버 지역을 탈환하면서 프랑스의 지배가 끝났고, 라이프치히 전투로 나폴레옹이 몰락하면서 하노버 선제후국은 복구되었다. 1814년 빈 회의에서 영국의 하노버 왕가는 하노버를 다시 통치하게 되었으나, 신성로마제국이 이미 해체되었기 때문에 왕국으로 승격되었다. 이에 따라 하노버 선제후였던 영국 국왕 조지 3세가 하노버 국왕으로 즉위하였다.새로 재건된 하노버 왕국은 힐데스하임 주교령, 동프리지아, 오스나브뤼크 주교령, 하부 링겐 백작령, 뮌스터 주교령 북부를 획득하여 영토가 크게 확장되었다.[16] 그 결과 하노버 왕국은 독일 연방 가맹국 중 4번째로 넓은 영역을 차지하게 되었으며, 북독일 지역에서는 프로이센 왕국에 이어 두 번째로 넓었다. 또한, 독일 연방에 참여하여 연방 의회의 의석을 얻었다.
1837년, 빅토리아 여왕이 영국 왕위에 오르면서 123년간 지속된 영국과 하노버의 동군연합은 끝나게 되었다. 하노버 왕국은 살리카 법에 따라 남성 왕위계승권자가 있을 경우 여성의 왕위 계승을 허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빅토리아 여왕 대신 숙부인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1세가 하노버 왕위를 계승하였다.
동군연합 해소와 함께 하노버 왕국에서는 영국적인 자유주의 국가 체제가 파기되었고, 이에 항의하는 괴팅겐 7교수 사건이 발생했다.
2. 4.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과 멸망
1866년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에서 하노버 왕국은 처음에는 중립을 지키려 했다. 그러나 6월 14일 프로이센에 대항하는 독일 연방군 동원에 찬성표를 던졌고, 이는 프로이센이 하노버에 전쟁을 선포하는 계기가 되었다.[16] 전쟁 결과, 하노버 왕국은 프로이센에 병합되어 독립 왕국으로서의 지위를 잃고 프로이센 왕국의 하노버 주로 편입되었다.[16] 1871년 프로이센이 독일 제국을 수립하면서 하노버 왕국의 옛 영토는 독일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3. 정치
하노버 왕국은 입헌군주제를 채택했다. 영국과 동군연합 관계였던 시기에는 국왕은 영국과 동일했지만, 정부는 영국과 분리되어 별도로 수립되었다. 1837년까지 하노버 왕국과 영국은 국왕만 같았을 뿐, 서로 독립적인 별개의 나라였다.[8]
1837년 빅토리아 여왕이 영국 왕위를 계승하면서 영국과 하노버의 123년 개인 연합은 종료되었다. 하노버에서는 영국과 달리 반살리카법이 적용되어 왕조의 남성이 생존해 있는 경우 여성이 왕위에 오르는 것이 금지되었다.
어니스트 어거스터스는 조지 3세의 장남으로 하노버 왕위를 계승했다. 그는 의회를 정지시키고 1819년의 성문 헌법을 무효화하려 하는 등 보수적인 통치를 펼쳐 입헌 위기를 초래했다.
4. 역대 국왕
초상화 | 이름 | 생애 | 즉위 | 퇴위 | 계승 및 비고 |
---|---|---|---|---|---|
![]() | 게오르크 3세 | 1738년 6월 4일 – 1820년 1월 29일 (81세) | 1814년 10월 12일 | 1820년 1월 29일 | 1760년부터 1806년까지 하노버 선제후였으며, 정신 질환으로 인해 맏아들 게오르크 4세가 섭정을 맡았다. 하노버에서는 막내 아들 아돌퍼스가 1816년부터 부왕으로 재직했다. |
![]() | 게오르크 4세 | 1762년 8월 12일 – 1830년 6월 26일 (67세) | 1820년 1월 29일 | 1830년 6월 26일 | 게오르크 3세의 아들. 1811년부터 1820년까지 섭정이었으며, 하노버에서는 형제인 아돌퍼스가 부왕으로 대표했다. |
![]() | 빌헬름 4세 | 1765년 8월 21일 – 1837년 6월 20일 (71세) | 1830년 6월 26일 | 1837년 6월 20일 | 게오르크 3세의 아들이자 게오르크 4세의 동생. 하노버와 영국을 모두 통치한 마지막 군주였으며, 하노버에서는 형제인 아돌퍼스가 부왕으로 대표했다. |
![]() |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1세 | 1771년 6월 5일 – 1851년 11월 18일 (80세) | 1837년 6월 20일 | 1851년 11월 18일 | 게오르크 3세의 아들이자 게오르크 4세와 빌헬름 4세의 동생. 빅토리아 여왕의 즉위로 영국과 하노버의 왕위가 분리되었다. |
![]() | 게오르크 5세 | 1819년 5월 27일 – 1878년 6월 12일 (59세) | 1851년 11월 18일 | 1866년 9월 20일 |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1세의 아들.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 이후 하노버는 프로이센 왕국에 합병되었다. |
5. 군대
하노버 왕국은 나폴레옹 전쟁 이후에도 군대를 유지했다. 1832년, 하노버와 영국의 국왕 윌리엄 4세는 자신의 군대에 영국군 제복을 지급했지만, 원래 영국 버전과는 약간 달랐다. 1837년 영국과의 동군연합이 끝나고 에른스트 아우구스트가 하노버의 왕위에 오르자, 그는 군대의 제복을 프로이센 군대 스타일로 교체했는데, 여기에는 근위대를 위한 피켈하우베 스파이크 투구가 포함되었다.[17] 1866년까지 그들은 프로이센군 복식을 유지하는 경비대를 제외하고는 오스트리아 스타일의 제복을 입었다.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 동안, 하노버군은 랑겐잘차 전투에서 오스트리아를 향해 남쪽으로 진군하는 동안 프로이센군과 싸워 승리했다. 그러나 이후 포위되어 프로이센에 항복해야 했다.[17]
6. 종교
루터교는 하노버 왕국의 국교였으며, 국왕은 summus episcopusla(루터교회의 최고 통치자)였다.[3] 1864년, 하노버 의회는 루터교회의 헌법에 관한 새로운 법률을 통과시켜 국가 시노드(교구민 의회)를 규정했다.
가톨릭은 하노버에서 전체적으로 소수였지만, 구 주교령에서는 지역적으로 다수였다. 1824년 교황청과의 협약으로 구 주교령의 교구 영토는 디아스포라 지역으로 확장되었다.
유대인은 하노버 전역에 유대인 디아스포라로 거주했다. 1842년, 하노버는 유대인에게 동등한 권리를 부여하고 유대인 회중을 건설하도록 장려했으며, 4개의 지역 지역 랍비(Land-Rabbinates)의 상부 구조를 만들었다. 이들은 다음과 같았다.[6]
란-랍비네이트(Land-Rabbinates) | 관할 지역 |
---|---|
엠덴 란-랍비네이트 | 아우 리히 및 오스나브뤼크 지역 |
하노버 란-랍비네이트 | 하노버 및 뤼네부르크 지역 |
힐데스하임 란-랍비네이트 | 힐데스하임 지역 및 |
슈타데 란-랍비네이트 | 슈타데 지역 |
하노버 왕국은 랍비가 유대인에 대해 루터교 성직자가 루터교인에 대해 그랬던 것처럼 유사한 준 국가적 권위의 지위를 유지했던 독일 연방 내 몇 안 되는 국가 중 하나였다.[7]
7. 행정 구역
빈 회의는 하노버와 프로이센 간의 국경 조정을 통해 양국이 더 인접한 국경을 가지도록 하였다. 하노버는 힐데스하임 주교령, 동프리지아, 오스나브뤼크 주교령, 하부 링겐 백작령, 뮌스터 주교령 북부를 획득하여 영토가 크게 확장되었다.[16] 또한 브레멘-페르덴 공작령과 벤트하임 백작령 등 과거 선제후가 개인 연합으로 통치했던 영토도 합병하였다. 엘베강 북동쪽의 작센-라우엔부르크 일부는 덴마크와의 개인 연합으로 할당되었고, Amt Neuhaus는 제외되었다. 동쪽의 작은 월경지는 소실되었다.
하노버는 신성 로마 제국 내 여러 제국 영지로 구성되었다. 각 영지는 현재 도(道) 정부와 유사한 형태로, 오래된 전통에 따라 조직되었으며, 통치에 대한 다양한 수준의 신분 의회 참여를 포함했다. 1823년, 왕국은 통일된 표준에 따라 ''고위 관할구''(, 단수: Landdrosteide)로 재편되었고, 각 관할구는 ''고위 집행관''()이 이끌었으며, 기존의 지방 특성은 사라졌다.
고위 관할구는 집행관(''Amtmann'', 복수 ''Amtleute'')이 이끄는 관할구(, 단수 Amtde)로 세분되었다.[8] 수도의 이름을 딴 고위 관할구는 다음과 같다.
- 아우리히: 과거 동프리지아 포함
- 하노버: 과거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 공국의 칼렌베르크 공국 포함
- 힐데스하임: 과거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 그루벤하겐 공국과 과거 힐데스하임 주교령 포함
- 뤼네부르크: 과거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 뤼네부르크 공국과 작센-라우엔부르크 지역의 나머지 포함
- 오스나브뤼크: 과거 벤트하임 백작령, 과거 하부 링겐 백작령, 과거 오스나브뤼크 주교령 포함
- 슈타데: 과거 브레멘-페르덴 공작령 포함
하노버의 고위 관할구 및 관할구 세분은 1885년 4월 1일까지 유지되었으며, 이후 프로이센 방식의 주(Regierungsbezirkede)와 군(''Kreise'')으로 대체되었다.
8. 유산
하노버 왕국의 영토는 현재 독일 니더작센 주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니더작센 주의 문장에도 하노버 왕국의 영향이 남아있다.[16] 하노버는 힌리히 빌헬름 코프의 주도로 여러 소규모 주와 합병되어 니더작센 주가 설립되었고, 하노버 시가 주도가 되었다. 하노버 왕국의 옛 영토는 니더작센 주의 85%를 차지한다.
하노버 왕국은 1866년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에서 중립을 지키려 했으나, 프로이센에 대항하는 투표를 하게 되면서 프로이센에 병합되어 멸망했다. 이후 프로이센의 하노버 주로 편입되었고, 1871년 프로이센이 독일 제국을 수립하면서 독일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 독일-하노버 당은 나치 정권에 의해 금지될 때까지 제국으로부터의 분리를 지지하며 제국 의회에서 분리된 지위를 요구하기도 했다.
참조
[1]
서적
Independent Immigrants: A Settlement of Hanoverian Germans in Western Missouri
University of Missouri Press
[2]
문서
[3]
서적
Independent Immigrants: A Settlement of Hanoverian Germans in Western Missouri
University of Missouri Press
[4]
문서
[5]
문서
[6]
문서
[7]
문서
[8]
문서
[9]
웹사이트
Kingdom of Hanover - German Civil War 1866
http://www.koenigrei[...]
König, Lutz
2017-04-03
[10]
웹사이트
Kingdom of Hanover - German Civil War 1866
http://www.koenigrei[...]
König, Lutz
2017-04-03
[11]
웹사이트
National Flags
https://commons.wiki[...]
J. H. Colton
2014-05-18
[12]
웹사이트
Johnson's New Chart of National Emblems
https://commons.wiki[...]
Alvin Jewett Johnson
2014-05-18
[13]
문서
[14]
서적
Independent Immigrants: A Settlement of Hanoverian Germans in Western Missouri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Missouri Press
[15]
문서
[16]
문서
[17]
웹사이트
Kingdom of Hanover - German Civil War 1866
http://www.koenigrei[...]
König, Lutz
2017-04-03
[18]
웹인용
National Flags
https://commons.wiki[...]
J. H. Colton
2014-05-18
[19]
웹인용
Johnson's New Chart of National Emblems
https://commons.wiki[...]
Alvin Jewett Johnson
2014-05-18
[20]
문서
[21]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