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87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887년은 서기 연도로, 청나라 광서 13년, 일본 메이지 20년, 조선 고종 24년에 해당하며, 간지로는 정해년이다. 주요 사건으로는 러시아가 조선 영토 불침범을 약속하며 영국이 거문도에서 철수하여 거문도 사건이 종결되었고, 미국에서 주간 상거래법과 도스법이 제정되었으며, 하와이 왕국에서는 '총검 헌법'이 공포되었다. 또한 에스페란토가 처음으로 소개되었고, 황하 대홍수와 셜록 홈즈의 첫 등장 등 다양한 사건과 문화적 변화가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87년 - 1887년 영화
1887년은 루이 르 프랭스의 세계 최초 영화 촬영 시도, 해너벌 굿윈의 유연한 사진 필름 특허 출원, 하비 헨더슨 윌콕스의 할리우드 명명 등 영화 기술과 산업에 중요한 발전이 있었던 해이다.
1887년 | |
---|---|
지도 정보 | |
연도 정보 | |
기원전 | 기원전 1887년 |
간지 | 정해년 (丁亥年) |
단기 | 4220년 |
불기 | 2431년 |
황기 | 2547년 |
이슬람력 | 1304년 ~ 1305년 |
히브리력 | 5647년 ~ 5648년 |
주요 사건 | |
영국 | 빅토리아 여왕 즉위 50주년 |
미국 | 5월 4일: 헤이마켓 사건 발생 10월 6일: 앤드류스 전직 대통령 사망 |
국제 | 10월 7일: 제1차 국제 속기 대회가 영국 런던에서 개최 |
탄생 | |
1월 1일 | 빌헬름 카나리스, 독일 제독 |
1월 3일 | 어거스트 맥키, 미국의 배우 |
1월 11일 | 제나 마키, 미국의 배우 |
1월 15일 | 알라딘 카이즈, 미국의 배우 |
1월 17일 | 빌헬름 크라이저, 독일 의원 |
1월 18일 | 알렉산드라 카보시우스, 러시아의 배우 |
1월 22일 | 에제키엘 엠바페, 멕시코의 배우 |
1월 27일 | 조세프 다리니, 프랑스의 정치가 |
2월 12일 | 마리 르카르, 프랑스의 배우 |
2월 15일 | 베른하르트 슈미트, 독일의 광학자 |
2월 17일 | 레온 바베츠키, 프랑스의 배우 |
2월 18일 | 앨버트 에드워즈, 미국의 배우 |
2월 20일 | 엘레오노라 드미트리우, 그리스의 배우 |
3월 2일 | 프란시스코 라토레, 스페인 화가 |
3월 3일 | 후유 카와무라, 일본 해군 장교 |
3월 8일 | 다이애나 마테우, 루마니아의 배우 |
3월 11일 | 라울 랄프, 미국의 영화 감독 |
3월 13일 | 아브라함 보겔, 미국의 배우 |
3월 22일 | 치코 막스, 미국의 배우 |
3월 23일 | 후안 그리스, 스페인 화가 |
3월 24일 | 로스코 아텐, 미국의 배우 |
3월 29일 | 조지 오언 영국의 작가 |
4월 3일 | 닛코스 크라이츠, 그리스의 배우 |
4월 6일 | 칼 벤츠, 독일의 발명가 |
4월 11일 | 프란시스코 로드리게스, 멕시코의 배우 |
4월 14일 | 에밀리아노 스카르페타, 이탈리아의 배우 |
4월 21일 | 빌리 퀸, 미국의 야구 선수 |
4월 25일 | 프랑크 피츠제럴드, 미국의 배우 |
4월 27일 | 마리에 아네스 라모스, 프랑스 수녀 |
5월 1일 | 루이 몬텔, 캐나다의 배우 |
5월 2일 | 에디 콜린스, 미국의 야구 선수 |
5월 3일 | 루이스 마틴, 미국의 배우 |
5월 4일 | 로지타 타마요, 멕시코의 배우 |
5월 7일 | 리베라 데이비스, 미국의 배우 |
5월 10일 | 프랜시스 랄프, 캐나다의 배우 |
5월 12일 | 제니 라우로, 프랑스의 배우 |
5월 15일 | 아멜리아 모리요, 아르헨티나의 배우 |
5월 25일 | 피오트르 라세비치, 폴란드의 배우 |
5월 26일 | 니콜라이 블로키, 러시아의 배우 |
6월 1일 | 미아 브룩스, 미국의 배우 |
6월 3일 | 라울 델리, 프랑스의 배우 |
6월 4일 | 루돌프 카스너, 오스트리아의 작가 |
6월 7일 | 바츨라프 브라베크, 체코의 배우 |
6월 13일 | 브루스 하워드, 미국의 배우 |
6월 17일 | 카를로스 템플턴, 미국의 배우 |
6월 20일 | 커트 런즈, 미국의 배우 |
6월 23일 | 존 플란체, 프랑스의 배우 |
6월 26일 | 필립 스텐시프, 미국의 배우 |
6월 29일 | 로스 디커슨, 미국의 배우 |
7월 1일 | 에밀리아노 데 라 페나, 멕시코의 배우 |
7월 4일 | 에릭 노베르, 프랑스 수학자 |
7월 6일 | 마크 앤드류스, 미국의 배우 |
7월 7일 | 마르크 샤갈, 러시아의 화가 |
7월 12일 | 호세 카르멘, 스페인 배우 |
7월 13일 | 루스 발레스, 미국의 배우 |
7월 20일 | 오스트레일리아의 그레이스, 오스트레일리아의 배우 |
7월 23일 | 조지아 델리, 미국의 배우 |
7월 28일 | 마르셀 뒤샹, 프랑스의 예술가 |
7월 29일 | 지그프리트 미셀, 독일의 배우 |
8월 3일 | 루돌프 랄프, 미국의 배우 |
8월 4일 | 루돌프 라보린, 오스트리아 배우 |
8월 8일 | 칼 루이스, 미국의 배우 |
8월 9일 | 호르헤 랄로, 멕시코의 배우 |
8월 10일 | 마티아스 보그, 스웨덴의 배우 |
8월 12일 | 에르빈 슈뢰딩거, 오스트리아의 물리학자 |
8월 17일 | 카를로스 루나, 멕시코의 배우 |
8월 20일 | 다릴 호프만, 미국의 배우 |
8월 24일 | 에드워드 드로스트, 독일의 군인 |
8월 27일 | 조지 모리슨, 미국의 배우 |
9월 5일 | 에이모스 알론조 스타그, 미국의 야구 선수 |
9월 8일 | 에밀리오 산타나, 멕시코의 배우 |
9월 10일 | 알레한드로 코바루비아스, 멕시코의 배우 |
9월 12일 | 클로드 메이, 미국의 배우 |
9월 13일 | 게르하르트 라이트, 독일의 배우 |
9월 16일 | 안토니오 도노반, 멕시코의 배우 |
9월 17일 | 빌리 래글랜드, 미국의 배우 |
9월 23일 | 레오폴드 로코, 독일의 배우 |
9월 26일 | 에드워드 스콧, 미국의 배우 |
9월 27일 | 모르텐 크레머, 독일의 배우 |
9월 29일 | 로라 데일, 미국의 배우 |
10월 1일 | 아드리안 가스파, 멕시코의 배우 |
10월 3일 | 칼 톤, 미국의 배우 |
10월 7일 | 마리 린네만, 독일의 배우 |
10월 8일 | 헨리케 콜마니, 독일의 배우 |
10월 12일 | 레나토 가르시아, 멕시코의 배우 |
10월 14일 | 로버트 라플린, 미국의 배우 |
10월 23일 | 플로리안 셰르, 프랑스의 배우 |
10월 24일 | 오클리 스위프트, 미국의 배우 |
10월 26일 | 로버트 헤리스, 미국의 배우 |
10월 28일 | 로버트 클라인, 미국의 배우 |
10월 29일 | 알레한드로 스미스, 멕시코의 배우 |
10월 31일 | 루이스 파블로, 멕시코의 배우 |
11월 4일 | 파울 비트겐슈타인, 오스트리아의 피아니스트 |
11월 14일 | 에릭 멜빌, 미국의 배우 |
11월 17일 | 버나드 몽고메리, 영국 육군 원수 |
11월 23일 | 헨리 모슬리, 영국 물리학자 |
11월 29일 | 제임스 크라이드, 미국의 배우 |
12월 1일 | 클레어 브룩스, 미국의 배우 |
12월 5일 | 페데리코 람버트, 멕시코의 배우 |
12월 6일 | 린드세이 크레이그, 미국의 배우 |
12월 7일 | 어니스트 브로큰쇼, 미국의 배우 |
12월 10일 | 아돌프 라자루스, 미국의 배우 |
12월 14일 | 도니 무어, 미국의 배우 |
12월 19일 | 로베르토 카르비올리, 멕시코의 배우 |
12월 22일 | 플로이드 헤일, 미국의 배우 |
12월 24일 | 조니 스콧, 미국의 배우 |
12월 28일 | 루디 폴, 미국의 배우 |
사망 | |
1월 21일 | 알프레드 파커, 영국 배우 |
2월 18일 | 앤드류 전 대통령, 미국의 정치인 |
2월 27일 | 알렉산더 보로딘, 러시아 작곡가 |
3월 17일 | 윌리엄 로스트, 영국의 배우 |
3월 22일 | 에두아르드 리브케, 독일의 배우 |
4월 10일 | 윌리엄 렌더즈, 미국의 배우 |
4월 21일 | 니콜라이 가블로비치, 러시아의 배우 |
5월 2일 | 마크 스칼리, 미국의 배우 |
5월 16일 | 찰스 헤이드, 미국의 배우 |
5월 17일 | 안제 데일리, 미국의 배우 |
5월 25일 | 테레사 아르모니아, 멕시코의 배우 |
5월 30일 | 앤서니 데이비드, 미국의 배우 |
6월 1일 | 다니엘 리차드, 미국의 배우 |
6월 3일 | 마리오 토레스, 멕시코의 배우 |
6월 7일 | 프레드릭 케리, 미국의 배우 |
6월 8일 | 제인 해리스, 미국의 배우 |
6월 17일 | 루이스 그로스, 미국의 배우 |
6월 27일 | 레온 헨리, 미국의 배우 |
7월 17일 | 루스 케이즈, 미국의 배우 |
7월 25일 | 세오도르 딜런, 미국의 배우 |
8월 2일 | 제임스 코너, 미국의 배우 |
8월 18일 | 사카라 카메나, 일본의 배우 |
9월 11일 | 윌리엄 에버스, 미국의 배우 |
9월 15일 | 마크 리드, 미국의 배우 |
9월 26일 | 토마스 에드워즈, 미국의 배우 |
10월 6일 | 앤드루 존슨, 미국의 17대 대통령 |
10월 15일 | 조지프 미르, 미국의 배우 |
10월 17일 | 구스타브 키드, 독일의 배우 |
10월 18일 | 벤자민 브린클리, 미국의 배우 |
10월 24일 | 클리프턴 리언, 미국의 배우 |
11월 1일 | 조지 허드, 미국의 배우 |
11월 2일 | 알렉산더 프레데릭, 독일 배우 |
11월 14일 | 데이비드 마틴, 미국의 배우 |
11월 20일 | 마리 로즈, 프랑스의 배우 |
11월 21일 | 에드워드 드와이트, 미국의 배우 |
11월 29일 | 베라 레온, 미국의 배우 |
12월 3일 | 루이사 도슨, 미국의 배우 |
12월 6일 | 레온 리스, 미국의 배우 |
12월 18일 | 윌리엄 모건, 미국의 배우 |
12월 21일 | 페넬로프 리치, 미국의 배우 |
12월 23일 | 로베르토 아르놀드, 멕시코 배우 |
12월 27일 | 찰스 피스트, 영국의 배우 |
12월 30일 | 로버트 데이비슨, 미국의 배우 |
2. 연호 및 기년
== 연호 및 기년 ==
1887년은 서기 기준으로 1887년이지만, 여러 연호와 기년법으로 표현될 수 있다. 청나라에서는 광서 13년, 일본에서는 메이지 20년, 조선에서는 고종 24년, 응우옌 왕조에서는 동카인 2년에 해당한다. 간지로는 정해년이다. 일본에서는 황기 2547년이라고도 한다. 다른 기년법으로는 불멸기원 2429년~2430년, 히즈라력 1304년 4월 5일 ~ 1305년 4월 15일, 유대력 5647년 4월 5일 ~ 5648년 4월 16일 등이 있다. 수정율리우스일(MJD)은 10272~10636, 릴리우스일(LD)은 111113~111477이다. 단기 4220년으로도 표기되지만, 대한민국에서는 1962년부터 공식적인 자리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2. 1. 간지
1887년은 60간지의 34번째 해에 해당하는 정해년(丁亥年)이다.2. 2. 기타 기년법
1887년은 서기 기준으로 1887년이지만, 다른 기년법으로도 표현될 수 있다. 불멸기원으로는 2890년이며, 이슬람력으로는 1304년~1305년에 해당한다. 유대력은 5647년~5648년이고, 수정 율리우스력이나 릴리우스력 등 다른 기년법도 존재한다. 각 기년법의 차이는 해당 기년법의 기준 시점과 계산 방식에 따라 다르다.3. 국제 관계 및 주요 사건
1887년 국제 관계 및 주요 사건
1887년은 제국주의 열강들의 각축장이었다. 각국의 이해관계가 충돌하며 다양한 국제적 사건이 발생했다. 러시아가 청나라에 조선 영토 불침범을 약속함에 따라 영국은 2년여간 불법 점거했던 거문도에서 철수했고, 거문도 사건은 종료되었다. 거문도 사건. 같은 해 3월 6일에는 조선 경복궁에 전등이 켜졌다. 이러한 사건들은 당시 동아시아 국제 정세의 격변을 보여주는 사례들이다.
2월 4일에는 미국에서 주간 상거래법(Interstate Commerce Act of 1887)이 제정되어, 철도 운송의 독과점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이 시작되었다.[5] 2월 8일에는 미국의 도스법(Dawes Act)이 제정되어 원주민들의 토지 소유권 문제에 변화가 생겼다.[6] 이는 미국의 내부 정치 및 사회 문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프랑스에서는 2월 23일 리비에라 지방에서 대규모 지진이 발생하여 2000명 가까이 사망하는 피해가 발생했고,[12] 4월 21일에는 프랑스와 독일 국경에서 발생한 슈네벨레 사건으로 양국 간 전쟁 직전까지 가는 위기 상황이 연출되었다. 슈네벨레 사건. 이 사건은 프랑스 내 반독일 감정을 고조시키고 유럽의 군비 경쟁을 심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슈네벨레 사건 항목을 참조.
6월 21일에는 영국이 빅토리아 여왕의 즉위 50주년을 기념했고, 같은 날 줄루랜드가 영국의 식민지가 되었다.[12] 6월 23일에는 캐나다에서 로키산맥 공원법이 제정되어 밴프 국립공원이 설립되었다.[13] 밴프 국립공원. 7월에는 제임스 블라이스가 스코틀랜드에서 최초의 풍력 터빈을 가동시켰다.[14] 7월 6일에는 하와이 왕국에서 '총검 헌법'이 공포되어 하와이 왕국의 권력이 크게 약화되고, 많은 사람들이 참정권을 박탈당했다. 1887년 하와이 왕국 헌법. 미국은 같은 해 1월 20일 해군 기지 건설을 위해 진주만을 사용하는 것을 승인했다.[1] 하와이 왕국의 주권에 대한 미국의 간섭이 심화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하와이 왕국 항목을 참조.
7월 26일에는 L. L. 자멘호프가 에스페란토를 처음으로 소개하는 책을 출판했다. 에스페란토. 9월 28일에는 중국에서 황하 대홍수가 발생하여 90만 명에서 200만 명이 사망했다. 1887년 황하 대홍수. 10월 1일에는 영국이 발루치스탄을 점령했다. [12] 11월에는 마이켈슨-몰리 실험 결과가 발표되어 빛의 속도는 운동과 무관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마이켈슨-몰리 실험. 또한, 아서 코난 도일의 셜록 홈즈가 처음 등장하는 소설 ''주홍색 연구''가 출판되었다. 주홍색 연구. 11월 13일에는 런던에서 피의 일요일 사건이 발생했다. 피의 일요일 (1887년). 12월 5일에는 지적 재산권 국제 사무국이 설립되었다. 이 외에도 1887년에는 많은 중요한 사건들이 발생했는데, 이는 당시 세계의 급변하는 정치, 경제, 사회적 상황을 반영한다.
3. 1. 거문도 사건
1887년 2월 27일, 러시아가 청나라에 조선 영토 불침범을 약속함에 따라 영국은 2년여간 불법 점거했던 거문도에서 철수하였다. 이로써 거문도 사건이 종료되었다. 이 사건은 제국주의 열강들의 각축 속에서 조선의 지정학적 중요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영국의 거문도 점령은 조선의 주권을 침해하는 행위였으며, 당시 조선의 국제적 위상과 취약성을 보여준다. 러시아의 개입은 청나라와의 관계 속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당시 동아시아 국제 정세의 복잡성을 반영한다. 같은 해 3월 6일에는 조선에서 최초로 전등이 경복궁에 켜졌다. 이는 조선의 근대화 노력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3. 2. 슈네벨레 사건
1887년 프랑스와 독일 국경 지역에서 발생한 슈네벨레 사건은 양국 간의 긴장을 극도로 고조시켰습니다. 이 사건은 프랑스 장교 슈네벨레가 독일 스파이로 의심받으면서 시작되었는데, 결국 프랑스 내부의 반독일 감정을 폭발시키고 전쟁 직전까지 치달았습니다. 당시 프랑스는 독일의 군사적 위협을 크게 우려하고 있었고, 슈네벨레 사건은 이러한 불안감에 기름을 부은 격이었습니다. 프랑스의 강경파들은 이 사건을 독일의 기만 행위로 규정하며 강력한 대응을 주장했으나, 다행히 양국 정부의 신중한 외교 노력으로 전면전은 피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 사건은 프랑스와 독일 간의 불신을 심화시켰고, 이후 유럽의 군비 경쟁을 더욱 가속화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특히 프랑스 내에서는 이 사건이 보수 정권에 대한 비판 여론으로 이어져, 정치적 혼란을 야기하기도 했습니다.3. 3. 하와이 왕국
미국 상원은 1887년 해군 기지 건설을 위해 진주만을 사용하는 것을 승인했다. 이는 하와이 왕국의 주권에 대한 미국의 간섭이 본격화되는 신호탄이었다. 같은 해, 칼라카우아 국왕은 반대파의 압력에 굴복하여 '총검 헌법'이라 불리는 새로운 헌법을 공포했다. 이 헌법은 국왕의 권한을 크게 축소하고, 귀족들의 권력을 강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이로써 하와이 왕국의 정치적 불안정은 심화되었고, 미국이 하와이를 병합하기 위한 발판이 마련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는 당시 하와이 왕국 내부의 정치적 갈등과 미국의 팽창주의적 야욕이 결합된 결과였다. 이후 하와이 왕국은 미국의 영향력 아래 놓이게 되는 길을 걷게 된다.3. 4. 기타 국제 관계
영국은 6월 21일 줄루랜드를 식민지화했고,[12] 10월 1일에는 발루치스탄을 점령했다.[12] 같은 해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 라오스와 캄보디아가 추가되었다.[12]4. 국내 정치 및 사회
== 국내 정치 및 사회 ==
1887년은 한국을 포함한 세계적으로 사회 개혁과 근대화의 움직임이 활발했던 해이다. 일본에서는 3월 23일 소득세법 공포를 시작으로, 5월 14일 거래소 조례, 5월 20일 학위령 제정 등 사회 시스템의 근대화가 급속도로 진행되었다. 같은 5월 20일 박애사는 일본적십자사로 개칭되었다. 도쿄전등 회사의 시내 배전 시작(도쿄전등)과 우편번호 제정(우편번호) 또한 이러한 근대화의 흐름을 보여준다. 나카에 쵸민의 저서 「삼취인경륜문답」(삼취인경륜문답) 간행 또한 이 시대의 지적 흐름을 반영한다. 이러한 법률 제정과 사회 시스템 개혁은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의 급속한 근대화 과정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건들이다. 미국에서는 4월 4일 최초의 여성 시장이 탄생하였고, 진보적인 개혁 정신을 보여주는 도스법(Interstate Commerce Act)이 제정되어 철도 운임의 불공정 행위와 독점을 규제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이는 당시 급속한 산업화와 함께 나타난 독점 자본의 폐해를 억제하려는 시도로 평가받는다. 1월 20일 미국 상원은 해군의 진주만 사용을 승인했고, 11월에는 하와이 왕국으로부터 진주만을 획득하였다. 같은 해 미국에서는 아마추어 운동 연합이 결성되어 스포츠 발전에 기여하기도 했다. 반면, 9월 28일 발생한 황하 대홍수는 90만 명 이상의 사망자를 낸 엄청난 재앙이었다. 이는 당시 사회 기반 시설의 부족과 자연재해 대응의 미흡함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세계적으로는 2월 23일 프랑스와 이탈리아 지중해 연안에서 발생한 지진(M6.0)으로 2000명이 사망했고, 5월 27일 파리 오페라 코미크 화재로 200명(400명설도 존재)이 사망하는 등 여러 사건들이 발생했다. 1월 1일에는 일본에서 중앙기상대가 발족하였다. 1월 5일에는 일본 고치현에서 고위 관료들을 표적으로 한 테러 사건이 발생했다.[59] 6월 18일에는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이 체결되었고, 6월 21일에는 영국에서 빅토리아 여왕 즉위 50주년 기념식이 거행되었다. 12월 25일 일본에서는 보안조례가 공포되어 즉시 시행되었다. 12월 28일에는 신문지 조례와 판권 조례가 개정되었다. 1887년은 여러 국가에서 사회·정치적 변화와 자연재해가 공존했던 한 해였다.
4. 1. 조선
1887년, 경복궁에 전등이 처음으로 켜졌다. 이는 조선이 서구 문물을 받아들이고 근대화를 추진하려는 움직임의 상징적인 사건이었다. 이러한 변화는 개화파의 노력과 서구 열강의 영향 속에서 이루어졌으며, 조선의 미래에 대한 기대와 우려를 동시에 불러일으켰다. 하지만 이러한 근대화 노력은 보수 세력의 반발과 내부 갈등에 직면하여 쉽지 않은 과정을 거쳤다. 전등 점등은 단순한 기술 도입을 넘어, 조선 사회의 변화를 상징하는 중요한 사건으로 기억된다.4. 2. 일본
1887년 일본에서는 근대화의 움직임이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3월 23일에는 소득세법이 공포되었고, 5월 14일에는 거래소 조례가, 5월 20일에는 학위령이 제정되는 등 사회 시스템의 근대화가 이루어졌다. 같은 5월 20일에는 박애사가 일본적십자사로 개칭되었다. 도쿄전등 회사의 배전 시작과 우편번호 제정 또한 이 시기 일본의 근대화를 보여주는 사례이다. 같은 해 나카에 쵸민은 저서 「삼취인경륜문답」을 간행하였다. 이러한 법률 제정과 사회 시스템 개혁은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의 급속한 근대화 과정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건들이다.4. 3. 미국
미국에서는 1887년 아마추어 운동 연합이 결성되어 스포츠 발전에 기여하였습니다. 같은 해, 도스법(Interstate Commerce Act)이 제정되어 철도 운임의 불공정 행위를 규제하고, 독점을 막아 경제 발전의 토대를 마련하려는 시도가 있었습니다. 이 법은 당시 급속한 산업화와 함께 나타난 독점 자본의 폐해를 다소나마 억제하려는 진보적인 시도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주간 상거래법의 제정은 미국 경제의 발전에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으며, 이는 진보적인 개혁 정신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5. 문화와 예술
== 문화와 예술 ==
1887년은 다양한 문화 예술적 성과가 나타난 해였다. 2월 5일에는 주세페 베르디의 오페라 ''오텔로''가 밀라노 스칼라 극장에서 초연되어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같은 해 2월에는 잡지 ''국민지우''와 ''Tôbaé''가 각각 창간되었다. 자멘호프는 7월 26일 에스페란토를 러시아어로 발표하며 국제어 운동에 불을 지폈다. 8월 31일에는 토머스 에디슨이 영사기 특허를 취득하며 영화 기술 발전의 초석을 다졌다. 10월 4일에는 도쿄미술학교와 도쿄음악학교가 개칭되었고, 10월 17일에는 요코하마시가 일본 최초의 근대 상수도 급수를 개시했다. 10월 31일에는 림스키-코르사코프의 "스페인 기상곡"이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초연되었다. 11월 6일에는 셀틱 FC가 창단되었고, 9월 29일에는 함부르크 SV가 창단되었다. 이 밖에도 이 해에는 최초의 한글 신약성서 완역본이 충국 심양 문광서원 (예수성교전서)에서 출판되었다는 점 또한 주목할 만하다. 2월 23일에는 프랑스와 이탈리아 지중해 연안에서 강진이 발생하여 2000명이 사망하는 비극이 발생하기도 했다. 우드로 윌슨은 미국 행정학의 기초를 마련한 논문 ''행정의 연구''(''The Study of Administration'')를 발표했다. 1월 1일에는 중앙기상대가 발족하였다.[59]
5. 1. 언어
1887년 7월 26일, 라자로 루드비코 자멘호프가 러시아어로 에스페란토를 발표하며 국제어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라자로 루드비코 자멘호프의 에스페란토 발표는 다양한 언어권 사람들 간의 소통을 위한 새로운 시도로 평가받는다. 같은 해, 최초의 한글 신약성경이 완역 출판되었다. 충국 심양 문광서원에서 출판된 예수성교전서는 한국어 성경 번역의 중요한 이정표를 세웠다. 이러한 사건들은 언어와 종교의 전파 및 발전에 있어 중요한 해였다.5. 2. 기술과 발명
1887년에는 여러 중요한 기술적 발전이 있었다. 8월 31일, 미국의 발명가 토머스 에디슨은 영사기의 특허를 취득하며 영화 기술 발전에 기여했다. 또한, 이 시기에는 허먼 홀러리스가 펀치 카드 계산기 특허를 받았다는 기록도 존재하지만, 원본 자료에는 명시되지 않았다. 같은 해 스코틀랜드에서는 제임스 블라이스가 최초의 작동 가능한 풍력 터빈을 가동시켰다는 사실 또한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발명들은 당시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로, 에디슨은 8월 31일에 백열전구 특허를 획득했다는 기록도 남아있다. 하지만 이는 이미 널리 알려진 사실이기에 별도로 언급하지 않아도 될 수 있다.5. 3. 문학
1887년, 아서 코난 도일의 탐정 소설 ''주홍색 연구''가 출판되면서 셜록 홈즈가 처음 등장했다. 이 작품은 추리 소설의 고전으로 자리매김하며, 이후 수많은 작품과 대중문화에 영향을 미쳤다. 셜록 홈즈는 지금까지도 널리 알려진 인기 캐릭터이며, 그의 등장은 문학사에 중요한 획을 그었다. 같은 해, 일본에서는 후타바테이 시메이의 ''떠돌이 구름''이 출판되기 시작했다. 이 작품은 서구 문학의 영향을 받은 근대 일본 소설의 중요한 이정표로 평가받으며, 일본 근대 문학의 시작을 알리는 작품으로 여겨진다.5. 4. 기타 문화
1887년에는 주세페 베르디의 오페라 ''오텔로''가 밀라노 라 스칼라 극장에서 초연되는 등 음악계에 큰 획을 그었다. 또한, 스코틀랜드 축구 클럽 셀틱 FC가 창단되었고, 독일 축구 클럽 함부르크 SV도 창단되었다. 미국에서는 토마스 에디슨이 영사기 특허를 취득하였으며, 우드로 윌슨은 행정학 발전에 기여한 논문 ''행정의 연구''를 발표했다. 이 외에도, 최초의 한글 신약성서 완역본이 충국 심양 문광서원에서 출판되었고, 프랑스와 이탈리아 지중해 연안에서는 큰 지진으로 2000명의 사망자가 발생하는 비극도 있었다. 같은 해 2월에는 우편번호 제도가 제정되었고, 잡지 ''국민지우''와 ''토바에''가 창간되었다. 라자로 루드비코 자멘호프는 7월 26일에 에스페란토를 러시아어로 발표했다.6. 과학과 기술
1887년은 과학기술 분야에서도 여러 가지 중요한 사건들이 있었다. 1월 1일에는 중앙기상대가 발족했다. 같은 달 20일에는 미국 상원이 해군의 진주만 사용을 승인했는데, 하와이 왕국으로부터의 획득은 11월에 이루어졌다. 1월 22일에는 도쿄전등 회사가 시내 배전을 시작했다. 2월 5일에는 주세페 베르디의 오페라 「오텔로」가 밀라노 스칼라 극장에서 초연되었다. 2월 8일에는 우편번호 제도가 도입되었고, 2월 15일에는 국민지우와 Tôbaé가 창간되었다. 2월 23일에는 프랑스와 이탈리아 지중해 연안에서 규모 6.0의 지진이 발생하여 2000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4월 4일에는 미국에서 최초의 여성 시장이 탄생했고, 4월 18일에는 센다이와 가나자와에 제2고등중학교와 제4고등중학교가 설치되었다. 4월 30일에는 헤르만 로에슬러가 「일본제국헌법 초안」을 기초했다. 의학 분야에서는 프란츠 쾨니히가 골연골병증(Osteochondrosis dissecans) 질환을 처음으로 기술하고 명명했다.
6. 1. 물리학
하인리히 헤르츠는 1887년 전자기파의 발생과 수신을 실험적으로 증명하는 데 성공했다. 이는 맥스웰의 전자기 이론을 실험적으로 뒷받침하는 중요한 업적으로 평가받는다. 또한 이 과정에서 광전 효과를 관찰하였는데, 이는 이후 아인슈타인의 광양자설의 중요한 기초가 되었다. 같은 해, 알버트 마이켈슨과 에드워드 몰리는 마이켈슨-몰리 실험을 통해 빛의 속도가 관찰자의 운동과 무관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 실험 결과는 아인슈타인의 특수 상대성 이론의 중요한 실험적 근거가 되었다.6. 2. 의학
프란츠 쾨니히가 1887년 골연골병증(Osteochondrosis dissecans) 질환을 처음으로 기술하고 명명하였다.7. 탄생
1887년에는 다양한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긴 많은 인물들이 태어났다. 정치, 군사, 예술, 과학 등 여러 분야에서 세계사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들이 이 해에 탄생했다.
대표적인 인물로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군사 정보부장이었던 빌헬름 카나리스(Wilhelm Canaris)(1월 1일 ~ 1945년 2월 9일), 폴란드 태생의 세계적인 피아니스트 아르투르 루빈스타인(Arthur Rubinstein)(1월 28일 ~ 1982년 12월 6일), 러시아 출신 표현주의 화가 마르크 샤갈(Marc Chagall)(7월 7일 ~ 1985년 3월 28일), 오스트리아의 물리학자이자 양자역학의 선구자인 에르빈 슈뢰딩거(Erwin Schrödinger)(8월 12일 ~ 1961년 1월 4일), 근대 건축에 큰 영향을 미친 스위스 태생 프랑스 건축가 르 코르뷔지에(Le Corbusier)(10월 6일 ~ 1965년 8월 27일), 중화민국 초대 대통령 장제스(Chiang Kai-shek)(10월 31일 ~ 1975년 4월 5일),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영국군의 저명한 장군 버나드 몽고메리(Bernard Montgomery)(11월 17일 ~ 1976년 3월 24일) 등이 있다.
이 외에도 수많은 인물들이 1887년에 태어나 각자의 분야에서 활동하며 20세기 세계 역사를 풍요롭게 했다. 특히, 한국의 독립운동가인 조소앙(5월 2일 ~ 1958년 10월 23일)과 김병로(12월 15일 ~ 1964년 12월 25일)의 탄생은 한국 역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하지만, 이 시기에 태어난 인물들 중에는 친나치 행적을 보인 비드쿤 크비슬링(Vidkun Quisling)(7월 18일 ~ 1945년 10월 24일)과 같은 인물도 있어 역사적 평가에 있어 다양한 시각이 존재한다. 이들의 삶과 업적은 20세기 세계 역사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7. 1. 한국 인물
1887년에 태어난 주요 인물로는 조소앙, 이재명, 김기태, 김병로 등이 있다. 이들은 이후 독립운동과 대한민국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특히 조소앙은 일제강점기의 대표적인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민족 독립을 위해 헌신했으며, 광복 후 대한민국 건국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조소앙은 대한민국 건국에 헌신한 인물로 평가받지만, 그의 정치적 행보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이재명은 대한제국 시기 활동한 독립운동가로, 을사늑약 이후 항일 의병 활동을 전개했으며, 안중근 의사에게도 영향을 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안중근 의사의 애국정신을 계승한 이재명의 활동은 당시의 암울한 시대 상황 속에서 빛나는 항일 투쟁의 사례로 볼 수 있다. 다만, 이재명에 대한 기록은 상대적으로 부족하며,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김기태와 김병로 또한 각자의 분야에서 대한민국 발전에 기여한 인물이지만, 자세한 내용은 추가적인 자료 조사가 필요하다.7. 2. 국제적 인물
빌헬름 카나리스(1887년 1월 1일 ~ 1945년 2월 9일)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군사 정보부장으로 활동했던 인물이다. 아르투르 루빈스타인(1887년 1월 28일 ~ 1982년 12월 6일)은 폴란드 태생의 세계적인 피아니스트로, 뛰어난 연주 실력으로 유명하다. 마르크 샤갈(1887년 7월 7일 ~ 1985년 3월 28일)은 러시아 출신의 유명한 표현주의 화가로, 독특한 화풍으로 많은 작품을 남겼다. 에르빈 슈뢰딩거(1887년 8월 12일 ~ 1961년 1월 4일)는 오스트리아의 물리학자이자 양자역학의 선구자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르 코르뷔지에(1887년 10월 6일 ~ 1965년 8월 27일)는 스위스 태생의 프랑스 건축가로, 근대 건축에 큰 영향을 미쳤다. 장제스(1887년 10월 31일 ~ 1975년 4월 5일)는 중화민국의 초대 대통령으로, 중국 국민당의 지도자였다. 버나드 몽고메리(1887년 11월 17일 ~ 1976년 3월 24일)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영국군의 저명한 장군이었다. 이 외에도 여러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긴 다수의 인물들이 1887년에 태어났다. 특히, 조소앙(1887년 5월 2일 ~ 1958년 10월 23일)과 같은 한국의 독립운동가도 이 해에 태어났다. 김병로(1887년 12월 15일 ~ 1964년 12월 25일)와 같은 한국의 독립운동가도 이 해에 태어나 한국 역사에 기여했다. 반면, 비드쿤 크비슬링(1887년 7월 18일 ~ 1945년 10월 24일)과 같은 친나치 인물도 이 해에 태어났다. 이들의 삶과 업적은 20세기 세계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8. 사망
1887년에는 많은 주목할 만한 인물들이 세상을 떠났다. 2월 27일, 러시아의 천재 작곡가 알렉산드르 보로딘(1833년생)이 사망했다. 그의 음악은 러시아 민족주의 음악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같은 달 2월 19일에는 네덜란드 작가 에두아르트 더웨스 데커(Eduard Douwes Dekker, 1820년생)[48]가, 2월 26일에는 최초의 인도 여성 의사 아난디 고팔 조시(Anandi Gopal Joshi, 1865년생)가 사망했다. 3월 8일에는 미국 성직자이자 개혁가 헨리 워드 비처(Henry Ward Beecher, 1813년생)가 세상을 떠났다. 그는 뛰어난 설교가로 알려져 있으며, 사회 개혁 운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3월 24일에는 프랑스 장군이자 정치가 장-조제프 파르(Jean-Joseph Farre, 1816년생)와 미국 음악가이자 시민권 운동가 저스틴 홀랜드(Justin Holland, 1819년생), 그리고 러시아 화가 이반 크람스코이(Ivan Kramskoi, 1837년생)가 사망했다. 10월 17일에는 독일의 저명한 물리학자 구스타프 키르히호프(1824년생)가 사망했는데, 그의 업적은 현대 물리학 발전에 큰 기여를 했다. 11월 2일에는 스웨덴의 유명한 오페라 가수 제니 린드(1820년생)[55]가 사망했다. 그녀의 아름다운 목소리와 뛰어난 연기력은 당대 사람들에게 큰 감동을 주었다. 같은 날 뉴질랜드의 제4대 총리 알프레드 도멧(Alfred Domett, 1811년생)[56]도 세상을 떠났다. 그 외에도 여러 분야의 저명한 인물들이 1887년에 사망했다. 11월 8일, 서부 개척 시대의 전설적인 총잡이 닥터 홀리데이(Doc Holliday, 1851년생)[57]의 사망 소식 또한 세간의 주목을 받았다. 미국 시인 에마 라자러스(Emma Lazarus, 1859년생)[58]도 같은 해 11월 19일에 사망했다. 다만, 이 목록에는 세계적으로 저명한 인물만 기재되어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참고로, 같은 해 사망한 인물 중 오카베 나가히로(岡部長寛), 짐 카트라이트(ジム・カートライト), 알렉산드르 보로딘(アレクサンドル・ボロディン), 이반 크람스코이(イワン・クラムスコイ), 알렉산드르 울리아노프(アレクサンドル・ウリヤノフ), 쥘 라포르그(ジュール・ラフォルグ), 구스타프 키르히호프(グスタフ・キルヒホフ), 닥터 홀리데이(ドク・ホリデイ), 구스타프 페히너(グスタフ・フェヒナー) 등은 한국에도 잘 알려진 인물들이다.
8. 1. 주요 인물
1월 12일에 영국 정치인 스태퍼드 노스코트 아이데슬리 백작 1세(Stafford Northcote, 1st Earl of Iddesleigh)가 사망했다. 같은 달 27일에는 러시아의 작곡가 알렉산드르 보로딘(Alexander Borodin)[50]이 세상을 떠났다. 2월에는 네덜란드 작가 에두아르트 더웨스 데커(Eduard Douwes Dekker)[48]와 미국 사업가이자 지주 제시 W. 펠(Jesse W. Fell)[49], 최초의 인도 여성 의사 아난디 고팔 조시(Anandi Gopal Joshi)가 사망했다. 3월에는 영국 배우, 가수, 연출가, 매니저 캐서린 허긴스(Catherine Huggins), 미국 성직자이자 개혁가 헨리 워드 비처(Henry Ward Beecher), 프랑스 장군이자 정치가 장-조제프 파르(Jean-Joseph Farre), 미국 음악가이자 시민권 운동가 저스틴 홀랜드(Justin Holland), 러시아 화가 이반 크람스코이(Ivan Kramskoi), 덴마크 정치인 디틀레프 고타드 몬라드(Ditlev Gothard Monrad)[51]가 각각 사망했다. 4월에는 미국 배우 존 T. 레이먼드(John T. Raymond), 스위스계 미국인 남부 연합 선전가 헨리 호체(Henry Hotze), 웨일스 시인 존 케이리오그 휴스(John Ceiriog Hughes)[52]가 세상을 떠났다. 5월에는 독일계 미국인 신학자 C. F. W. 발터(C. F. W. Walther), 러시아 혁명가이자 블라디미르 레닌의 형제 알렉산드르 울리아노프(Aleksandr Ulyanov), 미국 철학자이자 노예제 폐지론자 라이샌더 스푸너(Lysander Spooner)가 사망했다. 6월에는 제19대 미국 부통령 윌리엄 A. 휠러(William A. Wheeler)와 영국인이자 럭비공, 고무 풍선, 그리고 같은 용도의 황동 펌프 발명가 리처드 린든(Richard Lindon)이 사망했다. 7월에는 영국 풍경화가 존 라이트 오크스(John Wright Oakes), 미국 사회운동가 도로테아 딕스(Dorothea Dix), 미국 종교 지도자(몰몬교) 존 테일러(John Taylor)가 사망했다. 8월에는 미국 변호사이자 군인 알렉산더 윌리엄 도니펀(Alexander William Doniphan), 영국 토목기사 웹스터 폴슨(Webster Paulson), 독일계 뉴질랜드 지질학자 율리우스 폰 하스트(Sir Julius von Haast), 미국 망원경 제조업자 알반 클라크(Alvan Clark), 미국 자연과학자이자 박물관 관장 스펜서 풀러턴 베어드(Spencer Fullerton Baird), 프랑스 시인 쥘 라포르그(Jules Laforgue)[53]가 사망했다. 9월에는 프로이센 장군 아우구스트 폰 베르더(August von Werder)가 사망했다. 10월에는 영국 소설가이자 시인 디나 크레이크(Dinah Craik)[54], 독일 물리학자 구스타프 키르히호프(Gustav Kirchhoff), , 프랑스 제독이자 정치가 베르나르 자뤼기베리(Bernard Jauréguiberry), 프로이센 장군 휴고 폰 키르히바흐(Hugo von Kirchbach), 영국 작곡가이자 음악학자 조지 알렉산더 맥퍼런 경(Sir George Macfarren)이 사망했다. 11월에는 스웨덴 소프라노 제니 린드(Jenny Lind)[55], 뉴질랜드 총리(제4대) 알프레드 도멧(Alfred Domett)[56], 미국 도박사이자 총잡이 닥 홀리데이(Doc Holliday)[57], 미국 시인 에마 라자러스(Emma Lazarus)[58], 독일 실험 심리학자 구스타프 페히너(Gustav Fechner)가 사망했다. 12월에는 영국 외교관 리처드 라이언스(Richard Lyons, 1st Viscount Lyons), 영국 외교관, 광물학자, 분광학자 윌리엄 개로우 레트섬(William Garrow Lettsom), 영국 목사 아돌퍼스 프레드릭 알렉산더 우드포드(Adolphus Frederick Alexander Woodford)가 사망했으며, 스웨덴 향수 기업가 안토니에트 노르딩(Antoinette Nording)도 이 해에 사망했다.9. 1887년 달력
양력 월일
간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