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케취와요 캄판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체츠와요는 줄루족 왕 음판데의 아들로, 1872년 아버지의 사망 후 왕위에 올랐다. 그는 샤카의 군사 제도를 재도입하고 군대를 확장했으며, 1879년 영국-줄루 전쟁에서 이산들와나 전투에서 승리했으나, 울룬디 전투에서 패배하여 폐위되었다. 그는 런던으로 추방되었다가 1883년 줄루랜드로 돌아왔지만, 내전으로 인해 사망했다. 그는 남아프리카 역사에서 영국의 침략에 맞서 싸운 마지막 줄루 왕국의 왕으로 기억되며, 그의 용기는 남아프리카 원주민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줄루족의 왕 - 샤카 카센잔가코나
    샤카 카센잔가코나는 19세기 초 줄루족을 통일하고 군사 혁신을 통해 줄루 왕국을 남아프리카 지역의 강력한 세력으로 만들었지만, 음페카네와 공포 정치로 인한 암살이라는 어두운 면모도 가진 지도자로서 줄루족의 역사와 문화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 19세기 아프리카의 군주 - 엔히크 2세
    엔히크 2세는 니콜라우 1세의 적장남으로 1794년부터 1803년까지 통치하며 프랑스 혁명 확산에 맞서 동맹을 맺었으나 패배와 국내 불안정을 겪고 자유주의 확산으로 1803년 퇴위했으며, 1802년 건강상의 이유로 서출 아들에게 대리청정을 맡겼다.
  • 19세기 아프리카의 군주 - 가르시아 5세
    죄송합니다. 제공된 정보가 없어 "가르시아 5세"에 대한 개요를 한 문장으로 요약할 수 없습니다.
케취와요 캄판데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세츠와요 카음판데 왕
알렉산더 바사노가 런던, 올드 본드 스트리트에서 촬영한 세츠와요 사진 (1882년경)
칭호줄루 왕국의 왕
재위 기간1873년 - 1879년
휘호지닌인디 옴냐마
출생1826년경
출생지에쇼웨, 줄루 왕국
사망1884년 2월 8일
사망지에쇼웨, 줄루 왕국
배우자알려진 바 없음
자녀디누줄루 카세트슈와요
아버지음판데
어머니응쿰바지
왕가줄루 왕가
전임음판데
후임디누줄루

2. 초기 생애

체츠와요는 줄루족 왕 음판데[1]와 응굼바지 여왕의 아들이자, 줄루족 왕 샤카의 조카이자 센장아코나의 손자였다. 1856년 그는 논다쿠수카 전투에서 아버지 음판데가 가장 아끼던 동생 음부야지를 물리치고 죽였다. 이 전투 이후 음부야지의 추종자 거의 전부가 학살되었으며, 체츠와요의 형제 5명도 포함되었다.[2] 이 사건 이후 그는 이름만 빼고 모든 면에서 줄루족의 지배자가 되었다. 그러나 그의 아버지가 살아있었기에 왕위에 오르지는 못했다. 당시 그의 거대한 체격에 대한 이야기는 다양하며, 키가 최소 198cm에서 203cm 사이였으며 몸무게는 거의 159kg에 달했다고 한다.

그의 또 다른 형제 움통가는 여전히 잠재적인 경쟁자였다. 체츠와요는 또한 아버지의 새로운 부인들과 자녀들을 잠재적인 경쟁자로 주시하며 1861년에는 가장 아끼는 부인 노만찰리와 그녀의 자녀들을 죽이라고 명령했다. 두 아들은 탈출했지만 막내는 왕 앞에서 살해당했다.[3] 이러한 사건 이후 움통가는 보어인이 있는 국경 너머로 도망쳤고, 체츠와요는 그를 되찾기 위해 보어인들과 거래해야 했다. 1865년, 움통가는 다시 국경 너머로 도망쳤는데, 체츠와요가 움통가가 아버지처럼 보어인들의 도움을 받아 자신을 전복할 것이라고 믿게 하려는 의도였던 것으로 보인다.

더욱이, 그는 줄루족의 대의를 여러 차례 배신한 우하무 카은지베라는 이복 형제가 있었다.[4]

3. 통치

1872년 음판데가 사망하고, 1873년 9월 1일 케츠와요가 왕으로 즉위했다. 서 더오필러스 셰프스톤 경[5]은 케츠와요에게 왕관을 씌워주었으나, 이후 셰프스톤은 줄루족을 배신했다.[5] 즉위 후, 케츠와요는 관례에 따라 국가의 새로운 수도를 건설하고 울룬디(‘높은 곳’)라고 명명했다. 그는 샤카의 군사 제도를 재도입하고 군대를 확장했으며, 임피에게 머스킷을 장비하기도 했다. 그는 유럽 선교사들을 자신의 땅에서 추방했고,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보어인들에게 반란을 일으키도록 다른 원주민 아프리카인들을 선동했을 수도 있다.

4. 영국-줄루 전쟁

1878년, 케이프 식민지의 영국 고등 판무관 헨리 바틀 프레어 경은 남아프리카 연방을 건설하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었다. 그는 강력한 줄루 왕국이 존재하는 한 이를 달성할 수 없다고 생각했다. 프레어는 줄루족의 국경 침범에 대한 배상을 요구하며 체츠와요를 자극했고, 사실상 군대 해산을 요구하는 최후통첩을 발동했다. 체츠와요는 이를 거절했고, 1879년 영국-줄루 전쟁이 발발했다.[6]

체츠와요는 이산들와나 전투에서 영국군에게 큰 승리를 거두었으나, 로크스 드리프트 전투와 캄불라 전투에서 영국군이 승리하며 전세가 역전되기 시작했다. 체츠와요는 평화 조약을 확보하고자 했으나, 그의 통역관이었던 네덜란드 상인 코르넬리우스 비인은 영국군에게 줄루족 군대가 집결하고 있다는 정보를 흘렸다.[6]

이후 영국군은 더 강력한 병력으로 줄루랜드를 공격했고, 결국 울룬디 전투에서 승리하며 줄루족의 수도를 점령했다. 체츠와요는 폐위되어 케이프타운런던으로 추방되었다가 1883년에 줄루랜드로 돌아왔다.[6]

1881년부터 플로렌스 딕시 부인을 비롯한 여러 사람들이 체츠와요의 대의를 지지했으며, 그의 부드러운 태도와 함께 여론은 그가 부당하게 대우받았다는 쪽으로 기울었다.[6]

음판데의 장남으로 태어난 체츠와요는, 음판데 사후 국왕으로 즉위하여 관습에 따라 새로운 수도 울룬디를 건설했다. 그는 초대 국왕 샤카가 창립한 군제를 다시 채용하고, 머스킷총을 배치하는 등 군비를 증강했다.[8]

1877년 영국 식민지와의 국경 부근에서 영국인 측량사를 구속한 사건에 대해, 헨리 바틀 프레어는 체츠와요에게 손해 배상과 부대 주둔, 임비 해산 등 줄루 왕국의 보호령화를 요구했다. 체츠와요가 손해 배상 이외의 요구를 거부하자 1879년, 영국은 줄루 왕국을 침공하여 줄루 전쟁이 발발했다.[8]

전쟁 초기에는 영국군을 격퇴하는 등 우세했지만, 병력을 보강한 영국군에 의해 수도 울룬디가 함락되고 체츠와요는 탈출했다. 그러나 결국 체포되어 케이프타운으로 이송되었고, 줄루 왕국은 영국에 의해 보호령화되어 12개로 분할되었다.[8]

1882년, 체츠와요는 런던으로 이동하여 빅토리아 여왕과 회담하고 줄루 랜드로의 귀환을 요청했다. 체츠와요의 퇴위 후 줄루 랜드 내에서는 혈족 간의 항쟁이 끊이지 않았고, 결국 1883년 영국은 체츠와요를 복위시켰다. 그러나 이전의 영향력은 없었고, 울룬디가 습격당하는 등 어려움을 겪다가 1884년 사망했다. 그의 사인은 심장 발작으로 진단되었으나, 독살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8]

4. 1. 이산들와나 전투와 로크스 드리프트 전투

1879년에 벌어진 이산들와나 전투는 영국-줄루 전쟁의 첫 주요 전투 중 하나로, 줄루족의 대승으로 끝났다. 이 전투에서 줄루군은 영국군의 허를 찌르는 전략을 사용했다. 영국군은 줄루군의 전력을 과소평가하고, 방어 태세를 제대로 갖추지 않은 채 전투에 임했다. 이러한 오판은 영국군에게 큰 피해를 입혔다.[6]

로크스 드리프트 전투는 이산들와나 전투와 같은 날 벌어진 전투로, 소수의 영국군 병력이 줄루군의 공격을 막아냈다. 이 전투는 영국군의 용맹함을 보여주는 사례로 자주 언급된다. 그러나 이 전투의 승리가 이산들와나 전투의 패배를 상쇄할 수는 없었다.[6]

4. 2. 울룬디 전투와 줄루 왕국의 멸망

1879년, 영국-줄루 전쟁에서 영국군은 더 크고 강화된 병력으로 줄루랜드로 돌아와 울룬디 전투에서 줄루족의 수도를 점령했다. 이 전투에서 영국군은 이산들와나 전투에서의 패배를 통해 교훈을 얻어, 대포와 개틀링 기관총으로 무장한 빈 사각형을 탁 트인 평원에 설치했다.[6] 전투는 약 45분 동안 지속되었고, 이후 영국군 기병대가 줄루족을 공격하여 패퇴시켰다. 1879년 7월 4일 울룬디가 점령되고 불태워진 후, 체츠와요는 폐위되어 추방되었다.[6]

5. 유배와 귀환

런던 켄싱턴의 18 멜버리 로드에 있는 케취와요 청색 명판


케치와요는 케이프타운으로 이송된 후, 1882년 영국 런던으로 이동하여 빅토리아 여왕과 회담하고 줄루랜드로의 귀환을 요청했다.[8]

케치와요 퇴위 후, 보어인의 지원을 받는 지베부 추장과의 갈등으로 혈족 간 항쟁이 끊이지 않았다. 1883년 1월 10일, 영국은 케치와요를 줄루랜드로 귀환시켜 복위시켰으나, 이미 왕국의 권위는 약화된 상태였다. 지베부는 보어 용병의 도움을 받아 왕위 계승 전쟁을 시작했고, 울룬디를 습격하여 케치와요는 부상을 입고 누칸드라 숲으로 도망쳤다. 10월 15일, 영국의 호위를 받으며 남부 Eshowe|에쇼웨영어에 도착했다.

1884년, 케치와요는 에쇼웨에서 사망했고, 누칸드라 숲에 매장되었다. 검시가 이루어지지 않아 심장 발작으로 진단되었지만, 비슷한 시기에 줄루 유력자들도 유사한 증세로 사망했기 때문에 영국 또는 보어인에 의한 독살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8]

6. 죽음

1884년 2월 8일, 체츠와요는 에쇼웨에서 사망했는데, 심장마비로 추정되지만 독살되었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그의 시신은 웅쿤자네 강 남쪽, 숲이 보이는 들판에 묻혔다. 그의 시신을 운반한 마차의 잔해는 무덤 위에 놓였으며, 울룬디 근처 온디니 박물관에서 볼 수 있다. 검시가 이루어지지 않아 심장 발작으로 진단되었지만, 동 시기에 줄루의 유력자도 유사한 모습으로 사망했기 때문에 영국 또는 보어인에 의한 독살 가능성도 지적되고 있다.[8]

7. 유산 및 평가

2016년에 그의 이름을 따서 킹 케취와요 구가 명명되었다.[8] 케취와요는 줄루 왕국의 마지막 왕으로서 줄루 전쟁에서 영국에 맞서 싸운 지도자로 기억된다. 그의 용기와 저항은 남아프리카 원주민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7. 1. 대중문화

H. 라이더 해거드의 모험 소설 《마녀의 머리》(1885), 《검은 마음과 하얀 마음》(1900), 《피니시드》(1917)와 논픽션 책 《세티와요와 그의 백인 이웃》(1882)에 등장한다. 존 버컨의 소설 《프레스터 존》에도 언급된다. O. 헨리의 단편 소설 《엄격하게 비즈니스》(1910)의 "시립 보고서"에서 주요 인물의 얼굴은 "세티와요 왕"에 비유된다.

오스카 페르디난드 텔그만과 조지 프레데릭 캐머런의 오페라 《레오, 로열 카데트》의 한 등장인물은 1889년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1964년 영화 《줄루》에서 케취와요 역은 그의 외증손이자 잉카타 자유당의 지도자인 망고수투 부텔레지가 맡았다. 1979년 영화 《줄루 돈》에서는 사이먼 사벨라|사이먼 사벨라프랑스어가 연기했다. 1986년 미니시리즈 《샤카 줄루》에서는 소케심본 쿠베카가 연기했다.

J. M. 쿠체의 소설 《철의 시대》에는 "새로운 아프리카인, 배가 불룩하고 턱이 무거운 남자가 그들의 사무실 의자에 앉아 있다: 세티와요, 딩가네는 하얀 피부를 가졌다."라는 문구가 나온다.

시드 마이어의 문명 V: 브레이브 뉴 월드는 아프리카 쟁탈 시나리오에서 줄루족의 지도자로 케취와요를 등장시킨다.

참조

[1] 서적 Cetywayo
[2] 서적 Cetywayo and His White Neighbours: Or, Remarks on Recent Events in Zululand, Natal, and the Transvaal https://archive.org/[...] AMS Press
[3] 서적 The Washing of the Spears: A History of the Rise of the Zulu Nation Under Shaka and Its Fall in the Zulu War of 1879 https://books.google[...] Pimlico
[4]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Zulu Wars
[5] 서적 Diamonds, Gold, and War: The British, the Boers, and the Making of South Africa https://archive.org/[...] PublicAffairs
[6] 서적 The Romance of the Golden Rand: Being the Romantic Story of the Life and Work of the Pioneers of the Witwatersrand – the World's Greatest Goldfields https://books.google[...] Cassell, limited 1933
[7] 서적 Age of Iron https://books.google[...] Secker & Warburg
[8] 웹사이트 http://africanhistor[...]
[9] 간행물 An African Thermopylae? The Battles of the Anglo-Zulu Wa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