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줄루 왕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줄루 왕국은 1816년 샤카가 왕위에 오르면서 성립된 남아프리카의 역사적인 왕국이다. 샤카는 군사 개혁을 통해 세력을 확장했고, 주변 부족들을 정복하며 줄루 왕국의 기틀을 다졌다. 샤카 사후, 딩가네, 음판데를 거쳐 세츠와요가 통치했으나, 영국과의 줄루 전쟁에서 패배하며 왕국은 멸망했다. 이후 영국 식민 지배를 거쳐 콰줄루 반투스탄으로 재편되었고, 현재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콰줄루-나탈 주로 남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줄루 - 줄루족
    줄루족은 남아프리카 공화국 콰줄루나탈 주에 주로 거주하는 응구니계 민족으로, 샤카 줄루 왕 시대에 강력한 왕국으로 성장했으나 영국과의 전쟁에서 패배했고, 현재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가장 큰 민족 집단으로 남아 독특한 문화를 유지하고 있다.
  • 줄루 - 줄루어
    줄루어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중심으로 사용되는 반투어족 언어로, 인접 국가에서도 쓰이며 코사어, 북부 응데벨레어와 상호 이해가 가능하고, 독특한 음운 체계를 가지며,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공식 언어 중 하나로서 구전 문학과 함께 현대 사회에서 활발히 사용된다.
  • 아프리카의 옛 군주국 - 트란스발 식민지
    트란스발 식민지는 보어인들의 대이주로 세워진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제2차 보어 전쟁 후 영국의 식민지가 되어, 1910년 남아프리카 연방에 편입된 지역으로, 보어인 독립 운동 좌절과 흑인 참정권 문제가 논의되었다.
  • 아프리카의 옛 군주국 - 케이프 식민지
    케이프 식민지는 1652년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가 건설한 유럽-동인도 항로의 중간 기착지에서 시작되어 네덜란드와 영국 지배를 거치며 인종 갈등, 보어인 대이주, 코사 전쟁, 광물 자원 발견 등 여러 사건을 겪었고, 다인종 참정권 제도 도입에도 불구하고 인종 갈등이 지속되었다.
  • 아프리카의 옛 영국 식민지와 보호국 - 남아프리카 연방
    남아프리카 연방은 보어 전쟁 이후 네덜란드계와 영국계의 화합을 위해 건국되었으며, 영국 군주를 국가 원수로 하는 자치령이었으나 1934년 주권 국가가 되었고, 행정 수도 프리토리아, 입법 수도 케이프타운, 사법 수도 블룸폰테인으로 구성되었으며, 1961년 국민투표를 통해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 전환되었다.
  • 아프리카의 옛 영국 식민지와 보호국 - 트란스발 식민지
    트란스발 식민지는 보어인들의 대이주로 세워진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제2차 보어 전쟁 후 영국의 식민지가 되어, 1910년 남아프리카 연방에 편입된 지역으로, 보어인 독립 운동 좌절과 흑인 참정권 문제가 논의되었다.
줄루 왕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공식 명칭콰줄루 (KwaZulu)
일반 명칭줄루 왕국
현지 명칭KwaZulu (콰줄루)
위치남아프리카 공화국
수도
움궁군들로부
울룬디
공용어줄루어
종교줄루 종교
통화
데모님줄루인
지도
1890년경 줄루 왕국의 위치 (붉은색) (경계는 유동적임)
1890년경 줄루 왕국의 위치 (붉은색) (경계는 유동적임)
역사
성립 이전음테트와 수장국
주요 사건딩기스와요의 죽음 (1818년)
샤카의 즉위 (1816년)
고클리 힐 전투 (1818년)
음흘라투제 강 전투 (1820년)
블러드 강 전투 (1838년)
영국-줄루 전쟁 (1879년)
영국 보호령 (1887년)
나탈 합병 (1897년)
멸망 이후나탈리아 공화국
니우에 공화국
나탈 식민지
건국1816년
멸망1897년
면적약 207,236 제곱킬로미터 (1822년)
인구약 250,000명 (1828년)
정치
정치 체제군주제
지도자 칭호
주요 지도자샤카 (1816년–1828년)
(1828년–1840년)
(1840년–1856년)
세테와요 (1856년–1884년)
디누줄루 (1884년–1887년)
입법부없음
기타
현재 국가남아프리카 공화국

2. 역사

줄루족은 남아프리카의 일부 부족에 불과했지만, 1816년 수장 센잔가코나nr가 사망한 다음 해 샤카가 므테트와 제국nr 황제 딩기스와요nr의 보호를 받아 줄루 왕에 즉위하면서 왕국이 성립되었다.[2]

딩기스와요가 은드완드웨 왕국nr과의 전투에서 사망하자, 샤카는 군비를 현대화하고 중앙 집권 체제를 추진하여 므테트와 제국과 은드완드웨 왕국을 지배하였다. 그러나 샤카는 국내에서 공포 정치를 펼쳐 이복 동생 딩가네에게 암살되었다.[8]

딩가네, 음판데nr를 거쳐 제4대 국왕 세테와요가 줄루 전쟁에서 패배하면서 왕국은 붕괴되어 영국식민지가 되었다.

2. 1. 샤카의 부상과 줄루 왕국의 성립 (1816년 ~ 1828년)

샤카는 줄루족 족장 센장아코나의 사생아 아들이었다. 그는 1787년경에 태어났다. 그와 그의 어머니 난디는 센장아코나에 의해 추방당했으며, 므테트와에서 피난처를 찾았다. 샤카는 므테트와 파라마운트시의 지도자 딘기스와요 밑에서 전사로 싸웠다. 센장아코나가 죽자, 딘기스와요는 샤카가 줄루의 왕이 되도록 도왔다. 1816년경, 은드완데의 왕 즈와이데의 손에 딘기스와요가 죽은 후, 샤카는 므테트와 동맹 전체의 지도력을 맡았다.[2]

샤카의 부족은 처음에는 수천 명에 불과했지만, 이웃 부족을 흡수하면서 결국 45,000명으로 성장했다. 그의 군사 개혁에는 새로운 전투 기술, 훈련, 엄격한 규율, 그리고 더 효과적인 단검 창으로 긴 던지는 창을 대체하는 것이 포함되었다. 징집된 사람들은 '아마부토'라고 불리는 조직적인 상비군으로 훈련받기 위해 나머지 줄루 사회와 분리되었다.[3]

그의 지도력 아래 동맹은 그고클리 언덕 전투 (1818)에서 즈와이데의 첫 번째 공격에서 살아남았다. 2년 이내에 샤카는 므할투제 강 전투 (1820)에서 즈와이데를 격파하고 은드완데 동맹을 해체했으며, 그들 중 일부는 다른 응구니 부족과 씨족을 상대로 살인적인 캠페인을 시작하여 디파카네 또는 음페카네로 알려진 대규모 부족 이주를 시작하여 줄루족으로부터 도망치는 은드완데의 잔재를 피해 이동하게 되었다. 응고니족은 탄자니아와 말라위까지 북쪽으로 도망쳤다.[4] 사망자 수는 만족스럽게 결정된 적이 없지만, 이 지역 전체는 거의 인구가 줄었다.[5][6][7] 1822년까지 샤카는 퐁골라에서 투게라 강에 이르는 약 80000km2의 면적을 차지하는 제국을 정복했다.[1][3]

줄루족에서 갈라져 나온 아마은데벨레는 마타벨레로 역사에 더 잘 알려져 있으며, 하이벨트와 현대 짐바브웨의 상당 부분을 포함하는 더 큰 제국을 그들의 왕 므질리카지 아래에서 건설했다.

2. 2. 딩가네 왕의 통치와 보어인과의 갈등 (1828년 ~ 1840년)

앨런 프랜시스 가디너의 그림, 딩가네 왕


샤카는 이복형제인 딩가네에게 왕위를 계승받았다. 딩가네는 또 다른 이복형제인 믈랑가나, 그리고 인두나 음보파와 공모하여 1828년 샤카를 살해했다. 이 암살 이후, 딩가네는 믈랑가나를 살해하고 왕위를 차지했다. 그의 첫 번째 왕실 행위 중 하나는 모든 왕족을 처형하는 것이었다. 그 후 수년간 그는 자신의 지위를 공고히 하기 위해 샤카의 과거 지지자들 또한 많이 처형했다. 이러한 숙청에서 예외는 또 다른 이복형제인 음판데였는데, 그는 당시 위협이 될 만큼 약하다고 여겨졌다.[8]

아세가이와 같은 군사 혁신, 연령별 연대 시스템 및 포위 전술은 줄루족이 남아프리카 및 동남아프리카에서 가장 강력한 부족 중 하나가 되는 데 기여했다.


케이프 식민지에서 일부 네덜란드 정착민과 영국 식민 당국 간의 긴장이 고조되면서 1836년부터 보어인(보르트레커)들이 북쪽으로 이주하기 시작했다. 이들은 영국의 통제에서 벗어나 자치적인 보어 국가를 건설하고자 했다. 보어 정착민들은 오렌지 강을 넘어 북쪽으로 이동하면서 처음에는 은데벨레 왕국과, 다음에는 딩가네의 줄루 왕국과 충돌했다.[9] 1837년 10월, 보르트레커 지도자 피에트 레티프는 보르트레커를 위한 토지 거래를 협상하기 위해 그의 왕실 크랄에서 딩가네를 방문했다. 11월에는 약 1,000개의 보르트레커 마차가 오렌지 자유국에서 현재 콰줄루-나탈로 드라켄즈버그 산맥을 내려가기 시작했다.

딩가네는 레티프와 그의 일행에게 보어인들을 위한 토지 조약의 일부로 지역 족장에게서 훔쳐간 소를 되찾아달라고 요청했다. 레티프와 그의 부하들은 그렇게 했고, 1838년 2월 3일에 돌아왔다. 다음날, 딩가네가 투겔라 강 남쪽에서 므짐부부 강까지의 모든 토지를 보르트레커에게 양도하는 조약이 체결되었다. 축하 행사가 이어졌다. 2월 6일, 축하 행사가 끝나갈 무렵 레티프의 일행은 춤에 초대되어 무기를 두고 오라는 요청을 받았다. 춤이 절정에 달했을 때 딩가네는 벌떡 일어나 ''"Bambani abathakathi!"'' (마법사들을 잡아라)라고 외쳤다.

레티프와 그의 부하들은 제압되어 인근 언덕 콰마티와네로 끌려가 처형되었다. 일부는 그들이 되찾은 소 중 일부를 숨겼기 때문에 살해되었다고 주장하지만, 이 거래는 보르트레커를 제압하기 위한 음모였을 가능성이 높다. 딩가네의 군대는 인근에 캠프를 치고 있던 250명의 보르트레커 남성, 여성 및 어린이를 공격하여 학살했다. 이 학살 현장은 오늘날 위넨(네덜란드어로 "울다"라는 뜻)이라고 불린다. 남은 보르트레커들은 새로운 지도자 안드리에스 프레토리우스를 선출했고, 그는 1838년 12월 16일 블러드 강 전투에서 줄루군과 딩가네로부터 보르트레커의 입장을 성공적으로 방어했다. 당시 15,000명의 줄루 임피 (전사)가 프레토리우스가 이끄는 470명의 보르트레커 정착민을 공격했다.

2. 3. 음판데 왕의 통치와 영국과의 관계 (1840년 ~ 1872년)

조지 프렌치 앵거스의 그림, 킹 음판데


딩가네는 패배 후 왕실을 불태우고 북쪽으로 도망쳤다. 딩가네의 숙청에서 살아남은 이복형제 음판데는 17,000명의 추종자와 함께 탈주하여 프리토리우스와 보어인과 함께 딩가네에 대항해 전쟁을 벌였다. 딩가네는 현재 스와질란드 국경 근처에서 암살당했고, 이후 음판데는 줄루족의 통치권을 인수했다.

딩가네와의 전쟁 이후, 1839년 프리토리우스 휘하의 보어인들은 투겔라강 남쪽, 영국 정착지 포트 나탈(현재 더반) 서쪽에 나탈 공화국이라는 보어인 공화국을 세웠다. 음판데와 프리토리우스는 평화로운 관계를 유지했다. 그러나 1842년 영국과 보어인 사이에 전쟁이 발발하여 영국이 나탈을 병합하게 되자, 음판데는 영국으로 충성을 돌렸고 그들과 좋은 관계를 유지했다.

1843년 음판데는 왕국 내에서 반대자로 여겨지는 자들을 숙청하라고 명령했다. 이로 인해 수많은 사람들이 죽었고, 수천 명의 난민이 인접 지역(영국이 통제하는 콰줄루나탈 주 포함)으로 도망쳤다. 이들 난민 중 많은 수가 소를 가지고 도망쳤다. 음판데는 주변 지역을 습격하기 시작했고, 1852년에는 스와질란드를 침략했다. 그러나 영국은 그에게 철수를 압박했고, 그는 곧 철수했다.

2. 4. 세츠와요 왕의 통치와 줄루 전쟁 (1872년 ~ 1879년)

음판데의 두 아들인 세츠와요와 음부야지 사이에서 왕위 계승을 위한 다툼이 벌어졌다. 이는 1856년 논다쿠수카 전투로 절정에 달했고, 음부야지가 사망했다. 세츠와요는 그 후 아버지의 권력을 찬탈하려 했다. 1872년 음판데가 노환으로 사망하자 세츠와요가 통치자로 즉위했다.[10]

1879년 이산들와나 전투


1878년 12월 11일, 헨리 바틀 프레어 경은 영국 정부의 승인 없이 스스로의 판단으로 줄루족과의 전쟁을 도발하려는 의도로 줄루족의 왕 세츠와요에게 그가 도저히 따를 수 없는 조건을 담은 최후 통첩을 보냈다. 즉, 줄루군을 해산하고 줄루족은 영국 거주민을 받아들여야 한다는 것이었다.[10] 영국군은 1878년 12월 말에 투겔라 강을 건넜다. 초기에는 영국군이 1879년 1월 22일 이산들와나 전투에서 큰 패배를 겪어 줄루군이 하루 만에 1,000명 이상의 영국군을 살해했다.

이산들와나에서의 줄루족 배치는 줄루 왕국을 수십 년 동안 성공적으로 이끌었던 잘 조직된 전술 시스템을 보여주었다. 이것은 영국군이 토착 아프리카 전투 부대에 의해 겪은 최악의 패배였다. 이 패배는 전쟁 노력의 방향 전환을 촉구했고, 비록 수적으로 열세였지만 영국군은 소규모 교전에서 승리하기 시작했고 나중에는 더 큰 규모의 정면 대결에서도 승리했다. 전투는 줄루족의 수도인 울룬디 포위전과 그에 따른 줄루 왕국의 패배로 절정에 달했다.

2. 5. 왕국 분할과 멸망 이후 (1879년 ~ 현재)

체스웨요는 패배 한 달 만에 붙잡혀 케이프타운으로 추방되었다. 영국은 줄루 왕국을 13명의 "소왕"에게 나누어 통치하게 했고, 각자는 자체적인 하위 왕국을 갖게 되었다. 곧 이 하위 왕국들 사이에 분쟁이 발생했고, 1882년 체스웨요는 영국 방문이 허가되었다. 그는 빅토리아 여왕 및 다른 유명 인사들과 알현한 후 줄루랜드로 돌아와 왕으로 복위되었다.[8]

1883년 체스웨요는 원래 왕국보다 훨씬 축소된 완충 지대 영토의 왕으로 복귀했다. 그러나 그해 말, 체스웨요는 13명의 소왕 중 한 명인 지베부에 의해 울룬디에서 공격을 받았다. 체스웨요는 부상을 입고 도망쳤다. 체스웨요는 1884년 2월 독살되었을 가능성으로 사망했다. 그의 아들 디누줄루는 당시 15세였으며 왕위를 물려받았다.[8]

딘주루 왕(1883년경)


딘주루는 자신의 지지를 얻기 위해 보어인과 협약을 맺고 그들에게 토지를 약속했다. 보어인들은 루이 보타가 이끌었다. 딘주루와 보어인들은 1884년에 지베부를 물리쳤다. 그들은 줄루족 지역의 약 절반을 개별적으로 농장으로 할당받았고, 독립 공화국 브라이헤이트를 설립했다. 이는 보어인들이 항구에 접근하는 것을 막고 싶어 했던 영국을 불안하게 했다. 이후 영국은 1887년에 줄루족 지역을 합병했다. 딘주루는 이후 경쟁자들과의 갈등에 연루되었다. 1906년, 딘주루는 밤바타 반란의 배후로 지목되었다. 그는 체포되어 "반역 및 공공 폭력" 혐의로 영국에 의해 재판을 받았다. 1909년, 그는 세인트헬레나 섬에서 10년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남아프리카 연방이 결성되었을 때 루이 보타가 초대 총리가 되었고, 그는 옛 동맹인 딘주루가 남아프리카로 돌아와 트란스발의 한 농장에서 망명 생활을 하도록 주선했으며, 딘주루는 1913년에 그곳에서 사망했다.[8]

딘주루의 아들 솔로몬 카딘주루는 남아프리카 당국으로부터 줄루족 왕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지역 추장으로만 인정받았지만, 추장들과 존 랑갈리발레레 두베와 같은 정치적 지식인, 그리고 일반 줄루족 사람들에게는 점점 왕으로 여겨졌다. 1923년, 솔로몬은 자신의 왕위 주장을 홍보하기 위해 잉카타 야콰줄루(Inkatha YaKwaZulu)라는 단체를 설립했는데, 이 단체는 쇠퇴했다가 1970년대에 콰줄루 반투스탄의 수석 장관인 망고수투 부텔레지에 의해 부활했다. 1951년 12월, 솔로몬의 아들 키프리안 베쿠주루 카솔로몬은 줄루족의 최고 추장으로 공식 인정받았지만, 일반 줄루족에 대한 실질적인 권력은 협조하지 않으면 해임될 수 있는 지역 추장을 통해 활동하는 남아프리카 정부 관리들에게 있었다.[8]

3. 콰줄루 반투스탄

콰줄루는 아파르트헤이트 정부가 줄루족을 위해 반독립적인 반투스탄으로 건설한 남아프리카 공화국반투스탄이었다. 수도는 1980년에 농고마에서 울룬디로 이전되었다.

1994년 폐지될 때까지 줄루족 왕족 출신이자 잉카타 자유당 대표인 망고수투 부텔레지 족장이 이끌었다. 주변의 남아프리카 공화국 나탈 주와 합병되어 새로운 콰줄루나탈 주가 형성되었다.

''콰줄루''라는 이름은 대략 ''줄루족의 땅'' 또는 더 공식적으로 ''줄루랜드''로 번역된다.

4. 현대의 줄루 왕국

줄루 왕국은 현재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9개 주 중 하나인 콰줄루-나탈에 속해 있으며, 줄루 왕국 국왕이 그 군주이다. 현재 국왕은 미수줄루 카 즈웰리티니이다. 이 지역의 상당 부분은 야생 동물 보호 구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요 수입원은 관광 산업에서 창출된다. 이 지역은 사바나로 덮인 언덕으로 유명하다. 이 지역에는 WWF의 검은 코뿔소 재도입 프로젝트인 "검은 코뿔소 범위 확장 프로젝트"가 있으며, 이는 ''줄루랜드 코뿔소 보호구역(ZRR)'' 내에서 진행된다. ZRR은 15개의 개별 농장으로 구성된 20000ha 규모의 보호 구역으로, 보존을 위해 울타리를 낮추었다. 줄루 왕족은 여전히 많은 중요한 의례적 역할을 수행한다.

참조

[1] 논문 The Rise of a Zulu Empire https://www.scientif[...] 1960
[2] 웹사이트 Shaka Zulu: Africa's Napoleon? https://www.historyn[...] 2017-03-14
[3] 서적 The Fortunes of Africa : a 5000-year history of wealth, greed, and endeavour Public Affairs
[4] 웹사이트 Mfecane https://www.britanni[...] Encyclopaedia Britannica
[5] 서적 Terror and Resistance: A Study of Political Violence, with Case Studies of Some Primitive African Communiti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6] 논문 Notices of the Cape And Southern Africa, Since The Appointment, As Governor, Of Major-Gen. Sir Geo. Napier Henry Colburn
[7] 서적 Carnage and Culture: Landmark Battles in the Rise to Western Power https://books.google[...] Knopf Doubleday Publishing Group
[8] 웹사이트 Zulu Kingdom http://www.ulwazipro[...] 2016-10-17
[9] 간행물 Diamonds Gold and War Public Affairs 2007
[10] 서적 Zulu War Osprey
[11] 문서 Conjectural flag of Zululand (1884–1897) by Roberto Breschi taken from The South African Flag Book by A.P.Burger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