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플러 인풋 카탈로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케플러 인풋 카탈로그(KIC)는 케플러 우주망원경의 관측 대상을 선정하기 위해 제작된 천체 목록이다. 이 카탈로그는 당시 선택된 타겟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존 목록이 부재했기에 제작되었으며, 질량, 반지름, 유효 온도, 중력, 금속성 및 성간 적화 소멸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KIC는 약 13만 2천 개의 타겟을 포함하지만, 케플러 우주망원경의 센서에 감지되는 것은 그중 일부이다. KIC는 특정 별의 트랜짓 신호를 감지하여 케플러 관심 개체(KOI)로 명명하는 데 사용되기도 하며, KIC 8462852와 같은 특이한 광도 곡선은 외계 문명의 다이슨 구와 같은 가설을 낳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천체 목록 - 플램스티드 명명법
플램스티드 명명법은 별자리의 라틴어 소유격과 별자리 내 적경 순서에 따른 숫자를 결합하여 항성을 명명하는 방식으로, 존 플램스티드의 『영국 천체 목록』에서 유래되었으며, 바이어 명명법이 없을 때 주로 사용된다. - 천체 목록 - 바이어 명명법
바이어 명명법은 요한 바이어가 제시한 항성 명명법으로, 별자리 내 별의 밝기에 따라 그리스/라틴 문자를 부여하고 별자리 소유격 명칭과 결합하는 방식으로, 밝기 순서를 기준으로 하지만 다른 요소들도 고려되어 엄격한 규칙을 따르지는 않으며, 현대 천문학에서 널리 사용된다.
| 케플러 인풋 카탈로그 | |
|---|---|
| 기본 정보 | |
![]() | |
| 목적 | 케플러 우주망원경에 의해 관측될 별 선택 |
| 천체 수 | 13,200,000개 이상 |
| 하늘 범위 | 백조자리와 거문고자리의 115도² 영역 |
| 겉보기 등급 | 7 - 16 |
| 분광형 | F, G, K, M (주로) |
| 데이터 | MAST |
| 카탈로그 지정 | |
| KIC | 케플러 입력 목록 |
| 기타 정보 | |
| 작성 기관 | NASA |
| 최초 발행일 | 2009년 |
| 최신 업데이트 | 2010년 |
| 관련 프로젝트 | 케플러 계획 |
2. KIC의 제작 배경 및 목적
케플러 우주망원경의 관측 대상을 선정하기 위해 케플러 인풋 카탈로그(KIC)가 제작되었다.[28] KIC는 당시 선택된 타겟에 대한 충분한 깊이와 정보를 제공하는 기존 카탈로그가 없었기 때문에 만들어졌다.[28] 케플러 SCP 타겟들은 2MASS 프로젝트뿐만 아니라 griz 필터와 같은 슬로 필터 등으로 관찰되었다.[26]
케플러 SCP 타겟들은 2MASS 프로젝트뿐만 아니라 griz 필터와 같은 슬론 필터 등으로 관찰되었다.[26] 케플러 우주망원경이 일부만(약 카탈로그 전체의 1/3)을 관찰할 수 있으므로 케플러 인풋 카탈로그(KIC)는 단일로 케플러 타겟을 찾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14] 전체 카탈로그에는 21 광도의 13.2만개 정도의 타겟이 있지만 단지 6.5에서 4.5백만개만이 케플러 우주망원경의 센서에 잡힌다.[14]
KIC에는 "질량, 반경, 기온, 로그'' (g)'', 금속성, 그리고 성간 적화 소멸"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28] 전체 카탈로그에는 21 광도의 13.2만개 정도의 타겟이 있지만, 이 중 케플러 우주망원경의 센서에 잡히는 것은 6.5에서 4.5백만개 정도이다.[26] KIC는 우주선의 시점을 위한 몇 개의 종합적인 스타 카탈로그 중 하나이다.[27]
KIC의 카탈로그 항목의 한가지 예는 KIC#10227020이다. 이 별은 트랜짓 신호가 감지되어 KOI-730으로 명명되었다.[29] 하지만, 행성이 확인된 KIC의 모든 항성이 케플러 관심 개체(KOI)로 명명되는 것은 아니다. 때때로 트랜짓 신호가 케플러 팀이 아닌 다른 천문대에서 감지되기 때문이다. 케플러-78b가 그 예시 중 하나이다.[30]
플래닛 헌터스에 의해 지정된 KIC 8462852의 특이한 광도곡선은 외계 문명의 다이슨 구[32][33]가 아닐까하는 추측을 낳았다.[34]
3. KIC의 내용 및 특징
KIC는 우주선의 시점을 위한 몇 개의 종합적인 스타 카탈로그 중 하나다.[27] KIC는 당시 선택된 타겟의 충분한 깊이와 존재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카탈로그가 없었기 때문에 만들어졌다.[28] 이 카탈로그에는 질량, 반지름, 유효 온도, 중력(로그'' g''), 금속량, 그리고 성간 적화 소멸" 정보가 포함된다.[17]
KIC의 카탈로그 항목의 한가지 예는 KIC#10227020이다. 이 별에 대한 트랜짓 신호를 감지하면서, 이것은 케플러의 관심 개체가 되었고, KOI-730으로 명명되었다.[29]
케플러 인풋 카탈로그의 모든 별들이 확인된 행성들과 함께 케플러 관심 개체로 명명되진 않는다. 그 이유는 때때로 트랜짓 신호들이 케플러 팀에 의해 만들어지지 않은 천문대에서 감지되기 때문이다. 그 중 하나가 케플러-78b이다.[30]
플래닛 헌터스에 의해 지정된 일반적이지 않은 KIC 8462852의 광도곡선이 (TYC 3162-665-1 및 2MASS J20061546+4427248로 명명되었다.)[31] 외계 생명체의 다이슨 구[32][33]가 아닐까하는 추측을 낳았다.[34]
3. 1. 수록 정보
케플러 SCP 타겟들은 2MASS 프로젝트뿐만 아니라 griz 필터와 같은 슬로 필터 등으로 관찰된다.[26] 케플러 우주망원경이 일부만(약 카탈로그 전체의 1/3)을 관찰할 수 있으므로 케플러 인풋 카탈로그는 단일로 케플러 타겟을 찾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14] 전체 카탈로그에는 21 광도의 13.2만개 정도의 타겟이 있지만 단지 6.5에서 4.5백만개만이 케플러 우주망원경의 센서에 잡힌다.[14]
KIC는 우주선의 시점을 위한 몇 개의 종합적인 스타 카탈로그 중 하나다.[27] KIC는 당시 선택된 타겟의 충분한 깊이와 존재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카탈로그가 없었기 때문에 만들어졌다.[28] 이 카탈로그에는 "질량, 반경, 유효 온도, 중력(로그'' g''), 금속량, 그리고 성간 적화 소멸" 정보가 포함된다.[17]
KIC의 카탈로그 항목의 한가지 예는 KIC#10227020이다. 이 별에 대한 트랜짓 신호를 감지하면서, 이것은 케플러의 관심 개체가 되었고, KOI-730으로 명명되었다.[29]
케플러 인풋 카탈로그의 모든 별들이 확인된 행성들과 함께 케플러 관심 개체로 명명되진 않는다. 그 이유는 때때로 트랜짓 신호들이 케플러 팀에 의해 만들어지지 않은 천문대에서 감지되기 때문이다. 그 중 하나가 케플러-78b이다.[30]
플래닛 헌터스에 의해 지정된 일반적이지 않은 KIC 8462852의 광도곡선이 (TYC 3162-665-1 및 2MASS J20061546+4427248로 명명되었다.)[31] 외계 생명체의 다이슨 구[32][33]가 아닐까하는 추측을 낳았다.[34]
3. 2. KIC의 한계
케플러 SCP 타겟들은 2MASS 프로젝트뿐만 아니라 griz 필터와 같은 슬로 필터 등으로 관찰된다.[26] 케플러 우주망원경이 일부만(약 카탈로그 전체의 1/3)을 관찰할 수 있으므로 케플러 인풋 카탈로그(KIC)는 단일로 케플러 타겟을 찾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전체 카탈로그에는 21 광도의 13.2만개 정도의 타겟이 있지만 단지 6.5에서 4.5백만개만이 케플러 우주망원경의 센서에 잡힌다.
KIC는 우주선의 시점을 위한 몇 개의 종합적인 스타 카탈로그 중 하나다.[27] KIC는 당시 선택된 타겟의 충분한 깊이와 존재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카탈로그가 없었기 때문에 만들어졌다.[28] 이 카탈로그에는 "질량, 반지름, 유효 온도, 중력(로그'' (g)''), 금속량, 그리고 성간 적화 소멸"이 포함된다.[17]
KIC의 카탈로그 항목의 한가지 예는 KIC#10227020이다. 이 별에 대한 트랜짓 신호를 감지하면서, 이것은 케플러의 관심 개체가 되었고, KOI-730으로 명명되었다.[29]
케플러 인풋 카탈로그의 모든 별들이 확인된 행성들과 함께 케플러 관심 개체로 명명되진 않는다. 그 이유는 때때로 트랜짓 신호들이 케플러 팀에 의해 만들어지지 않은 천문대에서 감지되기 때문이다. 그 중 하나가 케플러-78b이다.[30]
플래닛 헌터스에 의해 지정된 일반적이지 않은 KIC 8462852의 광도곡선이 (TYC 3162-665-1 및 2MASS J20061546+4427248로 명명되었다.)[31] 외계 문명의 다이슨 구가 아닐까하는 추측을 낳았다.[32][33][34]
4. 주요 천체
KIC 8462852는 신비한 통과 프로파일을 보이는 쌍성이다. 이 프로파일의 기원은 불확실하며, 불균등한 먼지 고리부터 다이슨 스웜 또는 유사한 외계 메가구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설명이 제시되었다.[8][9]
KIC 9832227은 약 11시간의 주기를 가진 접촉 쌍성이자 식쌍성이다.[10]
KIC 11026764는 ''케플러''가 별진동을 광범위하게 연구한 G형 준거성이다. 약 1100초의 주기로 약한 변동성을 보인다.[11]
KIC 9246715는 두 개의 적색 거성으로 구성된 식쌍성 시스템이다. 시스템의 주요 구성 요소는 8.37 태양 반지름, 2.171 태양 질량의 질량 및 4930 K의 온도를 가지고 있으며, 보조 구성 요소는 8.3 태양 반지름의 반경, 2.149 태양 질량의 질량 및 동일한 온도를 갖는다.[12] 두 별은 294,000,000 km 거리에서 서로 공전하며 171일마다 한 번의 궤도를 완료한다.[12]
KIC 11145123은 목록에 있는 흥미로운 비-KOI 천체 중 하나이다. 질량이 높은 것에 비해 회전이 유난히 느린 A형 주계열성으로, 현재 가장 둥근 자연 물체로 여겨진다.[13]
4. 1. 케플러 관심 대상 (KOI)
4. 2. 기타 주목할 만한 천체
KIC 8462852는 신비한 통과 프로파일을 보이는 쌍성으로, 이 프로파일의 기원은 불확실하다.[8][9] 불균등한 먼지 고리부터 다이슨 스웜 또는 유사한 외계 메가구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설명이 제시되었다.[8][9]KIC 9832227은 약 11시간의 주기를 가진 접촉 쌍성이자 식쌍성이다.[10]
KIC 11026764는 ''케플러''가 별진동을 광범위하게 연구한 G형 준거성으로, 약 1100초 주기로 약한 변동성을 보인다.[11]
KIC 9246715는 두 개의 적색 거성으로 구성된 식쌍성 시스템이다. 주성은 8.37 태양 반지름, 2.171 태양 질량 및 4930K의 온도를 가지고 있으며, 동반성은 8.3 태양 반지름, 2.149 태양 질량 및 동일한 온도를 갖는다.[12] 두 별은 294,000,000km 거리에서 서로 공전하며 171일마다 한 번의 궤도를 완료한다.[12]
KIC 11145123은 목록에 있는 흥미로운 비-KOI 천체 중 하나이다. 질량이 높은 것에 비해 회전이 유난히 느린 A형 주계열성으로, 현재 가장 둥근 자연 물체로 여겨진다.[13]
4. 3. 행성 확인과 KIC
5. 한국과의 관련성
참조
[1]
웹사이트
KIC Search Help
http://archive.stsci[...]
Multimission Archive at STScI
2009-09-17
[2]
웹사이트
KIC10 Search
http://archive.stsci[...]
Multimission Archive at STScI
2009-10-08
[3]
웹사이트
FAQ: What is the Spectral Classification Program (SCP)?
http://archive.stsci[...]
Multimission Archive at STScI
2009-09-18
[4]
논문
Predicting the Yield of Photometric Surveys
2009
[5]
논문
Finding Earth-size planets in the habitable zone: The Kepler Mission
2008
[6]
논문
Characteristics of planetary candidates observed by Kepler, II: Analysis of the first four months of data
2011
[7]
웹사이트
Kepler Discoveries
http://www.kepler.na[...]
NASA
2017-06-15
[8]
논문
Proper Motion of the Faint Star near KIC 8462852 (Boyajian's Star)—Not a Binary System
2018
[9]
뉴스
The Most Mysterious Star in Our Galaxy
https://www.theatlan[...]
2015-10-13
[10]
arXiv
To Pulsate or to Eclipse? Status of KIC 9832227 Variable Star
2013-10-01
[11]
간행물
Asteroseismology of 36 Kepler subgiants – I. Oscillation frequencies, linewidths, and amplitudes
[12]
논문
Kic 9246715: The Double Red Giant Eclipsing Binary with Odd Oscillations
2016-02
[13]
웹사이트
Kepler 11145123 is Most Spherical Natural Object Ever Seen, Astronomers Say {{!}} Astronomy {{!}} Sci-News.com
http://www.sci-news.[...]
2021-04-26
[14]
웹사이트
KIC Search Help
http://archive.stsci[...]
Multimission Archive at STScI
2011-09-12
[15]
웹사이트
KIC10 Search
http://archive.stsci[...]
Multimission Archive at STScI
2011-09-12
[16]
논문
Predicting the Yield of Photometric Surveys
2009
[17]
논문
Finding Earth-size planets in the habitable zone: The Kepler Mission
2008
[18]
논문
Characteristics of planetary candidates observed by Kepler, II: Analysis of the first four months of data
2011
[19]
웹사이트
Kepler Discoveries
http://www.kepler.na[...]
NASA
2017-06-15
[20]
논문
Planet Hunters X: KIC 8462852 – Where's the flux?
2016-01-27
[21]
웹사이트
Maybe It's a Dyson Sphere
https://www.theatlan[...]
The Atlantic
2017-06-15
[22]
웹사이트
Maybe It's a Dyson Sphere, Cont'd
https://www.theatlan[...]
The Atlantic
2017-06-15
[23]
웹사이트
The Most Mysterious Star in Our Galaxy
https://www.theatlan[...]
The Atlantic
2017-06-15
[24]
웹인용
KIC Search Help
http://archive.stsci[...]
Multimission Archive at STScI
2011-09-12
[25]
웹인용
KIC10 Search
http://archive.stsci[...]
Multimission Archive at STScI
2011-09-12
[26]
웹인용
FAQ: What is the Spectral Classification Program (SCP)?
http://archive.stsci[...]
Multimission Archive at STScI
2011-09-12
[27]
논문
Predicting the Yield of Photometric Surveys
2009
[28]
논문
Finding Earth-size planets in the habitable zone: The Kepler Mission
2008
[29]
논문
Characteristics of planetary candidates observed by Kepler, II: Analysis of the first four months of data
2011
[30]
웹인용
Kepler Discoveries
http://www.kepler.na[...]
NASA
2017-06-15
[31]
논문
Planet Hunters X: KIC 8462852 – Where’s the flux?
2016-01-27
[32]
웹인용
Maybe It's a Dyson Sphere
https://www.theatlan[...]
The Atlantic
2017-06-15
[33]
웹인용
Maybe It's a Dyson Sphere, Cont'd
https://www.theatlan[...]
The Atlantic
2017-06-15
[34]
웹인용
The Most Mysterious Star in Our Galaxy
https://www.theatlan[...]
The Atlantic
2017-06-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